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137B1 -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 Google Patents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137B1
KR101863137B1 KR1020170156929A KR20170156929A KR101863137B1 KR 101863137 B1 KR101863137 B1 KR 101863137B1 KR 1020170156929 A KR1020170156929 A KR 1020170156929A KR 20170156929 A KR20170156929 A KR 20170156929A KR 101863137 B1 KR101863137 B1 KR 10186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handrail
base
support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딕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딕누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딕누리
Priority to KR102017015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난간지주; 상기 난간지주가 삽입되며 하부 중앙에 제1 고정홀이 형성된 제1 난간지주브라켓; 상기 제1 난간지주브라켓에 삽입되며 내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2개의 쐐기지지판 및 상기 쐐기지지판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되는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지주; 상기 난간지주가 삽입되며 하부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된 제2 난간지주브라켓 및 상기 제2 난간지주브라켓 하부 양측에 형성된 2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 통과하는 삽입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난간지주브라켓이 지면에 고정되는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Base for handrail support}
본 발명은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배수 및 통풍이 가능한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는 다리, 계단 등의 외곽 끝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인 핸드레일을 받치는 지주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다.
이때,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는 상기 지주가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고, 상기 지주가 파손되었을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지주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종래 기술로는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01977(발명의 명칭: 난간의 고정구조)가 있는데,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지주를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지주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는 대부분 외부에 설치되어 빗물 등에 쉽게 노출되므로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여 부식이 발생하였고, 부식의 정도가 심해지면 상기 지주 및 상기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가 달라붙어 교체 시 절단기로 절단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지주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배수 및 통풍이 가능한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는 2개의 난간지주가 양측에 삽입되며 하부 중앙에 제1 고정홀이 형성된 제1 난간지주브라켓; 상기 제1 난간지주브라켓에 삽입되며 내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2개의 쐐기지지판 및 상기 쐐기지지판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난간지주브라켓은, 하부 양측에 형성된 2개의 돌출부 및 정면과 후면에 형성된 2개의 통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내측면까지 개구된 다수개의 배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면 외측에 형성되며 정면에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부는, 외측 끝단이 내측 끝단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지지판은,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는, 외측면이 상기 쐐기지지판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 쐐기몸체 및 상기 쐐기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몸체는,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에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므로 상기 쐐기와 상기 쐐기지지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중앙에 형성된 제2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쐐기가 상기 제1 난간지주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난간지주; 상기 난간지주가 삽입되며 하부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된 제2 난간지주브라켓 및 상기 제2 난간지주브라켓 하부 양측에 형성된 2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 통과하는 삽입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난간지주브라켓이 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난간지주브라켓은, 브라켓 몸체 및 브라켓 덮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몸체는, 하단에 형성된 지지부; 후면에 형성된 제1 배수홀 및 정면 양측에 형성된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덮개는, 정면에 형성된 제2 배수홀 및 상기 연결홈과 상응하도록 양측에 형성된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브라켓 몸체와 상기 브라켓 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수홀 및 제2 배수홀은, 외측 끝단이 내측 끝단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는, 상기 지지부 하면에 역원뿔형 형상으로 형성된 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지부는, 상기 지지부 하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몸체; 상기 삽입몸체의 끝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지부재 및 상기 가지부재의 외측에 형성된 나선형의 스크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지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가지부재가 벌어져 상기 지지부가 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에 의하면, 쐐기지지판 및 상기 쐐기지지판에 삽입되는 쐐기의 구성에 의해 지주가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시공과 교체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배수홈 및 통풍부를 형성하여 지주의 몸체를 타고 흘러내려온 물이 배수홈을 지나 통풍부로 배수되므로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양쪽에 설치된 통풍부에 의해 통풍이 가능하므로 배수 이후 내부에 남아있는 물기를 건조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체결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체결된 형상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제1 난간지주브라켓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체결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체결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제1 배수홀 및 제2 배수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가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에 대하여 첨부한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체결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체결된 형상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제1 난간지주브라켓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1)는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 2개의 쐐기지지판(200) 및 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은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가 빈 형태의 정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 양측에 2개의 난간지주(P)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의 개구된 부분은 쐐기지지판(200), 쐐기(300) 및 난간지주(P)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정사각뿔대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은 제1 고정홀(110), 돌출부(120) 및 통풍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홀(110)은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홀(110)은 바닥에 미리 매립시공된 고정부재(110a)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10a)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10a)에 체결된 너트를 조여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을 바닥에 가압고정 시킬 수 있다.
돌출부(120)는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 직사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는 직사각형 형태 이외에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의 내부 하측에 상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는 다수개의 배수홈(121) 및 고정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홈(121)은 돌출부(12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내측면까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홈(121)은 원활한 배수를 위해 내측이 하부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이 배수홈(121)을 지나 중앙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홈(122)은 돌출부(120)의 상면 외측에 형성되며 정면에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122)은 하부에 배수홈(121)을 포함하도록 배수홈(121)보다 얕은 깊이로 파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홈(122)은 난간지주(P)의 하부와 상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홈(122)에 난간지주(P)의 하부가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여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에 난간지주(P)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1) 설치 시 쐐기지지판(200) 및 쐐기(300)가 미삽입된 경우에도 난간지주(P)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통풍부(130)는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의 정면과 후면에 장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풍부(130)는 배수홈(121)을 통과하여 중앙측으로 모인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유입된 물에 의해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의 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통풍부(130)는 장홀 형상 이외에도 배수가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풍부(130)는 외측 끝단이 내측 끝단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통풍부(130)는 시공환경 및 장소에 따라 외측 끝단과 내측 끝단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평평한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쐐기지지판(200)은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 내부의 양측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쐐기지지판(200)은 내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정면이 직각사다리꼴인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쐐기지지판(200)은 정면이 직각사다리꼴인 사각기둥 형태 이외에도 외측면이 난간지주(P)의 내측면에 상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쐐기지지판(200)은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재를(210)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쐐기(300)는 쐐기지지판(200) 사이에 삽입되고, 쐐기몸체(310) 및 걸림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쐐기몸체(310)는 정후면이 역사다리꼴인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쐐기몸체(310)의 좌우 외측면이 쐐기지지판(20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쐐기지지판(200) 사이에 쐐기(300)를 삽입하는 경우 빗면의 원리에 따라 적은 힘으로 쐐기지지판(200)과 쐐기(300)를 가압밀착 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용이하며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쐐기몸체(310)는 외측면에 돌출부재(210)가 삽입되는 결합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홀(311)에 돌출부재(210)가 삽입되며 이후 돌출부재(210)에 고정핀(210a)을 삽입하여 결합홀(311)과 돌출부재(2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쐐기지지판(200)과 쐐기몸체(310)가 결합되며 상호 간에 결합력이 생기므로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에 쐐기지지판(200) 및 쐐기(300)를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걸림부(320)는 쐐기몸체(310)의 상측에 형성되고,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320)의 형태는 사각형의 판 형상 이외에 난간지주(P) 및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320)는 중앙에 형성된 제2 고정홀(321)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고정홀(321)은 바닥에 매립시공된 고정부재(110a)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10a)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에 체결된 너트를 쐐기(300)를 제1 난간지주브라켓(100)에 가압고정 시킬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예로, 제2 난간지주브라켓(100) 및 돌기(500)의 형성에 따라 난간지주(P)가 슬라이드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체결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체결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제1 배수홀 및 제2 배수홀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의 가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는, 제1 실시예와 달리 1개의 난간지주(P), 제2 난간지주브라켓(400) 및 돌기(500)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제2 난간지주브라켓(400)은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가 빈 형태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난간지주(P)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난간지주브라켓(400)의 개구된 부분은 난간지주(P)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난간지주브라켓(400)은 사각기둥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난간지주브라켓(400)은 하부 중앙에 삽입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홀(410)을 통과하는 삽입부재(미도시)에 의해 제2 난간지주브라켓(400)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재(미도시)는 T형 핀 또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10a)와 유사한 형상인 지반에 매설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난간지주브라켓(400)은 후면측에 형성된 브라켓 몸체(420) 및 전면측에 형성된 브라켓 덮개(430)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몸체(420)는 지지부(421), 제1 배수홀(422) 및 연결홈(42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21)는 브라켓 몸체(420)의 하단에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브라켓 몸체(4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배수홀(422)은 브라켓 몸체(420)의 후면에 장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수홀(422)의 모양은 장홀 형태 이외에도 배수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홀(422)은 외측 끝단이 내측 끝단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수홀(422)은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지 않는 장소에 시공될 경우, 외측 끝단과 내측 끝단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평평한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423)은 브라켓 몸체(420)의 정면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덮개(430)는 제2 배수홀(431) 및 연결홀(4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수홀(431)은 브라켓 덮개(430)의 정면에 장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배수홀(431)의 모양은 장홀 형태 이외에도 배수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수홀(431)은 외측 끝단이 내측 끝단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배수홀(431)은 시공환경 및 장소에 따라 외측 끝단과 내측 끝단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평평한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432)은 브라켓 덮개(430)에 정면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홀(432)을 관통하여 연결홈(423)에 삽입되는 연결부재(432a)에 의해 브라켓 몸체(420)와 브라켓 덮개(43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난간지주브라켓(400)에 삽입되는 난간지주(P)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돌기(500)는 제2 난간지주브라켓(4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500)는 제2 난간지주브라켓(400)의 내부에 형성되어 난간지주(P) 삽입 시 난간지주(P)의 하단을 제2 난간지주브라켓(400)의 하부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지주(P)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1)는 지지부(421) 하면 중앙에 형성되는 가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지부(600)는 하측이 상측보다 작은 반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지부(600)는 내부가 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지부(600)는 삽입몸체(610), 다수개의 가지부재(620) 및 스크류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몸체(610)는 지지부(421)의 하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가지부재(620)는 삽입몸체(610)의 끝단에 빗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부재(630)는 가지부재(620)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나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면에 원기둥 형상으로 삽입 구멍을 형성하여 가지부(600)를 그 구멍 안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T형 원기둥 형상의 지지부재(620a)를 가지부(600)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가지부재(620)가 벌어져 지지부(421)를 지면에 추가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스크류부재(630)에 의해 마찰력이 증가되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난간지주브라켓(400)을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를 미리 매설하는 시공을 하지 않아도 고정이 가능하여 시공 시간 및 과정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100: 제1 난간지주브라켓
110: 제1 고정홀
110a: 고정부재
120: 돌출부
121: 배수홈
122: 고정홈
130: 통풍부
200: 쐐기지지판
210: 돌출부재
210a: 고정핀
300: 쐐기
310: 쐐기몸체
311: 결합홀
320: 걸림부
321: 제2 고정홀
400: 제2 난간지주브라켓
410: 삽입홀
420: 브라켓 몸체
421: 지지부
422: 제1 배수홀
423: 연결홈
430: 브라켓 덮개
431: 제2 배수홀
432: 연결홀
432a: 연결부재
500: 돌기
600: 가지부
610: 삽입몸체
620: 가지부재
620a: 지지부재
630: 스크류부재

Claims (13)

  1.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에 있어서,
    2개의 난간지주가 양측에 삽입되며 하부 중앙에 제1 고정홀이 형성된 제1 난간지주브라켓;
    상기 제1 난간지주브라켓에 삽입되며 내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2개의 쐐기지지판 및
    상기 쐐기지지판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난간지주브라켓은,
    하부 양측에 형성된 2개의 돌출부 및
    정면과 후면에 형성된 2개의 통풍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부는,
    외측 끝단이 내측 끝단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내측면까지 개구된 다수개의 배수홈을 포함하는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면 외측에 형성되며 정면에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지지판은,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외측면이 상기 쐐기지지판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 쐐기몸체 및
    상기 쐐기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에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므로 상기 쐐기와 상기 쐐기지지판이 결합되는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중앙에 형성된 제2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쐐기가 상기 제1 난간지주브라켓에 고정되는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156929A 2017-11-23 2017-11-23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KR10186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29A KR101863137B1 (ko) 2017-11-23 2017-11-23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29A KR101863137B1 (ko) 2017-11-23 2017-11-23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137B1 true KR101863137B1 (ko) 2018-05-31

Family

ID=6245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929A KR101863137B1 (ko) 2017-11-23 2017-11-23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334B1 (ko) * 2019-06-24 2019-09-16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KR102043983B1 (ko) * 2019-04-30 2019-11-12 (주)신화 매립식 지주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320A (ja) * 1991-10-16 1993-04-27 Swan Shoji Co Ltd 手摺支柱固定装置
KR101193141B1 (ko) * 2012-03-05 2012-10-26 최은규 난간동자 고정구
KR200480256Y1 (ko) * 2015-01-14 2016-04-29 (주)유림 난간동자용베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320A (ja) * 1991-10-16 1993-04-27 Swan Shoji Co Ltd 手摺支柱固定装置
KR101193141B1 (ko) * 2012-03-05 2012-10-26 최은규 난간동자 고정구
KR200480256Y1 (ko) * 2015-01-14 2016-04-29 (주)유림 난간동자용베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983B1 (ko) * 2019-04-30 2019-11-12 (주)신화 매립식 지주 고정장치
KR102021334B1 (ko) * 2019-06-24 2019-09-16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48727T3 (es) Elemento de plato de ducha con una canaleta de salida
RU2535736C2 (ru) Сточный желоб для душа на уровне пола
ES2659213T3 (es) Sistema de fijación
EP1785534B1 (de) Ablaufvorrichtung für eine bodengleiche Dusche
KR101863137B1 (ko)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KR100939446B1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101216598B1 (ko) 건축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EA018735B1 (ru) Опалубка перекрытия со средствами опоры для опалубочных щитов
JP2022160553A (ja) 屋根構造体
US7155867B2 (en) Arcuate taper lock anchor base plate and anchor assembly with the base plate
EP1947253A1 (en) Floor drain
KR20070105665A (ko) 트랜치용 트랜치커버
KR200392065Y1 (ko) 부재 고정구
KR20130114043A (ko) 배수용 드레인 캡
KR100708302B1 (ko) 악취발생방지 배수장치
JP2018123648A (ja) 屋根構造体
JP4182047B2 (ja) 屋外構築物の支柱装置
US20070251171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collecting falling mortar
JPH0455134Y2 (ko)
JPH0327154Y2 (ko)
JP2005282156A (ja) グレーチングの固定装置
JPH05106320A (ja) 手摺支柱固定装置
JP7186590B2 (ja) 縦樋の排水構造及びこれを備える屋根構造体
KR101896456B1 (ko) 리모델링용 배수커버
JP3243456B2 (ja) 手摺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