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863Y1 -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863Y1
KR200432863Y1 KR2020060023975U KR20060023975U KR200432863Y1 KR 200432863 Y1 KR200432863 Y1 KR 200432863Y1 KR 2020060023975 U KR2020060023975 U KR 2020060023975U KR 20060023975 U KR20060023975 U KR 20060023975U KR 200432863 Y1 KR200432863 Y1 KR 200432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rizontal
hole
support plat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이건수
Original Assignee
이종현
이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이건수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2020060023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8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8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5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supported within blind or through hol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나 공원, 도로변 등에 설치되는 난간파이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난간을 설치할 시에, 시공현장에서 별도의 용접설비나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지주파이프에 가로파이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는 난간파이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간격마다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파이프에 가로파이프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지주파이프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서 관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은 가로파이프의 외형에 맞게 형성함과 동시에 하측 일부분을 남기고 절단하여 외측으로 절곡시켜서 가로파이프의 하부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받침판이 관통공의 하측에 수평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파이프는 관통공에 삽입되어서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서 리벳, 직결나사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난간, 지주, 파이프, 보강파이프, 오목부, 결합 구조.

Description

난간파이프 결합구조{A COMBINATION STRUCTURE OF GUARDRAIL PIP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가)도면은 정단면도이고 (나)는 측단면도이며 (다)는 평단면도이다.
도 3은 지주파이프에 형성된 관통공 및 받침판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도면은 측단면도이고 (나)는 평단면도이다.
도 5는 지주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파이프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도면은 보강파이프의 사시도이고 (나)는 결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 10A : 지주파이프 11 : 관통공
12 : 받침판 13 : 결합공
14 : 리벳(또는 직결나사) 15 : 볼트
20, 20A, 20B : 가로파이프 21 : 오목부
30, 30A, 30B : 보강파이프 31 : 관통공
32a, 32b : 오목부 C1, C2 : 절단선 C3 : 절곡선
본 고안은 아파트나 공원, 도로변 등에 설치되는 난간파이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난간을 설치할 시에, 시공현장에서 별도의 용접설비나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지주파이프에 가로파이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지주파이프가 외부충격에 대하여 지지력이 보강되어 잘 휘어지지 않는 난간파이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인 파이프를 이용한 난간은, 그 설치현장에서 지주파이프의 상,하부에 가로파이프를 용접작업에 의해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용접기와 전기를 사용하여야 했기 때문에 행인들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함과 함께 안전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있었으며, 각종 설비를 설치현장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용접에 따른 작업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되어 있는 가로파이프를 스테인리스 재질인 지주파이프에 용접한 후에는 용접부위를 후처리 작업을 해야 했으며, 지주파이프와 가로파이프를 분체도장하여 도색이 된 상태에서 용접이 되었기 때문에 용접부위에는 그을린 자국이 그대로 선명하게 남아 있게 되어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았고, 지주파이프가 얇은 두께이면서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체여서 외부충격에 대한 지지력이 매우 취약한 상태였기 때문에 약한 충격에도 쉽게 지주파이프가 휘어지게 되 며, 이렇게 파손된 경우에는 지주파이프에 용접되어 있는 가로파이프의 부위를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시켜서 새로운 가로파이프로 교체해서 다시 용접해야 했기 때문에 보수작업에 많은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난간을 설치할 시에, 시공현장에서 별도의 용접설비나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지주파이프에 가로파이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는 난간파이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지주파이프가 외부충격에 대하여 지지력이 보강되어 잘 휘어지지 않는 난간파이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난간파이프 결합구조는, 일정간격마다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파이프에 가로파이프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지주파이프(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서 관통공(11)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11)은 가로파이프(20)의 외형에 맞게 형성함과 동시에 하측 일부분을 남기고 절단하여 외측으로 절곡시켜서 가로파이프(20)의 하부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받침판(12)이 관통공(11)의 하측에 수평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12)에는 결합공(13)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파이프(20)는 관통공(11)에 삽입되어서 상 기 받침판(12)의 하부에서 리벳(14) 직결나사 또는 볼트(15)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가로파이프(20A)는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오목부(21)를 형성하되, 상기 오목부(21)는 체결하는 볼트(15)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폭과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파이프(10)의 받침판(12)에 형성된 결합공(13)에는 나사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파이프(10),(10A)와 상기 가로파이프(20),(20B)는 각각 그 절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파이프(10)의 내부에는 보강파이프(30)를 삽입하되, 상기 보강파이프(30)는 그 외부 직경이 지주파이프(1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지주파이프(10)에 형성된 관통공(11) 부위에 맞게 관통공(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파이프(30A)는 정면 및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부(32a),(32b)을 형성하되, 상기 오목부(32a),(32b)는 지주파이프(10)의 내부에 삽입된 가로파이프(20)의 외주연에 근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난간파이프 결합구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 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가)도면은 정단면도이고 (나)는 측단면도이며 (다)는 평단면도이며, 도 3은 지주파이프에 형성된 관통공 및 받침판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일정간격마다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파이프(10)의 상,하부에 가로파이프(20)를 용접작업에 의해 고정하지 않고 간편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하부 사이에 한 줄 이상 가로파이프(20)를 더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파이프(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서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관통공(11)의 하측에는 수평상태로 받침판(12)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12)의 중앙에는 결합공(13)이 천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1)의 하측에 받침판(12)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관통공(11)은 가로파이프(20)를 삽입하여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로파이프(20)의 외형에 맞게 형성되는데, 즉 가로파이프(20)가 원형인 경우, 도 3의 (가)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의 절단선(C1)을 따라 절단시키게 된다.
이때, 원형을 이루는 하측 일부분을 남기고 절단하게 되며, (나)도면과 같이 받침판(12)이 사각판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절단선(C2)을 따라 절단시켜 절단된 부위를 제거한 후, 하측에 절단하지 않은 부위인 절곡선(C3)을 따라 외 측으로 수평상태로 절곡시켜서 (라)도면에서와 같이 받침판(12)이 관통공(11)의 하측에서 연결되어 있도록 형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절단작업은 레이저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판(12)은 가로파이프(20)의 하부 외주연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에 따라 오목한 곡률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오목부(21)가 형성된 가로파이프(20A)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파이프(20A)의 오목부(21)에 밀착되도록 평면을 이루면서 가로파이프(20A)의 하부 외주연에 밀착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외형이 사각형인 가로파이프의 경우에는 평판을 이루게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가로파이프는 도 1 및 도 2의 (나)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절단면이 원형인 것(20) 또는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오목부(21)가 형성된 가로파이프(20A)를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오목부(21)는 체결하는 볼트(15)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폭과 깊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오목부(21)가 형성된 가로파이프(20A)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지주파이프(10)의 받침판(12)에 형성된 결합공(13)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체결되는 볼트(15)가 고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주파이프(10)의 관통공(11)을 통해 가로파이프(20),(20A)를 삽입하여 관통시키면 가로파이프의 하부 외주연을 받침판(12)이 받쳐주게 되고, 가로파이프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가로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해서 받침판(12)의 하부에서 리벳(14)이나 직결나사 또는 볼트(15) 등을 받침판 (12)의 결합공(13)을 통해 체결하게 된다.
도 2의 (가)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로파이프(20)를 리벳(14)으로 리벳팅작업에 의해 고정할 수 있고, 가로파이프(20A)에 오목부(21)가 있는 경우, 볼트(15)를 조여주면 나사산이 있는 결합공(13)에 볼트가 고정되면서 그 선단부가 오목부(21)내로 밀어붙여지면서 오목부(21)가 볼트(15)의 선단부 폭과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트(15)의 나사부위가 오목부(21)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직접 형성되면서 나사결합되어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주파이프(10)의 내부에는 지주파이프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로 된 보강파이프(30)를 삽입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보강파이프(30)는 그 외부 직경이 지주파이프(1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지주파이프(10)에 형성된 관통공(11) 부위에 맞게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파이프(30)는 지주파이프(10)의 내주면에 그 외주면이 밀착되어서 삽입된다.
여기서, 지주파이프(10)의 내주면에 보강파이프(30)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이유는, 지주파이프(10)의 내주면에 보강파이프(30)가 밀착됨으로써 지주파이프(10)와 일체적으로 되면서 그 두께가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 지주파이프(10)의 두께가 더 두껍게 됨에 따라 외부충격에 대한 지지력이 강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2의 (다)도면에서 나타나듯이, 받침판(12)은 위에서 보았을 때 가로파이프(20)에 의해서 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크기를 최소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그 외형이 다른 형태로 된 가로파이프(20),(20A)를 하나의 도면에서 도시하였는데, 이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파이프(20),(20A)의 여러 형태를 모두 보여주기 위한 것일 뿐이며, 그와 같이 지주파이프(10)에 각기 다른 형태의 가로파이프(20),(20A)를 고정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형태로 된 가로파이프를 지주파이프(10)의 상,하부에 고정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도면은 측단면도이고 (나)는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지주파이프(10)는 원형인데 반해서, 도 4에 도시한 지주파이프(10A)는 그 절단면이 사각형인 사각파이프인 것에 차이가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파이프(20),(20B)의 외형에 맞게 관통공(11)이 형성됨과 동시에 받침판(12)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단지, 지주파이프(10A)가 사각파이프이므로 그 내부에 보강파이프(30A)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지주파이프(10A)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보강파이프(30A)도 사각파이프로 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사각파이프로 되어 있는 지주파이프(10A)에는 가로파이프(20),(20B)를 원형 또는 사각파이프를 상,하부에 각각 결합하여 함께 있는 형태를 이루게 할 수도 있고, 원형파이프로 된 가로파이프(20)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사각파이프로 된 가로파이프(20B)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지주파이프(10A)는 절단면이 원형파이프 또는 사각파이프로 된 가로파 이프(20),(20B)가 관통공(11)을 통하여 내부를 관통하였을 때, 가로파이프의 외주연이 내부에 근접되도록 즉, 가로파이프(20),(20B)의 외주연에 지주파이프(10A)의 정면부와 배면부가 밀착되는 형태로 형성하거나, 보강파이프(30A)를 지주파이프(10A)의 내부에 삽입한 경우에는 가로파이프(20),(20B)의 외주연에 보강파이프(30A)의 정면부와 배면부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지주파이프(10A)와 가로파이프와의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하고 일체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지주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파이프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도면은 보강파이프의 사시도이고 (나)는 결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파이프(30A)의 정면 및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부(32a),(32b)가 형성된 것인데, 이렇게 오목부(32a),(32b)를 형성한 이유는, 원형으로 된 지주파이프(10)에 삽입하였을 때 수평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부충격에 대해서 보다 강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오목부(32a),(32b)가 지주파이프(10)의 내부에 삽입된 가로파이프(20)의 외주연에 근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가로파이프(20),(20A)의 외주연을 지지하면서 지주파이프(10A)와 가로파이프와의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가로파이프(20),(20A),(20B)는 6m 정도의 길이로 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지주파이프(10),(10A)는 1 ~ 2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지주파이프와 지주파이프와의 사이가 2m로 설치된 경우에는, 4번째에 설치되는 지주파이프 내부에서 6m 길이인 가로파이프가 서로 맞대어져서 양측의 받침판에 볼트 등을 체결하여 고정되며, 설치되는 지역에서 시작하는 위치 와 맨끝 위치에 설치되는 지주파이프는 일측면에만 관통공(11) 및 받침판(1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은 여러 형태의 난간(또는 울타리)에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지주파이프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가로파이프 사이에 얇은 파이프를 절곡하여 각가지 문양을 표현한 울타리에 적용할 수 있고, 또는 지주파이프의 상부에 고정된 가로파이프에, 창살형의 장식부재가 상단부에 부착된 세로파이프를 가로파이프의 일정간격에 관통공을 천공하여 그 관통공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형태로 된 창살형 울타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하면, 지주파이프에 결합되는 가로파이프를 용접하지 않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편리하고, 지주파이프의 내부에 보강파이프가 삽입되어 지주파이프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부충격에 대한 지지력이 보강되어 잘 휘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 지주파이프에 형성된 받침판과 체결되는 볼트 등이 외부에서 볼때 가로 파이프에 의해서 가려져 있으므로 가로파이프가 지주파이프에 고정된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기술과 같은 숙련된 기술을 요하지 않으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 별도의 용접기나 전기시설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치현장이 지저분하지 않아 행인들의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며, 용접기 및 전기 사용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없다.
또한, 난간의 외형을 이루는 파이프의 결합이 용접에 의하지 않고 결합되기 때문에 각 부분별로, 즉 각각의 가로파이프와 지주파이프 등에 원하는 색상으로 분체도장을 할 수 있으므로 미관상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로파이프가 받침판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로파이프가 파손되었을 때에는 파손된 가로파이프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일정간격마다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파이프에 가로파이프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지주파이프(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서 관통공(11)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11)은 가로파이프(20)의 외형에 맞게 형성함과 동시에 하측 일부분을 남기고 절단하여 외측으로 절곡시켜서 가로파이프(20)의 하부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받침판(12)이 관통공(11)의 하측에 수평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12)에는 결합공(13)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파이프(20)는 관통공(11)에 삽입되어서 상기 받침판(12)의 하부에서 리벳(14), 직결나사 또는 볼트(15)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파이프(20A)는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오목부(21)를 형성하되, 상기 오목부(21)는 체결하는 볼트(15)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폭과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파이프(10)의 받침판(12)에 형성된 결합공(13)에는 나사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파이프(10),(10A)와 상기 가로파이프(20),(20B)는 각각 그 절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파이프(10)의 내부에는 보강파이프(30)를 삽입하되,
    상기 보강파이프(30)는 그 외부 직경이 지주파이프(1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지주파이프(10)에 형성된 관통공(11) 부위에 맞게 관통공(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파이프(30A)는 정면 및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부(32a),(32b)를 형성하되,
    상기 오목부(32a),(32b)는 지주파이프(10)의 내부에 삽입된 가로파이프(20)의 외주연에 근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2020060023975U 2006-09-05 2006-09-05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200432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975U KR200432863Y1 (ko) 2006-09-05 2006-09-05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975U KR200432863Y1 (ko) 2006-09-05 2006-09-05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863Y1 true KR200432863Y1 (ko) 2006-12-07

Family

ID=4178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975U KR200432863Y1 (ko) 2006-09-05 2006-09-05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8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978Y1 (ko) * 2009-07-08 2010-11-18 (합)현대철구산업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66122Y1 (ko) * 2009-06-22 2013-04-29 이미선 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87597Y1 (ko) * 2017-08-25 2018-10-11 (주)에스엔티 프레임 조립체
KR102575565B1 (ko) * 2023-02-13 2023-09-06 (주)신화 일체형 절곡브라켓을 갖는 난간 설치용 지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22Y1 (ko) * 2009-06-22 2013-04-29 이미선 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50978Y1 (ko) * 2009-07-08 2010-11-18 (합)현대철구산업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87597Y1 (ko) * 2017-08-25 2018-10-11 (주)에스엔티 프레임 조립체
KR102575565B1 (ko) * 2023-02-13 2023-09-06 (주)신화 일체형 절곡브라켓을 갖는 난간 설치용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2863Y1 (ko)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20110112101A (ko)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KR200420136Y1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18408Y1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66122Y1 (ko) 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20100034093A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100010085U (ko) 울타리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234845Y1 (ko) 조립식의 원형 지붕구조물
KR100846149B1 (ko) 난간파이프 결합부재
KR200428432Y1 (ko) 울타리용 지주의 결합구조
KR101026147B1 (ko) 간편한 조립구조를 갖는 보도용 난간 및 그 조립방법
CN202090616U (zh) 一种施工过程中楼梯的防护装置
KR200226498Y1 (ko) 난간용 지주의 조립식 구조관
KR20110085387A (ko)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100974510B1 (ko) 도로용 울타리
KR200398184Y1 (ko) 펜스 연결구
KR10074085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JP2006152705A (ja) ベランダ手摺
CN211447542U (zh) 一种安装快速的阳台栏杆
KR200470917Y1 (ko)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CN102767266A (zh) 阳台护栏
KR100669814B1 (ko) 난간의 결합 구조
CN217205271U (zh) 一种外脚手架易拆连墙件结构
CN215443113U (zh) 柱体模板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