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768B1 -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768B1
KR100850768B1 KR1020080006104A KR20080006104A KR100850768B1 KR 100850768 B1 KR100850768 B1 KR 100850768B1 KR 1020080006104 A KR1020080006104 A KR 1020080006104A KR 20080006104 A KR20080006104 A KR 20080006104A KR 100850768 B1 KR100850768 B1 KR 100850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xing clip
clip
fixed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돈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경운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운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경운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0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42Balusters; Grille-typ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란다 난간을 보강하는 난간 고정클립, 벽체 및 하부벽체 고정클립, 보강구, 강봉 및 강봉 고정구가 조립식 형태로 견고한 체결구조를 가짐은 물론, 베란다 난간을 보강하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기존 베란다 난간에 조립식 형태로 설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란다 벽체와 연설된 하부 벽체에는 베란다 난간이 설치되되, 높이차를 가지도록 위치되는 2개의 상,하부 수평대 사이에 수직대가 다수개 용접되고 사각판이 길이 양측에 일체형성된 수평대를 앵커로 베란다 벽체에 고정시켜 구성된 건축물 베란다 난간에 있어서,
베란다 난간(10) 상부 수평대(11)의 길이 중앙에 다수개가 상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되,
디귿자 몸체(31)에 보강구홀이 관통형성된 난간 고정클립(30);
베란다 난간(10) 상부 수평대(11)의 길이 양측에 설치되고 상부 수평대(11)에 고정 클립부(41)가 설치되고 베란다 벽체(7)에 원형판(44)이 앵커(20)로 고정설치되어 베란다 난간(10)의 상부를 보강하되,
고정 클립부(41)와 원형판(44) 사이에 격자 강봉(43)이 용접되어 일체형성되고, 고정 클립부(41)에 다수개의 보강구홀(42)이 형성되며, 원형판(44)에 삼각형 형태로 앵커홀(45)이 관통형성된 벽체 고정클립(40);
베란다 난간(10) 하부 수평대(11)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고 하부 수평대(11)에 고정 클립부(51)가 설치되고 하부 벽체(9)에 원형판(54)이 앵커(60)로 고정설치되어 베란다 난간(10)의 하부를 보강하되,
고정 클립부(51)와 원형판(54)의 사이에 격자강봉(53)이 용접되어 일체형성됨과 아울러 격자강봉(53)이 고정 클립부(51)의 측면에 용접되고, 고정 클립부(51)에 보강구홀(52)이 관통되며, 원형판(54)에 앵커홀(55)이 관통형성된 하부벽체 고정클립(50);
난간 고정클립(30) 또는 벽체 고정클립(40)과 하부벽체 고정클립(50)의 보강구홀(42)(52)에 너트(75)로 체결고정되어 베란다 난간(10)의 중앙을 보강하되,
디귿 격자 형태로 강봉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강봉의 중앙에 라운드부(72)가 반원형태로 형성되며, 길이 양측에 나사산(73)이 절삭된 보강구(70);
보강구(70)의 라운드부(72)에 밀착되어 강봉 고정구(90)에 의해 고정되고 대구경의 원형 형태로 형성된 강봉(80); 및
금속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사각바를 이용하여 제작되되, U자형 몸체부(91)의 양측에 수평하게 사각바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부재로, U자형 몸체부(91)의 양측에 앵커홀(92)이 관통되고 앵커(20)가 앵커홀(92)을 관통해 베란다 벽체(7)에 고정되는 강봉 고정구(9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베란다 난간(10)의 외측면에 보강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가 제시된다.
건축물, 벽체, 베란다, 난간, 강봉, 강봉고정구

Description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GUARDRAIL REINFORCE STRUCTURE OF BALCONY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란다 난간을 보강하는 난간 고정클립, 벽체 및 하부벽체 고정클립, 보강구, 강봉 및 강봉 고정구가 조립식 형태로 견고한 체결구조를 가짐은 물론, 베란다 난간을 보강하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기존 베란다 난간에 조립식 형태로 설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은, 원형 또는 사각바 형태로 형성된 수평대를 베란다 벽체에 앵커로 고정하고 수평대에 다수개의 수직대가 용접된 일체형태의 부재가 하부 벽체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은 베란다 난간은 수직대 사이가 넓어 유아가 추락되는 사고가 빈번할 뿐만 아니라, 베란다 난간이 견고하게 베란다 벽체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항상 내포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견고한 체결구조를 가짐은 물론, 안전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구성된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베란다 벽체와 연설된 하부 벽체에는 베란다 난간이 설치되되, 높이차를 가지도록 위치되는 2개의 상,하부 수평대 사이에 수직대가 다수개 용접되고 사각판이 길이 양측에 일체형성된 수평대를 앵커로 베란다 벽체에 고정시켜 구성된 건축물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는 보강구조에 있어서,
베란다 난간 상부 수평대의 길이 중앙에 다수개가 상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는 난간 고정클립;
베란다 난간 상부 수평대의 길이 양측에 설치되고 상부 수평대에 고정 클립부가 설치되고 베란다 벽체에 원형판이 앵커로 고정설치되어 베란다 난간의 상부를 보강시키는 벽체 고정클립;
베란다 난간 하부 수평대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고 하부 수평대에 고정 클립부가 설치되고 하부 벽체에 원형판이 앵커로 고정설치되어 베란다 난간의 하부를 보강시키는 하부벽체 고정클립;
난간 고정클립 또는 벽체 고정클립과 하부벽체 고정클립의 보강구홀에 너트로 체결고정되어 베란다 난간의 중앙을 보강시키는 보강구;
보강구의 라운드부에 밀착되어 강봉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강봉; 및
금속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사각바를 이용하여 제작되되, U자형 몸체부의 양측에 수평하게 사각바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강봉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에서 발생되는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에 따르면, 베란다 난간을 보강하는 난간 고정클립, 벽체 및 하부벽체 고정클립, 보강구, 강봉 및 강봉 고정구가 조립식 형태로 견고한 체결구조를 가짐은 물론, 베란다 난간을 보강하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기존 베란다 난간에 조립식 형태로 설치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의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 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 보강 구조는, 베란다 난간(10)을 설치함에 있어 베란다 벽체(7)와 베란다 벽체(7)와 연설되는 하부 벽체(9)에 베란다 난간(10)을 수직하게 입설하여 앵커(20)를 이용하여 베란다 벽체(7)에 고정함과 아울러, 베란다 난간(10)을 구성하는 2개의 수평대(11)에는 수직으로 수직대(15)가 용접고정되고, 상부 수평대(11)에는 난간 고정클립(30)과 벽체 고정클립(40)이 설치되며, 하부 수평대(11)에는 하부벽체 고정클립(50)이 설치되고, 난간 고정클립(30) 또는 벽체 고정클립(40)과 하부벽체 고정클립(50) 사이에는 보강구(70)가 너트(75)로 체결되며, 보강구(70)의 중앙 라운드부(72)에 강봉(80)을 강봉 고정구(90)로 고정하여 보강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베란다 난간(10)을 구성하는 수평대(11)는 길이 양측에 사각판(12)이 일체형성되되, 수평대(11)의 사각판(12)에는 모서리에 앵커홀(13)이 관통되어 앵커(20)로 베란다 벽체(7)에 고정된다.
높이차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2개의 수평대(11)에는 사이에 다수개의 수직대(15)가 용접고정되되, 수직대(15) 중 제일 외측에 설치되는 수직대 하부에 사각판(16)이 일체형성되어 하부 벽체(9)의 상면에 안착지지되게 된다.
상부 수평대(11)에는 길이 중앙에 다수개 설치되는 난간 고정클립(30)과 길이 양측에 설치되는 2개의 벽체 고정클립(40)이 결합되되, 난간 고정클립(30)은 디귿자 단면 형태를 가져 수평대(11)의 상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고 디귿자 몸체(31)에 보강구홀이 관통형성되며, 벽체 고정클립(40)은 상부 수평대(11)에 난간 고정클립(30)의 디귿자 몸체와 동일한 형태로 고정 클립부(41)가 설치되고 베란다 벽체(7)에 원형판(44)이 앵커(20)로 고정설치된다.
즉, 벽체 고정클립(40)은 디귿자 단면 형태로 형성된 고정 클립부(41)와 원형판(44) 사이에 90°각도로 절곡된 격자 강봉(43)이 용접되어 일체형성되되, 고정 클립부(41)에 다수개의 보강구홀(42)이 형성되고 원형판(44)에 삼각형 형태로 앵커홀(45)이 관통형성된다.
따라서, 벽체 고정클립(40)은 원형판(44)이 앵커(20)로 베란다 벽체(7)에 고정되게 되므로 상부 수평대(11)에 고정 클립부(41)가 덮는 형태로 설치되어 베란다 난간(10)의 상부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하부벽체 고정클립(50)은 벽체 고정클립(40)과 유사하게 형성되되, 하부벽체 고정클립(50)은 디귿자 단면을 가지는 고정 클립부(51)와 원형판(54)의 사이에 격자강봉(53)이 용접되어 일체형성되고, 이때 고정 클립부(51)의 측면에 격자강봉(53)이 용접고정되는 것이 벽체 고정클립(40)과 차이를 이루며, 하부벽체 고정클립(50)은 고정클립부(51)에 보강구홀(52)이 관통되고, 원형판(54)에 앵커홀(55)이 관통된다.
한편, 하부벽체 고정클립(50)은 원형판(54)이 하부 벽체(9)에 밀착된 상태에 서 길이가 긴 앵커(60)에 의해 고정되고, 따라서 하부벽체 고정클립(50)은 하부 수평대(11)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어 베란다 난간(10)의 하부를 보강하게 된다.
난간 고정클립(30) 또는 벽체 고정클립(40)과 하부벽체 고정클립(50)의 보강구홀(42)(52)에는 보강구(70)가 관통되어 너트(75)로 체결고정되되, 난간 고정클립(30)의 디귿자 몸체(31)에는 보강구홀을 지시하는 첨부번호를 넣지 않았으며, 보강구(70)는 강봉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즉, 보강구(70)는 디귿 격자 형태로 강봉을 절곡하여 형성되되, 강봉의 중앙에 라운드부(72)가 반원형태로 형성되고 길이 양측에 나사산(73)이 절삭된다.
따라서, 보강구(70)는 길이 양측이 난간 고정클립(30) 또는 벽체 고정클립(40)과 하부 벽체 고정클립(50)의 보강구홀(42)(52)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75)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보강구(70)의 라운드부(72)에는 대구경의 원형 형태의 강봉(80)이 밀착되어 강봉 고정구(90)에 의해 고정되되, 강봉(80)은 보강구(70)의 라운드부(72)에 밀착설치된 상태에서 강봉 고정구(90)가 앵커(20)에 의해 베란다 벽체(7)에 고정된다.
즉, 강봉 고정구(90)는 금속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사각바를 이용하여 제작되되, U자형 몸체부(91)의 양측에 수평하게 사각바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부재로, U자형 몸체부(91)의 양측에 앵커홀(92)이 관통되고 앵커(20)가 앵커홀(92)을 관통해 베란다 벽체(7)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보강구(70)에 밀착설치되는 강봉(80)에 의해 베란다 난간(10)의 높 이 중간이 보강되게 된다.
상술한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 구조의 시공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베란다 난간(10)에는 상부 수평대(11)에 난간 고정클립(30)과 벽체 고정클립(40)을 설치함과 아울러 하부 수평대(11)에 하부벽체 고정클립(5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둘째로, 난간 고정클립(30) 또는 벽체 고정클립(40)과 하부벽체 고정클립(50)에 보강구(70)를 너트(75)로 체결고정하는 단계이다.
셋째로, 보강구(70)에 강봉(80)을 밀착하고 강봉 고정구(90)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는, 이미 설치된 종래의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여 베란다 난간을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새로 신설되는 베란다 난간에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베란다 벽체(7)와 하부 벽체(9)에는 앵커홈이 형성되되, 베란다 벽체(70)에는 소구경, 즉 길이가 짧은 앵커(20)에 의해 수평대(11), 벽체 고정클립(40) 및 강봉 고정구(90)가 고정되고, 하부 벽체(9)에는 대구경, 즉 길이가 긴 앵커(60)에 의해 하부벽체 고정클립(50)이 고정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베란다 벽체 9; 하부 벽체
10; 베란다 난간 11; 수평대
15; 수직대 20,60; 앵커
30; 난간 고정클립 31; 디귿자 몸체
40; 벽체 고정클립 41; 고정클립부
42; 보강구홀 43; 격자 강봉
44; 원형판 45; 앵커홀
50; 하부벽체 고정클립 51; 고정클립부
52; 보강구홀 53; 격자 강봉
54; 원형판 55; 앵커홀
70; 보강구 72; 라운드부
73; 나사산 80; 강봉
90; 강봉 고정구 91; U자형 몸체부
92; 앵커홀

Claims (1)

  1. 베란다 벽체와 연설된 하부 벽체에는 베란다 난간이 설치되되, 높이차를 가지도록 위치되는 2개의 상,하부 수평대 사이에 수직대가 다수개 용접되고 사각판이 길이 양측에 일체형성된 수평대를 앵커로 베란다 벽체에 고정시켜 구성된 건축물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는 보강구조에 있어서,
    베란다 난간(10) 상부 수평대(11)의 길이 중앙에 다수개가 상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되,
    디귿자 몸체(31)에 보강구홀이 관통형성된 난간 고정클립(30);
    베란다 난간(10) 상부 수평대(11)의 길이 양측에 설치되고 상부 수평대(11)에 고정 클립부(41)가 설치되고 베란다 벽체(7)에 원형판(44)이 앵커(20)로 고정설치되어 베란다 난간(10)의 상부를 보강하되,
    고정 클립부(41)와 원형판(44) 사이에 격자 강봉(43)이 용접되어 일체형성되고, 고정 클립부(41)에 다수개의 보강구홀(42)이 형성되며, 원형판(44)에 삼각형 형태로 앵커홀(45)이 관통형성된 벽체 고정클립(40);
    베란다 난간(10) 하부 수평대(11)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고 하부 수평대(11)에 고정 클립부(51)가 설치되고 하부 벽체(9)에 원형판(54)이 앵커(60)로 고정설치되어 베란다 난간(10)의 하부를 보강하되,
    고정 클립부(51)와 원형판(54)의 사이에 격자강봉(53)이 용접되어 일체형성됨과 아울러 격자강봉(53)이 고정 클립부(51)의 측면에 용접되고, 고정 클립부(51)에 보강구홀(52)이 관통되며, 원형판(54)에 앵커홀(55)이 관통형성된 하부벽체 고정클립(50);
    난간 고정클립(30) 또는 벽체 고정클립(40)과 하부벽체 고정클립(50)의 보강구홀(42)(52)에 너트(75)로 체결고정되어 베란다 난간(10)의 중앙을 보강하되,
    디귿 격자 형태로 강봉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강봉의 중앙에 라운드부(72)가 반원형태로 형성되며, 길이 양측에 나사산(73)이 절삭된 보강구(70);
    보강구(70)의 라운드부(72)에 밀착되어 강봉 고정구(90)에 의해 고정되고 대구경의 원형 형태로 형성된 강봉(80); 및
    금속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사각바를 이용하여 제작되되, U자형 몸체부(91)의 양측에 수평하게 사각바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부재로, U자형 몸체부(91)의 양측에 앵커홀(92)이 관통되고 앵커(20)가 앵커홀(92)을 관통해 베란다 벽체(7)에 고정되는 강봉 고정구(90);를 포함하여 보강구조를 구성하되,
    상기 보강구조는 베란다 난간(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1020080006104A 2008-01-21 2008-01-21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100850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104A KR100850768B1 (ko) 2008-01-21 2008-01-21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104A KR100850768B1 (ko) 2008-01-21 2008-01-21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768B1 true KR100850768B1 (ko) 2008-08-11

Family

ID=3988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104A KR100850768B1 (ko) 2008-01-21 2008-01-21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7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59B1 (ko) 2010-07-14 2010-11-16 (주)대성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 보강시설물
KR102183911B1 (ko) * 2020-09-23 2020-11-27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보강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883A (ja) * 1996-05-16 1997-11-25 Sekisui Chem Co Ltd バルコニー手摺の補強構造
JPH10331439A (ja) 1997-05-29 1998-12-15 Sanwa Alum Kogyo Kk 手摺のリフォーム工法
JP2003321913A (ja) 2002-05-07 2003-11-14 San Rail:Kk 手摺りの改修方法と新しい手摺りの取付装置
KR100601790B1 (ko) 2006-04-04 2006-07-19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 보강구조
KR100689978B1 (ko) 2006-08-18 2007-03-08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100714070B1 (ko) 2007-02-22 2007-05-02 (주)건축사사무소 수목 21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100716019B1 (ko) 2006-08-31 2007-05-08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 보강구조물
KR100716929B1 (ko) 2006-11-30 2007-05-14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건축용 난간의 보강 시설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883A (ja) * 1996-05-16 1997-11-25 Sekisui Chem Co Ltd バルコニー手摺の補強構造
JPH10331439A (ja) 1997-05-29 1998-12-15 Sanwa Alum Kogyo Kk 手摺のリフォーム工法
JP2003321913A (ja) 2002-05-07 2003-11-14 San Rail:Kk 手摺りの改修方法と新しい手摺りの取付装置
KR100601790B1 (ko) 2006-04-04 2006-07-19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 보강구조
KR100689978B1 (ko) 2006-08-18 2007-03-08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100716019B1 (ko) 2006-08-31 2007-05-08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 보강구조물
KR100716929B1 (ko) 2006-11-30 2007-05-14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건축용 난간의 보강 시설물
KR100714070B1 (ko) 2007-02-22 2007-05-02 (주)건축사사무소 수목 21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59B1 (ko) 2010-07-14 2010-11-16 (주)대성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 보강시설물
KR102183911B1 (ko) * 2020-09-23 2020-11-27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보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KR101511290B1 (ko)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KR100850768B1 (ko) 건축물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JP4519015B2 (ja) 多孔板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100472405B1 (ko) 공동 주택 발코니 높이조정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JP5415241B2 (ja) 支持金物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KR101181673B1 (ko) 평철간살 밴딩형 조립식 발코니난간
KR100540299B1 (ko)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KR20090007331U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KR20100010750U (ko) 철근 안전 난간대 조립 좌대
KR101701782B1 (ko) 지주의 지지력 보강 기능을 갖는 가드레일
JP5354716B2 (ja) 建物付設物
KR100714070B1 (ko)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102315853B1 (ko) 데크용 난간의 설치구조
KR200371107Y1 (ko) 리브 결합형 교량 점검통로
KR200468618Y1 (ko) 난간동자
KR200459182Y1 (ko) 안전지주 설치대
KR200420402Y1 (ko) 건축 공사용 비계난간
KR100470761B1 (ko) 건축 구조물 베란다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