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733B1 - 전선연결용 콘넥터 - Google Patents

전선연결용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733B1
KR101032733B1 KR1020090013256A KR20090013256A KR101032733B1 KR 101032733 B1 KR101032733 B1 KR 101032733B1 KR 1020090013256 A KR1020090013256 A KR 1020090013256A KR 20090013256 A KR20090013256 A KR 20090013256A KR 101032733 B1 KR101032733 B1 KR 10103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il
protective cap
synthetic resin
metal protecti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032A (ko
Inventor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이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익 filed Critical 이재익
Priority to KR102009001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73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2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twi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연결용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연결용 콘넥터를 구성시 체결용 코일과 합성수지 절연커버 사이에 금속보호캡을 결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상호간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전선연결용 콘넥터에 관한 것이며, 단선된 전선을 꼬아서 연결한 연결부분에 체결용 코일을 나사식으로 체결하게 되면 체결용 코일이 벌려지게 되는데, 체결용 코일이 과도하게 벌려지지 못하게 하는 동시에 외부 압력으로부터 절연커버가 파손되지 않도록 체결용 코일과 합성수지 절연커버 사이에 금속보호캡을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용 코일과 금속보호캡의 상호간에 신속 간편하게 결합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체결용 코일의 머리부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고 금속보호캡의 내부 머리부에는 상기 체결용 코일은 머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며,
또 합성수지 절연커버의 내부에 머리부도 직사각형으로 구성하여 상호 조립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며, 본 발명에 의한 전선연결용 콘넥터에 의하면, 합성수지 절연커버와 내부에 체결용 코일 사이에 결합된 금속보호캡에 의해서 합성수지 절연커버와 체결용 코일이 내부, 외부의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단선된 두 가닥의 전선을 꼬아주고 체결하면 매우 견고하게 체결상태를 오랜 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체결용 코일, 본체, 머리부, 금속보호캡, 공간부, 합성수지 절연커버.

Description

전선연결용 콘넥터{Connector for electric wire connection}
본 발명은 전선연결용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을 꼬아 상호 연결하고 연결부분의 누전 방지와 확실한 연결을 위하여 사용하는 전선연결용 콘넥터를 구성시 체결용 코일과 합성수지 절연커버 사이에 금속보호캡을 결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상호간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전선연결용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는 각종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생활에 필수적 에너지이고 전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두 가닥의 전선을 이용하고 있는데, 전선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수단으로 전선을 절단하고, 또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다.
종래 상기와 같이 두 가닥의 전선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전선 끝에 피복을 스트립퍼(Stripper) 등 공구를 이용하여 피복을 벗긴 후, +,- 같은 극끼리 두 가닥을 맞대어 꼬아준 뒤 절연테이프를 감아 연결작업을 완료하고, 상기 절연테이프 위에 별도의 합성수지 절연캡을 씌워 전선연결을 하였다.
상기와 같이 하게 되면, 전선연결부위가 깔끔하지 못하고, 전선연결시 테이프를 감고 합성수지 절연캡을 씌우는 작업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테이프 및 합성수지 절연캡에 의한 연결부분은 시간이 갈수록 연결부위의 합성수지 절연캡이 벗겨지거나 테이프가 풀려 누전이나 단락이 유발되는 등의 많은 폐단이 있었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연결용 콘넥터가 시판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합성수지로 외주면에 돌림편을 형성한 합성수지 절연커버의 내부에 체결용 코일을 내장시켜, 두 가닥의 전선을 연결시 상기 체결용 코일에 의해 체결고정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전선연결에 따른 신속 정확성과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로 외주면에 돌림편을 형성한 합성수지 절연커버의 내부에 바로 체결용 코일을 내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가닥의 전선을 연결시 상기 체결용 코일이 팽창되면서 합성수지 절연커버를 손상시키거나 외부에서 전선 연결부분을 가압하게 되면 합성수지 절연커버와 체결용 코일이 파손되는 등 내구성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전선연결용 콘넥터는 전선연결시 전선을 꼬아서 연결하고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체결용 코일에 의해 매우 견고 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게 하며,
특히, 전선연결용 콘넥터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절연커버와 내부에 체결용 코일이 내부,외부의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여 전선연결용 콘넥터의 내구성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켜줄 수 있게 하며,
또한, 상호 구성간에 조립도 신속 정확하고, 조립한 후에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선연결용 콘넥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선연결용 콘넥터는 단선된 전선을 꼬아서 연결한 연결부분에 체결용 코일을 나사식으로 체결할 때 체결용 코일이 벌려지게 되는데, 체결용 코일이 과도하게 벌려지지 못하게 하는 동시에 외부 압력으로부터 절연커버가 파손되지 않도록 체결용 코일과 합성수지 절연커버 사이에 금속보호캡을 결합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체결용 코일과 금속보호캡의 상호간에 신속 간편하게 결합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체결용 코일의 머리부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고 금속보호캡의 내부 머리부에는 상기 체결용 코일은 머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며, 또 합성수지 절연커버의 내부에 머리부도 직사각형으로 구성하여 상호 조립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연결용 콘넥터에 의하면, 합성수지 절연커 버와 내부에 체결용 코일 사이에 결합된 금속보호캡에 의해서 합성수지 절연커버와 체결용 코일이 내부, 외부의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단선된 두 가닥의 전선을 꼬아주고 체결하면 매우 견고하게 체결상태를 오랜 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전선연결용 콘넥터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절연커버와 체결용 코일, 금속보호캡에 상호간에 조립시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한 후에는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에도 분리되지 않아 누전을 예방할 수 있는 등, 전선연결용 콘넥터의 품질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선연결용 콘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연결용 콘넥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연결용 콘넥터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보인 단면도, 4는 도 1의 B-B선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연결용 콘넥터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선연결용 콘넥터는, 체결용 코일(1)과, 금속보호캡(10)과, 합성수지 절연커버(20)로 구성되는데, 금속보호캡(10)은 체결용 코일(1)과 합성수지 절연커버(20)를 보호할 수 있게 체결용 코일(1)과 합성수지 절연커버(20) 사이에 결합 된다.
상기 체결용 코일(1)의 본체(2)는 단선된 전선을 꼬아서 연결한 부분을 나사식으로 체결할 수 있게 나사식으로 구성하고 머리부(3)는 금속보호캡에 결합시 돌아가지 않게 직사각형으로 구성하여 금속보호캡(10)의 내부에 체결용 코일을 장입하기 위한 공간부(12)의 상측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머리부(11)에 결합하고 체결용 코일의 하부는 금속보호캡(10)의 하단부를 오므려서 금속보호캡(10)에서 체결용 코일이 빠지지 않게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체결용 코일(1)이 장입된 금속보호캡(10)의 상부는 합성수지 절연커버(20)에 결합되어 돌아가지 않게 양쪽으로 폭을 점점 좁게 구성된 머리부(11)를 구성하며,
상기 금속보호캡(10)의 머리부(11)와 같은 형상으로 합성수지 절연커버(20)의 내부상측에 머리부(21)를 구성하여 금속보호캡(10)을 결합하고 하단을 합성수지 절연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25)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30은 돌림편, 31은 미끄럼 방지용 돌조, 32는 전선을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전선연결용 콘넥터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선연결용 콘넥터는, 전선의 단부에 피복을 벗긴 두 가닥의 전선(32)을 꼬아서 연결하고 연결부분을 전선연결용 콘넥터를 구성하고 가장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용 코일(1)에 끼우고 합성수지 절연커버(20)에 형성된 돌림편(30) 및 미끄럼 방지용 돌조(31)를 이용하여 너트를 체결하듯이 돌려준다.
그러면, 전선(32)의 꼬아서 연결하고 연결부분이 체결용 코일(1)에 점점 깊게 체결되면서 더욱더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 과정에서 체결용 코일(1)과, 금속보호캡(10)과 합성수지 절연커버(20)의 각 구성에 대한 작용을 살펴 본다.
전선연결용 콘넥터를 구성하면서 가장 내부에 있는 체결용 코일(1)은 전선을 꼬아서 연결하고 연결부분이 너트를 체결하듯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체결용 코일의 탄성작용에 의해서 견고하게 조여지게 되며, 이러한 작용으로 체결용 코일이 외부로 확장되면 금속보호캡(10)이 더 이상 확장되지 못하게 잡아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 절연커버(20)가 체결용 코일이 외부로 확장되면서 합성수지 절연커버(20)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선연결용 콘넥터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절연커버(20)에 외부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금속보호캡(10)이 압력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체결용 코일(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체결용 코일(1)의 머리부와 금속보호캡(10)의 머리부와 합성수지 절연커버(20)의 머리부가 직사각형으로 구성되고 상호 결합 되었기 때문에 조립할 때 쉽게 위치를 찾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고, 상호 견고하게 결합 될 뿐만 아니라 직사각형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타원 또는 삼각형의 구조에 비하여 상호 돌아가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체결용 코일을 더욱 견고하게 체결하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연결용 콘넥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연결용 콘넥터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연결용 콘넥터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체결용 코일
2: 본체
3:11:21: 머리부
10: 금속보호캡
12: 공간부
20: 합성수지 절연커버

Claims (1)

  1. 체결용 코일(1)과, 금속보호캡(10)과 합성수지 절연커버(20)로 구성되는 전선연결용 콘넥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코일(1)의 머리부(3)는 금속보호캡에 결합시 돌아가지 않게 직사각형으로 구성하여 금속보호캡(10)의 내부에 체결용 코일을 장입하기 위한 공간부(12)의 상측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머리부(11)에 결합하고 체결용 코일의 하부는 금속보호캡(10)의 하단부를 오므려서 금속보호캡(10)에서 체결용 코일이 빠지지 않게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체결용 코일(1)이 장입된 금속보호캡(10)의 상부는 합성수지 절연커버(20)에 결합되어 돌아가지 않게 양쪽으로 폭이 점점 좁게 구성된 머리부(11)가 구성되며,
    상기 금속보호캡(10)을 합성수지 절연커버(20)의 내부상측에 금속보호캡의 머리부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 머리부(21)에 결합하고 하단은 걸림턱(25)에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용 콘넥터.
KR1020090013256A 2009-02-18 2009-02-18 전선연결용 콘넥터 KR10103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256A KR101032733B1 (ko) 2009-02-18 2009-02-18 전선연결용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256A KR101032733B1 (ko) 2009-02-18 2009-02-18 전선연결용 콘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032A KR20100094032A (ko) 2010-08-26
KR101032733B1 true KR101032733B1 (ko) 2011-05-06

Family

ID=4275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256A KR101032733B1 (ko) 2009-02-18 2009-02-18 전선연결용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7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38B1 (ko) 2015-09-10 2017-01-03 주식회사 건원 크로스 링크 자기수축형 열화진단 케이블 접속재
KR20180087074A (ko)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건원 난연 신소재로 이루어진 감온변색 직선접속재
KR102348479B1 (ko) 2020-07-02 2022-01-06 박금단 변색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용 스프링 콘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198B1 (ko) * 1992-07-11 1999-01-15 허버트 킹 쥬니어 로이드 꼬임전선커넥터 및 그 꼬임전선커넥터주위에서 실런트함유셸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198B1 (ko) * 1992-07-11 1999-01-15 허버트 킹 쥬니어 로이드 꼬임전선커넥터 및 그 꼬임전선커넥터주위에서 실런트함유셸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38B1 (ko) 2015-09-10 2017-01-03 주식회사 건원 크로스 링크 자기수축형 열화진단 케이블 접속재
KR20180087074A (ko)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건원 난연 신소재로 이루어진 감온변색 직선접속재
KR102348479B1 (ko) 2020-07-02 2022-01-06 박금단 변색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용 스프링 콘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032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9126B2 (ja) 電線接続構造、ノイズ低減ユニ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10256566B2 (en) Waterproof electric connector
KR101032733B1 (ko) 전선연결용 콘넥터
JP5878075B2 (ja) 電線の外部導体端子の接続構造
JP6358164B2 (ja) アース機能付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6149746B2 (ja) プロテ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5090503B2 (ja) 端子の保護構造
JP5720609B2 (ja) 圧着端子付き保護キャップおよび該保護キャップを用いた端末スプライス部の形成方法
JP5118433B2 (ja) 水中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293079B1 (ko) 야전장비용 전선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20150236489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109727731A (zh) 一种卡扣式绝缘保护套
KR101528189B1 (ko) 전기배선용 전기방수단자대
US20130133945A1 (en) Terminal cable assembly having water proof structure
US6389642B1 (en) Strain relief
US10431971B2 (en) Thermal protector
JP2009176677A (ja) 端子の絶縁保護方法
KR20170002900U (ko)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CN103615383A (zh) 具接线保护的压缩机、接线保护装置及过载保护器
JP2014089913A (ja) 保護カバー
CN215771674U (zh) 新型插接器固定保护体
JP5127855B2 (ja) 電線端末カバー
CN207475128U (zh) 一种接线盒
JP6428522B2 (ja)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200315156Y1 (ko) 전선 보호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