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452B1 -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 Google Patents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9452B1 KR101879452B1 KR1020160150852A KR20160150852A KR101879452B1 KR 101879452 B1 KR101879452 B1 KR 101879452B1 KR 1020160150852 A KR1020160150852 A KR 1020160150852A KR 20160150852 A KR20160150852 A KR 20160150852A KR 101879452 B1 KR101879452 B1 KR 1018794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gap
- plate
- panel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서포트와 서포트의 상단 일측에 결합하는 판넬을 구비하는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로서, 서포트의 상단 타측에 결합하는 틈새 보강 받침대, 틈새 보강 받침대 상에서 판넬의 측면을 따라 결합하는 틈새 보강 각재, 틈새 보강 각재 상에 결합하는 틈새 보강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틈새 보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서포트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할 때 거푸집 판넬 사이의 틈새를 메우는 틈새 보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토건 공사를 보면, 철근 구조물을 수용하는 형태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한 후 일정 시간을 양생하며, 이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토건 공사에서 거푸집을 형성하고 해체하는 과정은 거의 필수적으로 수반되는데, 이러한 거푸집의 형성과 해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들이 다수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거푸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인접 배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소정 간격의 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틈은 견고하게 매워져야 콘크리트 타설 때 콘크리트 몰탈이 새지 않는다.
특허등록 제1564427호는 '거푸집 틈새 메움용 필러'를 개시하고 있는데, 내용을 보면, 육면체 형상으로 연속 형성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체결부, 체결부에 결합되는 체결판 부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몸체부는 합성 수지재로 구성되고, 체결판 부재는 금속재로 구성된다. 체결판 부재는 체결부의 개방된 측에서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체결판 부재는 체결부에 접촉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베이스부에는 고정 부재의 삽입을 위해 삽입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부에는 걸림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몸체부의 양 측벽을 지지하는 지지력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와 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되, 몸체부와 체결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종래기술은 압출 등의 성형 공정으로 틈새 매움용 필러를 쉽게 형성할 수 있고, 거푸집의 틈새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필러를 거푸집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구성요소가 많아 제조 비용이 상승할 수 있고, 비숙련자의 경우에는 결합과 해체에 꽤 작업 시간이 걸릴 수 있어 활용성서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서포트 거푸집에서 거푸집 판넬 사이의 틈을 견고하게 메울 수 있고,
둘째, 틈 간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셋째, 결합과 해체를 쉽게 할 수 있는,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는 서포트와 서포트의 상단 일측에 결합하는 판넬을 구비하는 서포트 거푸집에 사용되며, 틈새 보강 받침대, 틈새 보강 각재, 틈새 보강 플레이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틈새 보강 받침대는 서포트의 상단 타측에 결합할 수 있다.
틈새 보강 각재는 틈새 보강 받침대 상에서 판넬의 측면을 따라 결합할 수 있다.
틈새 보강 플레이트는 틈새 보강 각재 상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에서, 서포트는 장방형의 봉체, 봉체의 상단에 결합하는 지지 플레이트,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대칭되게 상방으로 돌출하는 4개의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판넬은 서포트의 4개 결합돌기 중 하나에 결합할 수 있다. 틈새 보강 받침대는 서포트의 4개 결합돌기 중 판넬에서 먼쪽의 다른 하나 또는 2개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에서, 틈새 보강 받침대는 하부에 결합돌기에 삽입되는 결합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에서, 틈새 보강 받침대는 결합공을 각각 구비하고 결합돌기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돌기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틈새 보강 받침대는 2개 돌기 결합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에서, 2개 돌기 결합부는사이 경계부에 절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에 의하면, 틈새 보강 받침대가 서포트 상단의 결합돌기에 삽입 결합되고, 이후 그 상부에 틈새 보강 각재와 틈새 보강 플레이트를 차례로 결합하므로, 견고하게 거푸집 판넬 사이의 틈을 메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에 의하면, 판넬 사이의 틈 간격에 맞추어 틈새 보강 플레이트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틈 간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에 의하면, 틈새 보강 받침대를 서포트의 결합돌기에 삽입하는 정도만으로 거의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으므로, 틈새 보강 구조체의 결합과 해체가 쉽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틈새 보강 구조체를 포함하는 서포트 거푸집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틈새 보강 구조체를 포함하는 서포트 거푸집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틈새 보강 받침대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틈새 보강 구조체를 포함하는 서포트 거푸집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틈새 보강 받침대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틈새 보강 구조체를 포함하는 서포트 거푸집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거푸집은 판넬(100), 서포트(200), 서포트 보강대(300), 결합핀(400), 틈새 보강 구조체(50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판넬(100)은 메인 플레이트, 다수의 측면 플레이트, 다수의 보강바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는 사각 판재로 구성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는 나무,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경량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알루미늄,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또는 섬유 내부에 수지를 함침시킨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는 메인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하여, 폭 방향 일측 즉 메인 플레이트의 후방에 개방 공간인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결합 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통공은 판넬(110)을 사방으로 배열하여 결합할 때 인접 판넬(100)을 결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는 메인 플레이트와 동일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보강바는 메인 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으로, 메인 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할 수 있다. 보강바는 메인 플레이트와 동일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서포트(200)는 2개의 봉체, 바닥 플레이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봉체는 장방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봉체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2개로 분리하여 삽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2개로 분리 구성하는 경우, 상측 봉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공을 다수 구비하고, 하측 봉체는 하나의 삽입공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공에는 결합핀(300)이 삽입되어 상측 봉체를 하측 봉체 내에서 소정 높이로 고정할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는 하측 봉체의 하단에 결합하며, 지면 등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서포트 보강대(400)는 서포트(200)를 직립시키는 과정에서 서포트(200)에 결합할 수 있다. 서포트 보강대(400)는 삼각대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삼각대는 일측이 서포트(200)에 결합하고 타측은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넬(100)과 서포트(200)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하면, 예를들어 도 1과 같은 거푸집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거푸집을 형성하다 보면, 예를들어 기존 거푸집과 새로 형성하는 거푸집 사이에 공간이나 틈이 생길 수 있다. 그러한 틈이 판넬(100)의 폭만큼이면 서포트(200)를 이용하여 판넬(100)을 더 설치하면 되지만, 그 틈이 판넬(100) 폭에 미치지 못하면 작은 크기의 보조 판넬 등을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것이 쉽지 않고 작업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럴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틈새 보강 구조체(500)를 판넬(100) 사이의 틈에 설치하여 그 공간을 메울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틈새 보강 구조체(500)는 틈새 보강 받침대(510), 틈새 보강 각재(520), 틈새 보강 플레이트(53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틈새 보강 받침대(510)는 서포트(200)의 상단에서 판넬(100)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틈새 보강 받침대(510)와 서포트(200)의 결합 구조는 추후 도 3a,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틈새 보강 각재(520)는 틈새 보강 받침대(5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틈새 보강 각재(520)는 판넬(100)의 측면을 따라 인접 서포트(300) 상단까지 또는 넘어서 연장될 수 있다.
틈새 보강 플레이트(530)는 틈새 보강 각재(52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틈새 보강 받침대를 포함하는 서포트 거푸집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100) 사이의 틈이 넓은 경우에는 인접하는 서포트(200)의 상단에 각각 틈새 보강 받침대(510)와 틈새 보강 각재(520)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2개의 틈새 보강 각재(520) 상에 하나의 보강 플레이트(530)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100) 측에 위치하는 결합돌기(230)는 판넬(100)의 후방 함몰부 모서리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판넬(100)에서 먼쪽의 결합돌기(미도시)는 틈새 보강 받침대(510)의 하부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틈새 보강 각재(520)는 판넬(10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면서 틈새 보강 받침대(510) 상에 결합할 수 있다. 틈새 보강 각재(520)는 틈새 보강 받침대(510) 상에 단순히 얹혀지는 형태로 결합할 수도 있다.
틈새 보강 플레이트(530)는 틈새 보강 각재(520) 상에 결합하는데, 그 상면은 판넬(100)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틈새 보강 플레이트(530)는 판넬(100)이나 틈새 보강 각재(520)에 피스 결합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틈새 보강 받침대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a,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틈새 보강 받침대(510)는 서포트(200)의 상단 한쪽 부분에 결합할 수 있다.
서포트(200)는 상단에 지지 플레이트(210), 회전판(220), 4개의 결합돌기(231~234), 4개의 분리판(241~24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는 사각 판재 형태로 구성되어 상측 봉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할 수 있다.
회전판(220)은 지지 플레이트(210)과 중심을 같이하면서 회전축을 매개로 결합할 수 있다. 회전판(220)은 지지 플레이트(21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결합돌기(231~234)는 회전판(220)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결합돌기(231~234)는 4개를 구비할 수 있는데, 각 결합돌기(231~234)는 사각 형태 회전판(220)의 대략 꼭지점 부근에 각각 위치하여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다. 4개 결합돌기(231~234) 중 2개는 판넬(100)에 각각 결합하고, 나머지 2개는 틈새 보강 받침대(510)와 결합한다.
분리판(241~244)은 회전판(220) 상에서 결합돌기(231~234) 사이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하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분리판(241~244)은 결합돌기(231~234)를 분리하면서 결합돌기(231~234)에 각각 결합하는 판넬(100) 각각과 틈새 보강 받침대(510)를 분리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위에서는 회전판(220)을 구비하여 결합돌기(231~234)가 지지 플레이트(220)에 대해 회전하는 예를 설명하였는데, 이와 달리 결합돌기(231~234) 및 분리판(241~244)이 지지 플레이트(220) 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231~234)와 판넬(100), 결합돌기(231~234)와 틈새 보강 받침대(510)의 원활한 결합을 위해 상대 위치를 조정할 때는 서포트(200) 자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틈새 보강 받침대(510)는 돌기 결합부(511), 커버 플레이트(513)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돌기 결합부(511)는 틈새 보강 받침대(510)의 하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합돌기(231,234)에 결합하는 결합공을 구비할 수 있다. 돌기 결합부(511)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내부가 빈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예를들어 판재를 절곡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13)는 돌기 결합부(511)의 상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판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13)는 상부에 결합하는 틈새 보강 각재(52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틈새 보강 받침대(510)는 하나의 결합돌기(231 또는 234)에 결합하는 단일체로 구성하거나, 2개 결합돌기(231,234)에 동시에 결합하는 복합체로 구성할 수 있다.
단일체로 구성하는 경우, 틈새 보강 받침대(510)는 하나의 결합돌기(231 또는 234)에만, 또는 2개의 틈새 보강 받침대(510)가 2개의 결합돌기(231,234)에 각각 결합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복합체로 구성하는 경우는, 1개의 일체화된 틈새 보강 받침대(510)가 2개의 결합돌기(231,234)에 동시에 결합하는 형태이다. 다만, 결합돌기(231,234) 사이에 분리판(244)이 있으면, 틈새 보강 받침대(510)는 하부 중앙에 절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를 다른 형태의 실시예로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판넬 200 : 서포트
210 : 지지 플레이트 220 : 회전판
230,231~234 : 결합돌기 240,241~244 : 분리판
300 : 결합핀 400 : 서포트 보강대
500 : 틈새 보강 구조체 510 : 틈새 보강 받침대
511 : 돌기 결합부 513 : 커버 플레이트
520 : 틈새 보강 각재 530 : 틈새 보강 플레이트
H : 결합공
210 : 지지 플레이트 220 : 회전판
230,231~234 : 결합돌기 240,241~244 : 분리판
300 : 결합핀 400 : 서포트 보강대
500 : 틈새 보강 구조체 510 : 틈새 보강 받침대
511 : 돌기 결합부 513 : 커버 플레이트
520 : 틈새 보강 각재 530 : 틈새 보강 플레이트
H : 결합공
Claims (5)
- 삭제
-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상단 일측에 결합하는 판넬을 구비하는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상단 타측에 결합하는 틈새 보강 받침대;
상기 틈새 보강 받침대 상에서 상기 판넬의 측면을 따라 결합하는 틈새 보강 각재;
상기 틈새 보강 각재 상에 결합하는 틈새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장방형의 봉체; 상기 봉체의 상단에 결합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대칭되게 상방으로 돌출하는 4개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판넬은 상기 4개 결합돌기 중 하나에 결합하고,
상기 틈새 보강 받침대는 상기 4개 결합돌기 중 상기 판넬에서 먼쪽의 다른 하나 또는 2개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보강 받침대는
하부에 상기 결합돌기에 삽입되는 결합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보강 받침대는
상기 결합공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결합돌기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돌기 결합부;
상기 2개 돌기 결합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돌기 결합부는
사이 경계부에 절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0852A KR101879452B1 (ko) | 2016-11-14 | 2016-11-14 |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0852A KR101879452B1 (ko) | 2016-11-14 | 2016-11-14 |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3825A KR20180053825A (ko) | 2018-05-24 |
KR101879452B1 true KR101879452B1 (ko) | 2018-07-17 |
Family
ID=6229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0852A KR101879452B1 (ko) | 2016-11-14 | 2016-11-14 |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945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6339A (ja) * | 1998-03-27 | 1999-12-07 | Daizen:Kk | コンクリートダブルサポート機構 |
JP2012225077A (ja) * | 2011-04-21 | 2012-11-15 | Funaki Shoji Kk | コンクリート型枠の納め構造及びその施工法 |
-
2016
- 2016-11-14 KR KR1020160150852A patent/KR1018794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6339A (ja) * | 1998-03-27 | 1999-12-07 | Daizen:Kk | コンクリートダブルサポート機構 |
JP2012225077A (ja) * | 2011-04-21 | 2012-11-15 | Funaki Shoji Kk | コンクリート型枠の納め構造及びその施工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3825A (ko) | 2018-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005991A1 (en) | Concrete Wall Formwork Module | |
KR200481707Y1 (ko) |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 |
EA025860B1 (ru) | Блочная форм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бетонных покрытий | |
KR102281943B1 (ko) |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 연결장치 | |
US9091068B2 (en) | Wall construction system, wall stud,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KR101760775B1 (ko) | 벽체 성형용 거푸집 및 이의 시공방법 | |
EP1426526A2 (en) | Formwork | |
KR20080006425U (ko) | 콘크리트 패널 성형장치 | |
KR101879452B1 (ko) |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 |
JP2006307604A (ja) |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 |
CN207553582U (zh) | 一种建筑模板 | |
KR200461500Y1 (ko) | 방수턱 거푸집 | |
KR200414945Y1 (ko) |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 |
KR20050021416A (ko) | 건축용 끼움식 강재 거푸집 | |
KR20180089808A (ko) | 벽 단부 형성용 거푸집 패널 | |
KR20180052268A (ko) |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형성 방법 | |
JPH102007A (ja) | 土間ユニット構造及び土間ユニットの施工方法 | |
KR102042484B1 (ko) | 건축물 상층바닥 축조를 위한 거푸집의 받침목 브래킷 | |
JP7451843B2 (ja) |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 |
KR101898158B1 (ko) |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 |
KR102578180B1 (ko) |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 |
CN218970848U (zh) | 一种转角用围墙立柱结构 | |
KR101691624B1 (ko) | 절곡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중공재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의 시공방법 | |
JP2002070035A (ja) | 布基礎用型枠 | |
KR100322412B1 (ko) | 조립식철골조와이를이용한건축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