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731B1 -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731B1
KR101856731B1 KR1020170112127A KR20170112127A KR101856731B1 KR 101856731 B1 KR101856731 B1 KR 101856731B1 KR 1020170112127 A KR1020170112127 A KR 1020170112127A KR 20170112127 A KR20170112127 A KR 20170112127A KR 101856731 B1 KR101856731 B1 KR 101856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ase plate
guide groove
head por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영
Priority to KR1020170112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턱의 규격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콘크리트의 경화 후 거푸집의 해체가 매우 용이한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브 거푸집의 상방에 설치되는 방수턱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인입홈들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 1헤드부가 형성된 지주와, 지주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 거푸집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받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브 거푸집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브 거푸집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와, 지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헤드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유닛과, 제 1헤드부 및 상기 높이조절유닛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헤드부 또는 상기 높이조절유닛을 상기 방수턱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쐐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concrete mold of water proof sill}
본 발명은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턱의 규격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콘크리트의 경화 후 거푸집의 해체가 매우 용이한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시에는 다양한 형태의 방수턱을 형성하게 되는데 방수턱은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함께 타설되어지며, 이때 방수턱은 슬래브 콘크리트보다 훨씬 높게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방수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이 설치되어야 한다.
방수턱 거푸집은 욕실 및 베란다 등에서 실내로의 누수 방지를 위하여 형성하게 되는 방수턱 가설용 건축자재이다.
방수턱은 이렇게 물기가 많은 욕실이나 베란다 등으로부터 실내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브 바닥면보다 높게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방수턱 거푸집은 지지장치에 고정되어 슬라브 거푸집의 위에 설치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4442호에는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는 방수턱 거푸집을 커팅부가 관통하여 간단히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면서 고정핀이 결합된 커팅부를 간단히 절단되게 함으로써 방수턱 거푸집을 고정 및 해체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상기 고정구는 콘크리트의 경화 후 거푸집을 해체하기 위해서 커팅부를 절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높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방수턱의 규격(높이)에 따라서 높이가 서로 다른 고정구를 각각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4442호: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방수턱의 규격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콘크리트의 경화 후 거푸집의 해체가 매우 용이한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라브 거푸집의 상방에 설치되는 방수턱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인입홈들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 1헤드부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 거푸집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브 거푸집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브 거푸집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와; 상기 지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헤드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유닛과; 상기 제 1헤드부 및 상기 높이조절유닛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헤드부 또는 상기 높이조절유닛을 상기 방수턱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쐐기부;를 구비한다.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제 1헤드부가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본체와, 상기 결합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쐐기부가 결합되는 제 2헤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헤드부는 상기 지주의 상면에 형성된 제 1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 1베이스플레이트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1구획부와, 상기 제 1구획부의 상부에서 각각 좌우 양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본체에 마련된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 1결합윙을 구비한다.
상기 제 1결합윙은 상하 방향으로 굴곡지게 이루어져 하방으로 오목한 골부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본체는 상기 제 1결합윙이 상기 삽입슬롯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제 1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 1결합윙 사이에 형성된 제 1가이드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상기 삽입슬롯의 하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한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 1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본체가 상기 제 1헤드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 1구획부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상기 결합돌기에 형성된다.
상기 제 2헤드부는 상기 결합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제 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 2베이스플레이트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2구획부와, 상기 제 2구획부의 상부에서 각각 좌우 양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2결합윙을 구비한다.
상기 쐐기부는 상기 제 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 2결합윙 사이에 형성된 제 2가이드홈 또는 상기 제 1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주하여 나란하게 형성되며 전단이 뾰족한 한쌍의 포크부들과, 상기 포크부들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포크부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곡면연결부와, 상기 포크부들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포크부들이 상기 제 1가이드홈 또는 상기 제 2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구획부 또는 상기 제 2구획부에 걸리는 고정턱과, 상기 포크부들의 외측에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의 상부에 높이조절유닛을 하나 이상 결합시켜 지주의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경화 후 쐐기부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방수턱 거푸집을 해체할 수 있으므로 해체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빠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적용된 쐐기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사용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사용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사용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의 사용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는 슬라브 거푸집(5)의 상방에 설치되는 방수턱 거푸집(1)을 지지한다.
도시된 본 발명은 다수의 인입홈들(15)이 형성되며 상부에 제 1헤드부(40)가 형성된 지주(10)와, 지주(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슬라브 거푸집(5)에 안착되는 받침부(20)와, 받침부(20)에 결합되는 고정구(30)와, 지주(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헤드부(40)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유닛(50)과, 제 1헤드부(40) 및 높이조절유닛(5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쐐기부(70)를 구비한다.
지주(10)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다. 지주(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어 안정된 구조를 갖는다. 지주(10)에는 다수의 인입홈들(15)이 형성된다. 인입홈들(15)은 사각 형상으로 지주(10)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인입홈들(15)에 의해 지주(10)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받침부(20)는 지주(10)의 하부에 형성된다. 받침부(20)의 하부에는 네 개의 다리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받침부(20)는 슬라브 거푸집(5) 위에 안착된다.
받침부(20)에는 다수의 나사삽입홀(25)이 형성된다. 나사삽입홀(25)에 나사를 삽입하여 슬라브 거푸집(5)에 나사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받침부(20)를 슬라브 거푸집(5)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받침부(20)의 저면 중앙에는 고정구(30)가 결합되는 원통형의 보스(27)가 형성된다. 보스(27)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정구(30)는 받침부(20)의 보스(27)에 결합된다. 고정구(30)는 슬라브 거푸집(5)을 관통하여 슬라브 거푸집(5)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구(30)는 보스(27)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삽입바디(31)와, 삽입바디(31)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부(33)로 이루어진다.
삽입바디(31)는 보스(27)에 삽입되어 고정구(30)와 결합된다. 삽입바디(31)에는 사각의 관통홀이 다수 형성된다.
관통부(33)는 하부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관통부(33)에는 상하로 길게 3개의 장공홀(35)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는 슬라브 거푸집에 형성한 구멍에 관통부(33)를 통과시 압착변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슬라브 거푸집(5)에는 관통부(33)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게 구멍을 형성한 후, 구멍에 관통부(33)를 강제로 밀어 넣는 방법으로 고정부를 슬라브 거푸집에 고정시킨다.
관통부(33)와 삽입바디(31) 사이에는 직경이 작게 형성된 걸림부(37)가 마련된다.
상술한 받침부(20)와 고정구(30)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현장 상황에 따라 고정구(30)를 받침부(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구(30)를 슬라브 거푸집에 고정시키거나, 고정구(30)를 받침부(20)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받침부(20)의 나사삽입홀(25)에 나사를 삽입시킨 다음 나사를 이용하여 받침부(20)를 슬라브 거푸집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헤드부(40)는 지주(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 1헤드부(40)는 높이조절유닛(50) 또는 쐐기부(70)와 결합된다.
도시된 제 1헤드부(40)는 지주(10)의 상면에 형성된 제 1베이스플레이트(41)와, 제 1베이스플레이트(41)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1구획부(43)와, 제 1구획부(43)의 상부에서 각각 좌우 양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결합윙(45)을 구비한다.
제 1베이스플레이트(4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베이스플레이트(41)는 지주(10)의 최상부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제 1베이스플레이트(41)는 지주(10)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제 1베이스플레이트(41)의 직경은 후술할 방수턱 거푸집(1)의 체결브라켓트(3)에 형성된 관통홀(4)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제 1구획부(43)는 제 1베이스플레이트(41)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 1구획부(43)는 제 1베이스플레이트(41)의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제 1결합윙(45)은 제 1구획부(43)의 상부에서 각각 좌우 양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 1결합윙(45)은 후술할 높이조절유닛(50)의 결합본체(51)에 마련된 삽입슬롯(53)에 삽입된다.
제 1결합윙(45)은 상하 방향으로 굴곡지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1결합윙(45)의 구조에 의해 한쌍의 제 1결합윙들(45) 사이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골부(47)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베이스플레이트(41)와 제 1결합윙(45) 사이에 제 1가이드홈(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가이드홈(42)은 제 1구획부(43)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높이조절유닛(50)은 지주(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헤드부(4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높이조절유닛(50)은 제 1헤드부(40)가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본체(51)와, 결합본체(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쐐기부(70)가 결합되는 제 2헤드부(60)를 구비한다.
결합본체(51)는 팔각형의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합본체(51)의 상부는 막혀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면, 내부는 비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결합본체(51)의 일측, 즉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결합본체(51)의 내부에는 제 1결합윙(45)이 삽입되는 삽입슬롯(53)이 마련된다. 그리고 삽입슬롯(53)의 하부에는 결합돌기(55)가 형성된다. 결합돌기(55)는 서로 마주하도록 한쌍으로 형성된다. 결합돌기들(55)의 이격거리는 제 1구획부(43)의 좌우 폭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크다.
결합본체(51)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제 1헤드부(40)가 결합본체(51)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된다. 이때 제 1결합윙(45)은 삽입슬롯(53)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결합돌기(55)는 제 1가이드홈(42)을 따라 삽입된다. 따라서 제 1구획부(43)는 결합돌기들(55) 사이에 낀다.
결합본체(51)의 내부로 제 1헤드부(40)가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본체(51)와 제 1헤드부(40)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55)에는 걸림턱(57)이 형성된다. 결합본체(51)의 내부로 제 1헤드부(40)가 완전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턱(57)은 제 1구획부(43)의 단부에 걸린다.
제 2헤드부(60)는 결합본체(51)의 상면에 형성된 제 2베이스플레이트(61)와, 제 2베이스플레이트(61)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2구획부(63)와, 제 2구획부(63)의 상부에서 각각 좌우 양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2결합윙(65)을 구비한다.
제 2베이스플레이트(6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2베이스플레이트(61)는 결합본체(51)의 상면보다 더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제 2베이스플레이트(61)는 결합본체(51)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제 2베이스플레이트(61)의 직경은 후술할 방수턱 거푸집(1)의 체결브라켓트(3)에 형성된 관통홀(4)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제 2구획부(63)는 제 2베이스플레이트(61)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 2구획부(63)는 제 2베이스플레이트(61)의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제 2결합윙(65)은 제 1구획부(63)의 상부에서 각각 좌우 양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 2결합윙(65)은 상하 방향으로 굴곡지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결합윙(65)의 구조에 의해 한쌍의 제 2결합윙들(65) 사이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골부(67)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베이스플레이트(61)와 제 2결합윙(65) 사이에 제 1가이드홈(6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2가이드홈(62)은 제 1구획부(63)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높이조절유닛(50)을 제 1헤드부(40)에 결합시킬 경우 결합본체(51)의 높이만큼 지주(10)의 높이를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는 높이조절유닛(50) 하나가 제 1헤드부(40)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높이조절유닛(50)을 상하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높이조절유닛(50)의 갯수에 따라 지주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쐐기부(70)는 제 1헤드부(40) 및 높이조절유닛(5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 1헤드부(40) 또는 높이조절유닛(50)을 방수턱 거푸집(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높이조절유닛(5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쐐기부(70)는 제 1헤드부(40)에 결합된다. 그리고 지주의 높이를 더 높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높이조절유닛(50)을 제 1헤드부(4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쐐기부(70)는 제 2헤드부(60)에 결합된다.
쐐기부(70)는 제 2가이드홈(62) 또는 제 1가이드홈(4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주하여 나란하게 형성되며 전단이 뾰족한 한쌍의 포크부들(71)과, 포크부들(71)의 후단에 형성되어 포크부들(71)을 상호 연결시키는 곡면연결부(73)와, 포크부들(71)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포크부들(71)이 제 1가이드홈(42) 또는 제 2가이드홈(6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 1구획부(43) 또는 제 2구획부(63)에 걸리는 고정턱(75)과, 포크부들(71)의 외측에 형성되는 스커트부(77)를 구비한다.
포크부(71)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포크부(71)의 전단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제 1 또는 제 2가이드홈(42)(62)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고정턱(75)은 포크부(71)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쐐기부(70)를 제 1헤드부(40)에 결합시, 포크부(71)가 제 1가이드홈(42)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된다. 포크부(71)가 제 1가이드홈(42)으로 완전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턱(75)은 제 1구획부(43)의 단부에 걸려 쐐기부(70)가 제 1헤드부(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그리고 쐐기부(70)를 제 2헤드부(60)에 결합시에는, 포크부(71)가 제 2가이드홈(62)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된다. 포크부(71)가 제 2가이드홈(62)으로 완전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턱(75)은 제 2구획부(63)의 단부에 걸려 쐐기부(70)가 제 2헤드부(6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스커트부(77)는 포크부들(71)의 외측에서 바깥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커트부(77)는 제 1 또는 제 2헤드부(40)(60)에 결합되는 방수턱 거푸집(1)의 체결브라켓트(3)를 위에서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고정구(30)를 받침부(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구(30)를 슬라브 거푸집(5)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한다. 고정구(30)의 관통부(35)가 압착되면서 슬라브 거푸집의 구멍을 통과하게 되고, 걸림부(37)가 구멍에 걸리면서 고정구(30)가 슬라브 거푸집(5)에 고정된다.
고정구(30)를 슬라브 거푸집(5)에 고정시킨 다음 높이조절유닛(50)을 제 1헤드부(40)에 결합시킨 후 방수턱 거푸집(1)의 체결브라켓트(3)를 제 2헤드부(60)에 결합시킨다. 체결브라켓트(3)에는 원형의 관통홀(4)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브라켓트의 관통홀(4)에 제 2헤드부(60)를 삽입시키면 체결브라켓트(3)의 하부는 결합본체(51)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쐐기부(70)의 포크부(71)를 제 2가이드홈(62)으로 밀어넣게 되면 쐐기부(70)가 제 2헤드부(60)에 결합되면서 스커트부(77)가 체결브라켓트(3)의 상부에 접촉되어 체결브라켓트(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방수턱 거푸집(1)의 체결브라켓트(3)에 본 발명의 지지장치를 모두 설치하여 방수턱 거푸집(1)을 고정시킨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후 경화시킨다.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제 2헤드부(60)와 쐐기부(70)를 제외하고는 콘크리트층에 매립된다. 콘크리트의 경화 후 방수턱 거푸집(1)을 해체하기 위해서 쐐기부(70)를 제 2헤드부(60)의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한쌍의 포크부(71)가 벌어지면서 쐐기부(70)가 제 2헤드부(6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용이하게 방수턱 거푸집을 해체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유닛을 생략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방수턱 거푸집(1)의 체결브라켓트(3)를 제 1헤드부(40)에 결합시킨다. 체결브라켓트(3)의 관통홀(4)에 제 1헤드부(40)를 삽입시키면 체결브라켓트(3)의 하부는 지주(10)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쐐기부(70)의 포크부(71)를 제 1가이드홈(42)으로 밀어넣게 되면 쐐기부(70)가 제 1헤드부(40)에 결합되면서 스커트부(77)가 체결브라켓트(3)의 상부에 접촉되어 체결브라켓트(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높이조절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하부에 위치하는 높이조절유닛을 하부 높이조절유닛(50)이라 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높이조절유닛을 상부 높이조절유닛(80)이라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하부 높이조절유닛(50)을 제 1헤드부(4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하부 높이조절유닛(50)의 제 2헤드부(60)에 상부 높이조절유닛(8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방수턱 거푸집(1)의 체결브라켓트(3)를 상부 높이조절유닛의 제 2헤드부(90)에 결합시킨다. 체결브라켓트(3)의 관통홀(4)에 상부 높이조절유닛의 제 2헤드부(90)를 삽입시키면 체결브라켓트(3)의 하부는 상부 높이조절유닛의 결합본체(81) 상면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쐐기부(70)의 포크부(71)를 상부 높이조절유닛(80)의 제 2가이드홈(92)으로 밀어넣게 되면 쐐기부(70)가 상부 높이조절유닛의 제 2헤드부(90)에 결합되면서 스커트부(77)가 체결브라켓트(3)의 상부에 접촉되어 체결브라켓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지주 20: 받침부
30: 고정구 40: 제 1헤드부
50: 높이조절유닛 51: 결합본체
60: 제 2헤드부 70: 쐐기부
71: 포크부

Claims (8)

  1. 슬라브 거푸집의 상방에 설치되는 방수턱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인입홈들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 1헤드부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 거푸집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브 거푸집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브 거푸집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와;
    상기 지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헤드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유닛과;
    상기 제 1헤드부 및 상기 높이조절유닛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헤드부 또는 상기 높이조절유닛을 상기 방수턱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쐐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제 1헤드부가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본체와, 상기 결합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쐐기부가 결합되는 제 2헤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헤드부는 상기 지주의 상면에 형성된 제 1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 1베이스플레이트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1구획부와, 상기 제 1구획부의 상부에서 각각 좌우 양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본체에 마련된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 1결합윙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본체는 상기 제 1결합윙이 상기 삽입슬롯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제 1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 1결합윙 사이에 형성된 제 1가이드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상기 삽입슬롯의 하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헤드부는 상기 결합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제 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 2베이스플레이트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2구획부와, 상기 제 2구획부의 상부에서 각각 좌우 양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2결합윙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윙은 상하 방향으로 굴곡지게 이루어져 하방으로 오목한 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 1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본체가 상기 제 1헤드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 1구획부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상기 결합돌기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는 상기 제 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 2결합윙 사이에 형성된 제 2가이드홈 또는 상기 제 1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주하여 나란하게 형성되며 전단이 뾰족한 한쌍의 포크부들과, 상기 포크부들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포크부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곡면연결부와, 상기 포크부들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포크부들이 상기 제 1가이드홈 또는 상기 제 2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구획부 또는 상기 제 2구획부에 걸리는 고정턱과, 상기 포크부들의 외측에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KR1020170112127A 2017-09-01 2017-09-01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KR101856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127A KR101856731B1 (ko) 2017-09-01 2017-09-01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127A KR101856731B1 (ko) 2017-09-01 2017-09-01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731B1 true KR101856731B1 (ko) 2018-05-11

Family

ID=6218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127A KR101856731B1 (ko) 2017-09-01 2017-09-01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7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14U (ko) * 2019-05-24 2020-12-02 (주)상우정공 거푸집 지지 장치
KR20230136400A (ko) 2022-03-18 2023-09-26 박영국 방수턱 거푸집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592A (ja) * 1999-10-19 2001-04-24 Sanwa Kensetsu:Kk スラブ用埋込材の取付具
KR101446124B1 (ko) * 2013-08-13 2014-10-06 정옥순 높이조절형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564442B1 (ko) * 2015-03-27 2015-10-29 (주)장원피앤에이치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592A (ja) * 1999-10-19 2001-04-24 Sanwa Kensetsu:Kk スラブ用埋込材の取付具
KR101446124B1 (ko) * 2013-08-13 2014-10-06 정옥순 높이조절형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564442B1 (ko) * 2015-03-27 2015-10-29 (주)장원피앤에이치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14U (ko) * 2019-05-24 2020-12-02 (주)상우정공 거푸집 지지 장치
KR200492861Y1 (ko) * 2019-05-24 2020-12-23 (주)상우정공 거푸집 지지 장치
KR20230136400A (ko) 2022-03-18 2023-09-26 박영국 방수턱 거푸집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46894B (en) Desk system
KR101856731B1 (ko)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KR101671423B1 (ko)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RU200713522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верки и ниве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плиток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023165B1 (ko) 콘크리트벽체용 거푸집 체결구
TW201529943A (zh) 活動高架地板
KR20120010115A (ko) 마루널 고정장치
TWI663314B (zh) 磁磚固定器
AU2018264154A1 (en) Assembly for clamping formwork
KR102041361B1 (ko) 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KR102041380B1 (ko) 자석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KR20160106879A (ko)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형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KR20180057380A (ko) 거푸집용 연결지지장치
KR101863137B1 (ko)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KR101752828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전기케이블 트레이 고정대
KR10173129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형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KR101702816B1 (ko) 핸드레일 고정부재
KR20200028703A (ko) 다웰바 스틸폼
KR20170124311A (ko)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KR200491869Y1 (ko) 고정력 강화 배너 스탠드
KR200349993Y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KR20150044868A (ko) 마루널 고정장치
KR200407169Y1 (ko) 파이프 고정용 지지구
KR101770106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