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961B1 - 조적용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조적용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961B1
KR101719961B1 KR1020160138242A KR20160138242A KR101719961B1 KR 101719961 B1 KR101719961 B1 KR 101719961B1 KR 1020160138242 A KR1020160138242 A KR 1020160138242A KR 20160138242 A KR20160138242 A KR 20160138242A KR 101719961 B1 KR101719961 B1 KR 101719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orizontal crossbar
pair
trowe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훈
Original Assignee
박건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훈 filed Critical 박건훈
Priority to KR1020160138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08Holders for bricklayers' lines, bricklayers' bars; Sloping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41Means for positioning building parts or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용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숙련공이 아닌 경우에도 일정한 모르타르의 두께를 유지하면서 벽돌을 수평으로 정확하게 쌓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적되는 벽돌의 상부와 줄눈돌기가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적되는 벽돌에 형성되는 줄눈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흙손의 이동에 따른 수평가로대에 존재하는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흙손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줄눈돌기가 수평가로대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수평가로대의 높이 조절에 따른 벽돌층 간으로부터 줄눈돌기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적용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적용 시공장치{CONSTRUCTION APPARATUS FOR MASONRY}
본 발명은 조적용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숙련공이 아닌 경우에도 일정한 모르타르의 두께를 유지하면서 벽돌을 수평으로 정확하게 쌓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적되는 벽돌의 상부와 줄눈돌기가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적되는 벽돌에 형성되는 줄눈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흙손의 이동에 따른 수평가로대에 존재하는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흙손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줄눈돌기가 수평가로대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수평가로대의 높이 조절에 따른 벽돌층 간으로부터 줄눈돌기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적용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組積)은 어떤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벽돌 등을 쌓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조적을 위한 작업은 숙련공에 의하여 작업이 이루어져 왔으며 미숙련공 내지 초심자, 일반인의 경우에는 작업이 불가능할 정도로 많은 기술을 요한다.
숙련공의 경우에도 쌓는 벽돌의 수평 및 수직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하여 양측에 수평실을 설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시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그 작업효율이 낮다.
더욱이, 벽돌과 벽돌 사이에 모르타르를 바르는 줄눈작업의 경우에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작업자마다 고른 품질을 유지할 수 없어 품질관리에도 바람직하지 아니하고 작업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3731호(2007.07.03.)에는 '조적용 시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적용 시공장치는 수평가로대의 높이 조절에 따라 줄눈돌기를 조적되는 벽돌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접하도록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줄눈돌기가 수평가로대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조적되는 벽돌의 벽돌층 간으로부터 분리가 쉽지 않은 것은 물론, 이에 따라 수평가로대의 높이 조절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3731호(2007.07.03.) '조적용 시공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숙련공이 아닌 경우에도 일정한 모르타르의 두께를 유지하면서 벽돌을 수평으로 정확하게 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적용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적되는 벽돌의 상부와 줄눈돌기가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적되는 벽돌에 형성되는 줄눈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흙손의 이동에 따른 수평가로대에 존재하는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흙손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적용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줄눈돌기가 수평가로대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수평가로대의 높이 조절에 따른 벽돌층 간으로부터 줄눈돌기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적용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에 세워 설치되고 하부에 수평받침이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각각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고정구;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고정구에 결합되며, 후면에 줄눈돌기가 구비되는 수평가로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고정구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고정구를 상기 수평가로대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하여 상기 수평가로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 및 상기 수평가로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송에 따라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타설되는 모르타르를 고르게 펴는 흙손을 포함하는 조적용 시공장치로써, 상기 높이조절기의 결속해제에 따라 상기 수평가로대를 하방향으로 당겨 상기 줄눈돌기가 조적되는 벽돌의 상부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기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부; 및 상기 흙손이 상기 수평가로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가로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흙손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전,후면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각 지지대의 내측에 수용되는 가이드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이드고정구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평가로대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승,하강하는 한 쌍의 가압바를 포함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가압부재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가압바가 상기 슬라이드고정구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시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흙손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가로대에 접하는 제거판; 및 상기 제거판의 일단부 상측에 구비되는 중량추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판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상기 중량추는, 전,후단부가 상기 수평가로대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이물질이 상기 흙손의 표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하중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제거판의 타단부가 상기 수평가로대에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줄눈돌기가 상기 수평가로대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가로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평가로대는, 후면에 상기 줄눈돌기가 인입,인출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일단부가 상기 줄눈돌기의 전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가로대의 전면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바; 및 상기 수평가로대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조절바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바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줄눈돌기가 상기 수평가로대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가로대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숙련공이 아닌 경우에도 일정한 모르타르의 두께를 유지하면서 벽돌을 수평으로 정확하게 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조적되는 벽돌의 상부와 줄눈돌기가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음으로써 조적되는 벽돌에 형성되는 줄눈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수평가로대에 존재하는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흙손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줄눈돌기가 수평가로대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음으로써 수평가로대의 높이 조절에 따른 벽돌층 간으로부터 줄눈돌기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용 시공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용 시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용 시공장치에서 지지대와 수평가로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용 시공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 가압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가압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용 시공장치에서 가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용 시공장치에서 수평가로대에 조절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서 흙손에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수평가로대에 흙손이 결합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733731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733731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733731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줄눈돌기가 조적되는 벽돌의 상부에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733731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적용 시공장치는 양측에 세워 설치되고 하부에 수평받침(10)이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대(1), 상기 한 쌍의 지지대(1)에 각각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고정구(2)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1)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고정구(2)에 결합되는 수평가로대(3)를 포함한다.
상기 조적용 시공장치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고정구(2)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고정구(2)를 상기 수평가로대(3)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하여 상기 수평가로대(3)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기(4)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고정구(2)는 일측에 상기 체결구(42)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구멍(4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42)는 가압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구멍(40)을 통해 상기 지지대(1)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지지대(1)를 가압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고정구(2)가 상기 지지대(1)에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체결구(42)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대(1)와 이격되면서 상기 슬라이드고정구(2)가 상기 지지대(1)를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수평가로대(3)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조적용 시공장치는 상기 체결구(42)의 조절에 따라 상기 수평가로대(3)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고정구(2)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지지대(1)에 끼워 결합되는 슬라이드공(22)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고정구(2)는 상기 수평가로대(3)가 끼워지는 제1,2결합돌부(24,26)가 직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돌부(24) 또는 상기 제2결합돌부(26)에 상기 수평가로대(3)가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가로대(3)는 후면에 줄눈돌기(30)가 구비되고,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흙손(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줄눈돌기(30)는 벽돌(7)의 조적 시공시에 모르타르(B)에 줄눈이 고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벽돌(7)의 상부 전면부에 얹혀진 상태로 위치하면서 상기 흙손(5)을 가압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수평가로대(3)가 휘어지거나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평받침(10)이나 상기 수평가로대(3)에는 제1,2수준기(14,3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준기(14)는 상기 수평받침(10)의 수평상태 확인을 통해 상기 지지대(1)가 수직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수준기(34)는 상기 수평가로대(30)가 수평을 이루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드고정구(2)의 높낮이가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받침(10)는 모서리부에 회전에 따라 상하이동되면서 수평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조절용 나사(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용 나사(16)는 상기 지지대(1)가 설치되는 기초바닥(A)이 고르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수준기(14)를 보면서 상기 수평받침(10)의 수평 상태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흙손(5)은 상기 수평가로대(3)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50), 상기 플레이트(50)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벽돌(7)의 상부에 접하는 복수의 분산돌기(52) 및 상기 플레이트(50)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56)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50)는 하부에 상기 수평가로대(3)의 전,후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4)가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가로대(3)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적용 시공장치를 이용한 조적 시공을 설명하면, 첫 번째 열의 벽돌 쌓기가 완료된 상태로부터 벽돌(7)의 첫 번째 열의 상부 일측에 상기 줄눈돌기(30)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벽돌(7)의 상부에 모르타르(B)를 타설하고 상기 흙손(5)을 이용하여 모르타르(B)를 가압하며 이송시킨다.
모르타르(B)는 상기 분산돌기(52)에 의해 벽돌(7)로부터 이탈하여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면서 상기 흙손(5)의 진행방향으로 분산 이동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줄눈돌기(30)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며 고르게 펼쳐질 수 있다.
벽돌(7)의 상부에 모르타르(B)의 도포 타설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높이조절기(4)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가로대(3)를 다음 벽돌 높이에 맞게 조절한 다음 모르타르(B)의 상부에 벽돌(7)을 순차적으로 쌓아 조적 시공을 진행한다.
이로 인해, 상기 조적용 시공장치는 모르타르(B)의 고른 두께의 도포 타설작업과 함께 상기 수평가로대(3)의 높이조절에 의한 벽돌(7)의 조적 시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도록 함으로써 벽돌의 조적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기(4)의 결속해제에 따라 상기 수평가로대(3)를 하방향으로 당겨 상기 줄눈돌기(30)가 조적되는 벽돌(7)의 상부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기(4)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부(6)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여기서, 조적되는 벽돌은 벽돌이 병렬로 배치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이 쌓여 이루어진 구조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1)는 전,후면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6)는 상기 각 지지대(1)의 내측에 수용되는 가이드부재(61)와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6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공(11)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이드고정구(2)의 상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바(62)를 포함하는 가압부재(60) 및 상기 지지대(1)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가압부재(60)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6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61)는 상기 수평가로대(3)의 내측 둘레와 동일한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지지대(1)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가 가압수단(63)은 상기 높이조절기(4)가 결속해제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고정구(2)가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평가로대(3)가 하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줄눈돌기(30)가 조적되는 벽돌(7)의 상부에 접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수단(6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60)의 하부에 연결되며,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60)를 하방향으로 당기는 무게추(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게추(64)는 상기 가압부재(60)에 직접 연결되거나, 연결줄 등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6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압수단(6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지지대(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압부재(60)의 하부에 연결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60)를 하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6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압바(62)는 상기 가이드부재(6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부재(61)는 상기 수평가로대(3)의 내측 둘레와 동일한 둘레를 가지며 전,후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공(61a)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압바(62)는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체결공(61a)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압바(62)는 각각 외측 둘레에 완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각 슬라이드고정구(2)는 상기 가압바(62)와 접하는 위치에 완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압바(62)의 가압에 의한 상기 슬라이드고정구(2)의 마모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상기 조적용 시공장치는 상기 높이조절기(4)가 결속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가로대(3)의 높이 조절 후 인위적으로 상기 수평가로대(3)를 가압하면서 상기 높이조절기(4)를 결속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결속된 상기 높이조절기(4)가 불완전 결속으로 인해 결속해제되는 경우에도 상기 수평가로대(3)가 상기 가압부(6)에 의해 하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조적되는 벽돌(7)의 상부와 상기 줄눈돌기(30) 간의 접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적용 시공장치는 상기 줄눈돌기(30)가 상기 수평가로대(3)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가로대(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조절부(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가로대(3)는 후면에 상기 줄눈돌기(30)가 인입,인출되는 출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8)는 상기 수평가로대(3)의 길이에 따라 단수 또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8)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정도로 이격되면서 상기 수평가로대(3)의 중앙부 양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8)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줄눈돌기(30)의 전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가로대(3)의 전면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바(80) 및 상기 수평가로대(3)의 전면에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조절바(80)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바(8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줄눈돌기(30)가 상기 수평가로대(3)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가로대(3)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조절레버(81)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바(70)는 전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수평가로대(3)와 접하면서 상기 줄눈돌기(30)의 인출이 정지되도록 하는 플랜지(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8)는 상기 조절레버(7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줄눈돌기(30)가 상기 수평가로대(3)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되는 벽돌(7)의 벽돌층 간에 위치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수평가로대(3)의 승강 즉, 높이 조절 방해를 방지한다.
상기 줄눈돌기(30)는 상기 수평가로대(3)의 높이 조절된 후, 상기 조절레버(8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가로대(3)로부터 돌출되면서 조적되는 벽돌(7)의 상부 전면부에 얹혀진다.
상기 조절부(8)는 상기 줄눈돌기(30)가 상기 수평가로대(3)로 인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가로대(3)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수평가로대(3)의 높이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적용 시공장치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흙손(5)이 상기 수평가로대(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가로대(3)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흙손(5)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물질제거수단(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수단(9)은 일단부가 상기 흙손(5)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가로대(3)에 접하는 제거판(90)을 포함하다.
상기 제거판(90)은 일단부로부터 탄단부로 하향 경사를 이루며, 상기 흙손(5)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수평가로대(3)의 상부에 존재하는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이 떨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거판(90)은 상기 흙손(5)의 이송방향인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타단부 상측에 중량추(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거판(90)은 상기 흙손(5)과 함께 진행됨에 따라 상기 수평가로대(3)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에 의해 타단부가 상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중량추(91)는 상기 흙손(5)의 진행에 방해되지 않는 정도의 무게를 가지면서 상기 제거판(90)의 타단부가 상기 수평가로대(3)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량추(91)는 전,후단부가 상기 수평가로대(3)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이물질이 상기 흙손(5)의 표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하중에 의해 상기 제거판(90)의 타단부가 상기 수평가로대(3)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거판(90)은 상기 흙손(5)의 진행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수평가로대(3)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용 시공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지지대 2 : 슬라이드고정구
3 : 수평가로대 4 : 높이조절기
5 : 흙손 6 : 가압부
7 : 벽돌 8 : 조절부
9 : 이물질제거수단 11 : 가이드공
30 : 줄눈돌기 31 : 출입구
60 : 가압부재 61 : 가이드부재
61a : 체결공 62 : 가압바
63 : 가압수단 64 : 무게추
65 : 스프링 80 : 조절바
81 : 조절레버 82 : 플랜지
90 : 제거판 91 : 중량추

Claims (4)

  1. 양측에 세워 설치되고 하부에 수평받침이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각각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고정구;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고정구에 결합되며, 후면에 줄눈돌기가 구비되는 수평가로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고정구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고정구를 상기 수평가로대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하여 상기 수평가로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 및
    상기 수평가로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송에 따라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타설되는 모르타르를 고르게 펴는 흙손을 포함하는 조적용 시공장치로써,
    상기 높이조절기의 결속해제에 따라 상기 수평가로대를 하방향으로 당겨 상기 줄눈돌기가 조적되는 벽돌의 상부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기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부; 및
    상기 흙손이 상기 수평가로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가로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흙손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전,후면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각 지지대의 내측에 수용되는 가이드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이드고정구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평가로대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승,하강하는 한 쌍의 가압바를 포함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가압부재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가압바가 상기 슬라이드고정구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흙손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가로대에 접하는 제거판; 및
    상기 제거판의 일단부 상측에 구비되는 중량추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판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상기 중량추는,
    전,후단부가 상기 수평가로대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이물질이 상기 흙손의 표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하중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제거판의 타단부가 상기 수평가로대에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시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줄눈돌기가 상기 수평가로대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가로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시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로대는,
    후면에 상기 줄눈돌기가 인입,인출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일단부가 상기 줄눈돌기의 전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가로대의 전면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바; 및
    상기 수평가로대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조절바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바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줄눈돌기가 상기 수평가로대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가로대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시공장치.
KR1020160138242A 2016-10-24 2016-10-24 조적용 시공장치 KR101719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42A KR101719961B1 (ko) 2016-10-24 2016-10-24 조적용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42A KR101719961B1 (ko) 2016-10-24 2016-10-24 조적용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961B1 true KR101719961B1 (ko) 2017-03-24

Family

ID=5850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242A KR101719961B1 (ko) 2016-10-24 2016-10-24 조적용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9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8239A (zh) * 2022-04-01 2022-06-24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墙体砌筑质量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450445A (zh) * 2022-10-18 2022-12-09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一种提高砌筑垂直度的定位装置
CN116290847A (zh) * 2023-04-17 2023-06-23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Pc构件定位挡板
KR102629882B1 (ko) * 2023-05-10 2024-01-29 김황래 조적수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731B1 (ko) 2006-09-29 2007-07-03 박상수 조적용 시공장치
KR101335062B1 (ko) * 2013-02-19 2013-12-03 이원계 줄눈 마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731B1 (ko) 2006-09-29 2007-07-03 박상수 조적용 시공장치
KR101335062B1 (ko) * 2013-02-19 2013-12-03 이원계 줄눈 마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8239A (zh) * 2022-04-01 2022-06-24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墙体砌筑质量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450445A (zh) * 2022-10-18 2022-12-09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一种提高砌筑垂直度的定位装置
CN115450445B (zh) * 2022-10-18 2023-09-01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一种提高砌筑垂直度的定位装置
CN116290847A (zh) * 2023-04-17 2023-06-23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Pc构件定位挡板
KR102629882B1 (ko) * 2023-05-10 2024-01-29 김황래 조적수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961B1 (ko) 조적용 시공장치
JP6162790B2 (ja) タイルを整列およびレベリングする装置
US7954300B1 (en) Tile alignment and leveling device
US7621100B2 (en) Tile alignment and level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643551B1 (ko) 건축물의 벽면 자동 미장기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미장 방법
US11384546B2 (en) Formwork with height adjustable support for forming concrete surfaces that transition between upward sloping and downward sloping
US20140325935A1 (en) Tool-less swing arm mechanical edge setting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iles and tuning lippage
KR101128321B1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 공사용 파이프 서포트
KR101574329B1 (ko) 타일시공용 모르타르 도포장치
CA2940051A1 (en) An adapter for a formwork support structure
EP1856348B1 (en) Tile alignment and level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8418354B2 (en) Apparatus for frame fabrication
US4772058A (en) Carpet cleat
CN115822281A (zh) 一种建筑隔墙建造施工装置及施工方法
JPH0455276A (ja) エレベータ塔内機器据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0422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fer of building materials
CN207211750U (zh) 建筑模板支撑连接装置
JPH0631715A (ja) 板状表面仕上材張り付け施工装置
KR20210028481A (ko) 고층비계용 안전로프 설치기구
KR102318657B1 (ko) 오에이치티의 호이스트 벨트 길이조절장치
CN111550064B (zh) 一种房屋承重结构节点对接设备
CN113494173B (zh) 找平机器人控制方法及找平机器人
DE102021124289A1 (de) VERFAHREN UND DAZUGEHÖRIGE VORRICHTUNG ZUM GLEICHMÄßIGEN AUFTRAG VON KLEBER ODER ÄHNLICHER MATERIALIEN
JPH0336365A (ja) 建築物の外装施工方法
JP6824525B2 (ja) 壁面収納舞台の収納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