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189B1 -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 Google Patents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189B1
KR101528189B1 KR1020130147615A KR20130147615A KR101528189B1 KR 101528189 B1 KR101528189 B1 KR 101528189B1 KR 1020130147615 A KR1020130147615 A KR 1020130147615A KR 20130147615 A KR20130147615 A KR 20130147615A KR 101528189 B1 KR101528189 B1 KR 101528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ic
outer circumferential
suppor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696A (ko
Inventor
박인주
Original Assignee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1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연결부분을 커버하는 상태로 전선의 양단을 고정하여서 전선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는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의 배선공간(11)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양단으로 전선이 각각 삽입되어서 배선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배선공간(11)을 개방하는 상태로 몸체(10)의 양단에 체결되어 배선공간(11)에 배선된 전선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전선지지부(20)와, 전선지지부(20)가 전선의 외주면을 가압하여서 고정하도록 전선지지부(2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서 마감하는 마감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TERMINAL BLOCK FOR ELECTRIC WIRING}
본 발명은 전선의 연결부분을 커버하는 상태로 전선의 양단을 고정하여서 전선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는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선들 각각의 끝단의 피복을 벗긴 후에 각각의 심선을 꼬아서 연결한 후에 절연테이프로 테이핑하여서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물론, 절연테이프에 의해 외부의 습기가 유입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절연테이프가 장기간동안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손상되어서 벗겨지게 되어 절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전선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꼬여진 심선이 풀리게 되어 연결된 전선들이 분리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번호 10-2013-0041515호(2013.04.25.)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선의 연결부분을 커버하는 상태로 전선의 양단을 고정하여서 전선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는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는, 내부의 배선공간(11)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양단으로 전선이 각각 삽입되어서 배선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배선공간(11)을 개방하는 상태로 몸체(10)의 양단에 체결되어 배선공간(11)에 배선된 전선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전선지지부(20)와, 전선지지부(20)가 전선의 외주면을 가압하여서 고정하도록 전선지지부(2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서 마감하는 마감부(30)를 포함하고, 몸체(10)는 관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암나사산(12)이 형성되고, 전선지지부(20)는 양단이 관통되는 관형태로 형성되면서 양단의 외주면에 몸체(10)의 암나사산(12)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21)이 형성되고, 숫나사산(21)들의 사이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며, 단부에 전선의 외주면을 외압에 의해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23)가 형성되고, 지지돌기(23)는 전선지지부(20)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양측면에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4)이 형성되어 단면이 평행사변형의 형태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전선지지부(20)는 지지돌기(23)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면서 전선의 외주면을 보호하는 보호부(2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마감부(30)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면서 내주면에 암나사산(31)이 형성되고, 암나사산(31)과 연계되면서 갈때기형태로 가압경사면(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의 연결부분을 커버하는 상태로 전선의 양단을 고정하여서 전선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의 연결된 부분의 양측을 고정하므로 전선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전선의 연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는, 내부의 배선공간(11)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양단으로 전선이 각각 삽입되어서 배선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배선공간(11)을 개방하는 상태로 몸체(10)의 양단에 체결되어 배선공간(11)에 배선된 전선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전선지지부(20)와, 전선지지부(20)가 전선의 외주면을 가압하여서 고정하도록 전선지지부(2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서 마감하는 마감부(3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관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암나사산(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의 양측으로 전선들이 각각 삽입된 후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선공간(11)에서 수용되어서 보호될 수 있다. 즉, 몸체(10)는 전선들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암나사산(12)은 몸체(10)의 내주면에서 일단 또는 양단 또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지지부(20)는 양단이 관통되는 관형태로 형성되면서 양단의 외주면에 몸체(10)의 암나사산(12)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21)이 형성되고, 숫나사산(21)들의 사이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며, 단부에 전선의 외주면을 외압에 의해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지지부(20)는 일단에 형성된 숫나사산(21)에 의해 몸체(10)의 암나사산(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22)이 몸체(10)의 단부에 걸리게 됨에 따라 전선지지부(20)가 몸체(10)의 단부에 체결되어서 고정된다.
지지돌기(23)들은 전선지지부(20)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지지부(20)의 타단에 형성된 숫나사산(21)에는 마감부(30)가 나사결합 됨에 따라, 지지돌기(23)들의 타단이 서로 모여져서 전선의 외주면을 가압하여서 지지하게 된다. 즉, 지지돌기(23)들은 마감부(3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전선의 외주면을 가압하여서 지지하므로 전선의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몸체(10)의 배선공간(11)에서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23)는 양측면에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4)이 형성되어 단면이 평행사변형의 형태이다. 이러한, 경사면(24)에 의해 지지돌기(23)들은 각각의 양측면이 접촉되어도 서로 미끄러지면서 각각의 타단이 모여지게 되므로 굵기가 얇은 전선의 외주면도 용이하게 가압하여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선지지부(20)는 지지돌기(23)가 단부의 테두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도록 합성수지로 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지지부(20)는 양단이 관통되는 관형태로 형성되면서 양단의 외주면에 몸체(10)의 암나사산(12)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21)이 형성되고, 숫나사산(21)들의 사이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는 지지몸체(25)와, 지지몸체(2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전선의 외주면을 외압에 의해 지지하는 전선지지부(26)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몸체(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10)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몸체(25)는 내주면에 삽입홈(25a)이 형성된다.
지지부(26)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는 관형태로 형성되면서 지지몸체(25)에 삽입되어서 걸리도록 외주면에 외향플랜지(27)가 형성되고, 외향플랜지(27)를 따라 일단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장방형의 지지돌기(23)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선지지부(26)는 지지돌기(23)가 단부의 테두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도록 합성수지로 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지지부(26)가 사용 중에 파손되거나 노후화되는 경우 지지몸체(25)를 그대로 두고 전선지지부(26)만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돌기(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선지지부(26)는 외주면에 지지몸체(25)의 삽입홈(25a)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고정돌기(26a)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지지부(26)가 지지몸체(25)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돌기(26a)가 삽입홈(25a)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므로 마감부(30)가 전선지지부(20)에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고정돌기(26a)와 삽입홈(25a)의 결합에 의해 전선지지부(26)가 지지몸체(25)에서 회전되지 않으면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몸체(25)와 전선지지부(26)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양단에 구비되어서 전선들을 각각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지지부(20)는 지지돌기(23)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면서 전선의 외주면을 보호하는 보호부(29)를 더 포함한다. 보호부(29)는 전선이 삽입되는 튜브형태이면서 지지돌기(23)의 가압에 의해 오므려질 수 있는 고무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고무로 제조된 보호부(29)는 전선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돌기(23)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전선의 피복을 손상되지 않게 하면서 전선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전선의 외주면에 밀착됨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습기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마감부(3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면서 내주면에 암나사산(31)이 형성되고, 암나사산(31)과 연계되면서 갈때기형태로 가압경사면(32)이 형성된다. 따라서, 마감부(30)의 암나사산(31)이 전선지지부(20)의 숫나사산(21)에 나사결합 됨에 따라 가압경사면(32)이 지지돌기(23)들의 타단을 가압하므로 지지돌기(23)들이 서로 모여지면서 전선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마감부(30)는 외주면에 육면(33)이 형성되거나 널링가공될 수 있어서 렌치나 사용자의 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전선들 각각에 마감부(30)를 삽입시키고 전선지지부(20)를 삽입시키고, 몸체(10)를 하나의 전선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전선들의 심선을 접촉시켜서 연결시킨 후에, 절연테이프로 테이핑한다. 즉, 절연테이프에 의해 전선들이 절연되면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에 삽입된 몸체(10)의 양단에 전선지지부(20)를 각각 나사결합시켜서 고정시킨 후에, 전선의 연결된 부분이 몸체(10)의 배선공간(11)에 위치되게 한다.
이어서, 전선지지부(20)들에 마감부(30)들을 각각 나사결합 시켜서 고정시킨다. 이때, 마감부(30)가 전선지지부(20)에 체결되면서 가압경사면(32)이 지지돌기(23)들을 가압하게 됨에 따라 지지돌기(23)들이 전선의 외주면을 조이면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끝단이 연결된 전선들은 지지돌기(23)들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어 몸체(10)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으면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하나 또는 복수로 마련하여 다수의 전선들을 연결한 상태로 다수의 부하들에 각각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선들의 연결된 상태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연결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어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전선을 연결하는 장치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몸체 11 : 배선공간
12 : 암나사산 20 : 전선지지부
21 : 숫나사산 22 : 걸림턱
23 : 지지돌기 24 : 경사면
25 : 지지몸체 25a : 삽입홈
26 : 전선지지부 26a : 고정돌기
27 : 외향플랜지 29 : 보호부
30 : 마감부 31 : 암나사산
32 : 가압경사면 33 : 육면

Claims (6)

  1. 내부의 배선공간(11)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양단으로 전선이 각각 삽입되어서 배선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배선공간(11)을 개방하는 상태로 몸체(10)의 양단에 체결되어 배선공간(11)에 배선된 전선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전선지지부(20)와,
    전선지지부(20)가 전선의 외주면을 가압하여서 고정하도록 전선지지부(2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서 마감하는 마감부(30)를 포함하고,
    몸체(10)는 관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암나사산(12)이 형성되고,
    전선지지부(20)는 양단이 관통되는 관형태로 형성되면서 양단의 외주면에 몸체(10)의 암나사산(12)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21)이 형성되고, 숫나사산(21)들의 사이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며, 단부에 전선의 외주면을 외압에 의해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23)가 형성되며,
    지지돌기(23)는 전선지지부(20)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양측면에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4)이 형성되어 단면이 평행사변형의 형태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2. 내부의 배선공간(11)이 일단으로 개방되어 전선이 삽입되어서 배선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배선공간(11)을 개방하는 상태로 몸체(10)의 일단에 체결되어 배선공간(11)에 배선된 전선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전선지지부(20)와,
    전선지지부(20)가 전선의 외주면을 가압하여서 고정하도록 전선지지부(2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서 마감하는 마감부(30)를 포함하고,
    몸체(10)는 관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암나사산(12)이 형성되고,
    전선지지부(20)는 양단이 관통되는 관형태로 형성되면서 양단의 외주면에 몸체(10)의 암나사산(12)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21)이 형성되고, 숫나사산(21)들의 사이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며, 단부에 전선의 외주면을 외압에 의해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23)가 형성되며,
    지지돌기(23)는 전선지지부(20)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양측면에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선지지부(20)는 지지돌기(23)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면서 전선의 외주면을 보호하는 보호부(2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마감부(30)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면서 내주면에 암나사산(31)이 형성되고, 암나사산(31)과 연계되면서 갈때기형태로 가압경사면(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KR1020130147615A 2013-11-29 2013-11-29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KR101528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615A KR101528189B1 (ko) 2013-11-29 2013-11-29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615A KR101528189B1 (ko) 2013-11-29 2013-11-29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696A KR20150062696A (ko) 2015-06-08
KR101528189B1 true KR101528189B1 (ko) 2015-06-12

Family

ID=5350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615A KR101528189B1 (ko) 2013-11-29 2013-11-29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706B1 (ko) 2019-03-06 2021-03-18 티엘에스 주식회사 방수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KR102598635B1 (ko) * 2021-07-30 2023-11-06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78Y1 (ko) * 2005-08-30 2005-11-15 김진규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KR20090081115A (ko) * 2008-01-23 2009-07-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케이블 선재 연결용 슬리브
KR100950544B1 (ko) * 2009-09-17 2010-03-30 주식회사 정원엘피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78Y1 (ko) * 2005-08-30 2005-11-15 김진규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KR20090081115A (ko) * 2008-01-23 2009-07-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케이블 선재 연결용 슬리브
KR100950544B1 (ko) * 2009-09-17 2010-03-30 주식회사 정원엘피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696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1881B2 (en) Waterproof cable connector
US9698522B2 (en) Strain relief element for a cable and plug with strain relief element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US8517768B2 (en) Breakaway fuse holder
US9017104B2 (en) Electrical plug converter
KR101218745B1 (ko)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KR101528189B1 (ko)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KR101801080B1 (ko) 침수감전방지용 방수단자대
JP639871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20160010044A (ko) 고압선 방호용 절연커버
CN204300793U (zh) 一种led灯带防水接头
US8986035B2 (en) Securing member for a connector
US20060144611A1 (en) Retaining joint of a cable
CN104412726A (zh)
TWM482196U (zh) 多重氣密防水抗拉的纜線與浪管固定接頭
KR101032733B1 (ko) 전선연결용 콘넥터
KR200474488Y1 (ko) 케이블 보호캡
JP5118433B2 (ja) 水中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RE47061E1 (en) Electrical fitting for non-metallic electrical cable
KR101626731B1 (ko) 전원선과 열선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
JP5160504B2 (ja) 緩み止め機構付導線端末プラグ
CN203896300U (zh) 一种锁紧力加强的光伏连接器
KR200463776Y1 (ko) 전원케이블
US2223469A (en) Wire terminal for electric lamp sockets and other appliances
KR100607034B1 (ko) 전선보호관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