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246B1 - 마루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마루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246B1
KR101393246B1 KR1020120105684A KR20120105684A KR101393246B1 KR 101393246 B1 KR101393246 B1 KR 101393246B1 KR 1020120105684 A KR1020120105684 A KR 1020120105684A KR 20120105684 A KR20120105684 A KR 20120105684A KR 101393246 B1 KR101393246 B1 KR 101393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member
elastic member
support
floo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734A (ko
Inventor
이규
Original Assignee
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 filed Critical 이규
Priority to KR1020120105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2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는 바닥면에 위치되고, 상단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삽입홀에 일 단부가 삽입되어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받침목에 대응하는 홈 형상의 받침목 끼움부가 형성되는 홀더부; 및 상기 받침목이 상기 받침목 끼움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받침목 끼움부의 측벽과 상기 받침목 사이로 밀려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목과 받침목 끼움부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설치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도 받침목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받침목 끼움부 측벽에 가이드부 및 요철을 구비함으로써 설치된 받침목이 받침목 끼움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마루널 고정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floor}
본 발명은 마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실이나 강당, 체육관, 무용실 등의 마루 바닥의 시공에 이용되는 마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의 교실이나 강당 또는 체육관, 무용실 등의 마루공사에 있어서는 굴곡진 바닥면에 대해서 마루를 수평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 마루널이 사용된다. 통상, 이러한 마루널은, 탄성 또는 강성이 있는 목재,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마루의 구배를 맞추는 동시에 마루로부터 인가되는 부하를 지탱하도록 된다.
종래의 마루널은 탄성 및 강성 등을 고려한 복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됨에 따라 그 구성이 복잡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구성 부품이 분리 가능한 다수 부품으로 구성됨에 따라, 작업 중 부품의 분실우려가 높고, 더욱이 마루널 설치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마루널 고정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0115호 '마루널 고정장치'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를 들 수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은 바닥면에 위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부 홀더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연결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부 홀더부재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의 상부 홀더부재의 상호 대향하는 양 측면을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하여 연통시킴으로써, 제1 받침목 끼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르는 경우에도 마루널 고정장치를 설치한 후 장 시간이 흐르게 되면 마루널 고정장치와 받침목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치 작업 공수가 감소되도록 구조가 단순화된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도 받침목과의 사이에 유격이 최소화될 수 있는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된 받침목이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수단을 구비한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루의 구배 조절이 용이하도록 직관적으로 높이를 구분할 수 있는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는 바닥면에 위치되고, 상단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삽입홀에 일 단부가 삽입되어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받침목에 대응하는 홈 형상의 받침목 끼움부가 형성되는 홀더부; 및 상기 받침목이 상기 받침목 끼움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받침목 끼움부의 측벽과 상기 받침목 사이로 밀려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받침목 끼움부 중 상기 받침목의 삽입 시의 입측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받침목 삽입 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받침목 끼움부 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받침목 삽입 시 상기 탄성부재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받침목 끼움부 측벽에 삽입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받침목 삽입 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홈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탄성부재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홈에는 서로 평행한 골과 산이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가이드홈에 형성되는 요철의 골과 산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산과 상기 산의 하단에 인접하는 골을 연결하는 요철 하면은 상기 탄성부재의 상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시각적으로 구분 가능한 다수의 구분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의 받침목 끼움부는 상기 받침목이 어느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수용가능하도록 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홀더부의 측벽에 각각 총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공수로 굴곡진 바닥면에 대한 마루시공 작업 중, 마루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목과 받침목 끼움부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설치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도 받침목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목 끼움부 측벽에 가이드부 및 요철을 구비함으로써 설치된 받침목이 받침목 끼움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목을 끼운 후에도 마루널 고정장치가 상하로 확장된 높이를 직관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마루의 구배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마루널 및 마루널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목이 끼워진 상태의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마루널 고정장치에 탄성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는 마루널(1)의 기초가 되는 받침목(2)을 지지하고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받침목(2) 하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마루널 고정장치(100)가 구비된다. 받침목(2)은 일부가 마루널 고정장치(100)에 삽입된 채로 고정된다. 마루널 고정장치(100)는 받침목(2)이 수평을 이루도록 각각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마루널(1)은 널빤지 형상으로 형성되며, 받침목(2)과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마루널(1)은 나사 또는 못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받침목(2)과 고정된다. 복수의 마루널(1)은 수평 조정된 받침목(2) 상에 고정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수평면에 평행한 마루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 마루널 고정장치(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 1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목이 끼워진 상태의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고정부(10)는 마루널 고정장치(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고정부(10)는 기저부(11)와 체결부(12)를 포함한다. 기저부(11)와 체결부(12)는 각각 팔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기저부(11)의 외경은 체결부(12)의 외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체결부(12)의 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삽입홀(13)이 형성된다. 삽입홀(13)의 내주면에는 연결부(20)가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다.
연결부(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연결부(20)는 상술한 체결부(12)의 삽입홀(13)에 삽입되며, 회전 정도에 따라 높낮이가 결정되도록 체결된다.
연결부(20)의 상단에는 홀더부(30)가 구비된다. 홀더부(30)의 상단면(33)에는 받침목 끼움부(35)가 형성된다. 받침목 끼움부(35)는 홀더부(30)의 상단면(33)으로부터 하향으로 형성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목 끼움부(35)는 저면(31)과 양 측벽(32)으로 둘러싸인 공간부로 형성된다. 받침목 끼움부(35)는 받침목 끼움부(35)에 삽입될 받침목(6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탄성부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꺽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탄성부재(5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탄성부재 상부(52)와 탄성부재 상부(52)의 일측으로부터 수직 하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탄성부재 하부(51)로 구분된다. 탄성부재(50)는 받침목 끼움부의 측벽(32) 및 홀더부 상단면(33), 즉, 받침목(60)이 삽입되는 입구에 걸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50)는 받침목(60)이 삽입되기 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목 끼움부(35)의 측벽(32)과 홀더부 상단면(33)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후 받침목(60)이 상부로부터 아래방향(D1)으로 끼워지게 되면, 받침목(60)과의 마찰에 의하여 받침목 끼움부(35) 내측으로 함께 밀려 들어가게 된다. 받침목(60)이 완전히 삽입된 후 탄성부재(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목(60)과 측벽(32)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 2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실시예 2는 홀더부(30)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30)는 측벽(32)에 가이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6)는 세로 방향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홀더부(30)의 상단면(33)으로부터 저면(31)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가이드부(36)는 받침목이 끼워지는 때에 탄성부재(50)가 밀려 삽입되는 경우 탄성부재(50)를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가이드부(36)의 폭은 탄성부재(50) 폭에 비하여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받침목(60)이 삽입되는 때에 탄성부재(50)와 접촉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부(36)의 깊이(W1)는 탄성부재(50)의 두께(W2)에 비하여 작아야 한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예 3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실시예 3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는 가이드홈(36)에 요철(36a)이 형성된다. 요철(36a)은 탄성부재(5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삽입 후 탄성부재(50)의 이탈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요철(36a)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과 산이 교호적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골과 산은 서로 평행하게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36a)에 의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목(60)이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50)가 용이하게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탄성부재(5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경우의 마찰력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요철(36b)은 톱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철(36b)은 요철 상부면(36b1)과 요철 하부면(36b2)로 구비될 수 있다. 요철 상부면(36b1)은 어느 하나의 골로부터 아래에 인접한 산에 이르는 요철의 상부면을 의미한다. 요철 하부면(36b2)은 어느 하나의 산으로부터 아래에 인접한 골에 이르는 요철의 하부면을 의미한다. 이 때 요철 하부면(36b2)은 수평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룸으로써 탄성부재(5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예 4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위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받침목(60)이 한번 삽입되면 다시 외부로 이탈을 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마루널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각 마루널 고정장치의 높이 조절을 빠르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직관적으로 마루널 고정장치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즉, 연결부(20)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시각적으로 구분 가능한 다수의 구분 영역(21)을 표시할 수 있다. 구분 영역(21)들은 높이에 따라 색채, 명암 등을 달리하여 연결부(20)의 외주면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직관적으로 홀더부(30)의 높이를 가늠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한다. 구분 영역(21)들은 외주면을 일주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중 일정 부분에만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20) 나사산에 일정 숫자를 병기하거나 색채를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마루널 고정장치에 탄성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예 5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a)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목 끼움부(35a)가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목 끼움부(35a)는 홀더부(30a)의 상단에 형성된다. 받침목 끼움부(35a)는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홀더부(30a)의 상부면(33a)을 4개 부분으로 분할한다. 이 때 받침목 끼움부(35a)의 측벽(32a)들은 총 8개가 형성된다.
탄성부재(50a)들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벽(32a)들에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부재(50a)들의 일 단부는 상부면(33a)에 걸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50a)들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목 끼움부(35a)에 받침목이 삽입되는 경우 함께 삽입되어 받침목과 측벽(32a)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실시예 5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a)는 십자형으로 교차된 받침목을 수용할 수 있으며, 또는 십자형의 받침목 끼움부(35a)를 통하여 일자형의 받침목을 어느 한 방향으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마루널 고정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10: 고정부 20: 연결부
30: 홀더부 32: 받침목 끼움부 측벽
35: 받침목 끼움부 36: 가이드홈
36a, 36b: (요철이 형성된) 가이드 홈

Claims (12)

  1. 바닥면에 위치되고, 상단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삽입홀에 일 단부가 삽입되어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받침목에 대응하는 홈 형상의 받침목 끼움부가 형성되는 홀더부; 및
    상기 받침목이 상기 받침목 끼움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받침목 끼움부의 측벽과 상기 받침목 사이로 밀려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받침목 삽입 시 상기 탄성부재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받침목 끼움부의 측벽에 삽입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탄성부재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이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평행한 골과 산이 교호적으로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산은 상기 산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인접하는 골 중 상기 하단에 인접하는 골과 더 가깝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의 상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받침목이 상기 받침목 끼움부에 삽입되기 전 일부분이 상기 받침목 끼움부의 상단면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가이드홈의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받침목 끼움부의 상단면에 접하던 상기 일부분은 상기 받침목과 접하지 않다가 상기 받침목이 상기 받침목 끼움부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상기 가이드홈에 구비되는 상기 나머지 부분이 상기 받침목과 접촉된 채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밀려 상기 받침목과 접촉된 채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마루널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시각적으로 구분 가능한 다수의 구분 영역이 표시되는 마루널 고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받침목 끼움부는 상기 받침목이 어느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수용가능하도록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루널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홀더부의 측벽에 각각 총 8개가 구비되는 마루널 고정장치.
KR1020120105684A 2012-09-24 2012-09-24 마루널 고정장치 KR101393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684A KR101393246B1 (ko) 2012-09-24 2012-09-24 마루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684A KR101393246B1 (ko) 2012-09-24 2012-09-24 마루널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734A KR20140037734A (ko) 2014-03-27
KR101393246B1 true KR101393246B1 (ko) 2014-05-27

Family

ID=5064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684A KR101393246B1 (ko) 2012-09-24 2012-09-24 마루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313B1 (ko) * 2014-04-08 2015-01-26 (주)선워드코리아 홀더부재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28A (ko) * 2001-03-30 2001-08-04 송지호 실내경기장용 바닥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레벨쿠션 조절볼트
KR200316250Y1 (ko) * 2003-03-20 2003-06-18 이만익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20120010115A (ko) * 2011-05-24 2012-02-02 이규 마루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28A (ko) * 2001-03-30 2001-08-04 송지호 실내경기장용 바닥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레벨쿠션 조절볼트
KR200316250Y1 (ko) * 2003-03-20 2003-06-18 이만익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20120010115A (ko) * 2011-05-24 2012-02-02 이규 마루널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734A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342B2 (en) Batten/joist support
US9695603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resilient support members
US7587865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multi level support system
US20170044776A1 (en) Covering comprising cover plates clamped to profiles
TW201504505A (zh) 戶外拼接地板
US20160010875A1 (en) Heating panel with floating floor structure
GB2492203A (en) Anchor Device
KR101971619B1 (ko)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EP3282066B1 (en)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elongated elements and an arrangement comprising the same
WO2015030255A1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101393246B1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1338538B1 (ko) 바닥재 데크보드 구조물
KR20120010115A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1437310B1 (ko) 마루 바닥재 받침장치
JP3866137B2 (ja) デッキ構造
KR101081958B1 (ko) 마루틀 고정장치
JP2016194219A (ja) 二重床の支持構造
CN211341590U (zh) 一种塑料支撑板
KR200349993Y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JP5547692B2 (ja) 床パネル位置決めキャップ
KR102322133B1 (ko) 건축용 페데스탈
JP2019148077A (ja) 床構造体
KR101782785B1 (ko) 마감타일 고정장치
KR20120109223A (ko) 레일장선이 구비된 마루틀 및 마루널의 시공방법
KR101074938B1 (ko) 플로어 타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808

Effective date: 2014040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