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917Y1 -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917Y1
KR200470917Y1 KR2020120001270U KR20120001270U KR200470917Y1 KR 200470917 Y1 KR200470917 Y1 KR 200470917Y1 KR 2020120001270 U KR2020120001270 U KR 2020120001270U KR 20120001270 U KR20120001270 U KR 20120001270U KR 200470917 Y1 KR200470917 Y1 KR 200470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base plate
inner tube
connection
stree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110U (ko
Inventor
서상로
Original Assignee
서상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로 filed Critical 서상로
Priority to KR2020120001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91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9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파형 구조의 가로등 지주 및 각 구성들을 견고하게 연결 설치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구성 간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중공의 하부지주 및, 중공의 상부지주가 구비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하부지주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 결합하도록 내관과 내관의 측방에 형성되어 내관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외관으로 이루어진 연결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사이에는 상기 상, 하부지주를 서로 연결 결합하도록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삽입부와 본체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삽입부가 구비된 연결체결구가 설치되되, 상기 상부지주의 외면과, 하부지주의 외면 및, 상기 연결고정의 내관과 외관의 외면 그리고, 상기 연결체결구의 상부삽입부와 하부삽입부의 외면은 복수 개의 산부와 골부가 번갈아가면서 연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파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street light prop having corrugated structure}
본 고안은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가로등의 가로등 지주를 포함한 각 구성을 파형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파형 구조의 가로등 지주 및 각 구성들을 견고하게 연결 설치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구성 간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거리의 조명이나 교통의 안전 또는, 미관(美觀) 따위를 위하여 길가를 따라 설치해 놓은 등이다.
상기 가로등은 지면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형성된 아암에 고정되는 조명램프 및, 제어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은 지주 내에 설치된 전선을 통해 조명램프로 인가되고, 상기 조명램프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빛을 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등의 지주는 주철이나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원형 형상의 금속관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등의 지주는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동일한 직경 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지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각 지주를 서로 연결 결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로등용 가로등 지주는 주로 원형 형상의 금속관체를 사용하는데, 상기 원형 관체의 가로등 지주는 높은 강도와 경도 및 충격에 강하도록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가로등 지주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가로등 지주의 무게가 많이 나감은 물론 재료의 손실 및 가격이 상승하는 등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복수 개의 가로등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구는 상기 가로등 지주에 용접하여 연결 결합함에 따라 상기 연결구에 의한 가로등 지주 간의 결합 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분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로등 지주와 연결구가 결합된 용접부위가 빗물이나 눈 등의 외부 환경에 오랫동안 노출될 경우 상기 용접부위가 녹이 슬거나 자연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이로 인한 가로등 지주의 손상이나 파손됨에 따라 상기 가로등 지주의 본래 역활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가로등 지주 중 어느 하나의 가로등 지주가 손상이나 파손될 경우 상기 가로등 전체를 바꿔야 하는 등 수리 및 교체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교체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가로등용 가로등 지주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강도와 경도는 한층 높임은 물론 충격에도 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로등 지주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의 가로등 지주 및 연결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가로등의 가로등 지주(상, 하부지주)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각 지주를 연결 결합하는 연결체결구의 외면을 파형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의 각 구성들을 볼트 체결함으로써, 상기 지주를 포함한 각 구성의 강도와 경도를 높임은 물론 충격에 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체결구에 의한 각 지주 및, 상기 하부지주와 베이스 플레이트는 견고하게 연결 설치됨은 물론 상기 각 구성 간의 결합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직립 설치되는 중공의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중공의 상부지주가 구비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지주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 결합하는 연결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사이에는 상기 상, 하부지주를 서로 연결 결합하는 연결체결구가 설치되되, 상기 연결고정구는, 중앙부가 관통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측방에 형성되어 하부지주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내관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체결구는, 중앙부가 관통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부지주의 하단부 내로 삽입되는 상부삽입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하부지주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하부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주의 외면과, 하부지주의 외면 및, 상기 연결고정의 내관과 외관의 외면 그리고, 상기 연결체결구의 상부삽입부와 하부삽입부의 외면은 복수 개의 산부와 골부가 번갈아가면서 연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파형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가로등의 가로등 지주(상, 하부지주) 외면과,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연결고정구의 내, 외관 외면 및, 상기 각 지주를 연결 결합하는 연결체결구의 상, 하부삽입부 외면을 각각 복수 개의 산부와 골부가 번갈아가면서 연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파형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상기의 각 구성은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강도와 경도를 높임은 물론 충격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한 각 구성의 손상이나 파손없이 오랫동안 사용함에 따라 재료의 손실 절감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등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형 구조의 각 구성을 서로 연결 결합할 경우 상기 연결 결합된 각 구성이 유동되면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파형 형상에 의하여 각 구성의 외면에 광고물 등과 같은 부착물을 부착하기 어려움에 따라 상기 가로등이 설치된 거리 및 주변환경이 깨끗해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연결체결구에 의해 각 지주 내로 빗물이나 눈 등이 유입되지 않음에 따라 누전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구성의 외면 구조 즉, 파형 형상과 더불어 볼트 체결에 의해 각 구성이 결합됨에 따라 녹이 슬거나 자연 부식현상이 방지되므로 인해 장기간 사용가능한 효과도 있다.
한편, 파형 구조의 연결체결구에 의한 상, 하부지주 및, 상기 하부지주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조립식으로 연결됨은 물론 각 구성을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각 구성 즉, 연결체결구에 의한 지주 간 및, 지주와 베이스 플레이트는 보다 견고하게 연결 설치됨은 물론 상기 각 구성은 결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므로 인해 상기 각 구성을 결합하는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구성 중 손상이나 파손된 구성만을 분리하여 교체 및 수리 가능함에 따라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교체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 파형 구조의 가로등 지주로 제작된 가로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 가로등의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및 연결체결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상부지주가 결합된 연결체결구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하부지주가 결합된 연결체결구를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부지주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하부지주가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 가로등의 연결체결구에 의해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거리의 조명이나 교통의 안전 또는, 미관(美觀) 따위를 위하여 길가를 따라 설치해 놓은 가로등(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가로등(1)은 도 1에서와 같이, 지면에 결합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중앙부가 관통되는 내관(21)과 상기 내관(21)의 측방에 형성된 외관(22)으로 이루어진 연결고정구(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연결고정구(20)에 연결 결합되는 중공의 하부지주(40)가 직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지주(40)의 상부에는 중공의 상부지주(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의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40) 사이에는 상기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40)를 서로 연결 결합하는 연결체결구(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주(30)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주위를 환하게 밝히는 조명램프(6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연결체결구(5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중앙부가 관통된 중공 형태의 본체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51)의 상면에는 중공의 상부지주(30) 하단부 내로 삽입되는 중공의 상부삽입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51)의 하면에는 중공의 하부지주(40) 상단부가 삽입되는 중공의 하부삽입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삽입부(52)의 외경은 상기 하부삽입부(53)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40)가 상기 연결체결구(50)에 의해 서로 연결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결체결구(50)에 의하여 빗물이나 눈 및 각종 먼지 등이 상, 하부지주(30,4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연결체결구(5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부삽입부(52)와 하부삽입부(53)의 외경에 의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40)를 서로 연결 결합하거나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 하부지주(30,40)를 서로 연결 결합할 수 있는데, 이는 가로등(1)의 형상이나 구조 및 사용목적, 효과 그리고,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가로등(1)을 구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연결고정구(20)를 구성하는 내관(21)과 외관(22)은 도 1과 도 5에서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의 이격 간격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연결고정구(20)에 하부지주(40)가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지주(4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지주(30)와 상기 하부지주(40)의 외주면은 복수 개의 산부와 골부가 번갈아가면서 연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체결구(50)의 상, 하부삽입부(52,53)의 외주면은 상기 상, 하부지주(30,40)가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연결 결합되도록 상기 상, 하부지주(30,40)와 동일한 형상인 파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연결고정구(20)의 내, 외관(21,22) 외주면은 하부지주(40)의 하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연결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지주(40)와 동일한 형상인 파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로등(1)의 상, 하부지주(30,40)와 상기 연결체결구(50)의 상, 하부삽입부(52,53) 및, 상기 연결고정구(20)의 내, 외관(21,22)의 외주면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모두 동일한 형상인 파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각 구성들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산부와 골부가 연이어진 파형 구조를 갖는 각 구성들 즉, 상기 상부지주(30)와 상부삽입부(52) 및, 상기 하부지주(40)와 하부삽입부(53) 그리고, 상기 내, 외관(21,22)과 하부삽입부(53)가 볼트(a)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상, 하부지주(30,40)의 골부 및, 상기 상, 하부삽입부(52,53)의 골부 그리고, 상기 내, 외관(21,22)의 골부에는 상기 볼트(a)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체결공은 상기 각 구성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 하부지주(30,40)의 각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위치인 골부에는 볼트(a)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30a,40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 하부삽입부(52,53)의 각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위치인 골부에는 볼트(a)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52a,5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내, 외관(21,22)의 각 중심으로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위치인 골부에는 볼트(a)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21a,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 외관(21,22)의 각 체결공(21a.22a)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과 상기 외관(22)의 외주면에는 외관(2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를 형성하거나 또는 형성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가로등(1)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제작 여건,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 즉,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40) 및 연결체결부(50)의 각 외면에는 상기 각 지주(30,40) 및 연결체결부(50)의 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상기 각 구성의 외면과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녹이나 자연 부식을 방지 및, 절연성을 높이도록 세라믹(ceramics)코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앵커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지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0)를 고정 설치하고 나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고정구(20)의 내관(21)과 외관(22) 사이로 가로등 지주 즉, 하부지주(40)의 하단부를 삽입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내, 외관(21,22)에 형성된 체결공(21a,22a)과 상기 하부지주(4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40a)은 일치되고, 상기의 각 체결공(21a,22a,40a)이 일치한 상태에서 볼트(a)를 삽입 체결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하부지주(40)가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체결구(50)의 본체부(51) 하부에 형성된 하부체결부(52) 내로 하부지주(40)의 상단부를 삽입 설치한 다음 상기 하부지주(4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공(40a)과 상기 하부체결부(52)의 체결공(52a)이 일치하게 되면, 상기 일치된 체결공(40a,52a)으로 볼트(a)를 삽입 체결하여 상기 하부지주(40)의 상단부에 연결체결구(50)를 연결 결합한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체결구(50)의 상방 측에 상부지주(3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주(30)의 하단부 내로 상기 연결체결부(50)의 본체부(51) 상부에 형성된 상부체결부(51)를 삽입 설치한 후 상기 상부지주(3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30a)과 상기 상부체결부(51)의 체결공(51a)이 일치하게 되면, 상기 일치된 체결공(30a,51a)으로 볼트(a)를 삽입 체결하여 상기 상부지주(30)의 하단부를 연결체결부(50)에 연결 결합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40)는 상기 연결체결구(50)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연결 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지주(30)의 하단부와 하부지주(40)의 상단부를 연결체결구(50)가 감싸는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상, 하부지주(30,40) 내로 빗물이나 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빗물이나 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누전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형 구조로 형성된 가로등(1)의 가로등 지주를 포함한 각 구성을 볼트(a)로 체결함에 따라 강도와 경도가 높고 충격이 강한 상기 각 구성들 간의 결합이 견고함은 물론 상기 각 구성 간의 연결 결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 하부지주(30,40)를 포함한 가로등(1)의 각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이나 파손 등으로 인하여 수리 및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볼트(a)를 풀어 수리하고자 하는 구성을 분리한 후 이를 수리하거나 교체한 후 다시 연결 결합하므로, 상기 각 구성의 수리 및 교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구성만을 교체함에 따라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 하부지주(30,40)와 같이 파형 구조를 갖는 파형관은 가로등(1)용 가로등 지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주택 건설용, 도로 토목용, 전기 배선용 및, 액체나 기체의 이송을 안내하는 송수관용 등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 : 가로등 10: 베이스 플레이트
20: 연결고정구 21: 내관
22: 외관 30; 상부지주
40: 하부지주 50: 연결체결구
51: 본체부 52: 상부삽입부
53: 하부삽입부 60: 조명램프
21a,22a,30a,40a,52a,53a: 체결공

Claims (3)

  1.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직립 설치되는 중공의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중공의 상부지주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지주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 결합하는 연결고정구와, 상기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지주를 서로 연결 결합하는 연결체결구가 구비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구는, 중앙부가 관통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측방에 형성되어 하부지주의 하단부가 삽입됨은 물론 상기 삽입된 하부지주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하부지주의 두께와 동일한 폭으로 상기 내관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체결구는, 중앙부가 관통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부지주의 하단부 내로 삽입되는 상부삽입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하부지주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하부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주의 외면과, 하부지주의 외면 및, 상기 연결고정구의 내관과 외관의 외면 그리고, 상기 연결체결구의 상부삽입부와 하부삽입부의 외면은 복수 개의 산부와 골부가 번갈아가면서 연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형 구조를 갖는 상, 하부지주의 골부 및, 연결고정구의 내관과 외관의 각 골부 그리고, 연결체결구의 상, 하부삽입부의 각 골부에는 상기의 구성을 서로 연결 결합하도록 볼트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됨은 물론 상기의 각 체결공은 상기 각 구성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1270U 2012-02-20 2012-02-20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KR200470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270U KR200470917Y1 (ko) 2012-02-20 2012-02-20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270U KR200470917Y1 (ko) 2012-02-20 2012-02-20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10U KR20130005110U (ko) 2013-08-28
KR200470917Y1 true KR200470917Y1 (ko) 2014-01-16

Family

ID=51417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270U KR200470917Y1 (ko) 2012-02-20 2012-02-20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9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5761B1 (no) * 2019-02-27 2021-07-19 Ops Solutions As Et fundament og fremgangsmåte for å feste en komposittstolpe til bruk i distribusjons- eller regionalnettet til et slikt fundament i grunn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878Y1 (ko) * 2003-05-21 2003-08-14 서상로 파형 외주면을 갖는 강관
KR20090000410U (ko) * 2007-07-11 2009-01-15 부광기업(주) 가로등지주 연결부재
KR101054212B1 (ko) * 2011-01-14 2011-08-03 강주현 도로시설물용 지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878Y1 (ko) * 2003-05-21 2003-08-14 서상로 파형 외주면을 갖는 강관
KR20090000410U (ko) * 2007-07-11 2009-01-15 부광기업(주) 가로등지주 연결부재
KR101054212B1 (ko) * 2011-01-14 2011-08-03 강주현 도로시설물용 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10U (ko)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031B1 (ko) 가로 시설물 설치대
KR101324966B1 (ko) 가로시설물과 지주의 조립 장치
KR20120128950A (ko) 가로등 지주
KR200470917Y1 (ko)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KR101343504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JP5037864B2 (ja) 金属管柱の基部構造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100973029B1 (ko) 알루미늄 합금 가로등 등주
KR100927376B1 (ko) 알루미늄 합금 가로등 등주
KR100955803B1 (ko) 조인트 체결관이 부설된 다단 조립식 가로등주
KR200325868Y1 (ko) 파이프 고정 장치
KR101338390B1 (ko) 지주고정 장치
JP5699011B2 (ja) 支持柱及びその設置方法
KR100950544B1 (ko)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KR101267855B1 (ko)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KR200423441Y1 (ko) 가로등
CN207032255U (zh) 钢支撑防脱落装置
CN104929413A (zh) 信号交通灯通信塔
KR100969410B1 (ko) 가로등 시설물
KR200432962Y1 (ko) 조명기구용 지주
KR200479073Y1 (ko) 차량 신호등용 철주
JP2012209892A (ja) 支持柱及びその設置方法
KR20100117699A (ko) 가로등주 연결장치
CN212456562U (zh) 一种组装式灯架
KR20130001200A (ko) 가로등 지주의 강풍 내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