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900U -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900U
KR20170002900U KR2020160000684U KR20160000684U KR20170002900U KR 20170002900 U KR20170002900 U KR 20170002900U KR 2020160000684 U KR2020160000684 U KR 2020160000684U KR 20160000684 U KR20160000684 U KR 20160000684U KR 20170002900 U KR20170002900 U KR 201700029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upling
case
b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0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900U/ko
Publication of KR201700029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20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64Protective covers f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4Common bus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로 차단기에 설치된 부스바를 보호하여 부스바의 변형 또는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로 돌출된 부스바를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에 설치되는 부스바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제공하며, 여기서 부스바 보호부재의 일측은 부스바에 배치되어 부스바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구비하며, 부스바 보호부재의 타측은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BUSBAR PROTECTOR FOR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 차단기에 설치된 부스바를 보호하여 부스바의 변형 또는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에 관한 것이다.
회로 차단기는 전기 회로에 이상 전류, 지락 또는 단락과 같은 사고 전류가 흐를 때 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기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평면도로서, 이 회로 차단기는 이상전류 또는 사고 전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기 위한 미도시된 개폐장치가 내장된 케이스(10), 회로 차단기를 수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12),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단자(T)에 일단이 스크류(S)에 의해 접속되며 타단이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된 부스바(20)를 구비한다.
상기 부스바(20)는 도전성이 좋은 구리와 같은 금속 막대로서 제작되며, 대용량의 전기를 감당할 수 있으므로 회로 차단기의 전기 접속부에서 자주 사용되며, 도전성 향상을 위해 은으로 도금되기도 한다.
상기 부스바(20)는 일단부에는 내부 단자(T)와의 스크류(S) 결합을 위한 접속홀(미도시)이 형성되며 타단부에 외부 단자와의 결합을 위한 접속홀(21)이 형성된다.
한편,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20) 사이에는 부스바(20)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케이스(10)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절연 배리어(30)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로 차단기의 완성품은 부스바(20)의 자유단이 회로 차단기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회로 차단기의 판매시, 회로 차단기는 박스와 같은 포장 수단에 의해 포장되어 판매되기는 하지만 부스바(20)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수단이 제공되지 않아서, 회로 차단기의 출하, 운반, 취급, 설치 준비 작업과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부스바(20)에 외부로부터 과도한 충격 또는 힘이 가해질 경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바(2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따라 부스바(20)의 좌우 틀어짐 및 상하 변형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부스바(20)에 가해진 힘이 큰 경우 부스바(20)의 심한 변형이 발생함은 물론, 부스바(20)의 변형에 의해 케이스(10)에도 손상이 가해져 회로 차단기의 사용이 불가능할 정도의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케이스(10)에 가해진 힘이 작은 경우라 하더라도, 부스바(20)가 구리 계열의 금속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부스바(20)는 쉽게 변형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스바(20)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결선 작업 전에 부스바(20)의 변형을 수정하기 위한 작업을 필요로 할 수도 있어 회로 차단기의 결선을 위한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스바(20) 수정 작업을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부스바(20)가 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부스바(20)와 외부단자 사이에 충분한 표면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스바(20)의 변형 과정에서 은 도금층이 손상될 수도 있어서, 부스바(20)와 외부단자 사이에 최적의 결선의 이루어지지 않아 차단기의 동작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회로 차단기의 출하, 운반, 취급, 설치 준비 작업과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부분으로 외부 충격 또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완화 또는 흡수하여 부스바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할 수 있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로 돌출된 부스바를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에 설치되는 부스바 보호부재를 제공하며, 부스바 보호부재의 일측은 부스바 측에 배치되는 부스바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구비하며, 부스바 보호부재의 타측은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케이스에 형성한 홈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홈은 절연 배리어 결합을 위해 부스바 사이 부분의 케이스에 형성한 절연 배리어의 결합홈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설치위치는 부스바 보호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바 일 수도 있다.
한편, 부스바 보호부와 결합바 사이에는 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스바 보호부재는 고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연성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바는 결합홈의 결합 방법에 있어서, 결합홈의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거나, 결합홈에 평행하게 배치된 후 억지 끼워맞춤될 수도 있다.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바의 선단에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결합바를 결합홈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부는 부스바 사이에 배치되며, 보호부의 두께는 부스바 사이의 폭과 같거나 작을 수도 있으며, 여기서 보호부는 장방형이며, 보호부의 높이는 부스바의 높이 보다도 높고, 보호부의 길이는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부스바의 길이 보다도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제2 실시예로서, 보호부는 장방형이며, 보호부에는 부스바가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결합바는 결합홈에 평행하게 배치된 후 억지 끼워맞춤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삽입홈의 높이는 부스바의 높이와 같거나 높고, 삽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벽의 두께는 부스바 사이의 폭과 같거나 작고, 부스부 보호부의 길이는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부스바의 길이 보다도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회로 차단기의 포장 전에 고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연성재료로 형성된 부스바 보호부재가 회로 차단기의 케이스에 결합되어 부스바를 보호하므로, 회로 차단기의 출하, 운반, 취급, 설치 준비 작업과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외부 충격 또는 외력이 부스바 보호부재에 가해지더라도 부스바 보호부재가 갖는 충격 완화 기능에 의해 외부 충격 또는 외력이 완화되므로 부스바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 보호부재를 회로차단기에 적용하게 되면, 회로 차단기의 출하에서 설치 전까지 부스바의 변형은 최소화되므로 부스바의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 및 제품 만족성은 물론 회로 차단기의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외부 충격 또는 외력에 의한 부스바의 변형 방향을 예시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보호부재가 적용된 회로 차단기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 보호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보호부재가 적용된 회로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 단자(미도시)에 접속되어 외부로 돌출된 부스바(200)를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부스바 보호부재(300)를 제공하며, 여기서 부스바 보호부재(300)는 고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연성재료로 형성되어 부스바(200)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충격 또는 외력으로부터 부스바 보호부재(300)가 부스바(200)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 보호부재(300)는 단순히 부스바(200) 만을 덮는 보호덮개로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부스바 보호부재(300)의 일측은 부스바(200)에 배치되어 부스바(200)를 보호하는 보호부(300a)를 구비하며, 타측은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결합부(300b)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제1 실시예로서 부스바 보호부재(300)에 형성된 결합부(300b)와의 결합을 위해서 회로 차단기의 케이스(100)에 별도의 부스바 보호부재 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회로 차단기의 케이스(100)에 별도의 부스바 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금형을 제작해야 하므로, 회로 차단기의 제작 비용이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회로 차단기의 케이스(100)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미도시된 절연 배리어(도 1 참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110)에 결합되도록 부스바 보호부재(300)를 구성하였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며, 미도시된 절연 배리어는 회로 차단기에 외부 단자의 결선이 완료된 후 마지막으로 설치되는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회로 차단기의 케이스(100)에는 미도시된 절연 배리어 설치를 위한 결합홈(110)이 부스바(200) 사이 부분의 케이스(100)에 형성되어 있으나, 회로 차단기의 제품 출하에서 회로 차단기의 결선 작업이 시작되는 완료되는 시점까지는 미도시된 절연 배리어가 결합홈(110)에 결합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미도시된 절연 배리어가 회로 차단기에 마지막으로 설치되는 구성요소라는 점에 착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회로 차단기의 제품 출시에서 회로 차단기의 결선 작업이 이루어지지 전까지 이용되지 않는 미도시된 절연 배리어의 결합홈(110)에 부스바 보호부재(300)의 결합부(300b)를 설치하여, 결합부와 일체로 연결된 보호부(300a)를 회로 차단기의 케이스(100)에 고정한 것이다.
이하, 회로 차단기의 결합홈(110)에 고정되는 부스바 보호부재(300)의 결합부(300b)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110)은 부스바(200) 사이의 케이스(10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홈(110)은 원형홈(111)과, 원형홈(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11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결합홈(110)에는 부스바 보호부재(300)의 결합부(300b)가 결합되는데, 이 결합부(300b)는 절연 배리어의 결합부(도 1에 도시된 절연 배리어의 결합부 참조)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300b)는 보호부(300a)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결합홈(110)의 원형홈(1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을 갖는 막대 형태의 결합바(311)로 형성되며, 결합바(311)의 단면 지름은 원형홈(11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여 결합홈(110)에 결합된 결합바(311)가 결합홈(110)으로 부터 쉽게 이탈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결합바(311)는 부스바 보호부재(300)와 일체형이므로 결합바(311)도 부스바 부호부재(300)와 동일한 재료인 고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연성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바(311)를 원형홈(111)의 축방향으로 따라 삽입시 결합바(311)의 단면 지름이 원형홈(111)의 지름보다도 크더라도 결합바(311)의 재료가 자체적으로 갖는 탄성력에 의해 결합바(311)는 반경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원형홈(111)에 삽입되어질 수 있다.
한편, 결합바(311)에는 결합바(311)를 원형홈(111)에 보다 원활이 삽입하기 위하여 원형홈(111)에 삽입되는 결합바(311)의 선단에 경사면(312)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바(3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형홈(111)의 축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도 있지만, 결합홈(110)의 슬롯(311')에 평행하게 배치된 후 억지 끼워맞춤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롯(311')의 폭(w1)은 결합바(311)가 슬롯(311')을 통해 원활이 삽입되도록 하면서도, 결합홈(110)으로 삽입된 결합바(311)가 회로 차단기의 운반 및 취급 중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슬롯(112)을 통해 다시 빠지지 않을 정도로 당업자가 합리적인 수준에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보호부(300a)와 결합바(311) 사이에는 보호부(300a)와 결합부(300b)를 연결하는 리브(313)가 형성될 있는데, 이 리브(313)는 상기 결합홈(110)의 슬롯(112)에 삽입되는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보호부(300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있는데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보호부재(300)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보호부(300a)는 부스바(20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보호부(300a)의 두께(t1)는 부스바(200) 사이의 폭(w2)과 같거나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부스바 보호부재(300)의 두께(t1)가 부스바(200) 사이의 폭(w2)보다 클 경우, 부스바(200) 사이로 삽입되는 보호부(300a)와 부스바(200) 사이에 틈이 없기 때문에, 보호부(300a)를 결합바(311)와 결합홈(110)을 통해 케이스(100)에 결합시, 부스바(200)와 보호부(300a) 측면 사이에는 간섭이 발생하여 보호부(300a)를 케이스(100)에 원활하게 결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 보호부(300a)의 높이(h1)는 부스바(200)의 높이(즉, 두께)(h2) 보다도 높고, 보호부(300a)의 길이(l1)는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된 부스바(200)의 길이(l2) 보다 길게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
이는 보호부(300a)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부스바(200) 보다도 크게 형성함으로써 부스바(200) 방향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외력이 가해질 때 보호부(300a)가 항상 먼저 충격되거나 외력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RST 3상의 부스바(200)에 대하여 RS 상의 부스바(200) 사이와 ST 상의 부스바(200) 사이에만 보호부(300a)가 설치되어 R상 및 T상 외측의 부스바(200)가 외부 충격이나 외력에 취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필요하다면, 가장 외측에 위치한 R상 및 T상의 부스바(200) 외측에도 보호부(300a)를 더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제1 실시예 보다 부스바(200)를 보다 잘 보호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부(300a)는 장방형의 외형을 가지며, 보호부(300a)에는 부스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홈(320)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홈(320)은 각각의 부스바(20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감싸므로 고무와 같은 연성재로가 더 사용되기는 하지만 부스바(200)를 보호하는 기능이 제1 실시예에 비해 우수하다.
한편,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이 보호부(300a)의 결합측에 형성되는 결합바(311) 및 리브(313)의 형상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이 보호부(300a)에는 부스바(200)가 삽입되는 삽입홈(320)이 형성되므로 보호부(300a)를 케이스(100)에 결합하는 방향이 회로 차단기의 종방향, 즉 부스바(2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이미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합바(311)는 결합홈(110)에 평행하게 배치된 후 억지 끼워맞춤되는 방식으로 결합홈(110)에 결합되어질 수 있다.
한편, 삽입홈(320)의 높이(h3)는 부스바(200)의 높이(즉, 두께)(h2)와 같거나 높고, 삽입홈(320) 사이에 형성되는 벽의 두께(t2)는 부스바(200) 사이의 폭과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삽입홈(320)의 높이(h3)가 부스바(200)의 높이(h2)보다 작거나, 삽입홈(320) 사이에 형성되는 벽의 두께(t2)가 부스바(200) 사이의 폭(w2)보다 큰 경우, 삽입홈(320)에 부스바(200)가 걸려 삽입홈(320)으로 부스바(200)를 삽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버스바 보호부(300a)의 길이(l1)는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부스바(200)의 길이(l2) 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부스바(200)의 자유단이 보호부(300a)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충격 또는 외력에 의해 버스바(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 차단기 부스바 보호부재(300)가 어떻게 회로 차단기에서 사용되는지를 설명한다.
회로 차단기의 제조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보호부재(300)의 결합부(300b)를 차단기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0)에 결합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보호부재(300)가 차단기에 결합된 경우, 보호부(300a)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버스바(200)의 크기 보다도 크기 때문에 부스바(200) 회로 차단기의 출하, 운반, 취급, 설치를 준비하는 일련의 과정에 부스바(200) 방향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외력을 가하려 하는 물체는 부스바(200) 보다도 먼저 보호부(300a)에 닿게 된다.
이때, 보호부(300a)는 재료가 갖는 자체적인 연성에 의해 외부 충격이나 외력을 흡수하므로, 보호부(300a)는 부스바(200)로 외부 충격이나 외력이 그대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부스바(200)의 변형은 최소화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보호부재(300)가 차단기의 결합된 경우, 보호부(300a)의 삽입홈(320)은 버스바(20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감싸므로 부스바(200)는 외부 충격이나 외력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물론, 부스바(200)의 자유단 부분이 삽입홀(200)을 통해 개방되어 있으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스바(200)의 길이(l2) 보다도 부스바 보호부(300a)의 길이가 길어서 부스바(200)의 자유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부스바(200)의 자유단이 부스바 보호부(300a)에 의해 외부 충격이나 외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보호부재(300)가 설치된 회로 차단기가 회로 차단기의 설치를 위한 작업장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부스바 보호부재(300)를 결합홈(110)의 축방향으로 밀거나 부스바(200)의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결합홈(110)으로부터 부스바 보호부재(300)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손상되지 않은 부스바(200)를 통해 용이하게 외부 단자와의 결선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물론, 이후 필요한 경우 절연 배리어의 결합홈(110)에 미도시된 절연 배리어(도 1 참조)를 결합함으로 부스바(200) 사이에 절연을 확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케이스 110: 결합홈, 절연 배리어의 결합홈
111: 원형홈 112: 슬롯
200: 부스바 200: 부스바
300: 부스바 보호부재 300a: 보호부
300b: 결합부 311: 결합바
312: 경사면 리브: 313
삽입홀: 320 h1, h2, h3: 높이
l1, l2: 길이 t1, t2: 두께
w1, w2: 폭

Claims (12)

  1.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로 돌출된 부스바를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에 설치되는 부스바 보호부재로서,
    부스바 보호부재의 일측은 부스바에 배치되어 부스바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구비하며,
    부스바 보호부재의 타측은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케이스에 형성한 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절연 배리어 결합을 위해 부스바 사이 부분의 케이스에 형성한 절연 배리어의 결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부스바 보호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보호부와 결합바 사이에는 리브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스바 보호부재는 고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연성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결합바는 결합홈의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거나, 결합홈에 평행하게 배치된 후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바의 선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9. 제5항에 있어서,
    보호부는 부스바 사이에 배치되며,
    보호부의 두께는 부스바 사이의 폭과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보호부는 장방형이며,
    보호부의 높이는 부스바의 높이 보다도 높고, 보호부의 길이는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부스바의 길이 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11. 제5항에 있어서,
    보호부는 장방형이며,
    보호부에는 부스바가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결합바는 결합홈에 평행하게 배치된 후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삽입홈의 높이는 부스바의 높이와 같거나 높고,
    삽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벽의 두께는 부스바 사이의 폭과 같거나 작고,
    보호부의 길이는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부스바의 길이 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KR2020160000684U 2016-02-05 2016-02-05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KR201700029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84U KR20170002900U (ko) 2016-02-05 2016-02-05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84U KR20170002900U (ko) 2016-02-05 2016-02-05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00U true KR20170002900U (ko) 2017-08-16

Family

ID=6062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684U KR20170002900U (ko) 2016-02-05 2016-02-05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90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7745A (zh) * 2018-03-23 2018-08-24 德布森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三相自复位过欠压保护器
KR20220062956A (ko) * 2020-11-09 2022-05-17 엘에스일렉트릭(주) 절연배리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7745A (zh) * 2018-03-23 2018-08-24 德布森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三相自复位过欠压保护器
KR20220062956A (ko) * 2020-11-09 2022-05-17 엘에스일렉트릭(주) 절연배리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TO20070048A1 (it) Porta-spazzole per una macchina elettrica a collettore, in particolare per un motore a corrente continua.
JP5875154B2 (ja) 電気接続箱
EP1580845B1 (en) Terminal device for electrical equipment
JP2011010423A (ja) 電気接続箱
JP2013526768A (ja) ヒューズアセンブリ
KR20170002900U (ko) 회로 차단기의 부스바 보호부재
KR101340811B1 (ko) 커넥터
JP6243197B2 (ja) バッテリカバー
JP6178182B2 (ja) 電気接続箱
JP6681417B2 (ja) 電気接続箱と保護部材の連結構造
JP6358164B2 (ja) アース機能付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
KR101773800B1 (ko) 전절연 리드선 부착형 폴리머 컷아웃 스위치
KR200482980Y1 (ko) 파워 커넥터와 버스바의 전원연결 보호 기능이 구비된 브러쉬리스 모터
JP5418846B2 (ja) 過電流遮断素子付き端子
US10614981B2 (en) Pole component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US920322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6221178B2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
JP4518326B2 (ja) 端子カバー
JP6215580B2 (ja) 電気接続箱
KR101379322B1 (ko)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KR101032733B1 (ko) 전선연결용 콘넥터
US9728364B2 (en) Fusible link
KR100959825B1 (ko) 충전부 은폐형 계기접속 단자카바
JP5995077B2 (ja) 回路遮断器の消弧装置
CN103021740B (zh) 带有漏电保护功能的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