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322B1 -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322B1
KR101379322B1 KR1020120040690A KR20120040690A KR101379322B1 KR 101379322 B1 KR101379322 B1 KR 101379322B1 KR 1020120040690 A KR1020120040690 A KR 1020120040690A KR 20120040690 A KR20120040690 A KR 20120040690A KR 101379322 B1 KR101379322 B1 KR 101379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hole
upper body
electric device
power line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939A (ko
Inventor
전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토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토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토피아
Priority to KR102012004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3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6Mounting on plugbo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나 개폐기와 같은 전기기기 내부로 유입되는 전력선을 유입 방향을 유도하여 전력선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는, 내부에는 전기회로를 수납하고, 양 단의 상측에는 수직 방향의 나사홀이 형성되는 상부몸체; 및 양 측부는 상기 상부몸체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는 전력선이 유입되는 수평 방향의 유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은 외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사면을 이루어, 상기 상부몸체의 하면에서 결합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전력을 차단하거나 개폐하는 전기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전차단기나 개폐기와 같은 전기기기 내부로 유입되는 전력선의 유입을 안전하게 유도하여 전력선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기기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부의 전기 배선 구조에서 배전반 내부에는 전류의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와 과전류에 의해 차단되는 배선용 차단기와 같은 전기기기가 반드시 구비된다. 배전용 차단기는 전기적 절연재를 주조하여 만들어진 외함과 이러한 외함 내에 차단기를 구성하는 접점 및 기구부를 가지며, 접속되는 전원 선로와 부하 회로의 이상전류 또는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차단함으로써, 회로 및 부하기기를 보호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주요부인 전기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현재 제작 및 시판되고 있는 전기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전기기기는 소정의 규격을 가지는 사각형의 고정판(미도시)에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전기기기(10,20)가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전기기기의 양 측에는 전력선(30)이 유입되면서 체결되어, 일 측의 전력선(30)을 통하여 유입된 전류는 전기기기(10,20)의 내부회로를 거쳐 타 측의 전력선(30)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부몸체(10)는 통상적으로 육면체의 하우징 형상을 이루고, 상면에는 개폐 레버(13)와 차단 버튼(14)이 마련되고, 그 내부에는 전류의 누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기 위한 각종 회로(미도시)가 마련된다. 하부몸체(20)는 상부몸체(10)의 하면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을 이루며, 양 측에는 전력선(30)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21)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유입홀(21)은 전력 공급 방식에 따라 2개에서 4개까지 복수 개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몸체(20)의 유입홀(2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상부몸체(10) 양단 상면에는 나사결합으로 유입되는 전력선(30)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홀(11)이 수직 방향으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전기기기의 구조에 따른 전력선의 체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30)을 하부몸체(20)의 유입홀(21)을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유입시킨 후 상부몸체(10)의 나사홀(11)을 통하여 나사(12)를 체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나사(12)는 전력선(30)의 단부를 수직으로 가압하여 전력선(30)을 도전성의 연결단자(22)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기기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의 양 측면이 동일한 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판(미도시)에 체결된 전기기기(10,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게는 평면 상태로만 보여진다. 이 경우 측면에서 유입시키는 전력선(30)을 전기기기의 유입홀(21)에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어려우며, 특히 좁은 배전반 내에서는 순전히 작업자의 감각에 의해서만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이 더욱 까다롭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설 배전반에서 이루어지는 수리공사에서는 전원을 켜 놓은 상태에서 시공할 경우 심각한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력선(30)의 단부는 피복이 벗겨진 상태에서 체결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전력선(30)이 유입홀(21)에 바로 유입되지 못하고 자칫 다른 상과의 합선이나 함체 등에 접촉되는 경우, 스파크를 일으키거나 감전, 선간 단락과 같은 심각한 사고를 발생시키거나 정정과 같은 2차 피해가 발생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기기기 내부로 유입되는 전력선에 대하여, 유입홀이 전기기기의 상부몸체 외부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유입홀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체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력선의 체결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선의 단부가 유입홀 내부로 안정적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선의 체결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기기를 제공하며, 상간의 섬락의 전이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는, 내부에는 전기회로를 수납하고, 양 단의 상측에는 수직 방향의 나사홀이 형성되는 상부몸체; 및 양 측부는 상기 상부몸체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는 전력선이 유입되는 수평 방향의 유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은 외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사면을 이루어, 상기 상부몸체의 하면에서 결합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부몸체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의 양 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는, 내부에는 전기회로를 수납하고, 양 단의 상측에는 수직 방향의 나사홀이 형성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양 측부의 상면에는 전력선이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하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 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안착부의 양 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하부몸체의 유입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 측으로 갈수록 바닥면이 하향 경사지는 사면을 이루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폭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된 본체가 복수 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본체의 유입홀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에 있어서, 상기 사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에는 전력선의 유입홀이 형성된 전기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의 하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 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안착부의 양 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전기기기의 유입 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며, 외 측으로 갈수록 바닥면이 하향 경사지는 사면을 이루는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전기기기 내부로 유입되는 전력선에 대하여, 유입홀이 전기기기의 상부몸체 외부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유입홀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체결 작업이 이루어지고, 전력선의 단부가 사면을 따라 유입홀 내부로 안정적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선의 체결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의 전력선 체결 작업시 스파크, 감전, 선간 단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전기기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인 전기기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전기기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전기기기의 주요부인 연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도 7의 주요부인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전기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전기기기의 주요부인 연장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기기는 전류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연결하기 위하여 배전함 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기능의 차단기 또는 개폐기를 말한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기기는 상부몸체(100), 상기 상부몸체(100)와 결합되는 하부몸체(200) 및 전류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몸체(100) 및 하부몸체(200) 내부에 수납되는 제어회로(미도시)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하부몸체(200)의 양 측에는 연장부(23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부몸체(100)는 내부에 각종 회로를 수납하기 위하여 하측은 개구된 육면체의 하우징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상부몸체(100)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수지가 이용된다. 또한, 상부몸체(100)의 중앙부 상면에는 전기적 연결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개폐 레버(130)와 비상시 전기적 연결 차단하기 위한 비상버튼(140)이 마련된다. 또한, 상부몸체(100)의 양 측부 상면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전력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홀(110)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110)을 통하여 나사(120)의 단부가 전력선(300)의 단부를 가압하여 하부몸체(200) 내부의 연결단자(220)와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고정시킨다.
상기 하부몸체(200)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측에서 상부몸체(100)와 결합되어 내부의 회로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이 개구된 육면체의 하우징 형상을 이루며,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수지가 이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하부몸체(200)는 양 측부가 상부몸체(100)의 측면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연장부(230)를 가진다. 상기 연장부(230)는 대략 5mm 내지 15mm 정도의 폭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mm 내외의 폭으로 연장된다. 또한, 하부몸체(200)의 양 측부 상면 즉, 연장부(230)의 상면에는 전력선(300)이 유입되기 위한 수평 방향의 유입홀(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력선 유입홀(210)은 전력 공급 방식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몸체(100)에 형성된 수직 방향의 나사홀(1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전력선 유입홀(210)은 바닥면(211)이 경사를 이룬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210)의 바닥면(211)은 외 측이 하향 경사를 이루어, 유입홀(210)의 외부의 수직 직경이 내부의 수직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유입홀(210)은 전력선(300)의 유입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유입홀(210)이 형성되는 하부몸체(200)가 상부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평면 방향에서 바라보는 작업자는 유입홀(210)의 횡 방향 위치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식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력선(300)의 단부가 종 방향으로 약간의 오차를 가지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경사면에 의하여 전력선(300) 단부는 정확한 유입홀(210) 위치로 가이드 된다. 결국, 상부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몸체(200)의 연장부(230)에 의하여 유입홀(210)에 대한 횡 방향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바닥면(211)이 경사를 이루는 유입홀(210)에 의하여 종 방향의 유입이 조절됨으로써, 전력선(300)의 유입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입홀(210)의 사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면 형상의 유입홀(210) 바닥면(211)은 전력선 단부의 위치에 따라 단부와 바닥면의 접촉각을 달리함으로써, 전력선(300)의 유입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면은 볼록한 곡면 형상을 이룬다.
한편, 상기 연장부(230)는 하부몸체(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별도로 구성되는 연장부(230)는 종래의 전기기기와 함께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기 설치된 전기기기의 하부몸체 양 측부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전력선(300)의 유입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주요부인 전기기기 본체와 지지부재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00) 및 하부몸체(200)와 함께 지지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본체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전기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하부몸체(200)는 상부몸체의 하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전기기기 본체(100,200)가 소정의 간격으로 유격되면서 고정판(미도시)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지지부재(400)는 본체가 안착되는 판 상의 안착부(410), 상기 안착부(410)의 양 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지부재(400)를 고정판(미도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420) 및 상기 안착부(410)의 양 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본체(100,200)를 지지하는 지지부(4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410)는 전기기기의 본체(100,200)가 안착되며, 본체(100,200)와 지지부재(400)는 별도의 나사 결합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410)는 하부몸체(2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판 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420)는 상기 안착부(410)의 양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그 단부는 다시 수평으로 절곡되어 나사 결합 등으로 지지부재(400)가 고정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430)는 상기 안착부(410)의 양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지지부재(400)가 고정판에 먼저 고정된 후,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가 결합된 본체(100,200)가 한 쌍의 지지부(430) 사이의 안착부(410)에 안착되면서 지지된다. 이때, 안착부(410)의 일 측 방향(x 방향)의 폭은 하부몸체(200)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본체(100,200)가 한 쌍의 지지부(430) 사이에서 억지끼움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430)에는 하부몸체(200)의 유입홀(21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이드 홈(440)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홈(440)은 바닥면(441)이 외 측이 하향되는 곡면 형상의 사면을 이루어, 유입되는 전력선의 단부가 유입홀(210)을 향하도록 가이드 한다.
한편, 지지부재의 타 측 방향(y 방향)의 폭은 복수 개의 전기기기 본체가 안착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지지부재(400)에 복수 개의 전기기기 본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430)의 가이드 홈(440)은 각 전기기기 본체(100,200)의 유입홀(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모두 형성되어야 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에도 사면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전력선의 유입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상부몸체
110 : 나사 홀 120 : 나사
200 : 하부몸체
210 : 유입 홀 211 : 유입 홀 바닥면
220 : 연결단자 230 : 연장부
300 : 전력선
400 : 지지부재 410 : 안착부
420 : 고정부 430 : 지지부
440 : 가이드 홈 441 : 가이드 홈 바닥면

Claims (6)

  1. 내부에는 전기회로를 수납하고, 양 단의 상측에는 수직 방향의 나사홀이 형성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양 측부의 상면에는 전력선이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하면에서 결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유입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사면(斜面)을 이루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의 양 측에서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2. 삭제
  3. 내부에는 전기회로를 수납하고, 양 단의 상측에는 수직 방향의 나사홀이 형성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양 측부의 상면에는 전력선이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하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 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안착부의 양 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하부몸체의 유입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 측으로 갈수록 바닥면이 하향 경사지는 사면을 이루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폭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된 본체가 복수 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본체의 유입홀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6. 일 측에는 전력선의 유입홀이 형성된 전기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전기기기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의 하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 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안착부의 양 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전기기기의 유입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며, 외 측으로 갈수록 바닥면이 하향 경사지는 사면을 이루는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지지부재.
KR1020120040690A 2012-04-19 2012-04-19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KR101379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690A KR101379322B1 (ko) 2012-04-19 2012-04-19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690A KR101379322B1 (ko) 2012-04-19 2012-04-19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939A KR20130117939A (ko) 2013-10-29
KR101379322B1 true KR101379322B1 (ko) 2014-03-28

Family

ID=4963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690A KR101379322B1 (ko) 2012-04-19 2012-04-19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143B1 (ko) * 2019-01-31 2021-02-05 에이치제이산전(주) 도전 방지 구조를 가진 전력량계 일체형 분전반
KR102631791B1 (ko) * 2021-02-24 2024-02-01 이성국 차단기 장착을 위한 고정대
KR102664195B1 (ko) * 2022-01-21 2024-05-09 이은수 개방형 단자 연결부위 마감을 위한 안전커버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1338A (ja) 2003-02-10 2004-08-26 Kawamura Electric Inc ブレーカ接続端子
JP3591337B2 (ja) * 1998-10-30 2004-11-17 松下電工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2008512826A (ja) 2004-09-08 2008-04-24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開閉装置を上面に固着させた取り付け機構
KR200442583Y1 (ko) 2007-05-08 2008-11-24 전재옥 차단기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1337B2 (ja) * 1998-10-30 2004-11-17 松下電工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2004241338A (ja) 2003-02-10 2004-08-26 Kawamura Electric Inc ブレーカ接続端子
JP2008512826A (ja) 2004-09-08 2008-04-24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開閉装置を上面に固着させた取り付け機構
KR200442583Y1 (ko) 2007-05-08 2008-11-24 전재옥 차단기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939A (ko)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6570B2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KR101658541B1 (ko)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JP6348982B2 (ja) 熱動過電流保護遮断器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KR101379322B1 (ko)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KR100961777B1 (ko) 전원분배모듈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KR100746787B1 (ko) 안전 잠금 장치를 구비한 분전함
CN103378426B (zh) 安装导轨适配器
US3983460A (en) Enclosed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fuse assembly
US20170263394A1 (en) Electric shock protection structure and method, and electric apparatus housing
KR101445110B1 (ko) 절연커버가 구비된 축소형 분전반
KR20120008368U (ko) 배선용 차단기용 부속 장치 단자대 취부 모듈
KR100763001B1 (ko) 엘보우 접속재를 이용한 수배전반
US2795766A (en) Terminal construction for circuit breaker
JP2021528816A (ja) 電気回路網を過電圧又は過電流から保護するための装置組み合わせ体
KR10182560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101121420B1 (ko) 단선 및 오결선 방지 기능을 갖는 ct 단자대
KR200488346Y1 (ko) 단로기의 얼라인먼트 장치
KR200474694Y1 (ko) 병렬 연결이 용이한 소형전기전자기구
KR102541381B1 (ko) 플러그인 배선용 차단기
KR101345260B1 (ko) 전선의 접속 단자
KR100755501B1 (ko) 통합 수배전반함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2657958B1 (ko) 핸디형 배전반 방전 및 접지 장치
KR100940230B1 (ko) 접지가 형성된 가스 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20120107896A (ko) 이탈착 방식의 누전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