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153A - 돌출발코니용 갱폼 - Google Patents

돌출발코니용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153A
KR20190004153A KR1020170084394A KR20170084394A KR20190004153A KR 20190004153 A KR20190004153 A KR 20190004153A KR 1020170084394 A KR1020170084394 A KR 1020170084394A KR 20170084394 A KR20170084394 A KR 20170084394A KR 20190004153 A KR20190004153 A KR 2019000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member
shaped support
protruding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희
Original Assignee
김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희 filed Critical 김창희
Priority to KR1020170084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4153A/ko
Publication of KR2019000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overhangs

Abstract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형 발코니를 다양한 하게 형성됨과 안전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돌출발코니용 갱폼은 상부에 수평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단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이드 홈이 형성된 수직프레임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 가이드홈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된 연결봉이 설치되고 하단 가이드 홈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하부지지부재가 설치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지지부재 상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내설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부중심부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전방 일측끝단부와 중심하부에는 상하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재가 설치된 ㄷ자형 지지부재와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의 고정부재와 본체프레임의 연결봉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돌출발코니용 갱폼{Gang form for protruding balcony}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형 발코니를 다양하게 형성됨과 안전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돌출발코니용 갱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들은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골조가 형성되며,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 패널이 서로 밀착되게 배열, 연결되어 배치되는 구조이다.
과거 목재 거푸집 패널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재(鋼材)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 거푸집 패널이 개발되어 건축 시공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층의 아파트와 같은 단면 구조물은 갱폼에 의해 외관을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갱폼(gang form)이란, 주로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 상ㆍ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을 말한다.
이와 같이 갱폼에 의해 형성된 최근 건축물에 입면디자인의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다양한 돌출발코니 설치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상기와 같이 돌출발코니를 형성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슬래브(1)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립형 돌출발코니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1)에 형성된 받침부(100) 상기 슬래브(1)와 결합되는 돌출부(200) 상기 돌출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00)에 거치되는 거치부(300) 및 상기 받침부(100)와 상기 거치부(300)를 결합하는 결합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100)는 상기 슬래브(1)의 단부면에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110)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110)와 결합되며 상기 슬래브(1) 내부에 매립된 제1 매립 보강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110)는, 상부 받침부(111) 하부 받침부(112) 및 상기 상부 받침부(111)와 상기 하부 받침부(112)를 연결하는 제1 복부(113);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 플레이트(110)는 상기 슬래브(1)의 단부면에 형성된 함몰부(3)에 안착되며, 상기 제1 매립 보강부재(120)는 상기 슬래브(1) 내부에서 꺽인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조립형태의 돌출발코니는 보다 쉽게 돌출발코니를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슬래브와 돌출부가 체결결합시 서로 수평선상을 맞추는 것이 어려워 고도의 숙련자만이 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가 개방된 형태로 작업하다 보니 작업자의 안정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슬래브와 돌출부가 체결결합되는 구조는 크랙이나 누수 등의 구조적 안전성을 담보하지 못하며 형성된 돌출부를 작업상황에 따라 변형하여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595396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외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며, 슬래브에 돌출부를 성형시 타설에 의해 형성하므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는 돌출발코니용 갱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수평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단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이드 홈이 형성된 수직프레임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 가이드홈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된 연결봉이 설치되고 하단 가이드 홈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하부지지부재가 설치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지지부재 상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내설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부중심부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전방 일측끝단부와 중심하부에는 상하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재가 설치된 ㄷ자형 지지부재와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의 고정부재와 본체프레임의 연결봉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발코니용 갱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의 수직프레임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고정볼트가 체결결합되도록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를 고정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의 고정부재와 본체프레임의 연결봉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단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힌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재의 나사부에 체결결합되어 길이를 조절하도록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의 높낮이조절부 사이에 ㄷ자형 지지부재의 상부 중심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안착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수평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가이드 홈부에는 고정핀을 상, 하로 이동시키는 고정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의 일측끝단 상부에는 고정바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지지대 중 하나의 하부지지대 일측끝단에 돌출단턱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 지지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케이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지지부재에 안착되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부 외주에는 ㄱ자로 형성된 안전프레임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은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외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며, 슬래브에 돌출부를 성형시 타설에 의해 형성하므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돌출발코니를 변형하여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돌출발코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을 나타낸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을 나타낸 저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연결지지부재를 나타낸 실시예.
도 6b는 도 6a에 대한 사용실시예.
도 7a, 7b는 본 발명의 ㄷ자형 지지부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ㄷ자형 지지부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a는 본 발명의 하부지지부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b, 9c는 도 9a에 대한 사용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을 나타낸 사용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1)은 상부에 수평프레임(12)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2)의 양측단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이드 홈(14-2)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4)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4)의 상단 가이드 홈(14-2)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4)에 연결된 연결봉(14-4)이 설치되고 하단 가이드 홈(14-2)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하부지지부재(16,17)가 설치된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지지부재(16) 상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4)의 가이드 홈(14-2)에 내설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부중심부에는 고정부재(22)가 설치되고 전방 일측끝단부와 중심하부에는 상하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재(24)가 설치된 ㄷ자형 지지부재(20)와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고정부재(22)와 본체프레임(10)의 연결봉(14-4)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수평프레임(12)의 양측단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4)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이드 홈(14-2)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2)의 양측 끝단부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14)의 하부에는 작업자가 작업함과 유로폼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4)의 하단 가이드 홈(14-2)에 내설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하부지지부재(16,17)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4)의 하부지지부재(16,17)에 작업자 또는 유로폼이 설치시 더욱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지지부재(16,17) 양측 끝단에는 하부지지부재(16,17)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8)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방에 설치된 연결프레임(18)과 후방에 설치된 연결프레임(18)을 연결되어 지지하도록 크로스프레임(18-2)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지지부재(16) 상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4)의 가이드 홈(14-2)에 내설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부중심부에는 고정부재(22)가 설치되고 전방 일측끝단부와 중심하부에는 상하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재(24)가 설치된 ㄷ자형 지지부재(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높낮이조절부재(2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져 상, 하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수직프레임(14)에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져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양한 건축물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를 상, 하 조절이 용이하도록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수직프레임(14)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통공(14-5)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4-5)에 고정볼트(50)가 체결결합되도록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를 고정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수직프레임(14)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4-2)에 내설되어 결합시 지지력을 증대하기 위해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고정부재(22)와 본체프레임(10)의 연결봉(14-4)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수평과 지지력을 증대하기 위해 설치되는 연결지지부재(30)는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고정부재(22)와 본체프레임(10)의 연결봉(14-4)에 연결되어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고정부재(22)와 본체프레임(10)의 연결봉(14-4)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단에 힌지공(32-2)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나사부(32-4)가 형성된 힌지부재(32)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재(32)의 나사부(32-4)에 체결결합되어 길이를 조절하도록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조절부재(3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는 건축물의 상부 바닥 슬래브(100)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도 2 또는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높낮이조절부(24) 사이에 ㄷ자형 지지부재(20)의 상부 중심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안착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홈부(42-2)가 형성된 수평프레임(42)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가이드 홈부(42-2)에는 고정핀을 상, 하로 이동시키는 고정조절부재(44)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핀은 엘자형 핀으로 외주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이와 결합되는 상기 고정핀을 상, 하로 조절하는 고정조절부재(44)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상부에 수평프레임(42)과 고정핀을 상, 하로 조절하는 고정조절부재(44)를 설치하므로써 건축물의 상부 슬래브에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일측끝단 상부에는 고정바(2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상부면과 건축물의 슬래브 상부면이 서로 지지되도록 지주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일측끝단 상부에는 고정바(26)가 지주의 내주중심부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지지부재 중 일측 하부지지부재(16)의 일측끝단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단턱부(16-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지지부재(16,17)는 하부층에 형성된 상부 슬래브의 외주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지지부재(16,17) 중 일측 하부지지부재(17)는 하층 슬래브의 외주에 위치하고 타측 하부지부재(16)의 돌출단턱부(16-2)가 내부 진입되어 지주에 의해 지지하므로써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고,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발코니를 분할하여 성형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지지부재(17)를 하층 슬래브에 외벽에 밀착될 수 있어 돌출발코니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지지부재(16,17) 상부에 유로폼을 안착시켜 돌출발코니를 성형시킬 수 있으나 보다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 2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 지지부재(16,17)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케이지(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지(60)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지지부재에 안착되는 바닥면(62)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부 외주에는 ㄱ자로 형성된 안전프레임(64)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케이지(60)의 안전프레임(64)이 ㄱ자로 형성된 이유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층 슬래브에 외벽에 밀착될 수 있어 돌출발코니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수평프레임(12)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2)의 양측단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이드 홈(14-2)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4)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4)의 상단 가이드 홈(14-2)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4)에 연결된 연결봉(14-4)이 설치되고 하단 가이드 홈(14-2)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하부지지부재(16,17)가 설치된 본체프레임(10)에 상기 수직프레임(14)의 가이드 홈(14-2)에 내설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부중심부에는 고정부재(22)가 설치되고 전방 일측끝단부와 중심하부에는 상하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재(24)가 설치된 ㄷ자형 지지부재(20)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지지부재(16)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고정부재(22)와 본체프레임(10)의 연결봉(14-4)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돌출발코니용 갱폼(1)은 건축물 외벽에 돌출발코니를 형성시키기 위해 크레인을 이용하여 돌출발코니를 형성시키는 층수로 올리는데 이때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는 돌출발코니를 형성시키는 층수의 바닥슬래브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지지부재(16,17)는 하층 상부슬래브 외주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돌출발코니를 형성하는 시키는 위치에 안착되며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20)의 높낮이조절부(24)를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 후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 일측끝단과 본체프레임(10)의 하부지지부재(16,17) 하부에 지주를 설치하여 고정시킨 후 작업자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지지부재(16,17) 상부에 유로폼을 놓고 돌출발코니를 형성시킬 수 있어 작업자는 안전하게 돌출발코니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래브에 돌출부를 성형시 타설에 의해 형성하므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돌출발코니를 변형하여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돌출발코니용 갱폼
10 : 본체프레임 12 : 수평프레임
14 : 수직프레임 14-2 : 가이드 홈
14-4 : 연결봉 14-5 : 통공
16,17 : 하부지지부재 16-2 : 돌출단턱부
18 : 연결프레임 18-2 : 크로스프레임
20 : ㄷ자형 지지부재 22 : 고정부재
24 : 높낮이조절부재 26 : 고정바
30 : 연결지지부재 42 : 수평프레임
42-2 : 가이드 홈부 44 : 고정조절부재
50 : 고정볼트 60 : 케이지
62 : 바닥면 64 : 안전프레임

Claims (8)

  1. 상부에 수평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단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이드 홈이 형성된 수직프레임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 가이드홈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된 연결봉이 설치되고 하단 가이드 홈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하부지지부재가 설치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지지부재 상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내설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부중심부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전방 일측끝단부와 중심하부에는 상하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재가 설치된 ㄷ자형 지지부재와;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의 고정부재와 본체프레임의 연결봉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발코니용 갱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수직프레임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고정볼트가 체결결합되도록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를 고정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발코니용 갱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의 고정부재와 본체프레임의 연결봉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단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힌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재의 나사부에 체결결합되어 길이를 조절하도록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발코니용 갱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의 높낮이조절부 사이에 ㄷ자형 지지부재(20)의 상부 중심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안착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수평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가이드 홈부에는 고정핀을 상, 하로 이동시키는 고정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발코니용 갱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지지부재의 일측끝단 상부에는 고정바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발코니용 갱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지지대 중 하나의 하부지지대 일측끝단에 돌출단턱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발코니용 갱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 지지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케이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발코니용 갱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지지부재에 안착되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부 외주에는 ㄱ자로 형성된 안전프레임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발코니용 갱폼.
KR1020170084394A 2017-07-03 2017-07-03 돌출발코니용 갱폼 KR20190004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394A KR20190004153A (ko) 2017-07-03 2017-07-03 돌출발코니용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394A KR20190004153A (ko) 2017-07-03 2017-07-03 돌출발코니용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153A true KR20190004153A (ko) 2019-01-11

Family

ID=6502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394A KR20190004153A (ko) 2017-07-03 2017-07-03 돌출발코니용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41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7438A (zh) * 2020-11-18 2021-03-16 上海福铁龙住宅工业发展有限公司 空调板预制模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7438A (zh) * 2020-11-18 2021-03-16 上海福铁龙住宅工业发展有限公司 空调板预制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41193A1 (en) Beam for formwork systems
KR20190008053A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020061B1 (ko)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KR101618703B1 (ko) 건축용 바닥슬래브 거푸집패널
KR102033624B1 (ko) 외단열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건물용 갱폼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88823B1 (ko) 폼 장치
KR20190004153A (ko) 돌출발코니용 갱폼
CN203939238U (zh) 用于上凸混凝土构件支模装置的支托模板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KR100757321B1 (ko) 천정거푸집용 멍에 받침대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1966138B1 (ko)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KR101978360B1 (ko) 개량형 난간의 결합구조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200480637Y1 (ko) 통폼 연결 브래킷
CN210315967U (zh) 预制件安装结构
KR101832180B1 (ko) 원 스탭 드롭방식을 이용한 슬라브패널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KR101883887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
KR101341864B1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KR20170124311A (ko)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102433546B1 (ko) 슬라브 판넬 지지장치
KR102207334B1 (ko) 유로폼의 타이 홀 고정용 브라켓
CN214498383U (zh) 一种用于吊模施工的支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