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745B1 -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745B1
KR101218745B1 KR1020110112275A KR20110112275A KR101218745B1 KR 101218745 B1 KR101218745 B1 KR 101218745B1 KR 1020110112275 A KR1020110112275 A KR 1020110112275A KR 20110112275 A KR20110112275 A KR 20110112275A KR 101218745 B1 KR101218745 B1 KR 10121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endothelial
din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평
Original Assignee
삼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호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3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for use under 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방수가 되면서도 내피와 외피의 헛돎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방수용 딘 커넥터 방식의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딘 케이블 커넥터의 내피의 양측면상에 단면을 주고, 이 단면 사이에 걸림턱을 형성시키며 내피의 말단에 일자홈이 형성되므로 외피가 내피 표면에 밀착되어 외피가 내피상에서 헛돌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Waterproof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방수가 되면서도 내피와 외피의 헛돎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방수용 딘 커넥터(din connetor) 방식의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딘 커넥터(Din connector)는 컴퓨터 통신기기, 비디오, 차량 등의 정밀한 전자기계장치에 내장되어 딘 플러그와 딘 잭의 접속에 의해 통신 및 제어신호를 다른 장치로 전달해 주는 접속 장비이다.
이러한 딘 커넥터의 경우, 외부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방수가 중요하다. 따라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16219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58752호 등의 방수용 딘 커넥터가 제안된 바 있다.
이중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16219호는 도 1에서와 같이 제 1 케이블(2)의 각 전선과 연결된 딘잭(3)이 수납되는 금속하우징(4), 상기 금속하우징의 일부 외주면에 사출 몰딩되며 그 외면에 복수의 결합 안내용 돌출부가 형성된 내피(5), 상기 내피의 외주면에 돌출부를 따라 삽입 결합되며 일측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수 체결구(6), 상기 내피 및 수 체결구의 외주면에 사출 몰딩되는 외피(7)로 이루어진 암 커넥터(1)와; 제 2케이블(9)의 각 전선과 연결된 딘플러그(10)가 수납되는 금속하우징(11), 상기 금속 하우징의 일부 외주면에 사출 몰딩되며 그 외면 일측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내피(12), 상기 내피의 일부 외주면에 사출 몰딩되는 외피(13), 상기 외피와 내피 걸림턱 사이인 내피 외주면에 밀착 설치되어 내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 체결구(14)로 이루어진 수 커넥터(8)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암 커넥터(1)는 내피(5)와 수 체결구(6)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는 하나, 장기간 사용시 또는 치수 불량으로 이들간의 결합이 헐거워진다. 즉, 이러한 헐거워짐을 잡아주기 위한 보완수단이 없기 때문에 내피(5)가 수 체결구(6)로부터 이탈될 소지를 안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암 커넥터(1)의 내피(5)와 수 체결구(6)의 일부표면에 몰딩되는 외피(7)는 수 체결구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6a)에 의해 축방향 후방으로의 이탈은 방지되나, 외피(7)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하는 스토핑 구조가 없기 때문에 몰딩후 외피가 헛돌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수 커넥터(8)의 경우에는 내피(12)의 후방에 형성된 요홈(12b)에 의해 외피(13)가 축방향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은 방지되나, 이 역시 외피(13)가 원주방 향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하는 스토핑 구조가 없기 때문에 몰딩후 외피가 헛돌게 되는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렇게 각 외피(7,13)가 헛돌 경우 딘잭(3)과 딘플러그(10) 간의 원활 결합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 상태로 장기간 사용시 외피가 탈피(脫皮)되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16219호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58752호의 딘 케이블 커넥터이다. 이러한 딘 케이블 커넥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암 커넥터(1)의 내피상에는 전방에 수직면(51)을 가지며 후방에는 상기 수직면의 하단으로부터 예각(90°>θ)으로 구배진 경사면(52)을 갖는 환형홈(50)이 형성되고, 상기 암 커넥터(1)의 외피(7) 내주면에는 상기 환형홈에 삽입되도록 상대 경사면(71)과 상대 수직면(72)을 갖는 환형돌기(70)가 형성되며; 상기 암 커넥터(1)의 내피(5) 상에는 외피(7)의 헛돎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돌기(54)가 형성되고, 상기 암 커넥터(1)의 외피(7) 내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74)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수 커넥터(8)의 내피(12) 상에는 외피(13)의 헛돎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돌기(120)가 형성되고, 상기 수 커넥터(8)의 외피(13) 내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외피(7)가 내피(5) 상에 밀착되지 못하므로 여전히 헛도는 문제가 해소되지 않아 방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외피(7)와 내피(5)의 재질이 서로 달라서, 외피(7)와 내피(5) 사이에 여전히 공간이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즉, 외피(7)는 P.V.C(Poly Vinyl Chloride) 합성수지가 사용됨에 반해, 내피(5)는 P.E(PolyEthylene) 합성수지가 사용된다.
또한, 내피(5)의 후단에는 회전방지돌기(120)가 형성되고, 외피(13)의 내측에는 이 회전방지돌기(120)를 끼우는 회전방지홈(130)이 형성되는데, 이들 구조가 기형 또는 변형이 되는 경우, 외피(7)와 내피(5) 간에 틈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환경이 수심인 경우, 수압이 있게 되는데 이러한 수압을 받는 경우 외피(13)가 내피(5) 표면에 완전하게 접착된 상태가 아니므로 조금만 틈 안으로 물이 들어올 수 있어 방수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16219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58752호
본 발명은 딘 케이블 커넥터의 내피와 외피간 구조를 개선하여 내피와 외피간 밀착성을 개선시켜 외피가 내피상에서 헛돌지 않도록 하는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피와 외피가 완전하게 접착됨으로써 수압이 높은 수중에서도 방수가 가능한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는, 일측단부에 딘플러그(700)을 형성하고 상기 딘 플러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소켓 체결구(301)가 구비되며, 딘 플러그(700) 타측에는 딘 플러그 금속하우징(710)과 이를 고정한 소켓내피(303), 소켓 내피(303)와 케이블(320)을 감싸 고정한 소켓 외피로(302)로 구성된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일측 단부에 딘 플러그(700)가 연결되는 딘잭(600)이 형성되고, 상기 딘잭 타측에는 딘잭 금속 하우징(610)과 플러그 체결구(311), 플러그 내피(313), 플러그 외피(312)로 구성된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로 이루어진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320)과 연결되는 딘 잭(600)을 내삽하며 일단에 단차(요철부)를 갖고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가 형성되되, 상기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에는 상기 플러그 내피 홈(319) 양측면에 형성되는 단부면(520)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면(520)과 직교되는 플러그 내피 외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15)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걸림턱 말단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홈(530)이 형성되는 플러그 내피(313)와; 상기 플러그 내피(313)를 내삽하며 상기 걸림턱(315)과 체결되는 조립홈(510)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과 일단에 각각 숫나사 형상을 가지는 플러그 체결구(311); 및 상기 플러그 체결구(311)의 타단에 형성된 숫나사 형상, 상기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 및 케이블(320b)의 일부를 몰딩성형으로 포삽하는 플러그 외피(312)를 형성한 제 1 케이블 커넥터(30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내피(313)와 플러그 외피(312)는 동일 합성수지 재질이며, 상기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와 상기 플러그 외피(312)가 융착되어 수밀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체결구(311) 상에는 다수의 돌출부(500-1,500-1',500-2,500-2',500-,50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 편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는, 일측단부에 딘플러그(700)을 형성하고 상기 딘플러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소켓 체결구(301)가 구비되며, 딘 플러그(700) 타측에는 딘플러그 금속 하우징(710)과 이를 고정한 소켓내피(303), 소켓 내피(303)와 케이블(320)을 감싸 고정한 소켓 외피로(302)로 구성된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일측 단부에 딘플러그(700)가 연결되는 딘잭(600)이 형성되고, 상기 딘잭 타측에는 딘잭 금속 하우징(610)과 플러그 체결구(311), 플러그 내피(313), 플러그 외피(312)로 구성된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로 이루어진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320)과 연결되는 딘 잭(600)이 결합되는 일측 단부에 딘플러그(700)가 형성되고, 상기 딘 플러그(700)를 내삽하며 일단에 소켓 내피 융착부(308)가 형성되되, 상기 소켓 내피 융착부(308)에는 소켓 내피홈(309)과 말단에 소켓 내피 오목홈(400)이 형성되고 타단에 단차를 두고 입구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 내피홈(309)과 수직방향으로 걸림홈(305)이 형성되는 소켓 내피(303); 상기 입구부(410)에 걸리게 소켓 내피(303)를 내삽하며 내측에 암나사 형상이 형성되는 소켓 체결구(301); 및 상기 소켓 내피(303) 및 케이블(320a)의 일부를 몰드 성형으로 융착 포삽하는 소켓 외피(302)를 포함하는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켓 내피홈(309)상에 단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 내피(303)와 상기 소켓 외피(302)는 동일 합성수지 재질이며, 서로 융착되어 수밀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딘 케이블 커넥터의 내피의 양측면상에 단면을 주고, 이 단면 사이에 걸림턱을 형성시키며 내피의 말단에 일자홈이 형성되므로 외피가 내피 표면에 밀착되어 외피가 내피상에서 헛돌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내피와 외피의 재질을 동일하게 외피를 내피 표면에 몰드 성형(injection molding)함으로써 외피가 내피표면에 완전하게 접착되므로 수압이 높은 수중에서도 방수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켓 내피(303)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러그인 제 2 케이블 커넥터(310)의 플러그 내피(313) 및 이 플러그 내피(313)와 결합되는 플러그 체결구(311)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C-C'축으로 절개한 제 2 케이블 커넥터(31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A-A' 및 B-B'축으로 절개한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 케이블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켓인 제 1 케이블 커넥터(300), 이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체결되는 플러그인 제 2 케이블 커넥터(310)가 도시된다.
먼저,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을 설명하면,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은 딘(Din) 플러그(미도시)를 내삽하는 소켓 내피(303), 이 소켓 내피(303)와 융착되어 소켓 내피(303)를 감싸는 소켓 외피(302) 및 회동 가능한 금속 소재의 소켓 체결구(301) 등을 포함한다. 이 금속 소재는 수중에서도 부식이 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강이 사용된다.
딘 플러그(미도시)는 제 1 케이블(320a)과 연결되며, 소켓 내피(308)가 이 딘 플러그(미도시)를 감싸게 된다.
이 소켓 내피(308)에는 우측 일단에 소켓 내피 융착부(308)가 형성되되, 상기 소켓 내피 융착부(308)상에는 소켓 내피홈(309)이 요철되게 형성된다. 물론, 이 소켓 내피홈(309)는 "┗┛" 형상이 된다. 따라서, 소켓 내피 융착부(308)의 표면에는 요철(凹凸)이 형성된다.
또한, 이 소켓 내피(308)의 좌측 말단에는 소켓 내피 오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켓 내피(308)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4에 도시된다. 도 4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소켓 내피(308) 상에는 상기 소켓 내피홈(309)과 수직방향으로 걸림홈(305)이 형성된다.
소켓 외피(302)가 이 소켓 내피(308)를 융착 포삽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외피(302)와 소켓 내피(308)는 몰드 성형에 의해 융착되므로, 틈이 없게 되어 수밀도가 높아진다.
즉, 상기 소켓 내피홈(309), 수직방향으로 걸림홈(305) 등에 소켓 외피(302)의 재질이 충진되어 융착 경화된다. 또한, 소켓 외피(302)는 제 1 케이블(320a)과도 융착된다. 이를 위해, 소켓 외피(302)와 소켓 내피(308)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이 사용된다. 합성수지로는 PVC(PolyVinyl Chlorid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소켓 외피(302)의 표면상에는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소켓 파지부(307)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소켓 파지부(307)를 집게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는 딘 잭(미도시)을 내삽하는 플러그 내피(313), 이 플러그 내피(313)와 융착되어 플러그 내피(313)를 감싸는 플러그 외피(312) 및 플러그 체결구(311) 등을 포함한다.
딘 잭(미도시)은 제 2 케이블(320b)과 연결되며, 플러그 내피(318)가 이 딘 잭(미도시)을 감싸게 된다.
이 플러그 내피(318)에는 우측 일단에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가 형성되되, 상기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상에는 플러그 내피홈(319)이 요철되게 형성된다. 물론, 이 플러그 내피홈(319)은 "┗┛" 형상이 된다. 따라서,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의 표면에도 요철(凹凸)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에는 플러그 내피홈(319)과 상기 플러그 내피홈(319)상에 형성되는 단부면(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면(미도시)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15)이 형성된다. 이를 이해하기 쉽게 도시한 도면이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을 계속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플러그 내피(318)는 플러그 체결구(311)와 결합된다. 플러그 체결구(311)는 금속 소재로 스테인리스 강이 사용되며, 소켓 체결구(311)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와 결합되는 수나사 형상이 앞단에 형성된다.
또한, 앞단에 형성된 수나사 형상과 일정 간격을 두고 다른 수나사가 형성된다.
이 플러그 내피(318)와 플러그 체결구(311)를 플러그 외피(312)가 융착 포삽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외피(312)와 플러그 내피(318)는 몰드 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융착되므로, 틈이 없게 되어 수밀도가 높아진다.
즉, 상기 플러그 내피홈(319), 걸림턱(315) 등에 플러그 외피(312)의 재질이 충진되어 융착 경화된다. 또한, 플러그 외피(312)는 제 2 케이블(320b)과도 융착된다. 이를 위해, 플러그 외피(312)와 플러그 내피(318)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이 사용된다. 합성수지로는 PVC(PolyVinyl Chloride)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외피(312)는 플러그 내피(313)뿐만 아니라, 플러그 체결구(311)에 형성된 수나사의 표면까지 덮는다.
또한, 플러그 외피(312)의 표면상에는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플러그 파지부(317)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플러그 파지부(317)를 집게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우측 상단에는 플러그 외피(312)와 플러그 내피(318)가 융착된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가 도시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켓 내피(303)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앞쪽단에 입구부(410)가 형성되어 있어 소켓 체결구(301)가 안쪽으로부터 삽입조립되어 걸리게 되며, 이 입구부(410)와 단차를 두고 소켓 내피 융착부(308)가 형성된다.
또한, 소켓 내피 융착부(308)의 말단에는 소켓 내피 오목홈(400)이 일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 소켓 내피 오목홈(400)은 소켓 외피(도 3의 302)와 융착시 소켓 외피(302)의 일부가 이 오목홈(400)에 관입됨에따라 소켓 내피(303)와의 일체성을 강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소켓 외피(302)가 소켓 내피(303)와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소켓 내피 융착부(308)에는 소켓 내피홈(309), 걸림홈(305) 등이 형성되어 있어, 소켓 내피 오목홈(400)과 함께 소켓 외피(302)와 소켓 내피(303)가 융착되어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소켓 내피 융착부(308)에는 양 단면이 평평한 단부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부면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6에 도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물론, 도 6의 경우는 플러그(도 3의 310)에 대하여 도시된 것이나,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의 구성부분인 소켓 내피(303)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케이블 커넥터(310)의 플러그 내피(313) 및 이 플러그 내피(313)와 결합되는 플러그 체결구(311)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러그 체결구(311)에는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울통불통한 형상의 플러그 돌기부(502)가 형성되고, 이 플러그 돌기부(502)를 기준으로 앞단과 후단에 각각 제 1 숫나사 형상(501) 및 제 2 숫나사 형상(503)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숫나사 형상(503)쪽에는 돌출부(500-1,500-1',500-2,500-2',500-,500-3')가 형성된다. 물론, 도 5에는 3쌍의 돌출부(500-1,500-1',500-2,500-2',500-,500-3')가 도시되나, 1쌍의 돌출부가 뒤쪽에 있어 총 4쌍의 돌출이 형성된다.
이 돌출부(500-1,500-1',500-2,500-2',500-,500-3')는 플러그 외피(312)와 플러그 내피(313)가 완전히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플러그 외피(312)가 몰드 성형으로 플러그 내피(313)뿐만 아니라 플러그 체결구(311)의 표면을 덮개된다. 이때, 플러그 내피(313)와 플러그 외피(312)는 동일한 합성 수지 소재로 융착이 되나, 플러그 체결구(311)는 금속성 소재이므로 서로 융착이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플러그 체결구(311)와 플러그 외피(312)가 완전히 밀착되어 헛돌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 2 숫나사 형상(503)의 상하쪽에 90도마다 한 쌍의 돌출부 구조를 두게 된다. 즉, 제 1 돌출부쌍(500-1,500-1'), 제 2 돌출부쌍(500-2,500-2'), 제 3 돌출부쌍(500-3,500-3'), 제 4 돌출부쌍(미도시)이 90도마다 형성되어 360도가 된다.
따라서, 제 2 숫나사 형상(503)은 플러그 외피(312)가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 2 숫나사 형상(503)쪽에 형성된 돌출부(500-1,500-1',500-2,500-2',500-,500-3')는 플러그 외피(312)가 플러그 내피(313)와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플러그 체결구(311)의 말단에는 조립홈(510)이 형성되어, 플러그 내피(313)의 걸림턱(315)과 조립된다. 즉, 조립홈(5100과 걸림턱(315)이 조립됨으로써 플러그 내피(313)와 플러그 체결구(311)가 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를 계속 설명하면, 플러그 내피((313)에도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가 형성되고, 이 융착부(318) 상에는 180도로 한 쌍의 걸림턱(315)이 형성된다.
또한, 이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에는 단부면(520)이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의 말단에는 플러그 내피 오목홈(530)이 일자 로 형성되며, 이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가 우측에 도시된다.
부연하면, 도 5에서 플러그 내피(313)의 말단쪽에서 정면으로 보면, 우측에 도시된 부분 확대도가 된다. 이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 보다 더 높게 위아래로 걸림턱(315)이 형성된다.
또한, 걸림턱(315)과 수직하에 일자 방향으로 플러그 내피 오목홈(530)이 형성되고, 이 플러그 내피 오목홈(530)과 나란히 양단에 단부면(520)이 형성된다.
여기서, 단부면(520)은 몰드 성형으로 플러그 내피(313) 표면에 플러그 외피(312)가 성형될때 플러그 내피(313)와 플러그 외피(도3의 312)간 융착이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플러그 외피(도 3의 312)와 융착시 플러그 외피(312)의 일부가 이 플러그 내피 오목홈(530)에 관입됨에따라 플러그 내피(313)와의 일체성을 강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외피(312)가 플러그 내피(313)와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도 3에서 C-C'축으로 절개한 제 2 케이블 커넥터(31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딘 잭(600)을 감싸는 플러그 내피(313), 이 플러그 내피(313)와 융착되는 플러그 외피(312)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3에서 A-A' 및 B-B'축으로 절개한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좌측은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의 단면도를, 우측은 이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결합되는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의 경우, 가장 안쪽에 딘 플러그(700)가 놓이며, 이 딘 플러그(700) 내에는 제 1 케이블 와이어(720a)가 구성된다. 또한, 딘 플러그(700) 타측에는 딘 플러그 금속하우징(710)이 형성되어 딘 플러그(700)를 포삽하게 된다.
그리고, 소켓 내피(303) 우측 말단에는 고무링(730)이 끼워진다. 고무링(730)은 오링(O-ring)으로서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310)가 체결되는 경우,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 2 케이블 커넥터(310)의 경우, 가장 안쪽에 딘 잭(600)이 놓이며, 이 딘 잭(600) 내에는 제 2 케이블 와이어(720b)가 구성된다. 또한, 딘 잭(600) 타측에는 딘 잭 금속 하우징(610)이 형성되어 딘 잭(600)을 포삽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 케이블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를 하나의 케이블(320)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부연하면,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를 하나의 케이블(320)에 연결하게 되면, 연장 케이블처럼 사용될 수 있다. 즉,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310)가 달린 수개의 연장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를 한 쌍으로 하여 하나의 연장 케이블 커넥터로 구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를 각각 따로 구성하는 연장 케이블 커넥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이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에 연결되는 일반 커넥터로 구성되는 연장 케이블 커넥터를 들 수 있다.
300: 제 1 케이블 커넥터 301: 소켓 체결구
302: 소켓 외피 303: 소켓 내피
305: 걸림홈 307: 소켓 파지부
308: 소켓 내피 융착부 309: 소켓 내피홈
310: 제 2 케이블 커넥터 311: 플러그 체결구
312: 플러그 외피 313: 플러그 내피
315: 걸림턱 317: 플러그 파지부
318: 플러그 내피 융착부
400: 플러그 내피 오목홈
500-1 내지 500-3': 고정 돌출부
510: 조립홈
520: 단부면
530: 플러그 내피 오목홈 600: 딘 잭
610: 딘잭 금속 하우징
700: 딘 플러그 710: 딘 플러그 금속 하우징
720a,720b: 케이블 와이어
730: 고무링

Claims (5)

  1. 일측단부에 딘플러그(700)를 형성하고 상기 딘 플러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소켓 체결구(301)가 구비되며, 딘 플러그(700) 타측에는 딘 플러그 금속하우징(710)과 이를 고정한 소켓내피(303), 소켓 내피(303)와 케이블(320)을 감싸 고정한 소켓 외피(302)로 구성된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일측 단부에 딘 플러그(700)가 연결되는 딘잭(600)이 형성되고, 상기 딘잭 타측에는 딘잭 금속 하우징(610)과 플러그 체결구(311), 플러그 내피(313), 플러그 외피(312)로 구성된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로 이루어진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320)과 연결되는 딘 잭(600)을 내삽하며 일단에 단차(요철부)를 갖고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가 형성되되, 상기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에는 상기 플러그 내피 홈(319) 양측면에 형성되는 단부면(520)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면(520)과 직교되는 플러그 내피 외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15)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걸림턱 말단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홈(530)이 형성되는 플러그 내피(313)와;
    상기 플러그 내피(313)를 내삽하며 상기 걸림턱(315)과 체결되는 조립홈(510)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과 일단에 각각 숫나사 형상을 가지는 플러그 체결구(311); 및
    상기 플러그 체결구(311)의 타단에 형성된 숫나사 형상, 상기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 및 케이블(320b)의 일부를 몰딩 성형으로 포삽하는 플러그 외피(312)를 형성한 제 1 케이블 커넥터(30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내피(313)와 플러그 외피(312)는 동일 합성수지 재질이며, 상기 플러그 내피 융착부(318)와 상기 플러그 외피(312)가 융착되어 수밀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체결구(311) 상에는 다수의 돌출부(500-1,500-1',500-2,500-2',500-,50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4. 일측단부에 딘플러그(700)를 형성하고 상기 딘플러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소켓 체결구(301)가 구비되며, 딘 플러그(700) 타측에는 딘플러그 금속 하우징(710)과 이를 고정한 소켓내피(303), 소켓 내피(303)와 케이블(320)을 감싸 고정한 소켓 외피(302)로 구성된 제 1 케이블 커넥터(300)와;
    일측 단부에 딘플러그(700)가 연결되는 딘잭(600)이 형성되고, 상기 딘잭 타측에는 딘잭 금속 하우징(610)과 플러그 체결구(311), 플러그 내피(313), 플러그 외피(312)로 구성된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로 이루어진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320)과 연결되는 딘 잭(600)이 결합되는 일측 단부에 딘플러그(700)가 형성되고, 상기 딘 플러그(700)를 내삽하며 일단에 소켓 내피 융착부(308)가 형성되되, 상기 소켓 내피 융착부(308)에는 소켓 내피홈(309)과 말단에 소켓 내피 오목홈(400)이 형성되고 타단에 단차를 두고 입구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 내피홈(309)과 수직방향으로 걸림홈(305)이 형성되는 소켓 내피(303);
    상기 입구부(410)에 걸리게 소켓 내피(303)를 내삽하며 내측에 암나사 형상이 형성되는 소켓 체결구(301); 및
    상기 소켓 내피(303) 및 케이블(320a)의 일부를 몰드 성형으로 융착 포삽하는 소켓 외피(302)를 포함하는 제 2 케이블 커넥터(3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내피홈(309)상에 단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 내피(303)와 상기 소켓 외피(302)는 동일 합성수지 재질이며, 서로 융착되어 수밀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KR1020110112275A 2011-10-31 2011-10-31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KR10121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275A KR101218745B1 (ko) 2011-10-31 2011-10-31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275A KR101218745B1 (ko) 2011-10-31 2011-10-31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745B1 true KR101218745B1 (ko) 2013-01-09

Family

ID=4784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275A KR101218745B1 (ko) 2011-10-31 2011-10-31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74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070B1 (ko) 2013-03-06 2014-05-27 임승남 수중케이블커넥터
WO2016195209A1 (en) * 2015-06-04 2016-12-08 Lg Innotek Co., Ltd. Waterproof cable connector
CN107785673A (zh) * 2017-11-22 2018-03-09 伊戈尔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低压led防水灯连接器结构
CN107809023A (zh) * 2017-11-29 2018-03-16 李亚娟 电连接头及电连接套
CN107978873A (zh) * 2017-11-29 2018-05-01 李亚娟 电连接装置
CN107994376A (zh) * 2017-11-29 2018-05-04 李亚娟 快拆装电连接装置
KR20230072634A (ko) 2021-11-18 2023-05-25 (주)베스라이트 방수 커넥터
KR20240013485A (ko) 2022-07-22 2024-01-30 전영식 오링 교체가 용이한 커넥터 및 이의 오링 교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5353A (ja) 2001-08-01 2003-04-18 Yukita Electric Wire Co Ltd 防水コネクタ
KR100458752B1 (ko) 2004-06-29 2004-12-03 박노영 방수용 딘 커넥터
JP4775907B2 (ja) * 2006-11-22 2011-09-21 Smk株式会社 防水型コネクタ及び中継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5353A (ja) 2001-08-01 2003-04-18 Yukita Electric Wire Co Ltd 防水コネクタ
KR100458752B1 (ko) 2004-06-29 2004-12-03 박노영 방수용 딘 커넥터
JP4775907B2 (ja) * 2006-11-22 2011-09-21 Smk株式会社 防水型コネクタ及び中継コネクタ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070B1 (ko) 2013-03-06 2014-05-27 임승남 수중케이블커넥터
WO2016195209A1 (en) * 2015-06-04 2016-12-08 Lg Innotek Co., Ltd. Waterproof cable connector
CN107785673A (zh) * 2017-11-22 2018-03-09 伊戈尔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低压led防水灯连接器结构
CN107809023A (zh) * 2017-11-29 2018-03-16 李亚娟 电连接头及电连接套
CN107978873A (zh) * 2017-11-29 2018-05-01 李亚娟 电连接装置
CN107994376A (zh) * 2017-11-29 2018-05-04 李亚娟 快拆装电连接装置
KR20230072634A (ko) 2021-11-18 2023-05-25 (주)베스라이트 방수 커넥터
KR20240013485A (ko) 2022-07-22 2024-01-30 전영식 오링 교체가 용이한 커넥터 및 이의 오링 교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745B1 (ko)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US5580264A (en) Waterproofed connector
JP6536378B2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ワイヤハーネス
US9577367B2 (en) Sealed connector with an extended seal sleeve and an anti-water pooling retainer
KR102298899B1 (ko) 전기 장치
RU2198455C2 (ru) Вставная муфт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шланговых кабелей,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подземных горных разработках
US10082230B2 (en) Corrugated tube for protecting a cable, fastener for coupling a housing on the corrugated tube and seal element for sealing the corrugated tube against the housing
RU2497247C2 (ru) Розеточная часть для самофиксирующейс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US9954337B2 (en) Electrical plugs with integrated strain relief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045504A1 (en) connecting piece for protective cable pipes
US9461401B2 (en) Electrical plugs with integrated strain relief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7437692B (zh) 防水连接器
JP639871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09146768A (ja) 電線ホルダ
KR20130031989A (ko) 호스 연결장치
US8986035B2 (en) Securing member for a connector
JP5557069B2 (ja) コネクタ
KR100458752B1 (ko) 방수용 딘 커넥터
JP6614681B2 (ja) コネクタ
KR101964137B1 (ko) 케이블과 함체의 결합구조
TW201630269A (zh) 氣密型連接器
JPH0864297A (ja) 防水コネクタ
JP7391380B2 (ja) コネクタ構造、コネクタ、並びに、コネクタ係合片
AU2019226253B2 (en) Packing member for waterproof electric connector
JP3951490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