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544B1 -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 Google Patents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544B1
KR100950544B1 KR1020090088084A KR20090088084A KR100950544B1 KR 100950544 B1 KR100950544 B1 KR 100950544B1 KR 1020090088084 A KR1020090088084 A KR 1020090088084A KR 20090088084 A KR20090088084 A KR 20090088084A KR 100950544 B1 KR100950544 B1 KR 100950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amp
inclined portion
nut body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엘피
Priority to KR102009008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이나 공원 등에 설치되는 가로등의 내부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의 지주로부터 편향 결합되는 지지대의 끝단부에 별도의 케이블 고정구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케이블 고정구는 지지대의 내부에 용접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양측에서 서로 결합되는 체결너트체와 연결관체 및 상기 연결관체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너트체로 이루어짐으로써,
가로등의 지주 및 지지대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케이블의 선단을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고 있으므로 가로등의 헤드를 분리하더라도 케이블이 지주의 내측으로 끌려들어가지 않는 것이고, 차단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해충이나 이물질 및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며, 조임구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은 조임체의 회전을 통해 조임력을 약화시켜 케이블에 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헤드 및 램프에 대한 교체나 수리 및 점검 등의 작업시 매우 편리하고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안전한 것이다.
가로등, 지주, 가로대, 헤드, 케이블, 고정구, 연결관체

Description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Cable fixing device for streetlight}
본 발명은 도로변이나 공원 등에 설치되는 가로등의 내부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의 헤드 내에 위치하는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의 선단을 별도의 고정구에 의해 지지 고정되게 함으로써, 헤드의 분리시 케이블이 지주 내측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해충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케이블 고정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는 도로 주변이나 상황을 인지케 하거나 자동차 또는 보행자 등이 편리하게 야간 이동을 할 수 있게 한 가로등이 설치되는 것이며, 도로 이외에도 골목길이나 공원 및 정원에는 야간 시 그 주변을 밝혀주기 위한 공원등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상기의 가로등과 공원등과 같은 외부 설치등을 모두 가로등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목적 및 용도의 가로등 일반적으로 지면에 고정 설치된 지 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으로부터 일측 편향되게 결합된 가로대를 갖고 있으며, 그 가로대의 단부에는 지면을 향하도록 한 램프가 내장된 헤드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가로대의 경우에는 그 가로등의 설치 목적이나 기타 조경 및 인테리어의 필요성에 의해 다양한 형상과 모양 및 형태를 갖고 제작될 것이다.
이러한 가로등에 있어, 상기한 지주의 경우 소정의 물리적 강도와 충분한 버팀력을 갖고 있어야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금속재로 된 강관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한 금속 강관으로 된 지주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뛰어난 내구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강풍을 동반한 악천후에서도 뛰어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편적인 가로등의 지주는 금속 강관을 사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주의 하측부에는 지중 배선된 전원 케이블과 램프를 연결하기 위한 배전부가 형성되어 있을 것이고, 상기 배전부로부터 지중 케이블과 램프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상기 가로등의 램프에 대한 점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램프 케이블은 가로등의 헤드로부터 가로대의 내부를 지나 지주의 내측을 경유하여 상기 배전부까지 도달하므로 램프 케이블이 외부로 전혀 드러나지 않은 상태로의 배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램프 케이블은 가로등의 헤드에 일측 끝단이 고정된 지지 결합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다양한 불합리성을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램프 케이블은 지중의 메인 케이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헤드 내의 램프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상기의 램프 케이블의 끝단부를 헤드 내의 소켓에 접속하는 고정 및 연결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가로등 내 램프를 교환하거나 수리, 보수시 또는 청소 등의 목적으로 상기의 헤드를 분리하거나 소켓 및 케이블에 대한 접속 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의 램프 케이블이 가로대 및 지주의 내측으로 끌려 들어가버리는 폐단이 발생하는 것이다.
즉, 상기의 램프 케이블은 지주의 하부로부터 램프까지 연결되는 비교적 긴 길이를 갖고 있을 것이므로 길이와 비례하여 상당한 중량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중량체인 램프 케이블은 전기한 설명과 같이 그 선단부가 램프 소켓에 접속되어 있는 고정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교체 및 수리 및 교환이나 청소의 목적으로 헤드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의 램프 케이블이 접속구로부터 분리되면서 자중에 의해 가로대 및 지주 내측으로 끌려 들어가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램프 케이블이 지주의 내측으로 끌려 들어가버리면 손이 닿지 않을 경우 상기의 가로등 지주 전체를 지면의 앵커볼트로부터 분리시켜 케이블에 대한 배선 작업을 다시 시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시 상기와 같이 램프 케이블이 끌려들어가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교체나 교환 또는 수리나 점검 및 청소의 목적으로 헤드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두 명의 작업자가 헤드 부근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한 사람은 작업 내용을 수행하는 것이고 나머지의 한 명은 분리상태의 램프 케이블이 지주 내측으로 끌려들어가지 않도록 붙잡고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작업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2인 1조의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인건비로 인한 경제적 지출이 상당한 것이고, 가로등의 헤드를 분리하게 되면 가로대의 끝단부가 개방되므로 이를 통해 다양한 이물질이나 해충 또는 빗물 등이 유입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개방된 끝단부를 갖고 있는 가로대와 헤드의 결합부가 완전한 기밀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개방된 가로대의 끝단을 통해 작은 해충이나 이물질 등이 가로대의 내부 및 지주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부패나 변질되므로 가로등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이고, 상기의 가로대 끝단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누전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은 물론 강관으로 된 지주의 부식을 촉진시켜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가로등의 지주로부터 편향 결합되는 지지대의 끝단부에 별도의 케이블 고정구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케이블 고정구는 지지대의 내부에 용접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양측에서 서로 결합되는 체결너트체와 연결관체 및 상기 연결관체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너트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차단판을 통해 지지대의 내측으로 해충이나 이물질 및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면서도, 연결관체 및 조임너트체를 통해 램프 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가로등 내 케이블이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개선한 특징의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나사부와 제2나사부를 갖는 연결관체를 구비하여, 제1나사부에는 체결너트체를 나사 결합하고 제2나사부에는 조임너트체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제1나사부에는 차단판을 삽입하여 상기 체결너트체를 통해 연결관체에 고정되게 하되,
상기 제2나사부의 끝단부에는 방사상의 절개홈을 갖는 외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임너트체의 내측에는 상기 외경사부와 대응하는 내경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체로 삽입되는 케이블이 조임너트체의 결합에 의한 외경사부의 가압력으로 인해 연결관체와 상호 고정되게 하고, 차단판은 가로등의 가로대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로등의 지주 및 지지대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케이블의 선단을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고 있으므로 가로등의 헤드를 분리하더라도 케이블이 지주의 내측으로 끌려들어가지 않는 것이고, 차단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해충이나 이물질 및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며, 조임구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케이 블은 조임체의 회전을 통해 조임력을 약화시켜 케이블에 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헤드 및 램프에 대한 교체나 수리 및 점검 등의 작업시 매우 편리하고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안전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는 가로등의 지주 및 가로대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전원 케이블의 끝단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된 연결관체(10)와 상기 연결관체(10)에 결합되는 체결너트체(20) 및 조임너트체(30) 그리고 차단판(40)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의 연결관체(10)는 일측으로 제1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제2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나사부(11)와 제2나사부(12)의 외경은 연결관체(10)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또한, 상기의 제1나사부(12)의 끝단부에는 방사상의 절개홈(13)을 갖는 외경사부(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외경사부(14)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테이퍼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외경사부(14)에 해당하는 연결관체(10)의 내부에는 안치홈(16)을 형성하여 이에 별도의 탄성링(15)을 삽입 형성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관체(10)의 제1나사부(11)에는 체결너트체(20)가 나사 결합되고 제2나사부(12)에는 조임너트체(30)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너트체(20)를 나사 결합하기 전 제1나사부(11)에는 원반 형태로 된 별도의 차단판(30)을 삽입한 후 상기의 체결너트체(20)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체결너트체(20)와 차단판(30) 및 연결관체(10)가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제1나사부(11)에 대한 외경은 연결관체(10)의 외경보다는 작을 것이므로 상기의 차단판(40)은 연결관체(10)와 제1나사부(11) 간의 단턱에 걸려 유동하지 않는 견고한 조립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나사부(11)에 차단판(40)을 끼워넣기 전 연질 고무재 등으로 된 별도의 패킹(17)을 우선 삽입한 상태에서 차단판(40)을 끼워 체결너트체(20)로 조립하게 되면 상기의 차단판(40)의 측면과 연결관체(10)의 사이에 패킹(17)이 위치하게 되면서 차단판(40)에 대한 가압 체결로 인해 견고한 조립성은 물론 압축 상태의 패킹(17)이 갖는 탄성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의 체결너트체(20)가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나사부(12)에 결합되는 조임너트체(30)의 내측에는 내경사부(3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나사부(12)에 조임너트체(30)를 나사 결합하게 되면 내경사부(31)와 제2나사부(12)의 외경사부(14)가 상호 간섭되면서 외경사부(14) 전체를 중심선 방향으로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외경사부(14)는 방사상의 절개홈(13)을 갖고 있으므로 조임너트체(30)의 체결량에 따라 내측 중심선을 향해 무리없이 축소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경사부(14)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탄성링(15)도 함께 축소 변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연결관체(10) 내에 다양한 케이블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너트체(30)를 회전 체결하면 조임너트체(30)의 내경사부(31)가 연결관체(10)의 외경사부(14)를 압박하면서 축소 변형되게 하므로 결국 상기의 연결관체(10) 및 케이블에 대한 상호 견고한 고정 및 조립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구는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가로등(60)의 지주 선단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 고정되는 가로대(61)의 끝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구를 가로대(61)의 끝단부 내측으로 삽입시킨 후 원반 형태로 된 차단판(40)을 가로대(61)의 내면과 용접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구에 대한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차단판(40)은 외면을 따라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41)를 형성함에 따라 차단판(40)을 가로대(61)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랜지부(41)에 의해 안정된 삽입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므로 용접 등의 고정 과정에서의 작업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가로대(61)의 개방측 끝단부로부터 전원용 케이블(50)을 삽입하되 상기의 케이블(50)이 연결관체(10)를 통과하여 가로대(61)의 내측을 따라 가로등(60)의 하부 배전부까지 늘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조임너트체(30)는 느슨한 조립상태가 되게 하여 외경사부(14) 내의 탄성링(15)과 케이블(50) 간의 마찰 간섭이 최소화되게 함으로서 케이블(5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케이블(50)의 배선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조임너트체(30)를 강력하게 체결 조립함에 따라 축소 변형되는 외경사부(14)에 의해 연결관체(10)와 케이블(50)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 및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케이블(50)이 가로대(61) 내에 고정되는 경우 가로등(60)의 헤드를 분리하더라도 케이블(50)은 상기 연결관체(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지주의 내측으로 자중에 의해 끌려 내려가지 않는 것이고 차단판(40)에 의해 가로대(61)의 끝단부가 막혀 있는 상태이므로 외부로부터 해충이나 이물질 및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헤드의 교체 과정 중에서 케이블(50)의 돌출 길이를 연장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임너트체(30)를 일시적으로 풀어 가로대(61) 내의 케이블(50)를 끌어당겨 충분한 갈이를 확보한 후 상기의 조임너트체(30)를 다시 강력하게 조여 케이블(5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므로 작업 편리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케이블의 함몰 삽입에 의한 작업 지연 및 가로등의 해체 작업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그에 대한 원천적인 해결이 이루어진 것이고,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작업자가 고공으로 투입되어 헤드 및 램프에 대한 수리와 점검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로 인해 한 명의 작업자만으로도 동일한 작업을 능히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합리적이면서도 경제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의 장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의 장착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결관체 11 : 제1나사부
12 : 제2나사부 13 : 절개홈
14 : 외경사부 15 : 탄성링
16 : 안치홈 17 : 패킹
20 : 체결너트체
30 : 조임너트체 31 : 내경사부
40 : 차단판 41 : 플랜지부
50 : 케이블
60 : 가로등 61 : 가로대

Claims (4)

  1. 제1나사부(11)와 제2나사부(12)를 갖는 연결관체(10)를 구비하여, 제1나사부(11)에는 체결너트체(20)를 나사 결합하고 제2나사부(12)에는 조임너트체(30)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제1나사부(11)에는 차단판(40)을 삽입하여 상기 체결너트체(20)를 통해 연결관체(10)에 고정되게 하되,
    상기 제2나사부(12)의 끝단부에는 방사상의 절개홈(13)을 갖는 외경사부(14)를 형성하고, 상기 조임너트체(30)의 내측에는 상기 외경사부(14)와 대응하는 내경사부(31)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체(10)로 삽입되는 케이블(50)이 조임너트체(30)의 결합에 의한 외경사부(14)의 가압력으로 인해 연결관체(10)와 상호 고정되게 하고, 차단판(40)은 가로등(60)의 가로대(61)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차단판(40)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플랜지부(41)를 형성하여 상기 플랜지부(41)를 통해 가로대(61) 내에 유동없이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관체(10)는, 외경사부(14)의 내측으로 탄성링(15)을 삽입하되 외경사부(14)의 내측에는 탄성링(15)이 끼워지도록 한 안치홈(16)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제1나사부(11)에는, 원반 형태로 된 패킹(17)을 삽입하여 제1나사부(11)에 조립되는 차단판(40)이 패킹(17)에 의해 밀착 체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KR1020090088084A 2009-09-17 2009-09-17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KR100950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084A KR100950544B1 (ko) 2009-09-17 2009-09-17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084A KR100950544B1 (ko) 2009-09-17 2009-09-17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544B1 true KR100950544B1 (ko) 2010-03-30

Family

ID=4218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084A KR100950544B1 (ko) 2009-09-17 2009-09-17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5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892B1 (ko) 2011-11-24 2012-05-15 (주) 대하전선 태양광모듈의 단자박스 케이블 컨넥터
KR101528189B1 (ko) * 2013-11-29 2015-06-12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WO2016010382A1 (ko) * 2014-07-17 2016-01-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엘이디 가로등의 전원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311Y1 (ko) * 1987-01-07 1989-09-20 배준집 케이블 그랜드
KR200428581Y1 (ko) 2006-07-07 2006-10-16 남북전기 주식회사 케이블 그랜드
KR200443289Y1 (ko) 2007-03-05 2009-02-23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 방수용 패킹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311Y1 (ko) * 1987-01-07 1989-09-20 배준집 케이블 그랜드
KR200428581Y1 (ko) 2006-07-07 2006-10-16 남북전기 주식회사 케이블 그랜드
KR200443289Y1 (ko) 2007-03-05 2009-02-23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 방수용 패킹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892B1 (ko) 2011-11-24 2012-05-15 (주) 대하전선 태양광모듈의 단자박스 케이블 컨넥터
KR101528189B1 (ko) * 2013-11-29 2015-06-12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WO2016010382A1 (ko) * 2014-07-17 2016-01-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엘이디 가로등의 전원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544B1 (ko)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KR101387362B1 (ko) 다단 구조의 신호등 또는 가로등에 적용되는 조립형 지주
KR100907078B1 (ko) 옥외 조명시설용 등주의 결합구조
KR101379245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1125424B1 (ko) 가로등 지주 보강 장치
KR101382408B1 (ko)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0661431B1 (ko) 나사체결을 이용한 다단 조립식 가로등주
KR101118682B1 (ko) 지주의 결합구조
KR200332599Y1 (ko)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한 가로등
KR101350834B1 (ko) 점검구에 대한 보강구조를 갖는 가로등용 지주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101314649B1 (ko) 회전수단이 구비된 지주형 구조물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1445563B1 (ko) 가로보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20100104104A (ko) 지지 구조물
KR101622702B1 (ko) 와이어가 불필요한 시설물 설치용 지주 구조물
KR101562891B1 (ko) 작업 및 관리 안전성이 개선된 가로등주
KR101054810B1 (ko) 신호등 지주장치
KR101966643B1 (ko) 내진 설계에 의한 강성 보강의 가로등용 지주
KR20120014397A (ko) 분리대
KR20110129002A (ko) 가로등의 지주 결합구조
KR20110013832A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101249035B1 (ko) 가로등 지주
KR20100117699A (ko) 가로등주 연결장치
KR200423441Y1 (ko)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