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731B1 - 조적용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조적용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731B1
KR100733731B1 KR1020060095257A KR20060095257A KR100733731B1 KR 100733731 B1 KR100733731 B1 KR 100733731B1 KR 1020060095257 A KR1020060095257 A KR 1020060095257A KR 20060095257 A KR20060095257 A KR 20060095257A KR 100733731 B1 KR100733731 B1 KR 10073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eight
supports
p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수
Original Assignee
박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수 filed Critical 박상수
Priority to KR1020060095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08Holders for bricklayers' lines, bricklayers' bars; Sloping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41Means for positioning building part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시 벽돌을 쌓는데 사용되는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숙련공이 아닌 경우에도 일정한 모르타르의 두께를 유지하고 수평으로 정확하게 벽돌을 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적용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측에 세워 설치되고 하부엔 받침이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끼워 결합되고 승하강이 가능하며 높낮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고정구와;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사이로서 수평으로 상기 슬라이드 고정구에 끼워 결합되는 수평가로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는 초기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기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가로대엔 수준기가 매립 설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벽돌, 조적, 시공

Description

조적용 시공장치{Bricklay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배면도,
도 5는 도 2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조적시 모르타르를 일정한 두께로 고르게 수평으로 펼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흙손을 장착한 상태를 함께 예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지대, 2: 슬라이드 고정구,
3: 수평가로대, 4: 높이조절기,
5: 흙손
본 발명은 건축시 벽돌을 쌓는데 사용되는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숙 련공이 아닌 경우에도 일정한 모르타르의 두께를 유지하고 수평으로 정확하게 벽돌을 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적용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있어서 벽돌을 쌓는 조적작업(組積作業)은 숙련공에 의하여 작업이 이루어져 왔으며 미숙련공 내지 초심자인 일반인의 경우에는 작업이 불가능할 정도로 많은 기술을 요하는 것이었다.
또한, 숙련공의 경우에도 쌓는 벽돌이 수평 및 수직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하여 양측에서 수평실을 설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작업중에 수시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그 작업효율이 낮은 폐단이 있었다.
더욱이, 벽돌을 쌓는 과정에서 벽돌과 벽돌 사이에 모르타르를 바르는 줄눈작업의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흙손을 그대로 사용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어 작업자마다 고른 품질을 유지할 수 없어 품질관리에도 바람직하지 아니하고 작업성도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존재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로서 국내특허 공고번호 제85-1215호의 "벽돌조적기"가 알려져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일의 축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왕복대를 설치하고 상기 왕복대엔 한 쌍의 조적대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조적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한 쌍의 조적대 사이에 쌓는 벽돌이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하도록 그 구성이 되어 있는 관계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 단일의 축과 여기에 설치되는 단일의 왕복대에 길게 형성된 조적대를 끼워 설치하게 되어 있어 조적대가 왕복대로부터 멀어져 길게 이루어질수록 끝부분 이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쳐지게 되고 왕복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의 조적대가 서로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려워 어느 일측이 더 쳐지게 되어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설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가 어렵고 결국 수평오차에 의하여 이를 기준으로 작업하게 되면 불량요인이 되는 작업 사용상 문제점이 있고,
둘째, 한 쌍의 조적대를 사용하여 이들 조적대 사이에 쌓게 되는 벽돌이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벽돌을 쌓는 작업을 할 때 이들 조적대가 작업공간을 제한하게 되어 작업이 불편해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셋째, 조적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축의 설치시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상,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받침대를 건물의 천정과 바닥에 고정하도록 구조가 이루어져 있어 건물의 천정과 바닥이 정확하게 수평을 유지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시공 특성상 건물의 천정과 바닥은 정확하게 수평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관계로 축의 설치시마다 수직상태를 맞추도록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며,
넷째, 전체적인 벽돌조적기를 구성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축, 왕복대, 조적대,연결대 등을 포함하는 여러 구성부품의 수효가 많고 전체적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및 개발이 이루 어진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의 기준이 되게 되는 수평가로대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기초가 되는 지지대를 한 쌍으로 양측에 설치하고 각각의 지지대엔 설치시 수직으로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을 마련하여 설치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수평가로대에도 수평 상태로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대책을 마련하여 수평가로대가 일부분이라도 쳐지지 아니하고 수평상태를 갖도록 설치가 용이한 조적용 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수평가로대에 의하여도 벽돌쌓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필수적인 구성만으로 구성되면서 전체적으로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이 용이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조적용 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돌을 쌓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벽돌과 벽돌 사이에 채워지게 되는 모르타르의 시공을 수행하게 되는 기구로서 종래의 흙손과는 달리 시공장치의 수평가로대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모르타르 작업의 정확성과 편리성이 확보되는 조적용 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에 세워 설치되고 하부엔 수평받침이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각각 끼워 결합되고 각각 승하강이 가능하며 높낮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고정구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로서 수평으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고정구에 끼워 결합되는 수평가로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적용 시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초기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마련된 수평받침이나 상기 수평가로대엔 수준기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수평받침엔 수평조절용 나사가 각각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조적용 시공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시공장치에 의하면, 공통적으로 양측에 세워 설치되고 하부엔 수평받침(10)이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대(1,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에 각각 끼워 결합되고 각각 승하강이 가능하며 높낮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고정구(2,2)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 사이로서 수평으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고정구(2,2)에 끼워 결합되는 수평가로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슬라이드 고정구(2,2)의 설치위치로서 수평가로대(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기(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기(4)의 경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고정구(2)의 일측에 나사구멍(40)을 형성하고 이 나사구멍(40)에 위치고정용 체결구(42)를 나사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체결구(42)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 고정구(2)가 상기 지지대(1)에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높이조절기(4)의 경우에 전술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별도로 예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예를 들면 래크와 피니언 방 식으로서 상기 지지대(1)엔 래크를 고정시키고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피니언은 슬라이드 고정구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고정구(2)는 지지대(1)에 끼워 결합되는 슬라이드개공(22)과 수평가로대(3)가 끼워 설치되는 결합돌부(24)(26)가 직각으로 각각 마련되어 상기 결합돌부(24)(26)에 수평가로대(3)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가로대(3)는 전면에 줄눈돌기(30)를 구성하여 벽돌(7)의 조적 시공시에 모르타르(8)에 줄눈이 고르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벽돌(7)의 상부 일측에 얹혀진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에는 흙손(5)을 설치하여 상기 흙손(5)을 가압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수평가로대(3)가 휘어지거나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에 마련된 수평받침(10)이나 상기 수평가로대(3)엔 수준기(14,14)(34,34)를 매립 설치하여 상기 수평받침(10)에 수준기(14,14)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준기(14,14)를 이용하여 수평받침(10)이 수평상태에 있도록 미세하게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면 지지대(1,1)는 자연적으로 수직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수평가로대(3)에 수준기(34,34)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수평가로대(30)가 수평으로 설치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면서 슬라이드 고정구(2)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면 된다.
또한, 상기 수평받침(10)엔 수평조절용 나사(16)를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 나사식으로 설치하여 지지대(1,1)가 설치되는 기초바닥(6)이 고르지 아니한 경우에 수평 조절용 나사(16)를 조절하여 수준기(14,14)를 보면서 상기 수평받침(10)이 수평상태에 맞게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준기(14,14)는 서로 설치방향이 다르게 배치시켜 이들이 모두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 보다 정확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수평가로대(3)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흙손(5)은 본체(50)의 하부 일측으로서 벽돌(7)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분산돌기부(52)를 복수개 마련하고 본체(50)의 일측으로서 수평가로대(3)의 후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위에는 가이드돌기(54)를 마련하며 본체(50)의 상부에는 손잡이(56)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시공장치에 대하여 조립 설치, 작동 및 조적 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벽돌을 쌓는 조적 시공을 행하고자 하는 현장에 있어서 기초바닥(6)의 정위치에 본 발명인 시공장치를 조립 설치하게 되는데, 우선 기초바닥(6)의 상부 양측에 한 쌍의 지지대(1,1)를 정위치에 설치하고자 수평받침(10)에 설치되어 있는 수준기(14,14)를 보면서 각각의 모서리 방향에 설치되어 있던 조절용 나사(16)을 돌려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준기(14,14)가 동시에 수평상태에 있도록 하게 되면 지지대(1)는 수직으로 설치가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1,1)의 설치가 완료되면 양측의 상기 지지대(1,1)에 슬라이드 고정구(2,2)를 슬라이드 개공(22)으로 끼워 결합하고 기초바닥(6)에 타설될 모르타르의 높낮이를 감안하여 설치 위치가 정하여지면 높이조절기(4)의 나사구 멍(40)의 체결구(42)를 조여 원하는 위치에 자리잡도록 각각 설치한다.
다음, 수평가로대(3)의 양측을 상기 슬라이드 고정구(2,2)의 결합돌부(24)를 각각 끼워 결합하여 조립 설치한다. 이때, 일측의 지지대(1)의 설치위치를 움직여야 하는 경우에는 지지대(1)를 적정의 위치까지 움직이고 나서 수준기(14,14) 및 조절용 나사(16)를 이용하여 수평받침(10)의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수평가로대(3)가 지지대(1,1)와 직각을 이루어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정확하게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수평가로대(3)에 설치된 수준기(34)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고정구(2)의 높낮이를 높이조절기(40)에 의하여 미세하게 조절하여 수평상태를 맞추면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수평가로대(3)의 초기 위치는 기초바닥(6)의 위에 타설되는 모르타르(8)의 두께와 그 위에 설치되는 벽돌(7)의 두께를 미리 감안하여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가로대(3)의 위치가 정하여지면 기초바닥(6)의 상부에 모르타르(8)를 타설하고 상기 수평가로대(3)의 수평위치에 맞게 벽돌(7)을 순차적으로 쌓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첫번째 열의 벽돌쌓기가 완료되면 벽돌의 첫번째 열의 상부 일측에 수평가로대(3)의 줄눈돌기(30)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벽돌(7)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흙손(5)을 사용하여 일측은 수평가로대(3)의 상부에 위치하고 나먼지 일측은 모르타르(8)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되 가이드돌기(54)가 수평가로대(3)와 인접하여 안내되도록 하는 위치에 있도록 하고 손잡이(56)를 잡고 벽돌(7)의 상부로서 모르타르(8)를 가압하면서 수평 이송시키게 되면 모르타르(8)는 본 체(50)의 하부에 형성된 분산돌기부(52)에 의하여 펼쳐지면서 수평가로대(3)의 수평면으로서 줄눈돌기(30)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도록 고르게 두께를 유지하여 펼쳐지고 남는 모르타르는 외곽에 위치한 분산돌기부(52)가 벽돌(7)로부터 이탈하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흙손의 진행방향으로 분산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위와 같이 벽돌(7) 상부에 모르타르(8)의 고른 두께로 도포 타설작업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높이조절기(4)를 이용하여 수평가로대(3)를 다음의 벽돌 높이에 맞게 조절한 다음 모르타르(8)의 상부에 벽돌(7)을 순차적으로 쌓아 조적시공을 진행하면 된다.
그리하여 모르타르의 고른 두께의 도포 타설작업과 높이조절기(4)에 의한 수평가로대(3)의 높이 조정, 벽돌(7)의 조적시공이 순차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벽돌의 조적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의 기준이 되게 되는 수평가로대(3)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기초가 되는 지지대(1)를 한 쌍으로 양측에 설치하고 각각의 지지대(1,1)엔 설치시 수직으로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대책으로서 수준기(14,14)와 조절용 나사(16)를 마련하여 설치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수평가로대(3)에도 수평 상태로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대책으로서 높이조절기(4)와 수준기(34,34)를 각각 마련하여 수평가로대(3)가 일부분이라도 쳐지지 아니하고 수평상태를 갖도록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수평가로대(3)에 의하여도 숙련공이나 미숙련공에 관계없이 벽돌쌓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필수적인 구성으로서 지지대(1,1), 슬라이드 고정구(2), 수평가로대(3), 높이조절기(4) 및 흙손(5) 각각으로 구성하면서 이들 구성 모두가 전체적으로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경제성이 우수하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벽돌(7)을 쌓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벽돌(7)과 벽돌(7) 사이에 채워지게 되는 모르타르(8)의 시공을 수행하게 되는 기구로서 종래의 흙손과는 달리 시공장치의 수평가로대(3)와 연계하여 별도로 제작된 흙손(5)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모르타르 작업의 정확성과 편리성이 동시에 확보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Claims (4)

  1. 양측에 세워 설치되고 하부엔 수평받침(10)이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대(1,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에 각각 끼워 결합되고 각각 승하강이 가능하며 높낮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고정구(2,2)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 사이로서 수평으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고정구(2,2)에 끼워 결합되는 수평가로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슬라이드 고정구(2,2)의 설치위치로서 수평가로대(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기(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고정구(2)는 지지대(1)에 끼워 결합되는 슬라이드개공(22)과 수평가로대(3)가 끼워 설치되는 결합돌부(24)(26)가 직각으로 각각 마련되어 상기 결합돌부(24)(26)에 수평가로대(3)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가로대(3)는 전면 상부에 줄눈돌기(30)를 구성하여 벽돌(7)의 조적 시공시에 모르타르(8)에 줄눈이 고르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벽돌(7)의 상부 일측에 얹혀진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에는 흙손(5)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절기(4)는 상기 슬라이드 고정구(2)의 일측에 나사구멍(40)을 형성하고 이 나사구멍(40)에 위치고정용 체결구(42)를 나사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시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에 마련된 수평받침(10)이나 상기 수평가로대(3)엔 수준기(14,14)(34,34)를 매립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받침(10)엔 수평조절용 나사(16)를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 나사식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준기(14,14)는 서로 설치방향이 다르게 배치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시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로대(3)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흙손(5)은 본체(50)의 하부 일측으로서 벽돌(7)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분산돌기부(52)를 복수개 마련하고,
    상기 본체(50)의 일측으로서 수평가로대(3)의 후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위에는 가이드돌기(54)를 마련하며,
    상기 본체(50)의 상부에는 손잡이(56)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시공장치.
KR1020060095257A 2006-09-29 2006-09-29 조적용 시공장치 KR10073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57A KR100733731B1 (ko) 2006-09-29 2006-09-29 조적용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57A KR100733731B1 (ko) 2006-09-29 2006-09-29 조적용 시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486U Division KR200434878Y1 (ko) 2006-09-29 2006-09-29 조적용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731B1 true KR100733731B1 (ko) 2007-07-03

Family

ID=3850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257A KR100733731B1 (ko) 2006-09-29 2006-09-29 조적용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73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2938A2 (en) * 2010-05-11 2011-11-17 Reginald Dumas Plumb post apparatus having bipod leg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442762B1 (ko) * 2013-11-15 2014-09-23 배경자 벽돌 조적용 기준틀 및 그 기준틀을 이용한 벽돌 조적방법
KR101719961B1 (ko) 2016-10-24 2017-03-24 박건훈 조적용 시공장치
CN108444440A (zh) * 2018-06-21 2018-08-24 中建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抄平尺
CN110593587A (zh) * 2019-09-23 2019-12-20 杭州自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动化砌墙系统
CN110607914A (zh) * 2019-10-22 2019-12-24 南通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混凝土竖向预制构件定位装置
CN113404305A (zh) * 2021-06-03 2021-09-17 宿迁学院 一种装配式混凝土桁架建筑结构加固设备
CN113605718A (zh) * 2021-08-09 2021-11-05 西藏职业技术学院 一种控制砌体平整度的皮数杆装置
CN113931462A (zh) * 2021-10-26 2022-01-14 强敬辉 一种基于bim的装配式建筑构件
CN115110761A (zh) * 2022-07-05 2022-09-27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防水反坎浇筑加固模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215B1 (ko) * 1983-08-06 1985-08-20 남상욱 벽 돌 조 적 기
JP2003253888A (ja) * 2002-03-06 2003-09-10 Teruo Matsubara 目地載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215B1 (ko) * 1983-08-06 1985-08-20 남상욱 벽 돌 조 적 기
JP2003253888A (ja) * 2002-03-06 2003-09-10 Teruo Matsubara 目地載せ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2938A2 (en) * 2010-05-11 2011-11-17 Reginald Dumas Plumb post apparatus having bipod legs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11142938A3 (en) * 2010-05-11 2012-02-23 Reginald Dumas Plumb post apparatus having bipod leg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442762B1 (ko) * 2013-11-15 2014-09-23 배경자 벽돌 조적용 기준틀 및 그 기준틀을 이용한 벽돌 조적방법
KR101719961B1 (ko) 2016-10-24 2017-03-24 박건훈 조적용 시공장치
CN108444440A (zh) * 2018-06-21 2018-08-24 中建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抄平尺
CN110593587A (zh) * 2019-09-23 2019-12-20 杭州自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动化砌墙系统
CN110607914A (zh) * 2019-10-22 2019-12-24 南通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混凝土竖向预制构件定位装置
CN110607914B (zh) * 2019-10-22 2024-03-26 南通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混凝土竖向预制构件定位装置
CN113404305A (zh) * 2021-06-03 2021-09-17 宿迁学院 一种装配式混凝土桁架建筑结构加固设备
CN113605718A (zh) * 2021-08-09 2021-11-05 西藏职业技术学院 一种控制砌体平整度的皮数杆装置
CN113931462A (zh) * 2021-10-26 2022-01-14 强敬辉 一种基于bim的装配式建筑构件
CN115110761A (zh) * 2022-07-05 2022-09-27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防水反坎浇筑加固模具
CN115110761B (zh) * 2022-07-05 2023-12-19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防水反坎浇筑加固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731B1 (ko) 조적용 시공장치
US9546757B2 (en) Support structure for an article, method of mounting the support structure, and support bracket
US9388590B1 (en) Brick chimney guide
CN108049592B (zh) 地面铺装底座、铺装组件及铺装方法
KR200434878Y1 (ko) 조적용 시공장치
CN108952074B (zh) 一种机房地板结构及其安装方法
US6367227B1 (en) Tile setting rack for fireplace
US9617743B2 (en) Primary and intermediate horizontal leveler
US6857234B2 (en) Masonry control joint guide
GB2391897A (en) Levelling device for multi-sided brick construction, e.g. column
KR20170022733A (ko) 구조체 연결유닛
KR20120010115A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1262814B1 (ko) 창틀의 수평조절용 고정구
CA2903902C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a frame member and installation method
EP1882791A2 (en) Modular panel for creating ventilated facades of building
KR102371297B1 (ko) 자동 수직정렬이 가능한 건설용 폴대 조립체
GB2432670A (en) Levelling apparatus
WO2019150141A2 (en) Device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walling and/or wall-insulation
KR200280824Y1 (ko) 마루바닥 시공장치
US11795683B2 (en) Drop-in ceiling wall system
KR200417985Y1 (ko) 거푸집고정용 받침구
KR200163594Y1 (ko) 문틀고임용고저수평조절장치
RU209343U1 (ru) Кондуктор для монтажа водорозеток
KR10242908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닥재용 멀티 지지대
RU24350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навесных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х панелей для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навесна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для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навесной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панели для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