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962Y1 - 조명기구용 지주 - Google Patents

조명기구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962Y1
KR200432962Y1 KR2020060024996U KR20060024996U KR200432962Y1 KR 200432962 Y1 KR200432962 Y1 KR 200432962Y1 KR 2020060024996 U KR2020060024996 U KR 2020060024996U KR 20060024996 U KR20060024996 U KR 20060024996U KR 200432962 Y1 KR200432962 Y1 KR 200432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lt
flange portion
column
low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숙
Original Assignee
최동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숙 filed Critical 최동숙
Priority to KR2020060024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9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9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구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조명기구용 지주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에 하부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지주(20)와; 하부플랜지부(22)를 관통하여 하부지주(20)의 내부로 삽입되며 하부플랜지부(22)와 대면 접촉되는 상부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부지주(3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플랜지부(32)에는 볼트공(35)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플랜지부(22)에는 탭으로 처리된 나사홀(25)이 형성되어 대응되며, 상플렌지부(32)에 형성된 볼트공(35)을 관통한 볼트(42)가 상기 하부플렌지부(22)에 형성된 나사홀(25)에 체결되어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지주의 외부에서 볼트를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지주의 설치작업 및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조명기구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조명, 지주, 조립, 볼트.

Description

조명기구용 지주{Light post}
도 1 은 종래 조명기구용 지주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조명기구용 지주의 연결부를 개선한 구조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기구용 지주의 연결부를 확대하여서 보여주는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결합부를 분해하여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결합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하부지주, 22 : 하부플렌지,
25 : 나사홀, 30 : 상부지주,
32 : 상부플랜지, 35 : 볼트공
40 : 결합부재, 50 : 지지부재
본 고안은 조명기구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면에 세워 설치되는 부분과 조명기구가 고정되는 부분이 상하로 분리되어 도로나 인도 변에서 조립하여 설치되는 가로등의 지주를 간편하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조명기구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 특히 가로등은 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설치된 조명시설로서, 바닥면에 매설되어 세워서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끝 단부에 고정되어 외부로 빛을 발산시키는 램프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명등은 설치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화되거나 사고 등이 발생하여 손상될 경우 신속하게 수리하고 교체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명등 지주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주(2) 및 하부지주(4)에 각각 플랜지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1,3)를 맞대어 접촉시킨 상태에서 볼트(6)와 너트(8)로 구성되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부지주(2) 및 하부지주(4) 각각 에는 플랜지부의(1,3)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키기 위한 보강리브(9)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조명등 지주는 플랜지부(1,3)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부지주(2) 및 하부지주(4)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하중이 일 지점(연결지점)에 집중되는 결과를 유발하였고, 그로 인해 외부충격에 상대적으로 약할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에는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 될 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플랜지부(1,3) 및 볼트(6)와 너트(8)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외부환경에 의해 부식되거나 지저분해지기 쉬울 뿐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보기가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를 개선한 것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38698호 "조명등 지주"가 있다. 도 2와 도 3에 상기 조명등 지주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상단에 하부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지주(20)와; 하부플랜지부(22)를 관통하여 하부지주(20)의 내부로 삽입되며 하부플랜지부(22)와 대면 접촉되는 상부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주(30)와; 하부플랜지부(22) 및 상부플랜지부(32)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40)와; 하부지주(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부지주(3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와; 상부지주(30)의 접촉부에 개재되는 실링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결합구성을 보면,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상부지주(30)의 하단을 하부지주(20)의 상단에 형성된 지주삽입홀(23)을 관통하여 끼워주게 되고, 이를 통해 상부지주(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플랜지부(32)에와 하부지주(20)의 상단에 형성된 하부플랜지부(22)가 맞닿게 된다. 이때, 상부플랜지부(32)와 하부플랜지부(22)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결합홀(24, 34)이 서로 대응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하부지주(20)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볼트결합홀(24, 34)을 관통하는 볼트(42)를 끼워준 다음 바깥쪽에서 너트(44)를 체결하여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결합하여 주게 된다.
다음으로, 하부지주(20)의 내측에서 상부지주(30)의 하단부에 지지부재(50)를 억지 끼움 하여 주어서 하부지주(20)와 상부지주(30)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안하여 결합력과 외관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선된 기술구성에도 치명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실시하기가 불가능할 지경에 이르렀다. 즉, 하부지주(20)와 상부지주(30)을 결합하기 위해 하부지주(20)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볼트결합홀(24, 34)을 관통하는 볼트(42)를 끼워준 다음 바깥쪽으로 돌출된 볼트(42)의 몸체에 너트(44)를 체결하게 되는데, 상기 볼트(42)를 길이가 길고 좁은 하부지주(20)의 내측에서 작업하여 볼트결합홀(24, 34)을 관통시켜야 하는 구성임에 따라 작업을 위해서는 특수한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의 문제점은 설치 후 상부지주(30)만을 분리하여야 수리하여야 할 경우에도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바, 하부지주(20)가 지면에 세워 설치되기 때문에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20)를 연결하는 볼트(42)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하부지주(20)를 뽑아낸 다음 길이가 긴 하부지주(20)의 하단으로부터 몸체를 통과하여 볼트(42)에 이르는 특수한 도구를 이용하여 볼트(42)를 해체하여야 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었으며, 이는 수리를 간편하게 하려는 본래 목적에는 전혀 부합될 수 없는 구성으로서 현실적으로 목적했던 효과를 전혀 얻을 수가 없고, 나아가 실시 불가능한 기술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수리를 위한 해체가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성의 조명기구용 지주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조립식으로 조명기구용 지주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에 하부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지주와; 하부플랜지부를 관통하여 하부지주의 내부로 삽입되며 하부플랜지부와 대면 접촉되는 상부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부지주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플랜지부에는 볼트공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플랜지부에는 탭으로 처리된 나사홀이 형성되어 대응되며, 상플렌지부에 형성된 볼트공을 관통한 볼트가 상기 하부플렌지부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어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용 지주를 제안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4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기구용 지주의 개략적인 결합상태 구성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하부지주(20)와 상부지주(30)의 결합수단(볼트)을 다양화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해 중심선을 축으로 서로 다른 형태의 볼트(42)를 적용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도면을 통해 앞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중심으로 먼저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명기구용 지주는 상단에 하부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지주(20)와; 하부플랜지부(22)를 관통하여 하부지주(20)의 내부로 삽입되며 하부플랜지부(22)와 대면 접촉되는 상부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부지주(3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본 구성에 더해 볼트(42)가 지주의 외부에서 상기 상부플랜지부(32)를 관통하여 하부플랜지부(2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20)를 연결하여 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도 5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기 볼트(42)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구성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결합부를 분해하여서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단면 사시도 이다.
도면을 통해, 앞서 언급한 볼트(42)가 관통되어 체결되는 볼트공(35)과 나사홀(25)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볼트(42)는 상기 구성을 통해 지주의 몸체 바깥에서 위에서 아래쪽으로 끼운 다음 너트를 대체하는 나사홀(25)에 체결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2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부지주(30)를 하부지주(20)에 끼워서 상기 상부플랜지부(32)와 하부플랜지부(22)가 서로 맞닿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볼트공(35)과 상기 나사홀(25)을 서로 대응시켜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위치를 잡아준다. 이어서 볼트(42)를 마련하여 상기 상플렌지부(32)에 형성된 볼트공(35)을 관통시킨 다음 상기 하부플렌지부(22)에 형성된 나사홀(25) 입구에 이르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구를 이용하여 볼트(42)를 조여주게 되며, 다수 개 형성된 볼트공(35) 모두에 볼트(42)를 체결하여 주면 상부플렌지부(32)와 하부플렌지부(22)가 견고하게 밀착되며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작업은 모두 지주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볼트(42)를 잠글 때 사용되는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것이며, 넓은 공간에서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볼트(42)는 공지되어 쉽게 볼 수 있는 육각 머리를 가진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공(35)을 머리가 있는 렌지볼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파 주고, 이와 같은 볼트공(35)에 머리가 있는 렌지볼트를 마련하여 체결하여 주면 머리 부분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볼트(42) 들의 채택은 두 부분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공지의 볼트(42)라면 머리의 형상에 구애됨 없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취사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부지주(30)를 하부지주(20)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결합시키거나 또는 손쉽게 해체할 수 있게 되어 설치와 분해, 수리시 편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따라 너트 없이 볼트만으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간편하게 결합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지주의 외부에서 볼트를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지주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작업을 간편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조립식으로 조명기구용 지주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에 하부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지주(20)와; 하부플랜지부(22)를 관통하여 하부지주(20)의 내부로 삽입되며 하부플랜지부(22)와 대면 접촉되는 상부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부지주(3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플랜지부(32)에는 볼트공(35)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플랜지부(22)에는 탭으로 처리된 나사홀(25)이 형성되어 대응되며, 상플렌지부(32)에 형성된 볼트공(35)을 관통한 볼트(42)가 상기 하부플렌지부(22)에 형성된 나사홀(25)에 체결되어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용 지주.
KR2020060024996U 2006-09-18 2006-09-18 조명기구용 지주 KR200432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96U KR200432962Y1 (ko) 2006-09-18 2006-09-18 조명기구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96U KR200432962Y1 (ko) 2006-09-18 2006-09-18 조명기구용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962Y1 true KR200432962Y1 (ko) 2006-12-07

Family

ID=4178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996U KR200432962Y1 (ko) 2006-09-18 2006-09-18 조명기구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9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86B1 (ko) 2007-09-20 2009-12-11 전명희 방수 가로등 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86B1 (ko) 2007-09-20 2009-12-11 전명희 방수 가로등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0880719B1 (ko) 기둥과 기둥을 지지하는 기초의 구조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KR101137602B1 (ko)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KR200430523Y1 (ko) 가로등주의 연결구조
KR20080079361A (ko)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200432962Y1 (ko) 조명기구용 지주
KR100661431B1 (ko) 나사체결을 이용한 다단 조립식 가로등주
KR100955803B1 (ko) 조인트 체결관이 부설된 다단 조립식 가로등주
KR20100034093A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20241Y1 (ko) 가로등 받침 베이스
KR100759836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20110009836A (ko) 도로시설물 지주 연결장치
KR200234845Y1 (ko) 조립식의 원형 지붕구조물
KR200345006Y1 (ko) 가로등주용 가로등 결속 밴드
KR20100104104A (ko) 지지 구조물
KR20130140311A (ko) 리브없는 구조의 신호등 지주장치
KR200223680Y1 (ko) 일체형 앵커 플레이트가 부착된 난간지주
KR101026147B1 (ko) 간편한 조립구조를 갖는 보도용 난간 및 그 조립방법
KR200423441Y1 (ko) 가로등
KR100950050B1 (ko)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
KR200292720Y1 (ko) 맨홀커버의 잠금장치
KR100538698B1 (ko) 조명등 지주
KR200470917Y1 (ko)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