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260B1 - 전선의 접속 단자 - Google Patents

전선의 접속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260B1
KR101345260B1 KR1020120115926A KR20120115926A KR101345260B1 KR 101345260 B1 KR101345260 B1 KR 101345260B1 KR 1020120115926 A KR1020120115926 A KR 1020120115926A KR 20120115926 A KR20120115926 A KR 20120115926A KR 101345260 B1 KR101345260 B1 KR 10134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pieces
main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우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엔씨
Priority to KR102012011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전선의 접속 단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접속 단자는 주연결부의 일측에 다수의 단자편이 형성되어 다수의 접속부를 갖는 터미널단자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주연결부와 다수의 단자편의 연결된 부위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다수의 단자편을 갖는 터미널단자에서 각 단자편의 일부위에 형성된 절취부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단자편을 용이하게 잘라낼 수 있고, 또한 단자편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다른 전선 연결과 간섭되지 않아 배선 작업이 용이하고 합선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선의 접속 단자{ELECTRIC WIRE'S TERMINAL}
본 발명은 전선의 접속 단자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접속 단자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또 다수의 접속 단자 중 불필요한 단자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어 그 갯수를 임의로 선택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결속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전선의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 콘센트, 분전반, 스위치 등 전기 접속장치에는 전선결합용 터미널단자대가 형성되고, 전선의 단부에는 단자가 형성되며, 전선의 단자가 터미널단자대에 삽입된 후 고정볼트를 조여 고정시켜서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 20-0343976호의 "전선연결용 터미널단자"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단자몸체부에 전선조임용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터미널단자의 내측으로 고정단자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터미널단자의 단자몸체부 내측면에는 고정단자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돌기부가 내향 돌설된 것으로, 고정단자의 상하 이동을 구속하여 전선연결에 따른 작업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매우 큰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의 접속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선의 접속 장치는 다수의 접속부(200)를 갖는 터미널단자대(2)와, 전선이 연결되며 상기 터미널단자대(2)에 삽입되는 터미널단자(4)로 구성되며, 터미널단자(4)를 터미널단자대(2)에 결합시킨다.
터미널단자대(2)의 접속부(22)는 양극 접속부와 ,음극 접속부가 교호 형성되어 형성되며, 각 접속부는 상하에 배열된 상부 및 하부 접지판과, 상부 접지판을 하부 접지판에 밀착시키는 고정볼트(224)로 구성된다.
터미널단자(4)는 주연결부(42)의 일측에 다수의 단자편(44)이 형성된 것으로, 주연결부(42)의 일측에 전선이 연결되고, 단자편(44)은 주연결부(42)에 연결된 가지부재의 단부에 고정볼트 삽입이 용이하도록 "U"자 형상의 끼움핀(448)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수의 단자편(44)을 필요에 따라 잘라서 사용하게 되는데, 예컨데 다수의 단자편에서 하나씩 건너뛰어서 잘라내어 사용하거나 몇개를 한꺼번에 잘라내고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터미널단자(4)를 터미널단자대(2)의 접속부(22)에 꽂아 고정시키고, 터미널단자가 삽입되지 않은 빈 접속부에는 별도의 전선(W)이 연결된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별도의 전선(W)을 연결하였을때 터미널단자(4)의 주연결부(42)와 접촉되므로 쇼트가 발생될 위험이 있고, 별도의 전선(W)의 압박을 받아 결합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미널단자에서 다수의 단자편 중 일부를 잘라내는 경우 절단기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단자편을 갖는 터미널단자에서 각 단자편의 일부위에 절취가 용이하도록 프리커팅된 절취부를 형성하였고, 또한 단자편을 경사지게 배열함으로써 별도의 전선을 연결시킬때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쇼트의 위험을 방지하고, 접속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선의 접속 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연결부의 일측에 다수의 단자편이 형성되어 다수의 접속부를 갖는 터미널단자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주연결부와 다수의 단자편의 연결된 부위에 절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접속 단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부는 주연결부에 평행되도록 다수의 단자편과 주연결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제1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취부는 주연결부와 직각이 되게 형성되도록 다수의 단자편과 주연결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제2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단자편은 제1절취선을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단자편은 외면에 비전도성 합성수지로 된 피복재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절취선은 피복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단자편을 갖는 터미널단자에서 각 단자편의 일부위에 형성된 절취부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단자편을 용이하게 잘라낼 수 있고, 또한 단자편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다른 전선 연결과 간섭되지 않아 배선 작업이 용이하고 합선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의 접속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접속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접속 단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접속 단자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선의 접속 단자를 터미널단자대에 결합시킨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접속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접속 단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접속 단자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선의 접속 단자를 터미널단자대에 결합시킨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접속 단자(A)는, 주연결부(2)의 일측에 다수의 단자편(4)이 형성되어 다수의 접속부(200)를 갖는 터미널단자대(100)의 접속부(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주연결부(2)와 다수의 단자편(4)의 연결된 부위에 절취부가 형성된다.
즉 일정 길이의 편체로 된 주연결부(2)의 일측에 다수의 단자편(4)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단자편(4)의 끝단에는 고정볼트 삽입이 용이하도록 "U"자 형상의 끼움핀(43)이 형성된다.
또 주연결부(2)의 외면 및 다수의 단자편(4)의 일부분까지 비전도성 합성수지로 된 피복재(6)로 피복된다.
상기 절취부는 주연결부(2)에 평행되도록 다수의 단자편(4)과 주연결부(2)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제1절취선(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절취선(3)은 피복재(6)의 내부에 형성되어야 하며, 제1절취선(3)에 의해 절단된 부위가 피복재(6)의 내부에 남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쇼트 사고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절취부는 주연결부와 직각이 되게 형성되도록 다수의 단자편(4)과 주연결부(2)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제2절취선(7)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수의 단자편(4)을 필요에 따라 제1절취선(3) 또는 제2절취선(7)을 선택하여 잘라서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도 5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취선(3)을 잘라내어 일부분의 몇개의 단자편(4)을 잘라내거나 또는 하나씩 건너뛰어서 잘라내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도 5의 (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취선(7)을 잘라내어 주연결부(2)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작된 전선의 접속 단자(A)를 터미널단자대(100)의 접속부(120)에 꽂은 후 고정나사(124)를 조여 고정시키고, 전선의 접속 단자(A)가 삽입되지 않은 빈 접속부(1200)에는 별도의 전선(300)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단자편(4)은 제1절취선(3)을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단자대(100)의 일부 접속부(120)에 다수의 단자편(4)을 결합시키고, 빈 접속부(120)에 별도의 전선(300)을 결합시킬 수 있고, 이 별도의 전선(300)은 본 발명의 접속 단자(A)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쇼트의 위험이 배제될 수 있고, 배선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주연결부 4 ; 단자편
6 : 피복재 3 ; 제1절취선
7 : 제2절취선 43 : 끼움핀
200 : 접속부 300 :전선

Claims (5)

  1. 주연결부의 일측에 다수의 단자편이 형성되어 다수의 접속부를 갖는 터미널단자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주연결부와 다수의 단자편의 연결된 부위에 절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취부는 주연결부에 평행되도록 다수의 단자편과 주연결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제1절취선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단자편은 제1절취선을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접속 단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주연결부와 직각이 되게 형성되도록 다수의 단자편과 주연결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제2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접속 단자.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결부 및 다수의 단자편은 외면에 비전도성 합성수지로 된 피복재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접속 단자.


KR1020120115926A 2012-10-18 2012-10-18 전선의 접속 단자 KR10134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926A KR101345260B1 (ko) 2012-10-18 2012-10-18 전선의 접속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926A KR101345260B1 (ko) 2012-10-18 2012-10-18 전선의 접속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260B1 true KR101345260B1 (ko) 2013-12-26

Family

ID=4998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926A KR101345260B1 (ko) 2012-10-18 2012-10-18 전선의 접속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22B1 (ko) * 2017-03-17 2018-07-05 김태용 배선 연결이 용이한 접속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8183A (ja) 2010-12-24 2012-07-19 Yazaki Corp 端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8183A (ja) 2010-12-24 2012-07-19 Yazaki Corp 端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22B1 (ko) * 2017-03-17 2018-07-05 김태용 배선 연결이 용이한 접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1704B2 (en) Modular wiring system
US3848224A (en) Pre-wired switch box
US20160064883A1 (en) Electrical Power Cord with Supplemental Socket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US10862288B2 (en) Wiring apparatus
US7957121B1 (en) Circuit breakers and circuit breaker box
US9795046B2 (en) Device for securing a functional component to a support rail
KR101345260B1 (ko) 전선의 접속 단자
KR10146632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CN106229748A (zh) 用于接头的接线座
KR101543741B1 (ko) 전원분배용 터미널 블럭
KR100699920B1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KR101811007B1 (ko) 시공이 편리한 분전반
CN201041800Y (zh) 电源电路保护装置
KR200420619Y1 (ko) 분전반용 무접점 버스바
CN103779747B (zh) 配电连接装置
GB2490146A (en) Wiring of electrical fittings
RU77510U1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KR200374519Y1 (ko) 다수개의 소켓이 부착된 파워케이블
KR102350376B1 (ko) 분전반
KR20130117939A (ko)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GB2459241A (en) An electrical wall socket having more than one set of terminals
JP6843393B2 (ja) コンセントモジュール
KR101126493B1 (ko) 분전반
JPS632263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