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387A -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387A
KR20110085387A KR1020100005154A KR20100005154A KR20110085387A KR 20110085387 A KR20110085387 A KR 20110085387A KR 1020100005154 A KR1020100005154 A KR 1020100005154A KR 20100005154 A KR20100005154 A KR 20100005154A KR 20110085387 A KR20110085387 A KR 20110085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ing
coupled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이건수
Original Assignee
(합)현대철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현대철구산업 filed Critical (합)현대철구산업
Priority to KR102010000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5387A/ko
Publication of KR20110085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 공원 등에 설치되는 울타리에 적용하기 위한 울타리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용 연결고정수단은, 지면의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지주파이프와, 상하부에 걸쳐 지주파이프에 고정되는 가로파이프와, 상기 가로파이프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로파이프에 일면이 밀착 결합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양측면에 상기 가로파이프와 직결나사볼트로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의 중앙사이에 절단되는 절단홀에서 일측으로 절곡시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각각의 좌우 결합편; 상기 좌우 결합편의 적어도 하나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보강파이프의 상하단부와 결합된 체, 결합공을 통하여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보강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상기 가로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파이프의 상하단부와 결합되는 상하부 한 쌍의 연결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A COMBINATION STRUCTURE OF GUARDRAIL PIPE}
본 발명은 도로변이나 공원 등에 설치되는 울타리용의 난간파이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난간가로대에 바로 설치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제공하여 지주파이프와 연결파이프를 용접작업에 의하지 않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유지 보수에 따른 교체작업이 용이한 난간파이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파이프나 스테인리스 재질인 파이프를 이용한 울타리용 난간파이프는 도 1 종래의 일반적인 울타리를 보인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현장에서 지주파이프(100)의 상,하부에 가로파이프(200)를 용접작업에 의해서 고정하고 있는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용접기와 전기를 사용하여야 했기 때문에 행인들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함과 함께 동시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으며, 각종 설비를 설치현장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지주파이프(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로파이프(200)와, 지주파이프(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로파이프(200) 사이에는, 지주파이프(100)와 가까운 위치의 좌,우 양편에 보강용 연결파이프(300)를 용접에 의해서 고정하고 있기도 하다. 상기 보강용 연결파이프(300)는 상,하부 가로파이프(200) 상호간을 잡아주어 외부충격에 대항할 수 있는 보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용접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울타리는 가로파이프(200)를 지주파이프(100)에 용접한 후, 용접부위를 후처리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도 따랐고, 지주파이프(100)와 가로파이프(200)를 각각 다른 색상으로 분체 도장하여 도색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용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부위에서 그을린 자국이 그대로 선명하게 남아 있게 되어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았다. 이렇게 용접작업에 의한 문제점으로 인해서 일반적으로 지주파이프(100)와 가로파이프(200)를 분체도장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지주파이프와 가로파이프의 연결구조에 있어 용접작업 없이 연결부재들을 이용한 설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설치 또한 불편하는 등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고, 특히 미관상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보강용 연결파이프의 설치는 아직도 용접에 의한 작업이 빈번이 이루어지고 있는 등 문제점이 여전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가로파이프를 용접작업에 의하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울타리용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로파이프에 보강용 연결파이프를 매우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울타리용 연결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손을 파지하도록 사용되는 난간용 가로파이프에 지주파이프를 간편하게 연결하는 연결캡을 제공하여 용접작업을 하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주파이프와 가로파이프 및 보강용 연결파이프를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재를 제공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설치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의 상기한 목적은, 지면의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지주파이프와, 상하부에 걸쳐 지주파이프에 고정되는 가로파이프와, 상기 가로파이프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로파이프에 일면이 밀착 결합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양측면에 상기 가로파이프와 직결나사볼트로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의 중앙사이에 절단되는 절단홀에서 일측으로 절곡시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각각의 좌우 결합편; 상기 좌우 결합편의 적어도 하나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보강파이프의 상하단부와 결합된 체, 결합공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보강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상기 가로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파이프의 상하단부와 결합되는 상하부 한 쌍의 연결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우 결합편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은 길이가 다소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파이프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하는 체결공을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또 다른 일측 양측에는 제1 연결부에 보강파이프가 결합시 밀착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하는 지지편이 형성되는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고정수단이, 상기 가로파이프의 상하단과 직결나사볼트로 체결 고정되도록 몸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서 각각 좌우 양측이 절곡된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의 적어도 하나에 관통된 결합공을 가지며, 상기 보강파이프의 상하단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공과 결합공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가로파이프에 보강파이프를 결합하여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로, 구성된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의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지주파이프와, 상부에 걸쳐 지주파이프에 고정되는 난간파이프과, 지주파이프의 하단에 걸쳐 지지되는 가로파이프, 및 상기 난간파이프와 가로파이프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파이프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고정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난간파이프의 하단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폭으로 절단되는 절단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홀의 사이의 일면에서 절단되어 양일측으로 절곡되는 좌우 결합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 결합편의 적어도 하나에 관통된 결합공을 가지며, 상기 좌우 결합편이 보강파이프의 상단부와 결합된 후 결합공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연결바; 및 상기 가로파이프와 연결 고정되도록 일측면에 관통되는 관통공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일측면의 양일측으로 절단하여 절곡되는 좌우 결합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 결합편의 적어도 하나에 관통되는 결합공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보강파이프의 하단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연결구; 를 포함하여 연결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고정수단인 연결바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와 결합된체 직결나사볼트로 체결하여 고정 지지되고, 하부로 상기 지주파이프의 상단이 끼움 결합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캡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캡을 형성하되, 몸체의 내측으로 관통된 공간부를 갖고, 상부 일면에 상기 연결바의 결합편의 결합공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로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는 지주파이프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홀이 형성되며, 하단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지주파이프와 직결나사볼트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내외측이 상기 지주파이프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는 연결캡으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캡을 형성하되, 상부가 밀폐되는 몸체의 내측으로 관통된 공간부를 갖고, 상부 일측 둘레면면에 상기 연결바의 결합편의 결합공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로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하부는 지주파이프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홀이 형성되며, 하단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지주파이프와 직결나사볼트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내외측이 상기 지주파이프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는 연결캡으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가로파이프를 용접에 의하지 않고 간편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파이프에 1경간 부위를 매우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편리하다.
또, 울타리를 제작하는 공장에서 가로파이프의 양단부에 연결고정수단을 고정하고 문양부위도 형성하여 1경간(지주와 지주 사이를 말함)을 제작한 상태에서 울타리를 시공하는 장소로 운반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울타리를 제작하는 공장에서 각 부위별로, 예를 들면, 가로파이프, 연결고정수단, 지주파이프, 보강파이프 등, 각각을 각기 다른 색상으로 분체도장 할 수 있으므로, 미관상 매우 좋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주파이프를 포함한 1경간 부위가 다채로운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제작하여 울타리 시공현장에서 분체도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시 미관상 아름다운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는 가로파이프를 리벳팅에 의해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기술과 같은 숙련된 기술을 요하지 않으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시공현장에서 별도의 용접기나 전기시설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치현장이 지저분하지 않아 행인들의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며, 용접기 및 전기 사용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없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울타리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모습을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한 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결바를 절단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연결수단의 결합을 보인 보인 횡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파이에 결합되는 연결캡이 결합된 울타리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파이에 결합되는 연결캡의 단면도,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파이프에 결합되는 연결캡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사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모습을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한 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수단(10),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파이프(1)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상하로 구분되는 가로파이프(2)를 고정하며, 상기 상하부 가로파이프(2) 사이에 연결되는 보강파이프(3)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고정수단(10)은 지주파이프(1)와 연결된 상하부 가로파이프(2)에 각각 설치되어 보강파이프(3)를 연결 고정하도록 하는 상하 한 쌍의 제1 연결부(10A) 및 제2 연결부(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결부(10A)는, 상부 가로파이프(2)의 하단면에 연결 고정되면서 상기 보강용 연결파이프(3)의 상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서, 평판형의 몸체(11)에 직결나사볼트(B)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a)의 중앙사이에 절단되는 절단홀(12)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홀(12) 주변에 하부로 절곡시킨 좌우 결합편(13)(14)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또 다른 일측 양측으로 지지편(15)이 형성되는 데, 이는 제1 연결부(10A)에 결합되는 보강파이프(3)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 결합편(13)(14)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13)은 길이가 다소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합편(13)에는 관통된 결합공(13a)을 가진다.
이때, 상기 보강용 연결파이프(3)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14a)과 대응하는 체결공(3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한 쪽의 결합편(14)이 더 길게 형성된 것은 체결공(3a)이 관통된 보강파이프(3)가 결합시 체결공(3a)과 어느 정도 위치를 맞추는 것이 설치 및 제작상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연결부(10B)는, 제1 연결부(10a)와 그 구성이 같아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하부 가로파이프(2)의 상단면에 직결나사볼트(B)로 결합 고정되고, 상기 보강파이프(3)의 하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연결부(10A) 및 제2 연결부(10B)는 서로 대칭으로 위치하는 상하 한 쌍의 연결고정수단(10)으로 상기 상하부의 가로파이프(2)에 보강파이프(3)를 간편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가로파이프(2)에 결합된 제1 연결부(10A)의 결합편(13)(14)으로 보강용 연결파이프(3)가 결합될 때, 상기 결합편(13)(14)이 보강용 연결파이프(3)의 공간 내측으로 밀착되어져 체결공(3a)과 결합공(13a)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상기 체결공(3a)과 결합공(13a)을 관통하는 직결나사볼트(16)를 체결하여 제1 연결부(10a)에 보강용 연결파이프(3)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로파이프(2)의 하단면에 연결 고정되면서 상기 보강파이프(3)의 상하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연결고정수단(10)이 직결나사볼트(B)로 가로파이프(2)에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반듯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브라인드 리벳(blind rivet) 등, 체결을 위한 수단이면 족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고정수단(20)을 형성하되, 상하부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연결부(20A) 및 제2 연결부(20B)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0A)와 제2 연결부(20B)는 상호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그 구조가 동일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서, 몸체(21)가 평판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로파이프(2)의 상하단과 직결나사볼트(B)로 체결 고정되도록 관통공(21a)(21b)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21)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각각 좌우 양측이 절곡된 결합편(23)(2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편(23)(24)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23)에는 관통된 결합공(23a)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보강파이프(3)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23a)과 대응하는 체결공(3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용 연결파이프(3)의 상하단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공(3a)과 결합공(23a)을 관통하는 직결나사볼트(25)로 체결하여 상기 가로파이프(2)에 보강파이프(3)를 결합하도록 하는 상하 한 쌍의 연결고정수단(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한 모습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정수단(30)은 전자와 같은 울타리의 가로파이프(2)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울타리 구조에 있어 이용자가 손을 파지할 수 있는 난간파이프(4)에 보강파이프(3)를 간단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연결고정수단(30)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결고정수단(30)은, 상단에 지주파이프(1)와 연결되는 난간파이프(4)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바(31A)와, 하단에 가로파이프(2)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구(31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1A)는, 상기 난간파이프(4)의 하단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 결합되는 몸체(32)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32)를 따라 일정간격마다 다수로 구획되어 절단된 절단홀(32a) 형성되고, 상기 절단홀(32a) 주변에 하측으로 절곡시킨 좌우 결합편(33)(33')을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32)의 또 다른 일측 양측으로 지지편(34)이 형성되는 데, 이는 연결바(31A)에 결합되는 보강파이프(3)의 상단부 외측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 결합편(33)(33')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33)은 길이가 다소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합편(33)에는 관통된 결합공(33a)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파이프(3)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33a)과 대응하는 체결공(3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31B)는, 가로파이프(2)의 상단면에 연결 고정되면서 상기 보강파이프(3)의 하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서, 평판형의 밀착면(37)에 직결나사볼트(B)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37a)(37b)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면(37)에서 일측으로 각각 좌우 양측이 절곡된 결합편(38)(39)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편(38)(39)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38)에는 관통된 결합공(38a)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보강파이프(3)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38a)과 대응하는 체결공(3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수단(30)은, 상기 상부 난간파이프(4)에 결합된 연결바(31A)의 좌우 결합편(33)(33')으로 보강파이프(3)의 상단이 결합될 때, 상기 결합편(33)(33‘)이 보강파이프(3)의 공간 내측으로 밀착되어져 체결공(3a)과 결합공(33a)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상기 체결공(3a)과 결합공(33a)을 관통하는 직결나사볼트(B)를 체결하여 연결바(31A)에 보강파이프(3)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 가로파이프(3)에 결합된 연결구(31B)의 결합편(38)(39)으로 보강용 연결파이프(3)의 하단이 결합될 때, 상기 결합편(38)(39)이 보강파이프(3)의 공간 내측으로 밀착되어져 체결공(3a)과 결합공(38a)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상기 체결공(3a)과 결합공(38a)을 관통하는 직결나사볼트(35)를 체결하여 연결구(31B)에 보강파이프(3)를 하단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구조는 또한, 울타리 구조 중 손을 파지할 수 있는 난간용파이프(4)에 지주파이프(1)를 간단하게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캡(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연결수단의 결합을 보인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파이에 결합되는 연결캡이 결합된 울타리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측으로 공간부(51a)를 갖고, 내외측이 상기 지주파이프(1)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는 몸체(51)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51)의 상하부에 개방된 상하 개방홀(52)(53)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정수단(30)인 연결바(31A)에 결합 고정되어 볼트(35)와 너트(36)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개방홀(52)이 있는 일측 둘레면에 관통된 결합공(54)이 형성되고, 하단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지주파이프(1)와 직결나사볼트(b)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체결공(55)이 형성되며, 하부 개방홀(53)에 상기 지주파이프(1)의 상단이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고정수단(30)의 연결바(31A)에 연결캡(50)의 개방된 상부 개방홀(52)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상부 개방홀(52) 주변에 형성된 결합공(54)에 연결바(31A)의 결합편(33)에 형성된 결합공(33a)이 같은 선상에 위치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결합공(33a)(54)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35)로 체결하여 연결바(31A)에 연결캡(50)의 상부가 고정 지지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된 하부 개방홀(53)로 상기 지주파이프(1)의 상단이 끼움 결합하여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파이에 결합되는 연결캡의 단면도이며,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파이프에 결합되는 연결캡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캡(60)을 형성하되, 몸체(61)의 상부는 밀폐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지주파이프(1)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 공간(61a)을 가지며, 상부 둘레부 일측(62)면에 관통된 결합공(64)이 형성할 수 있고, 하단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지주파이프(1)와 직결나사볼트(b)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체결공(65)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방된 하부의 개방홀(63)로 상기 지주파이프(1)의 상단이 끼움 결합하여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는 설치시 보강파이프들 사이에 다소 얇은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설치하여 각종 문양을 형성하거나 또는 문양이 형성된 주물판을 부착하여 문양부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수단(10)를 울타리에 적용할 때에는, 울타리를 제작하는 공장에서 가로파이프(2)의 양단부를 고정하고 보강파이프(3))도 함께 제작한 상태에서 시공하는 장소로 운반하여 울타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작공장에서 원하는 색상으로 분체도장을 실시할 수도 있는데, 보강파이프(3)를 고정하고 있는 연결고정수단(10)이 연결파이프(3)의 내측공간에 있으므로 보강파이프(3)가 연결된 부위에서 매끄러운 분체도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용 연결고정수단을 이용한 울타리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울타리를 제작하는 공장에서 연결부재(10)을 비롯하여 가로파이프(2), 지주파이프(1) 각 부위별로 분체도장을 할 수 있으며, 울타리 시공현장에서는 연결고정수단(10)과 가로파이프(2) 및 보강파이프(3)를 포함하는 1경간(지주와 지주 사이를 말함.) 부위를 지주파이프(1)에 용접작업 하지 않으므로, 분체도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며, 각 부위별 분체도장에 의하여 도시 미관상 아름다운 외관을 가지는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파이프(1)에 연결캡(50)을 결합한 다음, 연결고정수단(30)에 의해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1경간마다 지주파이프(1)에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됨에 따라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20, 30 : 연결고정수단 10A, 20A, : 제1 연결부
10B, 20B, : 제2 연결부 11, 21, 32, 51, 61: 몸체
11a, 21a, 21b, 37a, 37b : 관통공 12, 32a : 절단홀
13, 14, 23, 24, 33, 38: 결합편 13a, 23a, 33a, 38a, 54, 64 : 결합공
15, 34, 39 : 지지편 16, 25, 35, B : 직결나사볼트
31A : 연결바 31B : 연결구 37 : 일측면 50, 60 : 연결캡
51, 61 : 몸체 51a, 61a : 공간
52, 53, 63 : 개방홀 55, 65 : 체결공

Claims (6)

  1. 지면의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지주파이프(1)와, 상하부에 걸쳐 지주파이프(1)에 고정되는 가로파이프(2)와, 상기 가로파이프(2)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파이프(3)로 이루어지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로파이프(2)에 일면이 밀착 결합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몸체(11);
    상기 몸체(11)의 일측 양측면에 상기 가로파이프(2)와 직결나사볼트(B)로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11a);
    상기 관통공(11a)의 중앙사이에 절단되는 절단홀(12)에서 일측으로 절곡시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각각의 좌우 결합편(13)(14);
    상기 좌우 결합편(13)(14)의 적어도 하나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13a); 및
    상기 보강파이프(3)의 상하단부와 결합된 체, 결합공(13a)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16)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제1 연결부(10A) 및 제2 연결부(10B)를; 포함하여 상기 보강파이프(3)를 연결하는 연결고정수단(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연결부(10A)와 제2 연결부(10B)가, 상기 가로파이프(2)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파이프(3)의 상하단부와 결합되는 상하부 한 쌍의 연결고정수단(10)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결합편(13)(14)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13)은 길이가 다소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파이프(3)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13a)과 대응하는 체결공(3a)을 형성되고,
    상기 몸체(11)의 또 다른 일측 양측에는 제1 연결부(10A)에 보강파이프(3)가 결합시 밀착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하는 지지편(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수단(20)이,
    상기 가로파이프(2)의 상하단과 직결나사볼트(B)로 체결 고정되도록 몸체(21)에 관통공(21a)(21b)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1)에서 각각 좌우 양측이 절곡된 결합편(23)(2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23)(24)의 적어도 하나에 관통된 결합공(23a)을 가지며,
    상기 보강파이프(3)의 상하단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공(3a)과 결합공(23a)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25)로 체결되어, 상기 가로파이프(2)에 보강파이프(3)를 결합하여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연결부(20A) 및 제2 연결부(2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4. 지면의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지주파이프(1)와, 상부에 걸쳐 지주파이프(1)에 고정되는 난간파이프(4)과, 지주파이프(1)의 하단에 걸쳐 지지되는 가로파이프(2), 및 상기 난간파이프(4)와 가로파이프(2)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파이프(3)로 이루어지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파이프(3)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고정수단(30)을 형성하되;
    상기 난간파이프(4)의 하단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몸체(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폭으로 절단되는 절단홀(32a)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홀(32a)의 사이의 일면에서 절단되어 양일측으로 절곡되는 좌우 결합편(33)(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 결합편(33)(33')의 적어도 하나에 관통된 결합공(33a)을 가지며, 상기 좌우 결합편(33)(33')이 보강파이프(3)의 상단부와 결합된 후 결합공(33a)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35)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연결바(31A); 및
    상기 가로파이프(2)와 연결 고정되도록 일측면(37)에 관통되는 관통공(37a)(37b)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B)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일측면(37)의 양일측으로 절단하여 절곡되는 좌우 결합편(38)(39)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 결합편(38)(39)의 적어도 하나에 관통되는 결합공(38a)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35)로 체결되어 상기 보강파이프(3)의 하단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연결구(31B); 를 포함하여 연결고정수단(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고정수단(30)인 연결바(31A)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31A)와 결합된체 직결나사볼트(35)로 체결하여 고정 지지되고, 하부로 상기 지주파이프(1)의 상단이 끼움 결합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캡(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50)을 형성하되,
    몸체(51)의 내측으로 관통된 공간부(51a)를 갖고, 상부 일면에 상기 연결바(31A)의 결합편(33)의 결합공(33a)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35)로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공(54) 형성되고, 하부는 지주파이프(1)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홀(52)(53)이 형성되며, 하단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지주파이프(1)와 직결나사볼트(B)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체결공(55)이 형성되고, 내외측이 상기 지주파이프(1)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는 연결캡(50)으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6. 제 4 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60)을 형성하되,
    상부가 밀폐되는 몸체(61)의 내측으로 관통된 공간부(61a)를 갖고, 상부 일측 둘레면(62)면에 상기 연결바(31A)의 결합편(33)의 결합공(33a)을 통하여 직결나사볼트(35)로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공(64) 형성되고, 하부는 지주파이프(1)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홀(63)이 형성되며, 하단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지주파이프(1)와 직결나사볼트(B)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체결공(65)이 형성되고, 내외측이 상기 지주파이프(1)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는 연결캡(60)으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1020100005154A 2010-01-20 2010-01-20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20110085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154A KR20110085387A (ko) 2010-01-20 2010-01-20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154A KR20110085387A (ko) 2010-01-20 2010-01-20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87A true KR20110085387A (ko) 2011-07-27

Family

ID=4492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154A KR20110085387A (ko) 2010-01-20 2010-01-20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53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584A (ko) 2015-08-07 2017-02-15 임성록 접이식 차단시설
KR20220013996A (ko) 2020-07-28 2022-02-04 송수연 장부 맞춤형 울타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584A (ko) 2015-08-07 2017-02-15 임성록 접이식 차단시설
KR20220013996A (ko) 2020-07-28 2022-02-04 송수연 장부 맞춤형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101223976B1 (ko) 울타리 지주 결합구조
KR20110085387A (ko)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20110112101A (ko)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KR200430523Y1 (ko) 가로등주의 연결구조
KR200432863Y1 (ko)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200418408Y1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110008797A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45097Y1 (ko) 기둥부와 펜스부가 일체로 형성된 펜스대
KR101144666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00010085U (ko) 울타리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234845Y1 (ko) 조립식의 원형 지붕구조물
KR100752428B1 (ko) 난간의 결합구조
CN201738266U (zh) 一种钢质组合式护栏
KR101284055B1 (ko) 조립식 난간 구조
KR101026147B1 (ko) 간편한 조립구조를 갖는 보도용 난간 및 그 조립방법
KR20010069576A (ko) 교통신호등용 철주
KR100974510B1 (ko) 도로용 울타리
KR200450978Y1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110000112U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101080683B1 (ko) 교통신호등 설치 구조물
KR200398184Y1 (ko) 펜스 연결구
KR200355405Y1 (ko) 조립식 난간
CN210530921U (zh) 一种盾构隧道用行人踏板机构
KR101314058B1 (ko)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교통시설물 철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