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441Y1 - 가로등 - Google Patents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441Y1
KR200423441Y1 KR2020060013401U KR20060013401U KR200423441Y1 KR 200423441 Y1 KR200423441 Y1 KR 200423441Y1 KR 2020060013401 U KR2020060013401 U KR 2020060013401U KR 20060013401 U KR20060013401 U KR 20060013401U KR 200423441 Y1 KR200423441 Y1 KR 200423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ribs
support
ground
reinforcing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최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식 filed Critical 최경식
Priority to KR2020060013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4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76Clamping poles or posts on a st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각종 도로나 인도 변에 설치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지면으로부터 한층 향상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가 가능한 가로등을 개시한다.
그러한 가로등은, 지면으로부터 세워지는 지주와, 전기를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 위쪽에 위치하는 조명장치와, 접지면을 가지며 상기 지주 아래쪽 끝단에 용접 고정되는 접지용 플랜지 그리고, 외부로부터 가려지도록 상기 지주 내상기 지주와 상기 접지용 플랜지의 용접 결합 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배열을 가지며 용접 고정되는 보강 심재를 포함한다.
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보강 리브를 구비하고 이 각 보강 리브들이 가로등 지주(支柱), 접지용 플랜지판, 보강 심재(心材), 복수개의 보강 리브, 지주의 지지력 확보, 미관 향상, 조기 부식 방지

Description

가로등{a street lamp}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주의 고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보강 심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보강 심재가 지주 내부에 용접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보강 심재가 용접 고정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보강 심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나 인도 변에 설치될 때 미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특히 지면으로부터 한층 향상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가 가능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이나 보행자가 야간에 주행하거나 보행할 때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빛을 발생하는 실외 조명설비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가로등은 가늘고 긴 금속 지주의 상부에 램프가 부착된 조명장치가 설치되고, 지면에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대 위에 고정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위치된다.
상기 지주의 하측 단부에는 복수개의 체결홀들이 뚫려진 원판이나 다각판 형상의 플랜지가 용접 고정되고, 상기 기초대 위에는 상기 각 체결홀들에 끼워지기 위한 앵커 볼트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앵커 볼트들은 상기 지주가 설치될 때 상기 플랜지의 체결홀들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너트가 체결되어 이러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기초대 위에서 상기 지주가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와 상기 플랜지의 용접 결합 지점에는 다수개의 보강용 리브가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군데 이상의 지점에 각각 용접 고정되며, 이 보강용 리브들은 상기 기초대 위에 상기 지주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지주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가로등은 상기 보강용 리브들이 상기 지주 아래쪽에서 외부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미관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지주와 플랜지에서 돌출된 상태로 용접 고정되어 돌출된 리브에 보행자의 발이 걸려지면서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보강용 리브들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면 이들 사이사이에 각종 오물이 쉽게 끼어서 주변 미관을 더욱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용 리브들을 감싸기 위한 금속이나 합성수지류의 커버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지만 이 커버는 충격이나 접촉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유지보수에 과다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더욱이, 상기 보강용 리브가 외부에 노출되면 우천시 빗물이 그대로 묻어서 쉽게 부식되고, 부식에 의해 리브들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지주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강용 리브가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지주와 플랜지 사이의 결합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가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세워지는 지주와,
전기를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 위쪽에 위치하는 조명장치와,
접지면을 가지며 상기 지주 아래쪽 끝단에 용접 고정되는 접지용 플랜지와,
외부로부터 가려지도록 상기 지주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보강 리브를 구비하고 이 각 보강 리브들이 상기 지주와 상기 접지용 플랜지의 용접 결합 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배열을 가지며 용접 고정되는 보강 심재
를 포함하는 가로등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지주를 지칭한다.
이 지주(2)는 금속류의 원기둥이나 다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종 도로나 인도 변을 따라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위치된다.
상기 지주(2)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가 중공(中空) 형태로 뚫려져서 내부 통로(2a)를 통하여 전기 공급을 위한 각종 케이블류의 배선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2)는 빗물이나 수분에 대한 내부식성을 부여하기 위한 통상의 부식 방지용 코팅 처리 작업을 거치면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지주(2)에는 접지용 플랜지(4)가 접합된다. 이 접지용 플랜지(4)는 도 2에서와 같이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2) 아래쪽 끝단에 수평한 자세로 위치된다.
상기 접지용 플랜지(4)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금속판이 사용되며, 상기 지주(2)의 아래쪽 끝단이 중심부에 얹혀져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주(2) 둘레를 따라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용 플랜지(4)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주(2)가 용접 고정된 중심부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체결홀(H)이 형성된다.
이 체결홀(H)들은 도로나 인도 변의 지면에 설치된 통상의 콘크리트 기초대(6) 위에 상기 접지용 플랜지(4)가 얹혀진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각 체결홀(H)은 상기 기초대(6) 위에서 나사부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 앵커 볼트(B1)가 각각 끼워진 상태로 너트(B2)들을 체결함으로서 이들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기초대(6) 위에 상기 플랜지(4)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각 너트(B2)들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전체 또는 일부 표면을 감싸는 상태로 통상의 방수캡이 씌워질 수 있다. 이 방수캡은 상기 앵커 볼트(B1)측에 너트(B2)가 체결된 후 빗물이나 수분이 상기 너트(B2) 표면에 묻거나 나사 체결부 틈새 사이로 스며들어서 조기에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용 플랜지(4)의 중심부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지주(2)의 둘레 보다 작은 관통홀(8)이 형성된다.
이 관통홀(8)은 상기 기초대(6)의 윗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전기 케이블(C) 이 상기 지주(2)의 내부 통로(2a)를 통하여 배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주(2) 위쪽에는 전기를 공급받아서 빛을 발생하는 조명장치(10)가 위치된다. 이 조명장치(10)는 램프(12)와 이 램프(12)가 감싸여진 상태로 위치하는 하우징(14)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12)는 상기 하우징(14)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기초대(6)로부터 연장되는 전기 케이블(C)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전기 공급에 의해 발광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조명장치(10)는 해당분야에서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구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조를 일예로 설명한 것이고, 이러한 구조는 본 고안의 구조적 특징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지주(2) 내부에는 보강 심재(16)가 위치하고, 이 심재(16)는 외부로부터 가려진 상태로 상기 접지용 플랜지(4)와 상기 지주(2)의 결합 지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 심재(16)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보강 리브(P)가 예를들면, "+"자 형태의 배열을 가지도록 용접 고정되어 위아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P)들의 테두리변들 중에서 측면의 테두리변(P1)들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지주(2)의 내부 통로(2a)에서 내벽면(W1)과 각각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 리브(P)들의 하측면 테두리변(P2)은 상기 접지용 플랜지(4)의 윗면(W2)과 용접 고정되어 상기 접지용 플랜지(4) 위에서 상기 지주(2)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기 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각 보강 리브(P)는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류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이 판재들이 도 5에서와 같이 배열된 상태에서 중앙부에 서로 마주하는 각 테두리변들이 용접 고정되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 심재(16)는 복수개의 보강 리브(P)가 용접 고정될 때 이들 사이사이에 도 5에서와 같은 공간(S)이 각각 형성되므로 이 공간(S)들을 통하여 전기 케이블(C)의 배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지주(2)와 접지용 플랜지(4) 그리고 보강 심재(16)는 금속류의 재료를 접합하는데 사용하는 전기 용접 중에 하나인 통상의 아크 용접(arc welding)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보강 심재(16)는, 상기 지주(2)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가려진 상태로 지지력의 확보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구조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종래 가로등과 같이 지주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보강 리브 구조에 비하여 전체 미관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2)를 설치 한 후 빗물이나 수분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보강 심재(16)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주(2)와 접지용 플랜지(4)의 지지력이 조기에 저하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심재(16)는 1개 이상의 보강 리브(P)가 서로 용접 고정되어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주(2) 내부에 위치하므로 지주(2)의 외부 둘레을 따라 1군데 이상의 지점에 각각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는 종래의 보강 리브 구조에 비 하여 외부 압력이나 충격, 하중 등에 대하여 만족할 만한 내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심재(16)는 상기와 같이 평면의 보강 리브(P)들로 구성되는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보강 심재(16)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 심재(16)가 금속 파이프와 같은 보조 심재(16a)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심재(16a) 도면에서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고, 이 보조 심재(16a)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보강 리브(P)들이 도면에서와 같은 배열로 각각 용접 고정된다.
상기 보조 심재(16a)는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주(2)의 내부 통로(2a)의 중앙부로 전기 케이블(C)이 배선되기 위한 통로를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 심재(16)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대(6)에 설치된 각종 전기 케이블(C)의 형태나 배선 방식에 따라 상기 지주(2)와 상기 접지용 플랜지(4)의 지지력 확보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기 보강 리브(P) 및 보조 심재(16a)의 개수나 위치를 적절하여 배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강 심재가 가로등 지주 내부에서 외부에 가려진 상태로 위치되어 도로나 인도 변에 설치될 때 미관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빗물이나 습기 등에 의해 조기에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 수 등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심재는 1개 이상의 보강 리브가 일체로 결합되어 지주와 접지용 플랜지의 결합 지점을 지지하므로 한층 향상된 지지력을 확보하여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인 상태로 가로등을 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지면으로부터 세워지는 지주;
    전기를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 위쪽에 위치하는 조명장치;
    접지면을 가지며 상기 지주 아래쪽 끝단에 용접 고정되는 접지용 플랜지;
    외부로부터 가려지도록 상기 지주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보강 리브를 구비하고 이 각 보강 리브들이 상기 지주와 상기 접지용 플랜지의 용접 결합 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배열을 가지며 용접 고정되는 보강 심재;
    를 포함하는 가로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심재는 복수개의 보강 리브가 일체로 용접 고정된 상태에서 이들의 테두리변이 상기 지주의 내벽면 또는 상기 접지용 플랜지의 윗면과 각각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강 리브는 금속류의 판재 또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강 리브는 상기 지주 내부 통로와 연통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간이 제공되는 배열을 가지며 상기 통로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KR2020060013401U 2006-05-19 2006-05-19 가로등 KR200423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401U KR200423441Y1 (ko) 2006-05-19 2006-05-19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401U KR200423441Y1 (ko) 2006-05-19 2006-05-19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441Y1 true KR200423441Y1 (ko) 2006-08-07

Family

ID=4177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401U KR200423441Y1 (ko) 2006-05-19 2006-05-19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4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61B1 (ko) * 2012-09-24 2013-03-18 황민선 빔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도로교통시설물 지지유닛
KR101667781B1 (ko) * 2015-05-11 2016-10-19 심승현 내구성이 확보된 가로등용 지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61B1 (ko) * 2012-09-24 2013-03-18 황민선 빔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도로교통시설물 지지유닛
KR101667781B1 (ko) * 2015-05-11 2016-10-19 심승현 내구성이 확보된 가로등용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719B1 (ko) 기둥과 기둥을 지지하는 기초의 구조
KR100885131B1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KR100991886B1 (ko) 기둥 정착구조
KR200423441Y1 (ko) 가로등
KR101161814B1 (ko) 가로등 기초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100917022B1 (ko) 가로 기둥용 보호 장치
KR200430523Y1 (ko) 가로등주의 연결구조
KR100905889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KR200420241Y1 (ko) 가로등 받침 베이스
KR101036237B1 (ko)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JP2008002109A (ja) 金属管柱の基部構造
KR200463353Y1 (ko) Cctv 지주 및 가로등주의 하부 고정 장치
KR100950544B1 (ko)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20100042446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69410B1 (ko) 가로등 시설물
KR200216697Y1 (ko) 가로등 설치용 구조물
KR100940089B1 (ko) 가로등 구조물
KR200415853Y1 (ko) 가로등 지주
KR101249035B1 (ko) 가로등 지주
KR2019011578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펜스
JP2003321949A (ja) 鋼管柱の柱脚金物
KR101090993B1 (ko) 지주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