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245B1 -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 Google Patents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245B1
KR101379245B1 KR1020130141656A KR20130141656A KR101379245B1 KR 101379245 B1 KR101379245 B1 KR 101379245B1 KR 1020130141656 A KR1020130141656 A KR 1020130141656A KR 20130141656 A KR20130141656 A KR 20130141656A KR 101379245 B1 KR101379245 B1 KR 101379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upport
support pipe
cross beam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지산업
Priority to KR102013014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 및 차량을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게 정지 혹은 진행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이 설치되는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있어서, 강관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 끝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지주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관통된 일단부에는 외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가로보와, 관통된 상기 가로보의 나사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향체결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방향체결홈의 바닥면은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에는 외면에 상기 방향체결홈에 끼움되게 방향체결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방향체결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방향체결홈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끝단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용접 및 볼트체결과 보강을 위한 와이어의 사용이 불필요하고 설치 및 분리가 손쉬워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함하게 되며, 방항체결돌기와 방향체결홈의 일면을 경사지게 형성시켜 고정캡의 체결에 의해 압착끼움되도록 함으로서, 가로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캡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 A blinker device }
본 발명은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의 지지파이프에 가로보를 끼우고 가로보의 단부를 고정캡으로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용접 및 볼트체결과 보강을 위한 와이어의 사용이 불필요하고 설치 및 분리가 손쉬워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함하게 되며, 방항체결돌기와 방향체결홈의 일면을 경사지게 형성시켜 고정캡의 체결에 의해 압착끼움되도록 함으로서, 가로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캡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및 건널목에는 지주를 세워 설치하고 그 지주에는 전원부와 연결함에 의해 보행자 및 차량을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게 정지 혹은 진행 신호를 표시하도록 한 신호등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등은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는 신호기의 일종으로서, 도로의 교차로, 횡단보도 등에 설치하여 적색, 녹색, 황색의 점멸로 차량이나 사람에게 정지, 우회, 진행 따위를 지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신호등은 주로 차량이나 사람이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고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게 지주장치를 통해 도로의 상부쪽 공간에 설치한다. 즉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0462162호 에서와 같이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의 상부 끝부분에 외팔보형식으로 가로로 연결된 가로보에 신호등을 고정하고 있으나, 지주와 가로보의 연결부위가 바람에 의한 진동 또는 가로보의 하중에 의해 벌려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들어 상기 가로보에는 신호등을 비롯한 각종 교통표지판, 과속방지카메라 등이 함께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가해지는 하중이 점차 증가하므로 강도의 보강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상기 가로보의 끝부분과 지주의 상부 끝부분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가 설치되며, 상기 가로보의 하부에는 받침대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신호등용 지주장치는 와이어, 받침대 등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외관상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전체적으로 미관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 상하방향 유동은 감소시킬 수 있으나 전후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의 지지파이프에 가로보를 끼우고 가로보의 단부를 고정캡으로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용접 및 볼트체결과 보강을 위한 와이어의 사용이 불필요하고 설치 및 분리가 손쉬워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함하게 되며, 방항체결돌기와 방향체결홈의 일면을 경사지게 형성시켜 고정캡의 체결에 의해 압착끼움되도록 함으로서, 가로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캡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 및 차량을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게 정지 혹은 진행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이 설치되는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있어서, 강관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 끝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지주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관통된 일단부에는 외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가로보와, 관통된 상기 가로보의 나사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향체결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방향체결홈의 바닥면은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에는 외면에 상기 방향체결홈에 끼움되게 방향체결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방향체결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방향체결홈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끝단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는 내주연에 입구 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게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에는 상기 테이퍼부에 압착되도록 상기 나사부 방향으로 외경이 작아지도록 압착돌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압착돌부의 외측면 단부에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단부에 끼움되도록 마감캡이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감캡의 내부에는 탄성스프링과 환형의 가압패널로 이루어진 가압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파이프의 타단에는 환형의 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캡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에 끼움되도록 환형의 삽입돌기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내면에 다수의 걸림돌기를 갖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압착링이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부에는 체결된 상기 고정캡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와셔가 더 체결되고, 상기 탄성와셔는 상기 삽입돌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의 외면에는 경사돌기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캡의 내측 저면에는 테두리 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턱을 갖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억지끼움되도록 절곡된 구조의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의 내측 저면에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부로 알림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의 지지파이프에 가로보를 끼우고 가로보의 단부를 고정캡으로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용접 및 볼트체결과 보강을 위한 와이어의 사용이 불필요하고 설치 및 분리가 손쉬워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함하게 되며, 방항체결돌기와 방향체결홈의 일면을 경사지게 형성시켜 고정캡의 체결에 의해 압착끼움되도록 함으로서, 가로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캡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10)(이하 설명의 편의상 시설물 설치용 지주라 명명함)는 보행자 및 차량을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게 정지 혹은 진행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이 설치되는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있어서, 이에 이와같은 시설물 설치용 지주(10)는 지주(20)와 지지파이프(30)와 가로보(40)와 고정캡(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20)는 강관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데, 하부에 체결공을 갖는 베이스 패널이 용접고정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지지파이프(30)는 상기 지주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지주(20)에 일체로 용접 고정되며, 상기 가로보(40)는 강관구조 또는 봉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파이프(30)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관통된 일단부에는 외면에는 나사부(4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캡(50)은 관통된 상기 가로보(40)의 나사부(41)에 나사체결도록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파이프(30)의 일단에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향체결홈(31)이 더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체결홈(31)의 바닥면(311)은 상기 지지파이프(30)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40)에는 외면에 상기 방향체결홈(31)에 끼움되게 방향체결돌기(4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방향체결돌기(42)의 상면(421)에는 상기 방향체결홈(31)의 바닥면(311)과 밀착되도록 끝단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체결홈(31)의 바닥면(311)과 상기 방향체결돌기(42)의 상면(421)을 경사지게 형성시키는 것은 상기 고정캡(50)이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과정에서 가로보(40)가 고정캡(50) 방향으로 당기게 되는데, 도면상 경사진 방향체결홈(31)의 바닥면에 경사진 방향체결돌기(42)가 안내되면서 압착되어 억지끼움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가로보(40)가 지지파이프(30)에서 빠지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방향체결홈(31)의 바닥면과 상기 방향체결돌기(42)의 상면을 경사지지지않고 단면을 사각으로 형성되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시설물 설치용 지주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20)의 지지파이프(30)에 신호등이 설치되는 가로보(40)가 끼움되고, 끼움된 가로보(40)의 단부에 고정캡(50)이 나사체결되어 간편하게 설치됨으로서, 지지파이프와 고정캡에 의해 가로보(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체결,분리가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고정캡(50)이 체결에 의해 가로보(40)를 당기게 되면 방향체결돌기(42)가 스토퍼 역할을 하며 압착고정되어 가로보(40)가 지지파이프(30)에서 회전 또는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재차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견고히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파이프(30)의 일단에는 내주연에 입구 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게 음각 원뿔형상의 테이퍼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에는 상기 테이퍼부(32)에 압착되도록 상기 나사부(41) 방향으로 외경이 작아지도록 원뿔형상의 압착돌부(43)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압착돌부(43)의 외측면 단부에는 상기 지지파이프(30)의 단부에 끼움되도록 마감캡(33)이 끼움되어 용접,고정되고, 상기 마감캡(33)의 내부에는 탄성스프링(61)과 환형의 가압패널(62)로 이루어진 가압장치(60)가 더 설치된다.
즉, 상술된 고정캡(5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방향체결돌기(42)가 방향체결홈(31)에 압착고정되는 것과 같이, 고정캡(5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테이퍼부(32)에 상기 압착돌부(43)가 압착고정되어, 가로보(4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압착돌부(43)에는 상기 방향체결돌기(42)가 돌출되게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테이퍼부(32)에는 상기 방향체결홈(31)을 형성시켜 상호 끼움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캡(50)이 체결에 의해 가로보(40)가 고정캡 방향으로 당겨 지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패널(62)이 지지파이프(30)의 단면을 지지하며 탄성스프링(61)이 압축되어, 고정캡(50)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는 압축된 탄성스프링(61)의 탄성에 의해 가로보(40)가 이동되거나 고정캡(5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파이프(30)의 타단에는 환형의 삽입홈(34)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41)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캡(50)의 일단면에는 상기 삽입홈(34)에 끼움되도록 환형의 삽입돌기(51)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4)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압착링(341)이 더 체결된다.
즉, 상기 고정캡(50)이 상기 가로보(40)의 나사부(41)에 체결되면서 고정캡(50)의 삽입돌기(51)가 상기 삽입홈(34)에 끼움된 후 상기 압착링(341)을 압착하여, 상기 압착링(341)의 탄성에 의해 체결된 고정캡(5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나사부(41)에는 체결된 상기 고정캡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와셔(70)가 더 체결되고, 상기 탄성와셔(70)는 상기 삽입돌기(5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51)의 외면에는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경사돌기(511)가 상기 삽입돌기(511)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돌출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고정캡(50)이 상기 가로보(40)의 나사부(41)에 체결되면서 상기 삽입홈(34)에 상기 삽입돌기(51)가 끼움되는데 상기 경사돌기(511)가 상기 삽입홈(34)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경사돌기(511)와 가압되면서 발생되는 탄성과 체결된 상기 탄성와셔(7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캡(50)이 나사부(41)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캡(50)의 내측 저면에는 테두리 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턱(521)을 갖는 걸림홈(52)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41)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52)에 억지끼움되고 상기 걸림턱(521)에 걸림되도록 절곡된 구조의 걸림돌기(44)가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50)의 내측 저면에는 압력센서(81)와 상기 압력센서(81)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부(82)로 이루어진 알림부(80)가 더 마련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52)의 입구는 상기 걸림돌기(44)가 진입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곡선지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캡(50)을 상기 나사부(41)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고정캡(50)의 내측면과 상기 가로보(40)의 단부가 밀착되면서 걸림홈(52)에 걸림돌기(44)가 걸림되게 끼움되어 고정됨으로서, 고정캡(5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고정캡(50)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고정캡(50)의 내측면과 가로보(40)의 단부 사이에서 가압된 상태로 배치된 압력센서(81)가 고정캡(50)이 풀려 압력이 해제되면 그 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송출부(82)에 전달하여 중앙관제실로 그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압력센서는 상기 고정캡에 접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시키게 된다.
10 : 시설물 설치용 지주 20 : 지주
30 : 지지파이프 40 : 가로보
50 : 고정캡 60 : 가압장치
70 : 탄성와셔 80 : 알림부
31 : 방향체결홈 311 : 바닥면
32 : 테이퍼부 33 : 마감캡
34 : 삽입홈 341 : 압착링
41 : 나사부 42 : 방향체결돌기
421 : 상면 43 : 압착돌부
44 : 걸림돌기 51 : 삽입돌기
511 : 경사돌기 52 : 걸림홈
521 : 걸림턱 61 : 탄성스프링
62 : 가압패널 81 : 압력센서
82 : 무선송출부

Claims (5)

  1. 보행자 및 차량을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게 정지 혹은 진행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이 설치되는 시설물 설치용 지주로서, 강관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 끝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지주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관통된 일단부에는 외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가로보와, 관통된 상기 가로보의 나사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향체결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방향체결홈의 바닥면은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에는 외면에 상기 방향체결홈에 끼움되게 방향체결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방향체결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방향체결홈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끝단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는 내주연에 입구 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게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에는 상기 테이퍼부에 압착되도록 상기 나사부 방향으로 외경이 작아지도록 압착돌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압착돌부의 외측면 단부에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단부에 끼움되도록 마감캡이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감캡의 내부에는 탄성스프링과 환형의 가압패널로 이루어진 가압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이프의 타단에는 환형의 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캡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에 끼움되도록 환형의 삽입돌기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압착링이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에는 체결된 상기 고정캡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와셔가 더 체결되고, 상기 탄성와셔는 상기 삽입돌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의 외면에는 경사돌기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의 내측 저면에는 테두리 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턱을 갖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억지끼움되도록 절곡된 구조의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의 내측 저면에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부로 이루어진 알림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20130141656A 2013-11-20 2013-11-20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1379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656A KR101379245B1 (ko) 2013-11-20 2013-11-20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656A KR101379245B1 (ko) 2013-11-20 2013-11-20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245B1 true KR101379245B1 (ko) 2014-03-28

Family

ID=5064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656A KR101379245B1 (ko) 2013-11-20 2013-11-20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2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9885A (zh) * 2015-07-18 2015-12-23 成都生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交通设备辅助工装使用方法
CN105179886A (zh) * 2015-07-18 2015-12-23 成都生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交通指示灯检修方法
KR102089413B1 (ko) * 2019-09-30 2020-03-16 (주)세광산업조명 신호등용 지주 구조체
CN112227806A (zh) * 2020-09-30 2021-01-15 郭冬梅 一种智能交通路况信息采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852B1 (ko) * 2008-05-19 2010-03-18 이덕한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KR101173593B1 (ko) * 2011-11-30 2012-08-13 김선미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1324966B1 (ko) * 2013-01-29 2013-11-05 이길재 가로시설물과 지주의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852B1 (ko) * 2008-05-19 2010-03-18 이덕한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KR101173593B1 (ko) * 2011-11-30 2012-08-13 김선미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1324966B1 (ko) * 2013-01-29 2013-11-05 이길재 가로시설물과 지주의 조립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9885A (zh) * 2015-07-18 2015-12-23 成都生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交通设备辅助工装使用方法
CN105179886A (zh) * 2015-07-18 2015-12-23 成都生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交通指示灯检修方法
KR102089413B1 (ko) * 2019-09-30 2020-03-16 (주)세광산업조명 신호등용 지주 구조체
CN112227806A (zh) * 2020-09-30 2021-01-15 郭冬梅 一种智能交通路况信息采集装置
CN112227806B (zh) * 2020-09-30 2022-04-15 南京城市交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交通路况信息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245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0880719B1 (ko) 기둥과 기둥을 지지하는 기초의 구조
KR101382408B1 (ko)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200473516Y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연결구조
KR101125424B1 (ko) 가로등 지주 보강 장치
KR100946212B1 (ko) 교통시설물 설치용 가로보의 설치구조
KR20160041587A (ko) 가로보의 설치구조
KR10190667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0907303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KR100875276B1 (ko) 도로용 강관유닛
KR100950544B1 (ko)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101445563B1 (ko) 가로보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JP3119944U (ja) 道路用車線規制棒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101044022B1 (ko) 지지 구조물
KR101314649B1 (ko) 회전수단이 구비된 지주형 구조물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100995908B1 (ko) 연결 장치가 설치된 도로 시설물
KR102243192B1 (ko) 무볼트 매립식 차선 규제봉
KR200332599Y1 (ko)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한 가로등
KR20110129002A (ko) 가로등의 지주 결합구조
KR101054810B1 (ko) 신호등 지주장치
KR20130140311A (ko) 리브없는 구조의 신호등 지주장치
KR101460647B1 (ko)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