KR200368194Y1 -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194Y1
KR200368194Y1 KR20-2004-0023914U KR20040023914U KR200368194Y1 KR 200368194 Y1 KR200368194 Y1 KR 200368194Y1 KR 20040023914 U KR20040023914 U KR 20040023914U KR 200368194 Y1 KR200368194 Y1 KR 200368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anel
base bar
stone
fixed
fas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민
Original Assignee
신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민 filed Critical 신정민
Priority to KR20-2004-0023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19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3/0887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나 금속재를 이용하여 소정의 폭과 두께로 형성된 기초바와, 상기 기초바에 나사나 볼트, 못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되며 "ㄴ" 형으로 절곡 형성된 앵글 및 상기 기초바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앵커볼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먼저 석재판넬을 부착고정시키고자 하는 실내벽면에 석재의 크기를 감안하여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기초바를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기초바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앵글을 고정설치한 다음상하 기초바에 장착 고정된 앵글 사이에 석재판넬을 끼워넣어 고정시키되, 에폭시 수지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실내에 석재 판넬 시공시 시간과 인력이 감축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적층 부착되는 석재 판넬이 매우 안정적으로 부착설치되는 등의 효과가 따르게 됨은 물론 사용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석재 판넬이 파손되어 교체할 경우 파손된 부분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 지는 실내용 식재판넬 고정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stone panel fixing structure for the inside of a house}
본 고안은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인테리어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내의 벽면에 비교적 얇게 형성된 옥, 화강암, 세라믹, 대리석 타일 등을 비롯한 각종 석재판넬을 부착고정시킴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이며 시공시간을 단축시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실내에 석재판넬을 부착시공할 때는 실외벽면에 부착시공할 때와는 달리 벽면과의 공간을 크게 띄울수 없다(그 이유는 실내공간이 크게 줄어들게 되기 때문임). 따라서 실내 벽면에 석재판넬을 부착시공할 때는 외벽시공 때와는 달리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앵커볼트 앵글 등의 석재판넬 고정부품을 그대로 이용하여 시공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통상 시멘트 몰탈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의 바인더를 이용한 습식방법으로 벽면 하부에서 상부로 부착 조적하는 형태로 시공하게 된다.
특히, 석재판넬은 크기와 두께에 따라 다소 차이는 나지만 통상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실내용은 가급적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시공하게 되면, 석재나 타일 등을 벽체에 바싹 붙여 시공할 수 있기에 실내공간이 크게 줄지 않게 되는 효과는 따르게 되지만, 벽체에 부착시공되는 석재나 타일이 마치 블럭을 쌓을 때처럼 적층 구성되게 되어 하부가 양생되지 않고서는 높게 쌓아 부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따르게 되어 시공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등의 폐단이 따르게 된다.
또한, 부착된 석재의 간격이나 틈이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렵고, 쌓아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하중 및 약간의 충격에도 하부의 석재판넬이 떨어지게 되는 경향이 발생되어 시공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폐단도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실내의 벽면에 석재판넬, 타일 등의 인테리어 내장재를 신속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부착시공할 수 있게 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예시도.
실내의 벽면에 석재판넬, 타일 등의 인테리어 내장재를 부착시공함에 있어서,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체결구멍(11)을 가지되, 상기 체결구멍(11)은 벽면에 앵커볼트(3) 등으로 체결 고정시킬 때 볼트머리가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단차구멍으로 이루어진 기초바(1)와,
상기 기초바(1)의 표면에 나사 또는 못 등의 체결부재(5)로 체결고정되며 일측면에 세로장공(21)을 가진 "ㄴ"형 앵글(2)을 이용하여 각종 석재판넬(4), 타일등을 원활하게 부착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6은 접착제, 7은 콘크리트벽체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석재판넬(4) 또는 타일을 부착시공하고자 하는 실내의 벽면에 석재판넬의 크기를 감안하여 먼저 기초바(1)를 상하 좌우로 부착고정시키되, 기초바(1)에 형성된 단차진 체결구멍을 통하여 실내의 벽면이 목재로 된 경우에는 못, 나사 등을 이용하여 체결고정시키고, 실내의 벽면이 콘크리트로 형성된 경우에는 앵커볼트(3)를 이용하여 부착시공한다.
이어서 상기 기초바(1)에 "ㄴ"형 앵글(2)을 나사나 못 등의 체결부재(5)로 체결고정하되, 이때 상기 체결부재(5)는 "ㄴ"형 앵글(2)의 일측면에 형성된 세로장공(21)을 통하여 체결고정시킴으로서 석재판넬(4)을 부착설치시 "ㄴ"형 앵글의 높낮이 조절을 한 상태에서 정학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석재판넬(4)을 고정설치할 때는 에폭시 수지를 비롯한 각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제는 기초바(1) 및 앵글(2)과 석재판넬의 이면가장자리에 도포 충진하여 부착시키면 되며, 일단 부착된 석재판넬(4)은 앵글(2)에의해 개별적으로 각각 견고하게 지지되게 되어 다단 설치되더라도 하중을 크게 받지 않게 되어 매우 안정적이고도 안전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벽면에 부착된 석재판넬(4)이 사용과정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석재판넬(4)만을 손쉽게 교환할 수 있게 되어 교환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실내의 벽면에 비교적 얇게 형성된 석재 판넬, 타일 등을 부착시공할 때 실내 벽면과의 간격을 최소화시키면서 안정적으로 부착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 기초바(1)는 상기한 목재, 합성수지재 외에 알루미늄이나 철재 등의 금속판재나 압출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 앵글은 금속재로 형성하되 세로장공(21)을 양쪽 면에 형성하여 석재판넬 고정시 석재판넬의 상하면에 앵글의 세로장공과 일치하는 구멍을 천공한 뒤 별도의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조립고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석재를 부착고정시키고자 하는 실내벽면에 석재의 크기를 감안하여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기초바(1)를 앵커볼트(3)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기초바(1)에 못 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5)를 이용하여 "ㄴ"형 앵글(2)을 고정 설치한 다음 상하 기초바(1)에 장착 고정된 앵글(2) 사이에 석재판넬(4)을 끼워넣어 고정시키되 에폭시 수지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실내에 석재 판넬 시공시 시간과 인력이 감축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적층 부착되는 석재 판넬(4)이 매우 안정적으로 부착 설치되는 등의 효과가 따르게 됨은 물론 사용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석재 판넬이 파손되어 교체할 경우 파손된 부분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가 따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실내의 벽면에 석재판넬, 타일 등의 인테리어 내장재를 부착시공함에 있어서,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체결구멍(11)을 가지되, 상기 체결구멍(11)은 벽면에 앵커볼트(3) 등으로 체결 고정시킬 때 볼트머리가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단차구멍으로 이루어진 기초바(1)와,
    상기 기초바(1)의 표면에 나사 또는 못 등의 체결부재(5)로 체결고정되며 일측면에 세로장공(21)을 가진 "ㄴ"형 앵글(2)을 이용하여 각종 석재판넬(4), 타일 등을 실내 벽면에 부착시공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
KR20-2004-0023914U 2004-08-18 2004-08-18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368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914U KR200368194Y1 (ko) 2004-08-18 2004-08-18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914U KR200368194Y1 (ko) 2004-08-18 2004-08-18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194Y1 true KR200368194Y1 (ko) 2004-11-17

Family

ID=4935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91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8194Y1 (ko) 2004-08-18 2004-08-18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1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849B1 (ko) * 2013-04-29 2015-01-28 박재민 건축물 벽면장식용 석재 시공방법 및 브라켓트 구조
KR101944213B1 (ko) 2018-02-09 2019-01-30 채승완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944212B1 (ko) 2018-02-09 2019-01-30 채승완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849B1 (ko) * 2013-04-29 2015-01-28 박재민 건축물 벽면장식용 석재 시공방법 및 브라켓트 구조
KR101944213B1 (ko) 2018-02-09 2019-01-30 채승완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944212B1 (ko) 2018-02-09 2019-01-30 채승완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5466B2 (en) Tension reinforcement for concrete
US4694624A (en) Modular pre-insulated, pre-finished building block
US8240103B2 (en)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injected urethane foam between the wall frame and autoclaved aerated concrete (AAC) blocks
US9745739B2 (en)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injected urethane foam between the wall and autoclaved concrete (AAC) blocks
US7908804B2 (en) Structural lintel assembly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040231270A1 (en) Masonry tie for cavity wall construction
US20150204085A1 (en) Wall assembly and a building structure including the wall assembly
US8056301B2 (en) Method of framing a building shear wall structure compatible with conventional interior or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subsurface panel for use therewith
JP6490410B2 (ja) 外装材の施工構造
KR200423791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368194Y1 (ko)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
KR101966138B1 (ko)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KR101302552B1 (ko) 외장패널 고정 브래킷
US20080196336A1 (en) Fiber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wall system
KR100621643B1 (ko) 건축물 내부 천장 구조
KR101486849B1 (ko) 건축물 벽면장식용 석재 시공방법 및 브라켓트 구조
KR102675409B1 (ko) 천정 몰딩 구조
KR100526695B1 (ko) 건축물 외벽 조립식 합성 타일 설치 공법
RU106277U1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крепление для маячкового профиля
JP2003056115A (ja) 住宅建築用パネル材
JPH0547701B2 (ko)
KR20240016061A (ko)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구조
KR100462148B1 (ko) 천장틀
KR100502777B1 (ko) 공동주택 벽돌시공 외벽 석재판 연결 앵커 설치공법
JP2001098668A (ja) 外壁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8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8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0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10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