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938B1 - 플로어 타일 - Google Patents

플로어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938B1
KR101074938B1 KR1020100132997A KR20100132997A KR101074938B1 KR 101074938 B1 KR101074938 B1 KR 101074938B1 KR 1020100132997 A KR1020100132997 A KR 1020100132997A KR 20100132997 A KR20100132997 A KR 20100132997A KR 101074938 B1 KR101074938 B1 KR 101074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tile
floor
engagement
engagement coupling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Priority to KR102010013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어 타일에 관한 것으로, 바닥을 깔기 위한 플로어 타일에 있어서, 사각구조로 형성되는 테두리벽에 의해 한정되는 윗면인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어 타일을 지지하기 위해 배열된 지지부와; 상기 플로어 타일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맞물림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로어 타일{FLOOR TILE}
본 발명은 경기장 등의 바닥에 깔아 사용되어지는 플로어 타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지면서도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바닥과의 밀착이 우수하게 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기장의 바닥에 깔아 사용자로 하여금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경기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생활 체육이 활성화되면서 광범위한 분야에서 운동 경기장의 바닥을 깔기 위한 부재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바닥에 깔기 쉽고 탈부착이 가능한 플로어 타일의 용도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로어 타일은 맞물림 결합을 하는 복수의 부재가 형성되어 진다.
이러한 것들은 구조적으로 서로 맞물림 결합하는 부재는 인접한 플로어 타일을 장착하기 위해 멈춤쇠부재와 멈춤쇠부재를 수용하도록 측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뻗어나가는 고리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종래의 플로어 타일은 멈춤쇠부재와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로 뻗어나가는 고리부재가 결합하는 경우 고리부재 하나에 멈춤쇠부재 하나가 결합하게 되므로, 외부로부터 플로어 타일에 힘이 가해질 때에 힘의 분산을 고려하더라도 고리부재가 망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플로어 타일에 멈춤쇠부재와 고리부재가 동시에 형성되므로 고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어려워 용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맞물림 결합되는 부재로 서로 결합되는 플로어 타일이 바닥과는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의 플로어 타일의 전체가 미끄러져 본래 위치에서 이탈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로어 타일이 맞물림 결합부와 맞물림 결합고리가 각각 두 개씩 결합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맞물림(interlocking) 고리부재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로어 타일의 사각 모양의 모든 면이 동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맞물림 결합고리가 별도로 만들어지므로 경기 종목의 특성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가능하여 용도가 한정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된 전체 플로어 타일이 미끄러져 본래 위치에서 과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갯수를 선정하여 고정부재로 바닥에 고정시켜 이탈을 막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을 깔기 위한 플로어 타일에 있어서, 사각구조로 형성되는 테두리벽에 의해 한정되는 윗면인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어 타일을 지지하기 위해 배열된 지지부와; 상기 플로어 타일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맞물림 결합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타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플로어 타일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맞물림 결합고리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로어 타일은 사각형 모양의 모든 면이 동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맞물림 결합고리가 별도로 형성되고 경기 종목의 특성에 따라 그 크기나 재료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한 플로어 타일은 일정한 갯수를 선정하여 고정부재로 바닥에 고정시켜 본래 위치에서 과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타일을 위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타일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타일 지지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맞물림 결합부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3a는 도3의 형성된 맞물림결합부의 확대사시도.
도3b는 도3의 맞물림결합부와 맞물림결합고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원형 개구가 두 개인 맞물림 결합고리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타일의 맞물림 결합부에 맞물림 결합고리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a는 본 발명의 이격거리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결합고리의 반원형 개구를 통해 고정부재가 바닥과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타일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타일을 위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타일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로어 타일(1)은 몸체부(10), 테두리벽(13), 지지부(20), 맞물림 결합부(30), 홈부(40)를 포함한다. 맞물림 결합부(30)는 반원형 고정기둥(35), ㄱ자형 탄성기둥(33), 유격기둥(37)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플로어 타일(1)은 운동경기를 하는데 적합한 평평한 구조로 형성된 윗면인 몸체부(10)를 포함한다. 플로어 타일 몸체부(10)의 윗면이 평평한 구조를 갖는 이유는 사용자가 경기도중 플로어 타일(1)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충격에 자주 노출되는 무릎, 발목 및 다른 조직의 충격손상을 줄이기 위함이다.
그러나, 마찰력이 필요로 하는 경기에 사용되는 플로어 타일(1)의 경우에는 플로어 타일 몸체부(10)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마찰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정사각구조로 형성되는 테두리벽(13)에 의해 한정된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로어 타일(1)의 맞물림 결합부(30)는 네 면이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플로어 타일(1)의 어느 방향에서도 인접한 플로어 타일(1)과 결합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이 없어 경기장 바닥의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타일 지지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맞물림 결합부의 확대된 저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플로어 타일(1)은 몸체부(10) 아래에 배치되고 격자(grid)구조를 가지며 플로어 타일(1)을 지지하는 지지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0)는 몸체부(10)에 중력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플로어 타일(1)이 망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몸체부(10) 아래에 배열되는 부재이다.
상기 지지부(20)는 복수의 육각형 격자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복수의 사각형 격자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로어 타일(1)은 인접하는 플로어 타일(1)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2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맞물림 결합부(30)가 형성된다.
복수의 맞물림 결합부(30)는 지지부(20) 가장자리의 네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다만, 맞물림 결합부(30)는 그 개수나 크기 또는 배치간격이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맞물림 결합부(30)는 반원형 고정기둥(35)과 상기 맞물림 결합고리(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ㄱ자형 탄성기둥(33) 그리고 상기 맞물림 결합고리(50)를 상기 홈부(40)의 지지부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하는 유격기둥(37)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원형 개구가 두 개인 맞물림 결합고리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맞물림 결합고리(50)는 복수의 반원형 개구(53)가 형성되며, 각각의 반원형 개구(53)에는 상기 맞물림 결합부(30)가 결합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맞물림 결합고리(50)에는 두 개의 반원형 개구(53)가 형성된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구조적으로 본 발명의 플로어 타일(1)은 맞물림 결합부(30)가 각각 형성되고 이에 결합하는 맞물림 결합고리(50)를 맞물릴 경우, 두 개의 맞물림 결합부(30)와 두 개의 맞물림 결합고리(50)가 결합하는 것이 되어 힘이 분산되므로 한 쌍의 맞물림 결합부와 맞물림 결합고리(50)에 가해지는 힘이 작아져 플로어 타일(1)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로어 타일(1)은 상기 몸체부(10)의 테두리벽(13) 내의 지지부(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40)를 포함한다. 각각의 홈부(40)를 통해서 맞물림 결합고리(50)가 수용되는데, 상기 맞물림 결합부(30)와 맞물림 결합고리(50)의 복수의 반원형 개구 중 하나의 반원형 개구(53)가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타일의 복수의 맞물림 결합부에 맞물림 결합고리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결합고리의 반원형 개구를 통해 고정부재가 바닥과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결합부(30)와 맞물림 결합고리(50)는 인접하는 플로어 타일(1)이 서로 결합되어질 때 구조적으로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맞물림 결합고리(50)는 유격기둥(37)에 의해 상기 홈부의 지지부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고정기둥(35)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맞물림 결합고리(50)에 형성된 반원형 개구(53)와 대응되게 결합한다. 플로어 타일(1) 각각의 맞물림 결합부(30)에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맞물림 결합고리(50)에 형성되는 각각의 반원형 개구(53)가 정확하게 맞물리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즉 도3 및 도3a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형탄성기둥(33)의 하단에 단턱(33a)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33a)에 맞물리게 맞물림결합고리(50)의 반원형개구(53)에도 단턱이 형성됨으로 서로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즉, 맞물림 결합부(30)의 반원형의 외부 구경은 맞물림 결합고리(50)의 반원형 개구(53)의 내부 구경이 대응되어야 한다.
다만, 플로어 타일(1) 위에서 운동하는 사용자의 발목과 무릎 및 다른 조직을 충격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반원형 고정기둥(35)과 맞물림 결합고리(50)에 형성되는 각각의 반원형 개구(53)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거리(60)를 가지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상기 소정의 이격거리(60)는 0.2밀리미터 이상이고 1.5밀리미터 이하일 수 있다.
그런데, 각각의 플로어 타일(1)에 한 쌍의 이격거리(60)가 존재하므로 외부에서 플로어 타일(1)에 힘이 가해지면 각각에 대해 평균 1밀리미터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따라서, 사용되는 플로어 타일(1)의 갯수가 많은 경우, 설치된 위치보다 실제 위치가 과도하게 이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기장에 플로어 타일(1)이 200x150(가로x세로)개가 설치되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질 때 이론적으로는 가로방향으로는 최대 200밀리미터 그리고 세로방향으로는 최대 150밀리미터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과도한 위치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로어 타일(1)을 일정한 갯수(예를 들어, 가로나 세로 방향으로 여섯 개의 플로어 타일)마다 하나씩 선정하여, 고정부재(70)로 선정된 플로어 타일(1)을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70)는 맞물림 결합고리(50)의 반원형 개구(53)를 통해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재(70)는 나사와 와셔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로어 타일(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맞물림 결합부(30) 중에서 일부를 제거한 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맞물림 결합을 통하여 복수의 인접한 플로어 타일(1)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지게 되고, 운동 경기장 바닥 전체가 플로어 타일(1)로 깔려지게 된다.
맞물림 결합부(30)의 ㄱ자형 탄성기둥(33)은, 맞물림 결합부(30)와 결합시에는 탄성작용을 통해서 맞물림 결합고리(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맞물림 결합부(30)가 결합한 후에는 복원력을 통해서 맞물림 결합고리(50)의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맞물림 결합고리(50)가 플로어 타일(1)과 분리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각각의 맞물림 결합고리(50)를 플로어 타일(1)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인접하는 플로어 타일(1)을 분리하기 위해서, 맞물림 결합부(30)의 ㄱ자형 탄성기둥(33)에 힘을 가하면서 맞물림 결합고리(50)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된다.
상기 맞물림 결합고리(50)를 분리할 때, 상기 지지부(20)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하는 유격기둥(37)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플로어 타일 10 : 몸체부
13 : 테두리벽 20 : 지지부
30 : 맞물림 결합부 33 : ㄱ자형 탄성기둥
35 : 반원형 고정기둥 37 : 유격기둥
40 : 홈부 50 : 맞물림 결합고리
53 : 반원형 개구 60 : 이격거리
70 : 고정부재

Claims (6)

  1. 바닥을 깔기 위한 플로어 타일에 있어서,
    사각구조로 형성되는 테두리벽(13)에 의해 한정되는 윗면인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어 타일을 지지하기 위해 배열된 지지부(20);
    상기 몸체부(10)의 테두리벽(13) 내의 상기 지지부(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40); 및
    상기 플로어 타일과의 결합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홈부(40)에 형성되는 복수의 맞물림 결합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타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40)에 수용되며, 인접한 상기 플로어 타일 각각의 상기 맞물림 결합부(30)에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반원형 개구(53)가 형성되는 맞물림 결합고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타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결합부(30)는,
    반원형 고정기둥(35);
    상기 맞물림 결합고리(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하단에 단턱(33a)이 형성되는 ㄱ자형 탄성기둥(33); 및
    상기 맞물림 결합고리(50)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하는 유격기둥(3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타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결합고리(50)는 반원형 개구(53)가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타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 개구(53)가 형성되는 맞물림 결합고리(50)의 내부 구경과 상기 반원형 고정기둥(35)의 외부 구경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6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타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결합고리(50)의 반원형 개구(53)를 통해, 플로어 타일이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타일.




KR1020100132997A 2010-12-23 2010-12-23 플로어 타일 KR101074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997A KR101074938B1 (ko) 2010-12-23 2010-12-23 플로어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997A KR101074938B1 (ko) 2010-12-23 2010-12-23 플로어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938B1 true KR101074938B1 (ko) 2011-10-18

Family

ID=4503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997A KR101074938B1 (ko) 2010-12-23 2010-12-23 플로어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9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0286A (en) 1988-03-14 1990-06-05 Daniel Kotler Modular sports tile with lateral absorption
US6098354A (en) 1998-04-07 2000-08-08 Dante Design Associates, Inc. Modular floor tile having reinforced interlocking portions
JP2006028752A (ja) 2004-07-12 2006-02-02 Sekisui Chem Co Ltd 床部材、連結部材及びその床部材の敷設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0286A (en) 1988-03-14 1990-06-05 Daniel Kotler Modular sports tile with lateral absorption
US6098354A (en) 1998-04-07 2000-08-08 Dante Design Associates, Inc. Modular floor tile having reinforced interlocking portions
JP2006028752A (ja) 2004-07-12 2006-02-02 Sekisui Chem Co Ltd 床部材、連結部材及びその床部材の敷設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1896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resilient support members
US7587865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multi level support system
US20040258869A1 (en) Modular plastic flooring
US6451400B1 (en) Floor mat
AU2012278316B2 (en) Covering element for forming floor and/or wall coverings
US11753830B2 (en) Paver supporting apparatus
US10897857B2 (en) Grass protection mat with bottom supporting mat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20110183102A1 (en) Water Draining Foot Mat
US9320354B2 (en) Shoe storage apparatus
KR101074938B1 (ko) 플로어 타일
JP5405133B2 (ja) 視覚障害者誘導用のマット構造体
US20200299906A1 (en) Paver Supporting Apparatus
KR101838296B1 (ko) 낚시용 신발
KR101393246B1 (ko) 마루널 고정장치
JP3196016U (ja) ゲーム器具
KR20200005036A (ko) 안전 울타리를 지지하는 원형 받침대
US20230008205A1 (en) Padding layer for athletic field for water retention and drainage
CN210685066U (zh) 游戏墙
KR20110002804U (ko) 케이블 받침대
TWM564015U (zh) 塑膠棧板止滑墊
ITUB20159796A1 (it) pavimentazione ammortizzante
JP2004244922A (ja) 連結敷設用床材パーツ
JP2009299330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支持台ユニット
JP2011030757A (ja) 連結マット及び連結マット用マットブロック
JP2011162968A (ja) 柔道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