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050B1 -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050B1
KR100950050B1 KR1020090051678A KR20090051678A KR100950050B1 KR 100950050 B1 KR100950050 B1 KR 100950050B1 KR 1020090051678 A KR1020090051678 A KR 1020090051678A KR 20090051678 A KR20090051678 A KR 20090051678A KR 100950050 B1 KR100950050 B1 KR 100950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coupling
opening
do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세
이수환
Original Assignee
(주)세림철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림철탑산업 filed Critical (주)세림철탑산업
Priority to KR102009005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03Access covers or lock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매설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에 연결설치되는 상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등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지주의 상단부근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하부지주의 외경이 작아지는 제1결합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주의 하단부근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부지주의 내경이 커지는 제2결합안착부가 상기 하부지주의 제1결합안착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2결합안착부에는 하부지주와 상부지주의 볼트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제1, 2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안착부의 하측으로는 하부지주와 상부지주의 볼트결합을 위한 개폐장치가 구성된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일단이 상기 하주지주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구로 구성되되, 상기 잠금구는 도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손잡이가 형성된 이동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축에는 이동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도어의 외면과 내면에서 하부지주에 체결되는 체결판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후렌지의 사용없이도 용이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밖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생기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승강에 따른 안정성 확보와 더불어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용접부위가 없기 때문에 강관의 재질변경에 따른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재료비와 공임비를 절감할 수 있고, 개폐장치에 의해 하부지주에 너트용접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결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과 더불어, 개폐장치가 튼튼하면서도 심플하게 되어있어 강관전주의 파손발생 없이 미려한 외관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주, 가로등, 강관, 경사, 확관, 연결, 개폐, 잠금

Description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ipe}
본 발명은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렌지의 사용없이도 용이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밖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생기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승강에 따른 안정성 확보와 더불어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용접부위가 없기 때문에 강관의 재질변경에 따른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재료비와 공임비를 절감할 수 있고 , 개폐장치에 의해 하부지주에 너트용접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결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과 더불어, 개폐장치가 튼튼하면서도 심플하게 되어있어 강관전주의 파손발생 없이 미려한 외관을 유지시킬 수 있는 강광지주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등에는 각종 용도의 지주가 입설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지주는 강풍에도 견딜 수 있도록 그 하단부를 지하에 매설된 앵커와 연결하는 죠인트부, 수평아암을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부, 다수의 지주를 길게 연결하기 위한 죠인트부 등 여러곳의 연결부를 갖고 있다.
종래의 지주 연결부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지주(110, 120)에 각각의 플렌지(P)를 용접하여 T형연결부로 형성하고, 상기 상, 하부지주(110, 120)에 용접된 각각의 플렌지(P)를 마주 대어서 구멍(H)이 일치되게 한 상태로 각각의 구멍(H)에 보울트(B)를 끼워서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플렌지형 지주연결부 구성은 제작 및 시공상의 난점이 많고 내구성이 약하여 수명이 짧은 등의 문제점이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지주(110, 120)에 원판형의 플렌지(P)를 용접작업으로 고정시켜야 하므로 제작시간과 소요비용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특히 지주(110, 120)의 단부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용접열에 의해서 강도가 약해지고 변형의 우려도 많아 연결부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플렌지(P)의 사용에 따른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부의 플렌지(P)가 지주(110, 120)보다도 굵게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지주(110, 120)하단의 플렌지(P)가 보행자의 발에 걸리는 장애요소가 되어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는 지면에 매설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에 연결설치되는 상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등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지주의 상단부근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하부지주의 외경이 작아지는 제1결합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주의 하단부근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부지주의 내경이 커지는 제2결합안착부가 상기 하부지주의 제1결합안착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2결합안착부에는 하부지주와 상부지주의 볼트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제1, 2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안착부의 하측으로는 하부지주와 상부지주의 볼트결합을 위한 개폐장치가 구성된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일단이 상기 하주지주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구로 구성되되, 상기 잠금구는 도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손잡이가 형성된 이동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축에는 이동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도어의 외면과 내면에서 하부지주에 체결되는 체결판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서로 결합되는 상, 하부지주의 끝단부근에 경사진 결합안착부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렌지의 사용없이도 용이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밖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생기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승강에 따른 안정성 확보와 더불어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용접부위가 없기 때문에 강관의 재질변경에 따른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재료비와 공임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 하부지주의 연결부위 바로 밑으로 개폐장치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 하부지주의 연결을 위한 너트용접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 하부지주의 연결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개폐장치가 튼튼하면서도 심플하게 되어있어 강관전주의 파손발생 없이 미려한 외관을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강관전주(30)는 지면(미도시)에 매설되는 하부지주(10)와, 상기 하부지주(10)에 연결설치되는 상부지주(20)와, 상기 상부지주(2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등기구(미도시) 및 강관전주(30)에 설치되는 사다리(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강관전주(30)의 하부지주(10)와 상부지주(20)를 연결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근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하부지주(10)의 외경이 작아지는 제1결합안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주(20)의 하단부근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부지주(20)의 내경이 커지는 제2결합안착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때의 상기 상부지주(20)의 제2결합안착부(21)는 상기 하부지주(10)의 제1결합안착부(11)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형성하여 상기 상부지주(20)의 제2결합안착부(21)가 하부지주(10)의 제1결합안착부(11)에 용이하게 안착지지되도록 해야한다.
또한, 상기 제1, 2결합안착부(11, 21)에는 제1, 2결합공(12, 22)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때의 제1, 2결합공(12, 22)은 상기 하부지주(10)와 상부지주(20)의 볼트(B)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만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2결합공(12, 22)이 제1, 2결합안착부(11, 21)에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결합안착부(11)의 하측으로는 하부지주(10)와 상부지주(20)의 볼트(B)결합을 위한 개폐구(13)와 상기 개폐구(13)를 개폐하는 개폐장치(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장치(40)는 하주지주(10)에 슬라이딩 조립되는 개폐판(D)과 상기 개폐판(D)을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폐구(13)의 개폐를 이루는 개폐손잡이(H)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 상기 개폐구(13)의 상, 하측으로는 가이드부(G)가 더 형성되어 개폐판(D)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부(G)의 끝단으로는 개폐판(D)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J)를 더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계폐장치(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구(13)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일단이 상기 하주지주(10)에 힌지결합되는 도어(D)와, 상기 도어(D)를 잠금하는 잠금구(50)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의 상기 개폐장치(40)에 구성된 잠금구(50)는 도어(D)의 외면에 형성되는 회전손잡이(51)와, 도어(D)의 내면에 형성되어 회전손잡이(51)의 회전에 따라 도어(D)를 하부지주(10)에 체결하는 제1걸림쇠(5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하부지주(10)의 내경에 상기 제1걸림쇠(52)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걸림턱(53)이 구성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장치(40)에 구성된 잠금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주(10)의 외경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2걸림쇠(54)와, 상기 도어(D)에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쇠(54)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걸림턱(55)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기 개폐장치(40)에 구성된 상기 잠금구(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56)과 상기 슬라이드홈(56)에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손잡이(57)가 형성된 이동축(미도시)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 상기 이동축에는 이동손잡이(57)의 이동에 따라 도어(D)의 외면과 내면에서 하부지주(10)에 체결되는 체결판(59)이 형성되어야만 한다.
덧붙여, 상기 체결판(59)은 도어(D)에 형성된 슬라이드홈(56)이 가려지도록 양측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구(50)의 슬라이드홈(56)에는 이동축(58)의 걸림고정을 위한 걸림홈(56a)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잠금구(50)의 고정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판(59)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체결판(59)의 체결완료시에도 도어(D)에 구성된 슬라이드홈(56)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와 동일하게 하부지주(10)와 상부지주(20) 및 등기구와 사다리(1)를 각각 제작한다. 이때, 상기 등기구와 상부지주(20)는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고,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후에는,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 일부분을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축관시킴으로써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근에 일정한 테이퍼각이 형성된 제1결합안착부(11)를 형성시키고, 상기 상부지주(120)의 하단 일부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확관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지주(20)의 하단부근에 일정한 테이퍼각이 형성된 제2결합안착부(21)를 형성시키는 작업을 하며, 이때에 상기 하부지주(10)와 상부지주(20)에 각각 형성되는 제1, 2결합안착부(11, 21)는 서로 동일한 테이퍼각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주(20)가 하부지주(10)에 완전히 밀착되게 하여야 한다.
이처럼, 하부지주(10)와 상부지주(20)에 제1, 2결합안착부(11, 21)를 각각 형성시킨 다음에는, 상기 제1, 2결합안착부(11, 21)에 서로 대응되는 제1, 2결합 공(12, 22)을 다수로 형성시킨 후, 상기 하부지주(10)의 제1결합안착부(11)의 하측에 개폐수단(40)을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구성품 제작을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제1, 2결합안착부(11, 21)와 제1, 2결합공(12, 22)의 형성순서는 서로 반대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구성품의 제작을 완료한 후에는, 강관지주(30)를 설치할 지면에 하부지주(10)를 매설한 다음, 상기 하부지주(10) 상단부에 상부지주(20)를 결합시킨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에 구성된 제1결합안착부(11)에 상부지주(20)에 하단부에 구성된 제2결합안착부(21)를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2결합안착부(11, 21)가 동일한 테이퍼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지주(20)의 제2결합안착부(21)의 내경이 하부지주(10)의 제1결합안착부(11)의 외경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며, 이후 작업자가 상기 상부지주(20)를 회전시켜 하부지주(10)와 상부지주(20)에 각각 형성된 제1, 2결합구(12, 22)가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개폐장치(40)를 개방한 후, 개폐구(13)를 통해 볼트(B)를 하부지주(10)와 상부지주(20)를 통과시켜 외측으로 돌출시킨 다음, 돌출된 볼트(B)에 너트(N)를 체결함으로써 하부지주(10)와 상부지주(20)의 용이한 결합을 할 수 있으며, 이 후에는 다시 개폐장치(40)로 개폐구(13)를 폐쇄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장치(40)의 개폐방법은 전술한 개폐장치(40)의 여러가지 실시 예의 구성에 따라 개폐판(D)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개폐를 이루거나, 걸림쇠(52, 54)를 회전시켜 힌지결합된 도어(D)를 잠금 또는 해제 개폐시키는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개폐장치(40)를 개폐할 수 있음은 첨부된 특허첨부범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등기구와 사다리(1)의 결합방법은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렌지형 지주연결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지주와 상부지주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강관지주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개폐판을 이용한 본 발명의 개폐상태도.
도 5는 잠금구가 구성된 도어를 이용한 본 발명 개폐상태도.
도 6, 7은 도 5의 잠금구의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7의 A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7에 구성된 잠금구의 체결판의 바람직한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볼트 N : 너트
D : 도어 G : 가이드부
H : 개폐손잡이 J : 걸림돌기
1 : 사다리 10 : 하부지주
11 : 제1결합안착부 12 : 제1결합공
13 : 개폐구 20 : 상부지주
21 : 제2결합안착부 22 : 제2결합공
30 : 강관지주 40 : 개폐장치
50 : 잠금구 51 : 회전손잡이
52, 54 : 제1, 2걸림쇠 53, 55 : 제1, 2걸림턱
56 : 슬라이드홈 57 : 이동손잡이
58 : 이동축 59 : 체결판

Claims (8)

  1. 지면에 매설되는 하부지주(10)와, 상기 하부지주(10)에 연결설치되는 상부지주(20)와, 상기 상부지주(2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등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근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하부지주(10)의 외경이 작아지는 제1결합안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주(20)의 하단부근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부지주(20)의 내경이 커지는 제2결합안착부(21)가 상기 하부지주(10)의 제1결합안착부(11)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2결합안착부(11, 21)에는 하부지주(10)와 상부지주(20)의 볼트(B)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제1, 2결합공(12, 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안착부(11)의 하측으로는 하부지주(10)와 상부지주(20)의 볼트(B)결합을 위한 개폐장치(40)가 구성된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40)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일단이 상기 하주지주(10)에 힌지결합되는 도어(D)와, 상기 도어(D)를 잠금하는 잠금구(50)로 구성되되,
    상기 잠금구(50)는 도어(D)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56)과 상기 슬라이드홈(56)에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손잡이(57)가 형성된 이동축(58)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축(58)에는 이동손잡이(57)의 이동에 따라 도어(D)의 외면과 내면에서 하부지주(10)에 체결되는 체결판(59)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50)의 슬라이드홈(56)에는 이동축(58)의 걸림고정을 위한 걸림홈(56a)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
KR1020090051678A 2009-06-10 2009-06-10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 KR10095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678A KR100950050B1 (ko) 2009-06-10 2009-06-10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678A KR100950050B1 (ko) 2009-06-10 2009-06-10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050B1 true KR100950050B1 (ko) 2010-03-29

Family

ID=4218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678A KR100950050B1 (ko) 2009-06-10 2009-06-10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0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567B1 (ko) 2015-07-14 2015-10-26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가로등 지주용 연결 고정구
CN115522800A (zh) * 2022-11-02 2022-12-27 东北电力大学 一种用于锥形混凝土电杆连接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842Y1 (ko) 2003-05-16 2003-08-21 이경학 열쇠잠금장치가 부착된 가로등용 배전장치부커버 및 그를이용한 가로등
KR20070033269A (ko) * 2005-09-21 2007-03-26 (주) 반도체 통신 조립이 용이한 전주
KR20080005480U (ko) *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계영아이엔 가로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842Y1 (ko) 2003-05-16 2003-08-21 이경학 열쇠잠금장치가 부착된 가로등용 배전장치부커버 및 그를이용한 가로등
KR20070033269A (ko) * 2005-09-21 2007-03-26 (주) 반도체 통신 조립이 용이한 전주
KR20080005480U (ko) *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계영아이엔 가로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567B1 (ko) 2015-07-14 2015-10-26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가로등 지주용 연결 고정구
CN115522800A (zh) * 2022-11-02 2022-12-27 东北电力大学 一种用于锥形混凝土电杆连接的装置
CN115522800B (zh) * 2022-11-02 2023-04-07 东北电力大学 一种用于锥形混凝土电杆连接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982Y1 (ko) 건물의 내외장형 석재 고정 트러스 구조물
KR101077238B1 (ko) 기둥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76620B1 (ko) 높이 조절 기능과 방수기능을 갖는 밸브실
KR100950050B1 (ko) 친환경 강관전주의 연결구조
KR100566721B1 (ko) 조립식 흙막이 장치
KR101317938B1 (ko) 공동구 시공 및 유지관리용 조립식 난간
KR200467021Y1 (ko) 흙막이 벽체 시공용 버팀보 연결장치
KR101463771B1 (ko) 강관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KR101707170B1 (ko) 지주 연결 구조물
KR101421212B1 (ko) 파워 모노레일의 기초 구조물
KR20110009003U (ko) 조립식 안전휀스
KR200212743Y1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200430523Y1 (ko) 가로등주의 연결구조
CN202882393U (zh) 一种脚手架斜拉杆节点连接结构
KR101518210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876424B1 (ko) 지주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연결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06401613B (zh) 隧洞钢架支护施工方法
JP5354785B2 (ja) 簡易建物
CN106089294A (zh) 一体式复合材料疏散平台
WO2017137652A1 (en) Post foundation
KR100779582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및 두부보강방법
KR200428432Y1 (ko) 울타리용 지주의 결합구조
KR101055981B1 (ko) 조립식 가로등 지주
KR100974510B1 (ko) 도로용 울타리
KR200432962Y1 (ko) 조명기구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