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708Y1 - 계단난간 - Google Patents

계단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708Y1
KR200436708Y1 KR2020060031313U KR20060031313U KR200436708Y1 KR 200436708 Y1 KR200436708 Y1 KR 200436708Y1 KR 2020060031313 U KR2020060031313 U KR 2020060031313U KR 20060031313 U KR20060031313 U KR 20060031313U KR 200436708 Y1 KR200436708 Y1 KR 200436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fixing
bar
hand bar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자
Original Assignee
임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자 filed Critical 임명자
Priority to KR2020060031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7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42Balusters; Grille-typ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5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andrails
    • E04F2011/1827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andrails between baluster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단난간에 관한 것으로, 계단의 측면에 직립 되게 설치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의 상부 좌, 우 양측에 각각 결합하도록 지주(1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지주결합부(121)를 일측에 형성하고, 지주결합부(121)에서 타측으로 복수 절곡하여 이격시킨 평면의 핸드바결합부(124)를 형성한 고정브라켓(120)및;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핸드바결합부(124)가 고정되는 고정홈(131)을 형성한 핸드바(1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주, 고정브라켓, 핸드바, 휀스

Description

계단난간{A stairway railing}
도 1 은 종례의 계단난간을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난간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난간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난간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계단난간 110: 지주
111: 지주브라켓 112: 고정볼트
120: 고정브라켓 121: 지주결합부
122: 관통공 123: 결합수단
124: 핸드바결합부 125: 결합공
126: 체결수단 127: 절곡부
130: 핸드바 131: 고정홈
140: 휀스 141: 수직봉
142: 경사봉 143: 휀스고정브라켓
144: 지주고정부 145: 휀스고정봉
146: 고정수단
본 고안은 계단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계단에는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잡을 수 있으면서도 추락방지를 위한 보호 목적으로 난간이 설치된다.
도 1 은 종례의 계단난간을 나타낸 도면으로, 계단의 경사도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손잡이(10)와 손잡이(10)를 받쳐주면서 계단의 단에 입설되는 수직파이프(11)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파이프(11)는 그 하단이 각 계단의 단과 계단참에 매설된 앵커볼트(12)의 머리에 밀착되어 밀착부의 외주 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용접을 하여 계단참, 층계의 중심에 수직으로 직립 되게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직파이프(11) 설치방식은 수직파이프(11)와 앵커볼트(12)의 밀착부를 일일이 용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또는 상기 용접부위로 인하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므로 다시 별도의 보호캡(13)으로 마감처리를 하여야 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수직파이프를 계단의 단마다 설치되면서 난간 설치 시간이 증가하면서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또한 설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수직파이프를 현장에서 직접 용접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좁은 계단에서 용접작업을 진행하다 보니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경사진 계단 난간을 용접 시공하기 위해서는 숙련자가 아니면 쉽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일정 각도로 경사진 계단 난간을 시공하기도 어렵고, 그만큼 시공 시간과 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원가절감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일시에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계단에 측면 상하 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지주의 좌, 우측으로 고정브라켓을 설치하여 고정프라켓으로 핸드바를 지주에 간편하게 설치하면서 계단 이용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휀스의 하부측을 지주에 고정함으로써 설치작업의 용이성과 내구성 향상 및 미려한 외관을 창출되게 한 계단난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계단난간은 계단의 측면에 직립 되게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 좌, 우 양측에 각각 결합하도록 지주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지주결합부를 일측에 형성하고, 지주결합부에서 타측으로 복수 절곡하여 이격시킨 평면의 핸드바결합부를 형성한 고정브라켓및; 상기 고정브라 켓의 핸드바결합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형성한 핸드바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브라켓의 지주결합부 중앙에 관통공을 관통시켜 지주결합부를 지주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이 관통되도록 하며, 지주결합부에서 타측으로 이격된 핸드바결합부에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결합공을 복수 형성하여 결합공을 관통한 체결수단이 핸드바결합부를 핸드바의 고정홈에 고정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핸드바의 하부측에 계단을 이용하는 자가 낙상하지 않도록 고정홈에 상부측이 등간격으로 복수 결합되는 수직봉을 형성하고, 수직봉의 하부측에 핸드바와 대향되는 경사봉으로 형성된 휀스를 형성하며, 상기 휀스를 지주에 고정하도록 휀스고정브라켓을 형성하되, 휀스고정브라켓의 일측으로 경사봉에 결합되는 휀스고정봉을 형성하고, 타측으로 지주에 결합되는 지주고정부 형성하여 휀스를 지주에 설치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난간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난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난간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계단난간(100)은 계단의 측면에 직립 되게 설치된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의 상부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20)및; 상기 고정브라켓(120)에 결합되는 핸드바(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계단난간(100)의 지주(1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면서 중공 부재 형태로서 그 형상은 원형기둥, 사각기둥 등의 여러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지주(110)의 상부에는 마감캡 또는 장식봉 등을 형성하여 그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지주(110)를 계단의 측면에 직립 되게 설치하기 위하여 계단의 측면에 고정되는 지주브라켓(111)을 형성한다.
여기서, 지주브라켓(111)은 대략 니은자 형태로 절곡되어 일측면에 통공이 관통되면서 통공을 통하여 고정볼트(112)가 관통되어 계단의 측면에 고정되며, 지주브라켓(111)의 타측으로 지주(110)가 설치되면서, 리벳,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주(1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주(110)의 양측으로 지주브라켓(111)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계단난간(100)의 고정브라켓(120)은 지주(110)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하되, 좌·우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20)을 상·하측으로 이격되게 설치한 다.
여기서, 고정브라켓(120)이 지주(110)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지주(1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지주결합부(121)를 일측에 형성한다.
아울러 지주결합부(121)의 중앙에는 볼트 또는 리벳 등으로 형성된 결합수단(123)이 관통되도록 관통공(122)을 형성하며 관통공(122)을 관통한 결합수단(123)이 지주(110)에 고정되도록 하여 지주결합부(121)를 지주(110)에 고정하도록 형성한다.
나아가 지주결합부(121)에서 타측으로 복수 절곡된 절곡부(127)를 형성하여 이격시킨 핸드바결합부(124)를 평면 형태로 형성하며, 이때 핸드바결합부(124)에는 나사 또는 리벳 등으로 형성된 체결수단(126)이 관통되는 결합공(125)을 복수 형성한다.
아울러, 절곡부(127)는 지주결합부(121)의 일측 끝단에서 타측으로 직각되게 절곡된 직각면(127a)을 형성하고 직각면의 끝단에서 다시 수직면(127b)이 형성되도록 절곡한뒤 수직면(127b)의 끝단에서 다시 타측으로 직각되게 절곡하여 핸드바결합부(124)를 형성하게된다.
상기 계단난간(100)의 핸드바(1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면서 외주연 일측에 고정브라켓(120)의 핸드바결합부(124)가 체결수단(126)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홈(131)을 형성한다.
여기서, 핸드바(130)의 고정홈(131)을 내부 중앙으로 내입되게 형성하여 핸드바결합부(124)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한다.
한편, 핸드바(130)의 고정홈(131)에 수직봉(141)을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하며, 그리고 수직봉(141)의 하부측에 핸드바(130)와 대향 되는 경사봉(142)으로 형성된 휀스(140)를 설치하여 계단 이용자의 낙상을 방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휀스(140)의 경사봉(142)을 지주(110)에 고정하기 위하여 휀스고정브라켓(143)을 형성하되, 휀스고정브라켓(143)의 일측으로 경사봉(142)에 결합되는 환봉형태의 휀스고정봉(145)을 형성하며, 타측으로 지주(110)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지주고정부(144)를 형성한다.
여기서, 지주고정부(144)를 볼트 또는 리벳 등의 고정수단(146)을 이용하여 결합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휀스(140)는 건물의 인테리어에 따라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원 고안의 계단난간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계단의 측면에 지주(110)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주브라켓(111)을 고정볼트(112)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이렇게 고정된 지주브라켓(111)의 타측에 지주(110)를 결합수단으로 설치 고정하며, 이때 지주브라켓(111)을 계단의 코너인 상부 계단참과, 하부 계단참의 측면에 각각 설치하여 지주(110)를 직립 되게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여기서 계단참은 계단 도중에 단(段)이 없이 편평하고 비교적 넓게 된 부분 으로서 층계참이라고도 하며, 계단의 방향을 바꾸거나 휴식 등의 목적으로 설치한 공간이다.
이렇게 지주(110)가 직립 되게 세워지면 지주(110)의 좌·우측 측면인 계단측으로 각각 고정브라켓(120)을 설치 고정하되, 상·하 측으로 이격되게 설치하면서 고정브라켓(120)의 핸드바결합부(124)가 계단의 경사부와 상호 대향 되도록 지주결합부(121)를 결합수단(123)을 이용하여 지주(110)에 경사지게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상·하측으로 이격된 고정브라켓(120)중 상부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20)은 계단의 경사도와 대향되게 형성된 핸드바(130)의 하부측이 고정되며, 하부측에 형성된 고정브라켓(120)에는 핸드바(130)의 상부측이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지주(110)에 아래층의 핸드바(130) 상부측과 위층의 핸드바(130) 하부측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주(110)에 의해 핸드바(130)가 계단에 설치되면, 계단 이용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드바(130)의 하부 측에 휀스(140)를 설치한다.
상기 휀스(140)의 수직봉(141)은 핸드바(130)의 고정홈(131)에 설치되며 수직봉(141)의 하부측에는 핸드바(130)와 대향 되는 경사봉(142)이 형성되면서 수직봉(141)과 경사봉(14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휀스(140)의 경사봉(142)을 지주(110)에 고정하기 위하여 휀스(140) 제작시 경사봉(142)의 상·하부측에 지주(110)에 고정되는 휀스고정브라켓(143)의 휀스고정봉(145)을 결합시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경사봉(142)에 휀스고정봉(145)이 결합되면 휀스고정브라켓(143) 의 지주고정부(144)를 지주(110)의 측면 하부측에 고정수단(146)으로 설치 고정하여 계단난간(10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계단난간은 핸드바가 고정브라켓에 의해 지주에 간편하게 설치되면서 난간 설치 작업의 용이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며 지주가 계단의 측면에 고정되어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지주를 계단의 측면에 설치시 고정볼트로 매설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계단난간은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의 지주고정부를 지주에 고정할 때 핸드바가 고정되는 핸드바고정부를 계단의 경사도와 대향 되게 설치할 수 있어 계단의 다양한 각도와 경사도에 따라 핸드바의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고안의 계단난간은 아래층 계단의 핸드바와 위층 계단의 핸드바를 하나의 지주에 고정 설치할 수 있어 난간 설치시 제작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며,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계단의 측면에 직립 되게 설치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의 상부 좌, 우 양측에 각각 결합하도록 지주(1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지주결합부(121)를 일측에 형성하고, 지주결합부(121)에서 타측으로 복수 절곡하여 이격시킨 평면의 핸드바결합부(124)를 형성한 고정브라켓(120)및;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핸드바결합부(124)가 고정되는 고정홈(131)을 형성한 핸드바(1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지주결합부(121) 중앙에 관통공(122)을 관통시켜 지주결합부(121)를 지주(110)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123)이 관통되도록 하며, 지주결합부(121)에서 타측으로 이격된 핸드바결합부(124)에 체결수단(126)이 관통되는 결합공(125)을 복수 형성하여 결합공(125)을 관통한 체결수단(126)이 핸드바결합부(124)를 핸드바(130)의 고정홈(131)에 고정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바(130)의 하부측에 낙상을 방지하도록 고정홈(131)에 상부측이 등간격으로 복수 결합되는 수직봉(141)을 형성하고, 수직봉(141)의 하부측에 핸드바(130)와 대향 되는 경사봉(142)으로 형성된 휀스(140)를 형성하며, 상기 휀스(140)를 지주(110)에 고정하도록 휀스고정브라켓(143)을 형성하되, 휀스고정브라켓(143)의 일측으로 경사봉(142)에 결합되는 휀스고정봉(145)을 형성하고, 타측으로 지주(110)와 대응되게 절곡되어 지주(110)에 결합되는 지주고정부(144) 형성하여 휀스(140)를 지주(110)에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KR2020060031313U 2006-12-08 2006-12-08 계단난간 KR200436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313U KR200436708Y1 (ko) 2006-12-08 2006-12-08 계단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313U KR200436708Y1 (ko) 2006-12-08 2006-12-08 계단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708Y1 true KR200436708Y1 (ko) 2007-09-21

Family

ID=4162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313U KR200436708Y1 (ko) 2006-12-08 2006-12-08 계단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70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211U (ko) 2019-07-18 2021-01-27 홍승표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KR20210000212U (ko) 2019-07-18 2021-01-27 홍승표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20210121703A (ko) * 2020-03-31 2021-10-08 김현구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구조체
KR102523780B1 (ko) 2022-08-04 2023-04-19 강준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접이식 계단 난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211U (ko) 2019-07-18 2021-01-27 홍승표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KR20210000212U (ko) 2019-07-18 2021-01-27 홍승표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20210121703A (ko) * 2020-03-31 2021-10-08 김현구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구조체
KR102454852B1 (ko) * 2020-03-31 2022-10-14 김현구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KR102523780B1 (ko) 2022-08-04 2023-04-19 강준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접이식 계단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418B1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JP2007009465A (ja) 多孔板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049362B1 (ko) 난간 연결구조체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200443024Y1 (ko) 계단용 난간 지주
KR101181673B1 (ko) 평철간살 밴딩형 조립식 발코니난간
KR10126317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200490448Y1 (ko)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KR20100010750U (ko) 철근 안전 난간대 조립 좌대
KR200447055Y1 (ko) 난간용 지주
KR200211926Y1 (ko) 계단난간의 설치부재
KR100850768B1 (ko)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200279221Y1 (ko) 난간
KR200378136Y1 (ko) 조립식 계단 난간
KR102620886B1 (ko) 난간
KR200494590Y1 (ko)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KR200378350Y1 (ko) 난간 설치용 수직바 연결부재
KR200367391Y1 (ko)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KR200421499Y1 (ko) 장식난간 조립장치
KR100743517B1 (ko) 난간 시공방법 및 시스템 난간
KR200386900Y1 (ko) 계단용 임시 난간대
KR100640022B1 (ko) 핸드레일 구조
KR20080072170A (ko) 거푸집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KR20070102503A (ko) 건설공사에 쓰이는 일체형 안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