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493B1 - 분전반 - Google Patents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493B1
KR101126493B1 KR1020100007468A KR20100007468A KR101126493B1 KR 101126493 B1 KR101126493 B1 KR 101126493B1 KR 1020100007468 A KR1020100007468 A KR 1020100007468A KR 20100007468 A KR20100007468 A KR 20100007468A KR 101126493 B1 KR101126493 B1 KR 101126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branch
locking
busbar
branch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847A (ko
Inventor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4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 H02B1/048Snap mounting

Abstract

본 발명의 분전반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메인 차단기; 상기 메인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선 부스바; 상기 모선 부스바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전원을 부하 측으로 분전하기 위한 분기 차단기 몸체, 상기 분기 차단기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 홈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 하는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분기 차단기; 상기 분기 차단기 및 상기 모선 부스바를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 및 상기 분기 차단기를 서포트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 홈과 결합 되는 걸림부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 돌기와 탄력적으로 결합 되는 텐션 클립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전반{POWER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공장, 건물, 아파트와 같은 대형 주거지역 등에 전기를 분배하는 동시에 과전류를 차단하여 전기적 사고를 방지하고 부하 기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종래 분전반은 외부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는 메인 차단기, 메인 차단기와 연결된 모선 부스바(bus bar), 모선 부스바의 양쪽에 배치된 분기 차단기, 분기 차단기와 연결된 분기 부스바 및 분기 차단기를 서포트 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종래 분전반의 분기 차단기의 분기 부스바 및 모선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분기 차단기는 베이스 유닛 상에 배치되며, 분기 차단기는 분기 차단기를 관통하는 길이가 긴 체결 나사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에 체결된다.
그러나 종래 분전반의 분기 차단기는 분기 차단기의 제조 회사 및 용량에 따라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고, 이로 인해 분기 차단기를 서포트 하는 베이스 유닛의 사이즈 역시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가질 수밖에 없다.
또한, 분기 차단기의 사이즈에 따라 베이스 유닛에 형성되는 체결공의 위치가 달라져 분전반의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분기 차단기를 체결 나사 없이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조립 공정 중 불량 발생을 방지한 분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분전반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메인 차단기; 상기 메인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선 부스바; 상기 모선 부스바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전원을 부하 측으로 분전하기 위한 분기 차단기 몸체, 상기 분기 차단기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 홈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 하는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분기 차단기; 상기 분기 차단기 및 상기 모선 부스바를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 및 상기 분기 차단기를 서포트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 홈과 결합 되는 걸림부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 돌기와 탄력적으로 결합 되는 텐션 클립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전반에 따르면, 분기 차단기에 걸림홈 및 걸림 돌기를 형성하고 베이스 유닛에 걸림홈과 결합되는 걸림부 및 걸림 돌기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클립부를 각각 형성하여 별도의 체결 나사 없이 베이스 유닛과 분기 차단기를 상호 결합할 수 있고, 분기 차단기를 모듈화하여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는 분기 차단기를 베이스 유닛에 결합할 수 있어 분전반을 대량 생산하기에 적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기 차단기 및 베이스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전반 중 베이스 유닛 및 분기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기 차단기 및 베이스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전반 중 베이스 유닛 및 분기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분전반(100)은 메인 차단기(110), 모선 부스바(120), 분기 차단기(130), 분기 부스바(140) 및 베이스 유닛(150)을 포함한다.
메인 차단기(110)는 육면체 블록 형상을 갖는다. 메인 차단기(110)는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을 인입 또는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인입된 전원을 차단한다.
메인 차단기(110)는 산업용 전원인 R극, S극, T극의 3상 전원을 인입 또는 차단하는 3상 메인 차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메인 차단기(110)는 산업용 전원인 R극, S극, T극 및 N극의 4상 전원을 인입 또는 차단하는 4상 메인 차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차단기(110)는 가정용 전원인 단상 2선 메인 차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모선 부스바(12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막대 형상을 갖고, 모선 부스바(120)는 도 1에 정의된 Y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다.
모선 부스바(120)의 일측 단부는 메인 차단기(110)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와 연결되며, 모선 부스바(120)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는 부하 측 단자에 접속된다.
모선 부스바(120)가 소정 높이를 갖는 메인 차단기(110)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와 연결되기 때문에 모선 부스바(120)는 메인 차단기(110)의 높이만큼 분전반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된다.
모선 부스바(120)는 메인 차단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상(phase)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인 차단기(110)로부터 3상 전원이 출력될 경우, 메인 차단기(110)에는 3 개의 모선 부스바(120)들이 연결된다. 이와 다르게, 메인 차단기(110)로부터 4상 전원이 출력될 경우, 메인 차단기(110)에는 4 개의 모선 부스바(120)들이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기 차단기(130)는 모선 부스바(120)의 일측 또는 양쪽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기 차단기(130)는 모선 부스바(120)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다. 분기 차단기(130)는 모선 부스바(120)를 통해 출력된 전원을 부하측으로 분전한다.
분기 차단기(130)는 분기 차단기 몸체(132), 스위치(134), 걸림홈(136) 및 걸림돌기(138)를 포함할 수 있다.
분기 차단기 몸체(132)는 직육면체 또는 육면체 블록 형상을 갖고, 분기 차단기 몸체(132)의 내부에는 전원 공급 회로 및/또는 전원 차단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34)는 분기 차단기 몸체(132) 내부에 포함된 전원 공급 회로 및/또는 전원 차단 회로를 작동 시킨다.
걸림홈(136)은 분기 차단기 몸체(132)의 외측면 하부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며, 걸림홈(136)은 분기 차단기 몸체(132)로부터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돌기(138)는 분기 차단기 몸체(132)의 외측면 하부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배치되며, 걸림돌기(138)는 분기 차단기 몸체(132)로부터 지정된 길이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분기 부스바(14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막대 형상을 갖는다. 분기 부스바(140)는 도 1에 정의된 X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따라서, X 축 방향으로 배치된 분기 부스바(140)는 Y 축 방향으로 배치된 모선 부스바(120)와 상호 교차 된다.
분기 부스바(140)의 일측 단부는 모선 부스바(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분기 부스바(140)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는 분기 차단기(1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베이스 유닛(150)에는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복수개의 분기 차단기(130)들 또는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는 복수개의 분기 차단기(130)들을 체결 나사 없이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50)은 몸체(151), 걸림부(155) 및 텐션 클립(157)을 포함한다.
몸체(151)는 제1 플랜지부(152), 제1 측벽부(154), 상판부(156), 제2 측벽부(158) 및 제2 플랜지부(159)를 포함한다.
제1 측벽부(154) 및 제2 측벽부(158)는 각각 도 3에 정의된 Y-Z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및 제2 측벽부(154,158)들은 상호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 된다.
상판부(156)는 제1 측벽부(154) 및 제2 측벽부(158)의 상단과 연결되며, 도 3에 정의된 X-Y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판부(156)에는 걸림부(155) 및 텐션 클립(157)이 형성 또는 결합 된다.
상판부(156)에는 Y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그루브(groove) 형상을 갖는 홈(156a)이 형성된다. 상판부(156)는 홈에 의하여 제1 상판부(156b) 및 제2 상판부(156c)로 구분된다.
제1 플랜지부(152)는 제1 측벽부(154)의 하단으로부터 제1 측벽부(154)의 바깥쪽으로 절곡 되어 형성되며, 제1 플랜지부(152)는 상판부(156)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플랜지부(159)는 제2 측벽부(158)의 하단으로부터 제2 측벽부(158)의 바깥쪽으로 절곡 되어 형성되며, 제2 플랜지부(159)는 상판부(156)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걸림부(155)는 베이스 유닛(150)의 상판부(156)의 제1 상판부(156b)에 형성된다. 걸림부(155)는 베이스 유닛(150)의 제1 상판부(156b)의 일부를 X 축 방향으로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제1 상판부(156b)의 상부로 절곡하여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155)는 Y 축 방향으로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텐션 클립(157)은 베이스 유닛(150)의 상판부(156)의 제2 상판부(156c)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텐션 클립(157)의 개수 및 위치는 앞서 설명된 걸림부(155)의 개수 및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텐션 클립(157)은 상판부(156)와 결합되는 결합부(157a) 및 분기 차단기(130)의 걸림돌기(138)와 결합 되는 클립부(157b)를 포함한다.
결합부(157a)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결합부(157a)는 제2 상판부(156c)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제2 상판부(156c)에 결합 된다.
클립부(157b)는 결합부(157a)로부터 제2 상판부(156c)로 절곡 되어 걸림돌기(138)과 결합 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두 번 이상 절곡 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150)의 걸림부(155)에는 분기 차단기(130)의 걸림홈(136)이 끼워져 결합되고, 베이스 유닛(150)의 클립부(157b)에는 분기 차단기(130)의 걸림 돌기(138)가 끼워져 분기 차단기(130)는 베이스 유닛(150) 상에 고정된다.
한편, 다양한 사이즈의 분기 차단기(130)를 베이스 유닛(150)에 결합하기 위해서 베이스 유닛(150)은 분기 차단기(130)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분기 차단기에 걸림홈 및 걸림 돌기를 형성하고 베이스 유닛에 걸림홈과 결합되는 걸림부 및 걸림 돌기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클립부를 각각 형성하여 별도의 체결 나사 없이 베이스 유닛과 분기 차단기를 상호 결합할 수 있고, 분기 차단기를 모듈화하여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는 분기 차단기를 베이스 유닛에 결합할 수 있어 분전반을 대량 생산하기에 적합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분전반...100 메인 차단기...110
모선 부스바...120 분기 차단기...130
분기 부스바...140 베이스 유닛...150

Claims (4)

  1.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메인 차단기;
    상기 메인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선 부스바;
    상기 모선 부스바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전원을 부하 측으로 분전하기 위한 분기 차단기 몸체, 상기 분기 차단기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 홈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 하는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분기 차단기;
    상기 분기 차단기 및 상기 모선 부스바를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 및
    상기 분기 차단기를 서포트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 홈과 결합 되는 걸림부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 돌기와 탄력적으로 결합 되는 텐션 클립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 클립은 상기 몸체에 형성된 개구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 되어 상기 걸림 돌기를 누르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분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및 상기 텐션 클립은 상기 몸체에 병렬 방식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분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일부를 절개 및 절개된 부분이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절곡한 형상을 갖는 분전반.
  4. 삭제
KR1020100007468A 2010-01-27 2010-01-27 분전반 KR101126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68A KR101126493B1 (ko) 2010-01-27 2010-01-27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68A KR101126493B1 (ko) 2010-01-27 2010-01-27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847A KR20110087847A (ko) 2011-08-03
KR101126493B1 true KR101126493B1 (ko) 2012-03-29

Family

ID=4492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468A KR101126493B1 (ko) 2010-01-27 2010-01-27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153B1 (ko) * 2012-08-27 2013-01-24 박병수 무접점 버스바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805A (ja) 1998-12-21 2000-07-04 Fuji Electric Co Ltd 分電盤の接続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805A (ja) 1998-12-21 2000-07-04 Fuji Electric Co Ltd 分電盤の接続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847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US2837699A (en) Panelboard construction
CN205195048U (zh) 母线套件
KR101126493B1 (ko) 분전반
KR10099685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10146632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US9954345B2 (en) Panelboard, and switchgear assembly and stab assembly therefor
KR101406934B1 (ko)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을 위한 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
KR101186275B1 (ko) 아크발생이 방지되는 친환경 산업용 안전 분전반
JP6330187B2 (ja) 盤用機器の配線構造
KR200446961Y1 (ko) 초박형 속결구조 디지털 분전반
JP2008061455A (ja) 4極用ブレーカのプラグイン取付アダプタ
KR20190141811A (ko) 분전반
JP6635364B2 (ja) 集電箱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KR101399474B1 (ko) 차단기 받침대
KR10182560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101580446B1 (ko) 마운팅 플레이트 상의 특히 보호 회로를 위한 스타­델타 와이어링
KR102580337B1 (ko) 부스바 분기 장치의 부스바 접속용 어댑터, 이를 갖는 부스바 분기 장치, 및 부스바 분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JP4466934B2 (ja) 分電盤の充電部
KR20170002670U (ko) 배선용 차단기
KR200323651Y1 (ko)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KR20180000846U (ko) 배전반
JP2002142314A (ja) 分電盤の接続導体装置
KR100931842B1 (ko)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