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256Y1 - 난간동자용베이스 - Google Patents

난간동자용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56Y1
KR200480256Y1 KR2020150000260U KR20150000260U KR200480256Y1 KR 200480256 Y1 KR200480256 Y1 KR 200480256Y1 KR 2020150000260 U KR2020150000260 U KR 2020150000260U KR 20150000260 U KR20150000260 U KR 20150000260U KR 200480256 Y1 KR200480256 Y1 KR 200480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member
cover
cover memb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준
Original Assignee
(주)유림
배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림, 배용준 filed Critical (주)유림
Priority to KR2020150000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42Balusters; Grille-typ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스부의 커버부재의 타측커버부재와 일측커버부재 사이에 기둥부의 하부를 드릴링에 의한 손상없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는 난간동자용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간동자용베이스{Base for balusters}
본 고안은 베이스부의 커버부재의 타측커버부재와 일측커버부재 사이에 기둥부의 하부를 드릴링에 의한 손상없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는 난간동자용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의 기둥을 고정할 때는 슬리브가 고정된 고정판을 철근배관에 고정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하거나 바닥 시공시 앵커볼트에 지주를 용접하여 설치하는 방법으로 난간동자를 고정하였다.
그러나, 슬리브에서 기둥이 쉽게 분리되거나, 밀접한 상태로 삽입하기 어렵고, 좁은 공간에서의 용접은 화재의 위험성과 용접 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작업공간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숙련된 용접공이 필요하고, 작업시간도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난간의 고정구조가 제시되었으며, 그 일환으로, 난간동자의 하부에 앵커볼트에 연결된 동자 베이스와 동자 연결부를 구성하여 난간의 동자 조립 시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한 난간의 고정구조가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0-000197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0-0001977호는 동자베이스고정식연결측부와 동자베이스조립식연결측부 사이에 난간동자를 삽입하여 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키는 구조로서, 특히 상기 난간동자의 하부에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난간동자통공을 드릴링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드릴링에 의해 상기 난간동자의 하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0-0001977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베이스부의 커버부재의 타측커버부재와 일측커버부재 사이에 기둥부의 하부를 드릴링에 의한 손상없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는 난간동자용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기둥부가 구비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간동자용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바닥판부재와; 상기 바닥판부재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기둥부의 하부 타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기둥부의 하부 타측에 밀착고정되는 타측커버부재와, 상기 타측커버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 내측에 상기 기둥부의 하부 일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기둥부의 하부 일측에 밀착고정되는 일측커버부재로 구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동자용베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부재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판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 중심부에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닥판부재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에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판부재가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되고, 상기 보강판부재는 상기 지지턱의 외면 전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면 전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 전측에 형성되는 전측보강판과; 상기 지지턱의 외면 후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면 후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 후측에 형성되는 후측보강판과; 상기 지지턱의 외면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보강판과; 상기 지지턱의 외면 타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면 타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보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바닥판부재의 상부는 상기 바닥판부재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부재의 상부에 상기 기둥부의 하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부재의 중심부에 상기 바닥판부재의 중심부 상부에서 상기 지지턱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고 상기 바닥판부재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의 상부가 수용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부재의 전측과 상기 바닥판부재의 후측에 각각 상기 바닥판부재의 전측 상부에서 상기 전측보강판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 및 상기 바닥판부재의 후측 상부에서 상기 후측보강판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 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 하부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배수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타측커버부재는 상기 바닥판부재의 상부 타측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의 하부 타측에 밀착고정되는 제 1커버판과; 상기 제 1커버판의 전측과 상기 제 1커버판의 후측에 각각 타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커버판의 전측과 상기 제 1커버판의 후측에 수직형성되고, 일단부에 각각 단차홈이 형성되는 제 2커버판 및 제 3커버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커버부재는 상기 타측커버부재와 좌우대칭형성되며, 상기 일측커버부재의 제 2커버판의 타단부와 제 3커버판의 타단부에 상기 단차홈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차홈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측커버부재의 외면 전측 및 상기 타측커버부재의 외면 후측과 상기 일측커버부재의 외면 전측 및 상기 일측커버부재의 외면 후측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몸체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커버부재의 내면에 상기 기둥부의 하부 외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베이스부의 커버부재의 타측커버부재와 일측커버부재 사이에 기둥부의 하부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타측커버부재와 상기 타측커버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기둥부의 하부를 드릴링할 필요가 없어 드릴링에 의해 상기 기둥부의 하부가 손상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난간동자용베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확대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바닥판부재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바닥판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바닥판부재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B - B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10은 커버부재의 내면에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1은 도10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난간동자용베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난간동자용베이스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기둥부(20)가 구비되는 베이스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부(20)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의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확대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는 바닥판부재(110) 및 커버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부재(110)는 지면(도 7의 1)에 수평으로 안착고정된다.
상기 커버부재(120)는 타측커버부재(121)와 일측커버부재(123)로 구성된다.
상기 타측커버부재(121)는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타측커버부재(121)의 내측에 상기 기둥부(20)의 하부 타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기둥부(20)의 하부 타측에 밀착고정된다.
상기 일측커버부재(123)는 상기 타측커버부재(121)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일측커버부재(123)의 내측에 상기 기둥부(20)의 하부 일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기둥부(20)의 하부 일측에 밀착고정된다.
도 4는 바닥판부재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재(11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는 지지프레임(131) 및 지지턱(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31)은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133)은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부 중심부에서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닥판부재(110)를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비틀림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강판부재(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부재(140)는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부에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판부재(140)는 전측보강판(141), 후측보강판(143), 일측보강판(145) 및 타측보강판(14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보강판(141)은 상기 지지턱(133)의 외면 전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31)의 내면 전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부 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보강판(143)은 상기 지지턱(133)의 외면 후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31)의 내면 후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부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강판(145)은 상기 지지턱(133)의 외면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31)의 내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강판(147)은 상기 지지턱(133)의 외면 타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31)의 내면 타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부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바닥판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상부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빗물 등이 상기 바닥판부재(110) 상부 외면을 타고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외부방향으로 잘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상부에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20)의 하부가 수용되는 수용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50)은 상기 타측커버부재(121)에서 상기 일측커버부재(123)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20)가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상부에서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외부방향으로 좌우 이동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6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바닥판부재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중심부에는 고정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공(160)은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중심부 상부에서 상기 지지턱(133)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고, 상기 바닥판부재(110)를 지면(1)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 세트앵커 등의 고정부재(9)의 상부가 수용되는 곳이다.
그리고, 도 4,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로 스며든 빗물 등이 상기 베이스부(10) 외부로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공(1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170)은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전측과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후측에 각각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전측 상부에서 상기 전측보강판(141)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 및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후측 상부에서 상기 후측보강판(143)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로 스며든 빗물 등이 상기 베이스부(10) 외부로 보다 더욱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수홈(18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홈(180)은 상기 지지프레임(131)의 전측 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131)의 후측 하부에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131)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3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B - B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커버부재(121)는 제 1커버판(121a), 제 2커버판(121b) 및 제 3커버판(121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커버판(121a)은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상부 타측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기둥부(20)의 하부 타측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커버판(121b) 및 제 3커버판(121c)은 상기 제 1커버판(121a)의 전측과 상기 제 1커버판(121a)의 후측에 각각 타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커버판(121a)의 전측과 상기 제 1커버판(121a)의 후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커버판(121b) 및 제 3커버판(121c)의 일단부에 각각 '┗ '형상 등의 단차홈(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커버부재(123)는 상기 타측커버부재(121)와 좌우대칭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일측커버부재(123)의 제 2커버판(123b)의 타단부와 제 3커버판(123c)의 타단부에 상기 단차홈(2)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차홈(2)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차홈(2)과 상기 끼움돌기(4)는 상기 일측커버부재(123)가 상기 타측커버부재(121)의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커버부재(121)의 외면 전측 및 상기 타측커버부재(121)의 외면 후측과 상기 일측커버부재(123)의 외면 전측 및 상기 일측커버부재(123)의 외면 후측에 체결부재(6)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몸체(8)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6)는 상기 체결몸체(8)의 상부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커버부재의 내면에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1은 도10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20)의 내면에 상기 기둥부(20)의 하부 외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19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90)는 상기 기둥부(20)의 하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120)와 상기 기둥부(20) 하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190)는 상기 타측커버부재(121) 내면 중심부 또는 상기 일측커버부재(123) 내면 중심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타측커버부재(121)와 상기 일측커버부재(123)의 내면 중심부 모두에 형성될 수 있는 등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부(10)의 커버부재(120)의 상기 타측커버부재(121)와 상기 일측커버부재(123) 사이에 상기 기둥부(20)의 하부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타측커버부재(121)와 상기 타측커버부재(12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기둥부(20)의 하부를 드릴링할 필요가 없어 드릴링에 의해 상기 기둥부(20)의 하부가 손상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10; 베이스부, 110; 바닥판부재,
120; 커버부재, 20; 기둥부.

Claims (10)

  1. 지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기둥부가 구비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간동자용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부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기둥부의 하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바닥판부재와;
    상기 바닥판부재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기둥부의 하부 타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기둥부의 하부 타측에 밀착고정되는 타측커버부재와, 상기 타측커버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 내측에 상기 기둥부의 하부 일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기둥부의 하부 일측에 밀착고정되는 일측커버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커버부재의 외면 전측 및 상기 타측커버부재의 외면 후측과 상기 일측커버부재의 외면 전측 및 상기 일측커버부재의 외면 후측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몸체가 각각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면에 상기 기둥부의 하부 외면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의 하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기둥부 하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돌기와;
    상기 바닥판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전측 하부와 후측 하부에 각각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배수홈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 중심부에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닥판부재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턱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판부재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보강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부재의 중심부에 상기 바닥판부재의 중심부 상부에서 상기 지지턱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고 상기 바닥판부재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의 상부가 수용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커버부재는 상기 바닥판부재의 상부 타측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의 하부 타측에 밀착고정되는 제 1커버판과;
    상기 제 1커버판의 전측과 상기 제 1커버판의 후측에 각각 타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커버판의 전측과 상기 제 1커버판의 후측에 수직형성되고, 일단부에 각각 단차홈이 형성되는 제 2커버판 및 제 3커버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커버부재는 상기 타측커버부재와 좌우대칭형성되며,
    상기 일측커버부재의 제 2커버판의 타단부와 제 3커버판의 타단부에 상기 단차홈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차홈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부재는 상기 지지턱의 외면 전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면 전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 전측에 형성되는 전측보강판과, 상기 지지턱의 외면 후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면 후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 후측에 형성되는 후측보강판과, 상기 지지턱의 외면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보강판과, 상기 지지턱의 외면 타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면 타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보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부재의 전측과 상기 바닥판부재의 후측에 각각 상기 바닥판부재의 전측 상부에서 상기 전측보강판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 및 상기 바닥판부재의 후측 상부에서 상기 후측보강판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동자용베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50000260U 2015-01-14 2015-01-14 난간동자용베이스 KR200480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260U KR200480256Y1 (ko) 2015-01-14 2015-01-14 난간동자용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260U KR200480256Y1 (ko) 2015-01-14 2015-01-14 난간동자용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256Y1 true KR200480256Y1 (ko) 2016-04-29

Family

ID=5591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260U KR200480256Y1 (ko) 2015-01-14 2015-01-14 난간동자용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5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137B1 (ko) * 2017-11-23 2018-05-31 주식회사 딕누리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KR20190119776A (ko) * 2018-04-13 2019-10-23 브이피케이 주식회사 조립식 핸드레일
KR102534390B1 (ko) * 2022-07-07 2023-05-26 최창훈 난간 지주의 베이스부재
KR102565872B1 (ko) * 2022-03-08 2023-08-11 에스와이우드(주) 목재 데크의 난간 결합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141B1 (ko) * 2012-03-05 2012-10-26 최은규 난간동자 고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141B1 (ko) * 2012-03-05 2012-10-26 최은규 난간동자 고정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137B1 (ko) * 2017-11-23 2018-05-31 주식회사 딕누리 핸드레일 지지용 베이스
KR20190119776A (ko) * 2018-04-13 2019-10-23 브이피케이 주식회사 조립식 핸드레일
KR102060885B1 (ko) * 2018-04-13 2020-02-11 브이피케이 주식회사 조립식 핸드레일
KR102565872B1 (ko) * 2022-03-08 2023-08-11 에스와이우드(주) 목재 데크의 난간 결합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534390B1 (ko) * 2022-07-07 2023-05-26 최창훈 난간 지주의 베이스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256Y1 (ko) 난간동자용베이스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JP2008031824A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102061871B1 (ko) 건축 공사를 위한 안전 난간 구조물
KR102049362B1 (ko) 난간 연결구조체
KR20110112101A (ko)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KR20140090041A (ko) 확장형 보행통로 시설물 및 그의 시공 방법
JP2009121077A (ja) 鋼製壁高欄
CN203834838U (zh) 护栏
JP2008127882A (ja) 手摺り支柱用芯材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200297026Y1 (ko) 전선거치대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KR200432863Y1 (ko)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20120121983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102043983B1 (ko) 매립식 지주 고정장치
KR100840624B1 (ko) 휀스용 포스트
KR101581915B1 (ko) 파스너를 이용한 벽체와 구조물 고정 구조
KR101499015B1 (ko) 휀스 포스트
KR20120001044U (ko)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KR10074085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KR101921559B1 (ko)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KR20100080992A (ko)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KR20170003353U (ko) 멀티데크의 접합부재
KR20100004041U (ko) 핸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