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855B1 -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 Google Patents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855B1
KR101267855B1 KR1020120136124A KR20120136124A KR101267855B1 KR 101267855 B1 KR101267855 B1 KR 101267855B1 KR 1020120136124 A KR1020120136124 A KR 1020120136124A KR 20120136124 A KR20120136124 A KR 20120136124A KR 101267855 B1 KR101267855 B1 KR 101267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lumn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pip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봉
Original Assignee
우주엘엔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주엘엔티(주) filed Critical 우주엘엔티(주)
Priority to KR1020120136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2단 구조로 이루어진 가로등 지주의 연결부분을 보강하여 결합강도 및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한 휘어짐 등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등기구가 장착되는 상부지주(100)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지주(200)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가 상기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내부로 삽입 결합되며, 상기 상부지주(100)의 외주면에는 원주 상으로 다수 개의 볼트구멍(111)을 갖는 상부플랜지(11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주(20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볼팅 결합되도록 그와 대응하여 볼트구멍(211)을 갖는 하부플랜지(210)가 형성되며, 특히 상기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상부에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의 중공부를 갖는 지지관체(300)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관체(300)의 중공부 하부에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받침관체(400)가 상기 지지관체(300)의 하면을 받치면서 고정되어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가 상기 지지관체(300)의 내주면과 상기 받침관체(40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부지주(100)와 하부지주(200)의 결합강도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로등 지주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Streetlamp prop}
본 발명은 가로등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상하 2단 구조로 이루어진 지주의 연결부분을 보강하여 결합강도 및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한 휘어짐 등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가로등은 야간의 교통 안전과 보안을 도모 또는 거리의 조명이나 미관을 위해 길가를 따라 설치하는 것으로, 그 지주의 형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하는 데, 예컨대 지주의 끝 부분을 구부려서 그 끝에 등을 다는 하이웨이형, 지주의 끝부분에 가로로 가지를 뻗게 하여 거기에 등을 다는 브래킷형, 지주의 꼭대기에 등을 다는 주두형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로등 지주의 일례로써, 지면에 매설된 기초부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부지주(2)와, 이 하부지주(2)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상부지주(3)와, 이 상부지주(3)의 상부에 횡으로 설치된 암(4)과, 이 암(4)의 끝 부분에 설치된 등기구(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지주(2)의 내부에는 등기구(5)에 전원을 공급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점멸기, 안정기, 누전차단기 등이 내장되어 인입 전선과 연결되어 있고, 이를 안전하게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점검구(9)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지주(3)와 하부지주(2)는 생산 및 작업의 편의를 위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분할 제작되어 설치 현장 등에서 연결구(6)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데, 이때 연결구(6)의 하부는 하부지주(2)의 상부에 끼워지고, 연결구(6)의 내부 중공에는 상부지주(3)의 하부가 삽입되며, 이 상태로 연결구(6)의 상단부와 상부지주(3)가 접촉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일체화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부지주(3)와 연결구(6)를 용접하는 방식의 경우 용접 시 발생하는 기공(Porosity), 불완전 용입, 불완전 용융, 균열, 오버랩, 용접열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그 용접 부분이 외력에 취약하게 마련이고, 이로 인해 풍압에 의한 흔들림이나 반복되는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 또는 차량 충돌 등에 의한 외력이 상부지주(3)와 연결구의 접속부분에 집중될 경우 상부지주(3)가 쉽게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 및 파손되면서 자칫 2차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지주(2)의 일부분을 점검구(9) 설치 용도로 절개하여 점검구구멍을 형성함으로 인해 그 구멍 부분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로등 지주의 다른 예로써, 하부지주(20)의 상부 내측으로 상부지주(10)의 하부 일부를 삽입하고 상부지주(10)에 형성된 결합부(11)를 하부지주의 상면 결합면(23)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팅 결합함으로써 하부지주(20)에 의해 상부지주(10)가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볼팅 결합 방식의 경우 풍압이나 외부로부터의 잦은 충격 등으로 인한 비틀림 하중이 볼트(12) 부분에 집중되는 데다 상부지주(10)의 수직 하중이 결합부(11)와 결합면(23) 부분에 집중되므로 작은 충격에도 볼트(12)의 조임력이 쉽게 느슨해지거나 풀어질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되면 상부지주(10)가 반복적으로 흔들리다가 결국 변형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424호(2006.10.1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0599호(2006.07.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599호(2006.03.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5382호(2012.10.2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1258호(2009.10.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2446호(2007.1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5962호(2008.01.2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연결부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보강하여 외력에 의한 휘어짐 등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등 지주를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은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연결부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등기구가 장착되는 상부지주(100)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지주(200)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가 상기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내부로 삽입 결합되며, 상기 상부지주(100)의 외주면에는 원주 상으로 다수 개의 볼트구멍(111)을 갖는 상부플랜지(11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주(20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볼팅 결합되도록 그와 대응하여 볼트구멍(211)을 갖는 하부플랜지(210)가 형성되며, 특히 상기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상부에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의 중공부를 갖는 지지관체(300)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관체(300)의 중공부 하부에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받침관체(400)가 상기 지지관체(300)의 하면을 받치면서 고정되어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가 상기 지지관체(300)의 내주면과 상기 받침관체(40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지주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연결부분의 결합강도 및 지지력이 한층 보강되어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풍압, 진동 따위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지지관체(300)는 외주면에 상기 하부지주(200)의 내주면과 고정하기 위한 지지칼라(3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받침관체(400)는 하단 외주면에 상기 하부지주(200)의 내주면과 고정하기 위한 받침칼라(4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지지관체(300)와 받침관체(400)의 외주면은 그 단면을 요철, 파형, 스플라인(spline), 세레이션(serration)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결합력과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상부 및 하부플랜지(110)(210)의 대향면에 서로 대응하여 밀착 결합되는 결합홈(112)과 결합돌기(212)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간의 결합력과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하부지주(200)의 중공부에 형성되는 점검구구멍(250) 주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하부지주(200)의 중공부에 그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 및 상기 점검구구멍(250)과 상응하는 장착구멍(251)을 갖는 보강부재(500)를 내장함으로써 하부지주(200)가 큰 하중에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지지관체와 받침관체에 의해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연결부분의 결합력 및 지지력 등의 강성이 한층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강화 및 유지되어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풍압, 진동 따위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상부지주의 외경 크기와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생산성 및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디자인적 심미감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로등 지주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의 국부(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연결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의 국부(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연결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평면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지지관체, 상부지주, 받침관체 사이에 보강파이프가 설치된 평단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상부지주(100)와, 이 상부지주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의 중공부를 갖는 하부지주(200)와, 이 하부지주의 중공부에 장착되어 상부지주(100)와 하부지주(200) 간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지지관체(300) 및 받침관체(400)로 대별된다.
상부지주(100)의 상부에는 횡으로 등기구(미부호)를 장착하기 위한 암(미부호)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지주(100)의 하부 외주면에는 원주 상으로 다수 개의 볼트구멍(111)을 갖는 상부플랜지(110)가 지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플랜지(110)는 상부지주(100)와 그 접촉부분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하부지주(200)의 하부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상면에는 상부지주(100)의 상부플랜지(110)와 대응하여 볼트구멍(211)을 갖는 하부플랜지(210)가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안쪽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플랜지(210)는 하부지주(200)의 상면 테두리와 그 접촉부분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210)는 상호 밀착 시 더욱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면이 홈과 돌기 또는 계단 모양으로 단차를 주거나 단턱과 같이 서로 대응하여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110)의 하면에 결합홈(112)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하부플랜지(210)의 상면에 결합돌기(212)를 형성함으로써 상부지주(100)와 하부지주(200) 간의 결합력과 지지력을 한층 더 강화 및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내용 및 도면에서는 상부플랜지(110)의 하면에 결합홈(112)이 형성되고, 이와 마주하는 하부플랜지(210)의 상면에 결합돌기(212)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상부플랜지(110)의 하면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하부플랜지(210)의 상면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호 대응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관체(300)는 상부지주(100)의 하부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의 중공부를 가지며, 하부지주(200) 상부의 중공부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지지관체(300)의 외주면에는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내주면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기 위한 지지칼라(3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칼라(310)의 외경은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내경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삽입 결합 시 서로 밀착되고, 이들 간을 용접으로 접합함으로써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내부에 지지관체(30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지관체(300)의 중공부 내주면의 지름은 상부지주(100)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유격이 발생하거나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지주(100)의 외주면 지름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관체(400)는 상부지주(100)의 하부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지지관체(300) 하부의 중공부 내부에 지지관체(300)의 하면을 받치면서 고정 설치되어 있고, 받침관체(400)의 하단 외주면에는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내주면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기 위한 받침칼라(4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받침칼라(410)의 외경은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내경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삽입 결합 시 서로 밀착되고, 이들 간을 용접으로 접합함으로써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내부에 받침관체(40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받침관체(400)의 외주면의 지름은 상부지주(100)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유격이 발생하거나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지주(100)의 중공부 내주면 지름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는 상부지주(100)와 하부지주(200)를 결합 시 상부지주(100)의 하부가 지지관체(300)의 내주면과 받침관체(40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면서 상호 면접촉 상태로 긴밀하게 밀착고정 및 지지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지주(100)의 상부플랜지(110)와 하부지주(200)의 하부플랜지(210)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그 각각의 볼팅구멍(111)(211)을 통해 볼팅 결합되고, 이렇게 되면 상부지주(100)와 하부지주(200) 간의 결합력은 물론이고 상부지주(100)와 지지관체(300) 및 받침관체(400) 간에도 결합력 및 지지력이 발생하여 강성이 증대되기 때문에 한층 더 안정적이고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부지주(100)가 풍압, 진동 따위의 외력에 의해 흔들리거나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체(300)와 받침관체(400)의 외주면을 그 단면이 요철, 파형, 스플라인(spline), 세레이션(serration) 또는 파형강관 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횡방향의 전단하중에 대한 자체 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부지주(100)와의 면접촉에 따른 결합력 및 지지력을 극대화 및 더욱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받침관체(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의 굴곡에 보강파이프(700)가 밀착되고, 상기 보강파이프(700)은 상기 받침관체(400)와 상기 상부지주(100)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지주(100)의 휘어짐을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파이프(700)는 상기 지지관체(3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여기서,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그 실시 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그 실시 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상부지주 110: 상부플랜지
111: 볼트구멍 112: 결합홈
200: 하부지주 210: 하부플랜지
211: 볼트구멍 212: 결합돌기
250: 점검구구멍 260: 점검구덮개
300: 지지관체 310: 지지칼라
400: 받침관체 410: 받침칼라
700: 보강파이프

Claims (5)

  1. 등기구가 장착되는 상부지주(100)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지주(200)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가 상기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내부로 삽입 결합되며, 상기 상부지주(100)의 외주면에는 원주 상으로 다수 개의 볼트구멍(111)을 갖는 상부플랜지(11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주(20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볼팅 결합되도록 그와 대응하여 볼트구멍(211)을 갖는 하부플랜지(210)가 형성된 가로등 지주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200)의 중공부 상부에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의 중공부를 갖는 지지관체(300)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관체(300)의 중공부 하부에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받침관체(400)가 상기 지지관체(300)의 하면을 받치면서 고정되어 상기 상부지주(100)의 하부가 상기 지지관체(300)의 내주면과 상기 받침관체(40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관체(300)는 외주면에 상기 하부지주(200)의 내주면과 고정하기 위한 지지칼라(3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관체(400)는 하단 외주면에 상기 하부지주(200)의 내주면과 고정하기 위한 받침칼라(41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관체(300)와 상기 받침관체(400)의 외주면은 단면이 파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상부지주(100)와 접하는 상기 지지관체(300)와 받침관체(400)의 밀착면에, 상기 상부지주(100)에 밀착 지지되는 보강파이프(700)가 더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플랜지(110)(210) 각각의 대향면에 서로 대응하여 밀착 결합되는 결합홈(112)과 결합돌기(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36124A 2012-11-28 2012-11-28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KR101267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124A KR101267855B1 (ko) 2012-11-28 2012-11-28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124A KR101267855B1 (ko) 2012-11-28 2012-11-28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855B1 true KR101267855B1 (ko) 2013-05-27

Family

ID=4866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124A KR101267855B1 (ko) 2012-11-28 2012-11-28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8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757B1 (ko) 2019-07-24 2019-12-30 주식회사 더존디자인조명 조립식 가로등 지주
KR20210012125A (ko) * 2019-07-24 2021-02-03 주식회사 더존디자인조명 조립식 가로등 지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191Y1 (ko) * 2004-10-25 2005-01-15 최종채 분리형 가로등
KR200420599Y1 (ko) * 2006-04-25 2006-07-04 라도엽 직경이 다른 상,하부지주로 구성된 가로등주의 연결구조
KR101046428B1 (ko) * 2007-07-11 2011-07-04 한광수 가로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191Y1 (ko) * 2004-10-25 2005-01-15 최종채 분리형 가로등
KR200420599Y1 (ko) * 2006-04-25 2006-07-04 라도엽 직경이 다른 상,하부지주로 구성된 가로등주의 연결구조
KR101046428B1 (ko) * 2007-07-11 2011-07-04 한광수 가로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757B1 (ko) 2019-07-24 2019-12-30 주식회사 더존디자인조명 조립식 가로등 지주
KR20210012125A (ko) * 2019-07-24 2021-02-03 주식회사 더존디자인조명 조립식 가로등 지주
KR102296321B1 (ko) * 2019-07-24 2021-09-01 주식회사 더존디자인조명 조립식 가로등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5154B1 (en)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tructural elements together without the use of weldments
KR101085031B1 (ko) 가로 시설물 설치대
KR101216951B1 (ko) 관체 보강구조를 갖는 신호등 지주장치
KR101766685B1 (ko)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200473516Y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연결구조
KR101267855B1 (ko)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KR101125424B1 (ko) 가로등 지주 보강 장치
KR101343504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0928945B1 (ko) 상부지주의 회전 방지수단을 갖는 가로등주
KR200293158Y1 (ko)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100973029B1 (ko) 알루미늄 합금 가로등 등주
CN102071745B (zh) 一种构架柱的柱脚节点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101044022B1 (ko) 지지 구조물
KR20140130000A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KR100927376B1 (ko) 알루미늄 합금 가로등 등주
KR101354084B1 (ko) 리브없는 구조의 신호등 지주장치
JP6076233B2 (ja) 金属管支柱の補強構造
KR101314058B1 (ko)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교통시설물 철주
KR20010069576A (ko) 교통신호등용 철주
KR101080683B1 (ko) 교통신호등 설치 구조물
KR200424654Y1 (ko) 강관주
KR200422797Y1 (ko) 등 조립용 연결부재
KR101471962B1 (ko) 가로등 암의 보강 구조물
KR200479073Y1 (ko) 차량 신호등용 철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