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685B1 -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 Google Patents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685B1
KR101766685B1 KR1020170008852A KR20170008852A KR101766685B1 KR 101766685 B1 KR101766685 B1 KR 101766685B1 KR 1020170008852 A KR1020170008852 A KR 1020170008852A KR 20170008852 A KR20170008852 A KR 20170008852A KR 101766685 B1 KR101766685 B1 KR 101766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ipe
arm
present
socke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주)청산가로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산가로등주 filed Critical (주)청산가로등주
Priority to KR102017000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2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capable of being elongated or shortened by the insertion or removal of intermediate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도로 현장이나 교차로 상황 또는 설치 현장의 위치에 따라 아암 지주 폴의 맞춤 각도를 360°에 대하여 미세 조정(최소 1°씩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최초 설치 시공시나 이후 주변 상황 변화에 따라 위치 가변(도로 확장이나 도로 개설공사시 가로등의 조사 방향 변화 등)이 필요할 경우에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각도조절구의 소켓관을 돌려 아암 지주 폴의 회전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 종전 대비 작업성과 사후 관리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 조립된 상,하부 폴과 아암 지주 폴 간의 이음부마다 자중 맞춤식 구조를 갖는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되어 강풍이나 차량의 진동 등에 지주의 풀림이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과 조립 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Prefabricated street lamp pole with angle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도로 현장이나 교차로 상황 또는 설치 현장의 위치에 따라 아암 지주 폴의 맞춤 각도를 360°에 대하여 미세 조정(최소 1°씩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최초 설치 시공시나 이후 주변 상황 변화에 따라 위치 가변(도로 확장이나 도로 개설공사시 가로등의 조사 방향 변화 등)이 필요할 경우에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각도조절구의 소켓관을 돌려 아암 지주 폴의 회전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 종전 대비 작업성과 사후 관리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이나 보도블럭 및 노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로등(街路燈)은 통상 바닥으로부터 소정깊이로 매립되는 콘크리트기초와 시공된 앵커볼트(Anchor bolt)에 가로등 지주 하단의 받침구를 관통시켜 다수 개의 너트로 결합되고, 가로등 지주의 상단은 그 폭이 점점 가늘어지면서 도로 또는 인도 쪽으로 절곡되어진 연장지주가 다수개의 단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로등(7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지주(71)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72)에 의하여 폴대지주(71)가 지면(8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폴대지주(71)의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아암 지주(73)의 하부가 별도의 테이퍼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74)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아암 지주(73)의 상단에는 등기구(75)가 결합된 등기구 아암(76)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로등주는 아암 지주가 폴대지주에 삽입되기 위하여 조립시 내외경 공차가 2~3mm 가 있어야만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 공차는 아암 지주와 폴대지주의 조립 후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 충격 또는 바람 등에 의한 흔들림으로 인해 조립된 볼트가 풀리거나 느슨해져 상기 아암 지주가 폴대지주를 기준으로 기울거나 틀어짐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주는 최초 설치 시공시나 이후 주변 상황 변화에 따라 위치 가변(도로 확장이나 도로 개설공사시 가로등의 조사 방향 변화 등)이 필요할 경우 크레인 중장비를 통해 가로등 지주 자체를 들어올려 아암 지주 위치를 바꿔야 하는 등 현실적으로 작업 손실이 너무 커 그에 대한 대안이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1. 특허출원 제10-2010-0085899호(2010.09.02. 출원) 2. 특허출원 제10-2010-0086252호(2010.09.03. 출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도로 현장이나 교차로 상황 또는 설치 현장의 위치에 따라 아암 지주 폴의 맞춤 각도를 360°에 대하여 미세 조정(최소 1°씩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최초 설치 시공시나 이후 주변 상황 변화에 따라 위치 가변(도로 확장이나 도로 개설공사시 가로등의 조사 방향 변화 등)이 필요할 경우에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각도조절구의 소켓관을 돌려 아암 지주 폴의 회전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 종전 대비 작업성과 사후 관리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다단 조립된 상,하부 폴과 아암 지주 폴 간의 이음부마다 자중 맞춤식 구조를 갖는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되어 강풍이나 차량의 진동 등에 지주의 풀림이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과 조립 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주관(110)의 하단부에 장공형 볼트 자리홈(121)이 구비된 고정판(120)이 형성되어 지면 또는 기초 블럭에 대하여 앙카볼트로 하여금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지주관(110)의 상단부에는 조립관(13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조립관(130)은 상광하협 형태의 깔대기형 또는 나팔형 관체로서 상부 폴(200)의 하단부가 확장된 직경의 개구부를 통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130)의 선상 일측에는 절개홈(131)이 형성되어 삽입된 상부 폴(200)의 하단 측 외주면이 노출되면 U-볼트 체결구(140)로 하여금 조립관(130)의 원주 중 일부 외주면과 함께 상부 폴(200)의 원주 중 일부 외주면이 서로 물려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부 폴(100)과; 상기 하부 폴의 조립관(130) 상단부를 통해 삽입되면서 조립되도록 장축의 파이프관(2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파이프관(210)의 하단부에는 길이방향 수직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만곡된 곡면형 슬라이딩 면(220)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단부 측 내주연에는 십(十)자형 리브 브라켓(230)이 내장되도록 하는 상부 폴(200)과; 상기 상부 폴(200)의 개구된 상단부를 통해 삽입되면서 조립되도록 아암 지주(31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아암 지주(310)의 선상 중 일측에는 등기구(320)가 연결되는 등기구 아암(330)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 지주(310)의 하단부 내주연에는 회전방지봉(340)이 형성되어 아암 지주(310) 내경을 가로지르면서 걸림턱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아암 지주 폴(300)과; 상기 상부 폴의 십(十)자형 리브 브라켓(230)과 아암 지주 폴의 회전방지봉(340) 사이에 중공의 소켓관(410)이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소켓관(410)은 하부 일측에 끼움홈(420)이 형성되어 십자형 브라켓(230)의 상측단을 통해 끼움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켓관(410)의 상단부에는 유동방지턱(430)이 형성되어 회전방지봉(340)과 대응되면서 중심이 일방향으로 편심 이동되거나 요철 수납식 구조로 끼워지면서 소켓관(41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각도조절구(4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소켓관의 유동방지턱(430)은 회전방지봉(340)이 일방향 기울기를 갖는 슬로프형 슬라이드면(431)을 통해 미끄러짐에 의한 편심 이동하면서 쐐기식 고정을 이루거나, 다수개의 골과 홈으로 이루어진 기어 치차 형태의 고정홈(432)에 회전방지봉(340)이 끼워져 원주방향 회전을 강제 단속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U-볼트 체결구(140)는 유선형 가압면(141)을 기준으로 수평을 이루는 복수의 체결볼트(142)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볼트는 조립관(130)의 지지브라켓(132)의 체결공을 관통한 후 조립너트(133)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 현장이나 교차로 상황 또는 설치 현장의 위치에 따라 아암 지주 폴의 맞춤 각도를 360°에 대하여 미세 조정(최소 1°씩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최초 설치 시공시나 이후 주변 상황 변화에 따라 위치 가변(도로 확장이나 도로 개설공사시 가로등의 조사 방향 변화 등)이 필요할 경우에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각도조절구의 소켓관을 돌려 아암 지주 폴의 회전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 종전 대비 작업성과 사후 관리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다단 조립된 상,하부 폴과 아암 지주 폴 간의 이음부마다 자중 맞춤식 구조를 갖는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되어 강풍이나 차량의 진동 등에 지주의 풀림이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과 조립 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성, 작업성, 시공성,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되고, 쐐기식 고정방식에 의해 설치 후 유지, 관리 비용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다른 형식의 가로등주는 볼트가 풀릴 시 항상 수리, 보수 비용이 필요함)
또한, 본 발명은 장축의 가로등주가 분리형으로 제작되면 바, 이는 결국 운반, 제작, 적재, 호환성에 따른 부분품 제작이나 예상 재고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기존 방식은 주문 후 작업이 시작되어 공기에 대한 부담이 실제로 상당히 있음 - 이유는 많은 규격 디자인의 요구가 있어서 그러함)
이에, 본 발명은 조립식 지주체(상하부 폴, 아암 지주 폴)로 다단 형성되어 도장시설이 작아도 되고, 열처리로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고, 열처리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 효율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주의 일 예시 측면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폴과 기초블럭 간 결합상태 예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U-볼트 체결구의 사용 상태도,
도 8 내지 도 9는 하부 폴과 상부 폴의 연결부 예시도,
도 10은 종래의 가로등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하부 폴(100)과 상부 폴(200) 및 아암 지주 폴(300)이 지면 또는 기초블럭으로부터 위를 향해 차례대로 적층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 폴(200)과 아암 지주 폴(300)은 연결되는 사이에 각도조절구(400)가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하부 폴(10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관(110)의 하단부에 장공형 볼트 자리홈(121)이 구비된 고정판(120)이 형성되어 지면 또는 기초 블럭에 대하여 앙카볼트로 하여금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주관(110)의 상단부에는 조립관(13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조립관(130)은 상광하협 형태의 깔대기형 또는 나팔형 관체로서 상부 폴(200)의 하단부가 확장된 직경의 개구부를 통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도 7 참조)
또한, 상기 조립관(130)의 선상 일측에는 절개홈(131)이 형성되어 삽입된 상부 폴(200)의 하단 측 외주면이 노출되면 U-볼트 체결구(140)로 하여금 조립관(130)의 원주 중 일부 외주면과 함께 상부 폴(200)의 원주 중 일부 외주면이 서로 물려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U-볼트 체결구(14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 가압면(141)을 기준으로 수평을 이루는 복수의 체결볼트(142)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볼트는 조립관(130)의 지지브라켓(132)의 체결공을 관통한 후 조립너트(133)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U-볼트 체결구(140)는 조립관(130)에 형성된 절개홈(131)을 지나 상부 폴(200)의 외주면 호형 선상까지 밀착하도록 유선형 가압면(141)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선형 가압면(141)의 양측 단부에는 수평하게 분기된 복수의 체결볼트(142)가 형성되어 조립관 측에 형성된 지지브라켓(132)의 체결공을 관통한 뒤 조립너트(133)에 의해 결속되어 상부 폴(200)과 조립관(130) 간 사이의 편심 유격(GAP)이 메워지면서 고밀착 유동방지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선형 가압면(141) 일측에는 리브형 밀착판이 형성되어 상부 폴의 외주면과 맞닿는 힘을 배가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판이 상부 폴의 외주면과 맞닿는 면상에는 이빨 물림식 구조의 너링 면이 형성되어 가압 체결에 의한 면접시 바이스 물림처럼 강하게 조여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회전 방지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판 외주면에는 고무러버가 결합되어 신축 탄성에 의해 조임시 작용 반작용으로 하여금 체결볼트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홈의 외주면에는 터진부분의 보강으로 처마처럼 형성된 보강리브가 용접되어 구조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U-볼트는 고장력 볼트로서, 고정 강도(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부 폴(100)의 지주관(110) 저면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120)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는 보강리브 브라켓이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고정판의 면상에는 다수개의 앙카 볼트 자리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앙카 볼트 자리홈은 원호 형상의 장공(중심원을 기준으로 대략 5~30°내외 각도로 형성)으로 형성되어 타공된 구간만큼 각도 방향을 변형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판의 볼트 자리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주면을 따라 최대 30°이상 회전 가능한 것으로, 이는 후술되는 각도조절구와 함께 360°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때, 하부 폴의 고정판은 기초블럭의 상면으로 돌출된 앙카볼트에 의해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기초블럭 상면 사이에는 별도의 레벨패드가 더 삽입되어 좌우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량의 진동 등의 외부 영향에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레벨패드는 기초블럭 측이 철판으로 형성되고, 고정판 측이 고무판으로 형성되어 충격, 진동을 흡수하면서 끊어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이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폴(20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폴의 조립관(130) 상단부를 통해 삽입되면서 조립되도록 장축의 파이프관(2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관(210)의 하단부에는 길이방향 수직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만곡된 곡면형 슬라이딩 면(220)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단부 측 내주연에는 십(十)자형 리브 브라켓(230)이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아암 지주 폴(300)은 상기 상부 폴(200)의 개구된 상단부를 통해 삽입되면서 조립되도록 아암 지주(3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아암 지주(310)의 선상 중 일측에는 등기구(320)가 연결되는 등기구 아암(330)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 지주(310)의 하단부 내주연에는 회전방지봉(340)이 형성되어 아암 지주(310) 내경을 가로지르면서 걸림턱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각도조절구(4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폴의 십(十)자형 리브 브라켓(230)과 아암 지주 폴의 회전방지봉(340) 사이에 중공의 소켓관(410)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소켓관(410)은 하부 일측에 끼움홈(420)이 형성되어 십자형 브라켓(230)의 상측단을 통해 끼움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켓관(410)의 상단부에는 유동방지턱(430)이 형성되어 회전방지봉(340)과 대응되면서 중심이 일방향으로 편심 이동되거나 요철 수납식 구조로 끼워지면서 소켓관(41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소켓관의 유동방지턱(430)은 회전방지봉(340)이 일방향 기울기를 갖는 슬로프형 슬라이드면(431)을 통해 미끄러짐에 의한 편심 이동하면서 쐐기식 고정을 이루거나, 다수개의 골과 홈으로 이루어진 기어 치차 형태의 고정홈(432)에 회전방지봉(340)이 끼워져 원주방향 회전을 강제 단속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은 4개 또는 8개 내외에서 성형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구는 아암 지주 폴이 안착되기 전에 현장에서 각도를 맞출 수 있도록 소켓관을 살짝 들어 끼움홈을 십(十)자형 리브 브라켓에 끼워 넣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조립과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구의 사양은 납품시 또는 설치 직전 혹은 설치 후에도 현장 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슬라이드면 형 또는 고정홈 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낟.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면 형 또는 고정홈 형 유동방지턱은 걸림쇠 역할도 하면서 아암 지주 폴의 상하 조립시 충격에 의한 십(十)자형 리브 브라켓의 끝단 찌그러짐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구는 소켓관의 선상 중에 상측과 하측을 나누는 단차(433)가 형성되도록 하여 하측 끼움홈 관경이 상측 유동방지턱 관경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십(十)자형 리브 브라켓에 끼움 안착시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유격을 조장하여 조립이 편리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 폴(200)은 하단부가 하부 폴(100)의 개구된 상단부에 삽입되어 조립시 작업자가 조립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 와 같은 방향지시 표시용 스티커가 부착되어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향지시 표시용 스티커는 상부 폴의 하단부가 하부 폴의 개구된 상단부로 끼워져 조립 깊이가 모두 삽입된 상태 바로 윗 부분(10mm 정도 내외)에 부착되어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 폴과 상부 폴이 서로 연결되는 단부에 수밀부재(500)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수밀부재(500)가는 링 밴드 패킹(510)에 일체로 성형되어 치마처럼 결합된 덮개형 커튼(520)이 부설되어 빗물이 하부 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누수 방지)하도록 하는 바, 이는 하부 폴 내부에 수납된 안정기 등과 같은 전기적 구성을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에 관한 특장점(운반, 조립, 가공, 열처리 등)이 우수하고, 기존의 조립식 가로등주는 나사체결 방식(볼트조립 방식)에 의해 조립되어 현장 설치 후 유지, 관리가 문제될 수 있으나(1개 분리가 아닌 2개의 분리기 때문에 2배의 문제 발생 소지 가능) 본 발명은 기본 조립식 구조의 장점을 여전히 보유하면서 관리비는 원천 생략되고, 안전, 비용절감, 에너지 절감(친환경적), 시공성 향상되며 추가 자재 사용과 그에 따른 부가 공정이 적은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쐐기형 조립 구조로 인해 지자체(공공재이기 때문에)에서의 추가 관리 비용이 없어 설치 이후 전국으로 따지면 상당한 예산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하부 폴 110 ... 지주관
120 ... 고정판 121 ... 볼트 자리홈
130 ... 조립관 131 ... 절개홈
132 ... 지지브라켓 133 ... 조립너트
140 ... U-볼트 체결구 141 ... 가압면
142 ... 체결볼트
200 ... 상부 폴 210 ... 파이프관
220 ... 슬라이딩 면 230 ... 십(十)자형 리브 브라켓
300 ... 아암 지주 폴 310 ... 아암 지주
320 ... 등기구 330 ... 등기구 아암
340 ... 회전방지봉
400 ... 각도조절구 410 ... 소켓관
420 ... 끼움홈 430 ... 유동방지턱
431 ... 슬라이드면 432 ... 고정홈

Claims (3)

  1. 지주관(110)의 하단부에 장공형 볼트 자리홈(121)이 구비된 고정판(120)이 형성되어 지면 또는 기초 블럭에 대하여 앙카볼트로 하여금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지주관(110)의 상단부에는 조립관(13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조립관(130)은 상광하협 형태의 깔대기형 또는 나팔형 관체로서 상부 폴(200)의 하단부가 확장된 직경의 개구부를 통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130)의 선상 일측에는 절개홈(131)이 형성되어 삽입된 상부 폴(200)의 하단 측 외주면이 노출되면 U-볼트 체결구(140)로 하여금 조립관(130)의 원주 중 일부 외주면과 함께 상부 폴(200)의 원주 중 일부 외주면이 서로 물려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부 폴(100)과; 상기 하부 폴의 조립관(130) 상단부를 통해 삽입되면서 조립되도록 장축의 파이프관(2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파이프관(210)의 하단부에는 길이방향 수직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만곡된 곡면형 슬라이딩 면(220)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단부 측 내주연에는 십(十)자형 리브 브라켓(230)이 내장되도록 하는 상부 폴(200)과; 상기 상부 폴(200)의 개구된 상단부를 통해 삽입되면서 조립되도록 아암 지주(31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아암 지주(310)의 선상 중 일측에는 등기구(320)가 연결되는 등기구 아암(330)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 지주(310)의 하단부 내주연에는 회전방지봉(340)이 형성되어 아암 지주(310) 내경을 가로지르면서 걸림턱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아암 지주 폴(300)과; 상기 상부 폴의 십(十)자형 리브 브라켓(230)과 아암 지주 폴의 회전방지봉(340) 사이에 중공의 소켓관(410)이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소켓관(410)은 하부 일측에 끼움홈(420)이 형성되어 십자형 브라켓(230)의 상측단을 통해 끼움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켓관(410)의 상단부에는 유동방지턱(430)이 형성되어 회전방지봉(340)과 대응되면서 중심이 일방향으로 편심 이동되거나 요철 수납식 구조로 끼워지면서 소켓관(41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각도조절구(4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가로등주에 있어서,
    상기 소켓관의 유동방지턱(430)은 회전방지봉(340)이 일방향 기울기를 갖는 슬로프형 슬라이드면(431)을 통해 미끄러짐에 의한 편심 이동하면서 쐐기식 고정을 이루거나, 다수개의 골과 홈으로 이루어진 기어 치차 형태의 고정홈(432)에 회전방지봉(340)이 끼워져 원주방향 회전을 강제 단속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U-볼트 체결구(140)는 유선형 가압면(141)을 기준으로 수평을 이루는 복수의 체결볼트(142)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볼트는 조립관(130)의 지지브라켓(132)의 체결공을 관통한 후 조립너트(133)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구(400)는 소켓관(410)의 선상 중에 상측과 하측을 나누는 단차(433)가 형성되도록 하고, 끼움홈(420)이 있는 하측 관경이 유동방지턱(430)이 있는 상측 관경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2. 삭제
  3. 삭제
KR1020170008852A 2017-01-18 2017-01-18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1766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52A KR101766685B1 (ko) 2017-01-18 2017-01-18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52A KR101766685B1 (ko) 2017-01-18 2017-01-18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685B1 true KR101766685B1 (ko) 2017-08-09

Family

ID=5965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852A KR101766685B1 (ko) 2017-01-18 2017-01-18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6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6706A (zh) * 2017-10-24 2018-03-20 上海五零盛同信息科技有限公司 灯杆及路灯
CN107906097A (zh) * 2017-12-15 2018-04-13 郑州宇恒环保技术有限公司 钢套管旋转式锁紧机构
KR101895805B1 (ko) * 2018-03-09 2018-09-07 오정숙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1931557B1 (ko) * 2018-07-16 2018-12-21 (주) 세광산업조명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각도 조절이 원활한 가로등주
KR20200061024A (ko) * 2018-11-23 2020-06-02 서옥민 조명 기구
CN115005597A (zh) * 2022-06-15 2022-09-06 中山市联众文具有限公司 阅读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528B1 (ko) * 2011-06-15 2011-09-21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가로등용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568753B1 (ko) * 2015-09-04 2015-11-12 (주)청산가로등주 자중에 의한 편심 이동식 조립구조와 풀림 방지용 고밀착 지지부재를 갖는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528B1 (ko) * 2011-06-15 2011-09-21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가로등용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568753B1 (ko) * 2015-09-04 2015-11-12 (주)청산가로등주 자중에 의한 편심 이동식 조립구조와 풀림 방지용 고밀착 지지부재를 갖는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6706A (zh) * 2017-10-24 2018-03-20 上海五零盛同信息科技有限公司 灯杆及路灯
CN107906097A (zh) * 2017-12-15 2018-04-13 郑州宇恒环保技术有限公司 钢套管旋转式锁紧机构
KR101895805B1 (ko) * 2018-03-09 2018-09-07 오정숙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1931557B1 (ko) * 2018-07-16 2018-12-21 (주) 세광산업조명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각도 조절이 원활한 가로등주
KR20200061024A (ko) * 2018-11-23 2020-06-02 서옥민 조명 기구
KR102176476B1 (ko) 2018-11-23 2020-11-09 서옥민 조명 기구
CN115005597A (zh) * 2022-06-15 2022-09-06 中山市联众文具有限公司 阅读架
CN115005597B (zh) * 2022-06-15 2024-05-03 中山市联众文具有限公司 阅读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685B1 (ko)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1061477B1 (ko) 가로등 지주대
US20160168815A1 (en) Guy wire anchoring systems, brackets and kits
KR102375171B1 (ko)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0795962B1 (ko) 가로등의 지주 체결구조
KR102293331B1 (ko) 3축(x,y,z) 동시 가압 고정구조와 지주의 회전방지 구조 및 자중 슬립식 밀착고정 구조 그리고 고강도 지지보강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1387362B1 (ko) 다단 구조의 신호등 또는 가로등에 적용되는 조립형 지주
KR101125424B1 (ko) 가로등 지주 보강 장치
KR200485781Y1 (ko) 가로등의 설치구조
KR100985715B1 (ko) 각도조절용 가로등
KR101568753B1 (ko) 자중에 의한 편심 이동식 조립구조와 풀림 방지용 고밀착 지지부재를 갖는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161814B1 (ko) 가로등 기초
KR101379245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1562892B1 (ko)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2040430B1 (ko) 도로 신호등 및 도로표지판용 다단조립식 지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759836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KR100894338B1 (ko) 회동방지수단이 구비된 가로등주의 연결장치
KR101268840B1 (ko) 관체 연결 장치
KR100950544B1 (ko)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KR101586987B1 (ko) 자중에 의한 편심 이동식 조립구조와 풀림 방지용 고밀착 지지부재를 갖는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267855B1 (ko)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KR101323902B1 (ko) 회전저항 강성구조의 옥외용 등주
KR101921559B1 (ko)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KR101966643B1 (ko) 내진 설계에 의한 강성 보강의 가로등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