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477B1 - 가로등 지주대 - Google Patents

가로등 지주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477B1
KR101061477B1 KR1020110035347A KR20110035347A KR101061477B1 KR 101061477 B1 KR101061477 B1 KR 101061477B1 KR 1020110035347 A KR1020110035347 A KR 1020110035347A KR 20110035347 A KR20110035347 A KR 20110035347A KR 101061477 B1 KR101061477 B1 KR 10106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ing
street lamp
hol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Priority to KR102011003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설치부가 도로와 직각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과 상부지주 사이에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게 하고, 풍압이나 외압에 의하여 가로등설치부가 휘거나 튀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구비케 하며, 가로등설치부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앵커볼트에 결합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로부터 연장된 하부지주; 상기 하부지주와 연결된 상부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로등 지주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와 상부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협하광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주 투입구, 상기 상부지주를 관통하는 관통구, 상기 상부지주를 지지하는 지지구, 상기 지지구의 측면에는 하부지주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끼움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지주의 상부에는 가로등이 설치된 가로등설치부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가로등설치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단에 끼워지는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부지주에 설치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가 더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조절부에는 각도조절 후, 하우징과 상부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로등 지주대{POLE FOR SOLAR STREET LIGHT}
본 발명은 가로등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설치부가 도로와 직각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과 상부지주 사이에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게 하고, 풍압이나 외압에 의하여 가로등설치부가 휘거나 튀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구비케 하며, 가로등설치부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앵커볼트에 결합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로부터 연장된 하부지주; 상기 하부지주와 연결된 상부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로등 지주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와 상부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협하광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주 투입구, 상기 상부지주 관통하는 관통구, 상기 상부지주를 지지하는 지지구, 상기 지지구의 측면에는 하부지주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끼움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지주 상부에는 가로등이 설치된 가로등설치부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가로등설치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단에 끼워지는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부지주에서 설치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가 더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조절부에는 각도조절 후 하우징과 상부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도로가에 지면으로부터 상당한 높이로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되는 물품이며 상단에 가로등이 설치되는 원통형의 기둥인 상부지주와, 상부지주와 일체로 용접되는 하부지주로 이루어진 가로등 지주와 지주의 바닥에 용접 등으로 부착되고 다수개의 볼트홀이 구비된 지주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등은 전체가 너무 크고 무겁기 때문에 한꺼번에 완제품을 제작할 수 없고, 여러 부품으로 분리한 상태로 각 부품을 제작하여 설치시 각 부품을 결합하여 설치하게 되며, 가로등은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일체로 결합된 가로등 지주와 가로등 지주의 상단에 연결된 가로등 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원통형 파이프를 이용하여 세워지는 일반적인 가로등은 금속재로써 중공형을 갖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지면과 볼트로 결합하게 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지주를 보다 안정되게 고정하거나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리브 및 지주의 상단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점등부로 구성된다.
또한, 지주의 내부에는 지주 상단의 점등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및 가로등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내장되며, 점등부는 통상 전등갓과 전원이 인가될 때 불빛을 발산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를 보호하는 렌즈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일반적인 가로등은 설치할 때 도로나 인도에 지주의 하단 결합부가 접촉되도록 세워 놓은 상태에서 결합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지면과 볼트 체결하여 지주를 고정시킨 다음 지주 하단의 결합부에 복수개의 지지 리브를 용접하여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나서 외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면 지주 내부에 내장된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점등부의 램프로 인가되어져 램프가 빛을 발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가로등의 지주는 외관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심한 외력이 발생되는 경우 쉽게 휘어지게 되어 지주의 두께를 그만큼 두껍게 형성해야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더욱이 점등부를 제외한 지주 부분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워져 그만큼 중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길다란 지주를 한번에 설치하기란 그다지 수월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종래의 가로등은 가로등설치부를 상부지주에 설치할 경우 볼트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가로등설치부와 도로가 정확히 직각으로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작업자가 가로등설치부를 상부지주에서 완전히 분리한 다음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왔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은 풍압과 같은 외부의 힘에 의하여 상부지주에 설치된 가로등설치부가 휘거나 뒤틀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경우 작업자가 가로등설치부를 상부지주를 분리해서 최초 상태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은 가로등설치부를 상부지주에 설치한 후에는 가로등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상당한 애로 상항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가로등설치부가 도로와 직각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과 상부지주 사이에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게 하고, 풍압이나 외압에 의하여 가로등설치부가 휘거나 튀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구비케 하며, 가로등설치부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앵커볼트에 결합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로부터 연장된 하부지주; 상기 하부지주와 연결된 상부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로등 지주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와 상부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협하광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주 투입구, 상기 상부지주를 관통하는 관통구, 상기 상부지주를 지지하는 지지구, 상기 지지구의 측면에는 하부지주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끼움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지주의 상부에는 가로등이 설치된 가로등설치부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가로등설치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단에 끼워지는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부지주에 설치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가 더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조절부에는 각도조절 후, 하우징과 상부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부지주 상부에 형성된 요철부; 상기 요철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 상부에 형성된 대응요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부지주에 형성된 고정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다수개의 대응 고정홀; 상기 고정홀과 대응고정홀을 관통하여 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재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평판부가 형성된 나사산부로 이루어진 볼트; 상기 볼트의 나사산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갖는 무회전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공의 직경은 삽입되는 상기 볼트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결합공은 외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다수의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고, 그 직경은 상기 볼트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는 상기 고정홀, 대응 고정홀 및 결합공에 무회전 전진하여 삽입결합이 가능하고, 회전 후진하여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무회전결합부재는 상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된 후 절곡되어 하우징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무회전결합부재의 탄성편은 상기 몸체의 중앙에 결합공을 천공한 후에, 천공된 결합공 주변을 방사상으로 일정길이 절개한 후에, 절개하여 형성된 다수의 절개부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고정홀, 대응 고정홀 및 결합공에 무회전 전진하여 삽입결합 후 결합공에서 나사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지주에 설치되는 가로등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부지주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높이 조절용 고정홀; 상기 하우징에 고정홀에 대응하는 대응고정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지주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지주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지주대의 다양한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지주대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힌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로등 지주대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1)에 결합되는 플랜지(10)를 포함하는 하부지주(20); 상기 하부지주(20)와 연결된 상부지주(30); 상기 하부지주(20)와 상부지주(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 상기 상부지주(30)의 상부에 가로등이 설치된 가로등설치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0)에는 상기 앵커볼트(11)에 대응하도록 삽입공(13)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3)에 앵커볼트(11)를 삽입한 후, 상기 앵커볼트(11)에 결합너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상기 플랜지(10)를 앵커볼트(11)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지주(20)와 상부지주(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주 투입구(41), 상기 상부지주(30)를 관통하는 관통구(43), 상기 상부지주(30)를 지지하는 지지구(45), 상기 지지구(45)의 측면에는 하부지주(20)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끼움부(47)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40)의 상단과 상부지주(30), 상기 연결부재(40)의 하단과 하부지주(20)를 용접으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40)는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20)의 결합력을 견고히 하여 태풍이나 외압 등에 의하여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20)가 연결된 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주(30)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로등설치부(50)는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에 상단에 끼워지는 캡(53)과, 단부에 가로등(L)이 설치된 설치봉(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주(30)에 삽입설치되는 하우징(51)은 가로등설치부(50)를 설치 후, 설치 각도가 잘못되었을 경우에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AC)가 상부지주(30)와 하부지주(20)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각도조절부(AC)는 상부지주(30)의 상부에 형성된 요철부(31)와, 상기 요철부(31)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51)의 상부에 형성된 대응요철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요철부(31)는 대칭되도록 상부지주(30)의 일정부분만 형성되고, 상기 대응요철부(55)는 대칭되도록 하우징(51)의 일정부분만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는 상기 상부지주의 외측면에, 그리고 상기 대응요철부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요철 또는 상호 대응하는 톱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도조절부(AC)를 사용하여 상부지주(30)에 삽입되는 하우징(51)을 외압이나 풍압 등에 의하여 하우징(51)이 회전하거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지주(30)와 하우징(51)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FM)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FM)은 상부지주(30)에 형성된 고정홀(33)과, 상기 하우징(51)에 형성된 다수개의 대응고정홀(59); 상기 고정홀(33)과 대응고정홀(59)을 관통하여 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60)는 머리부(61a)가 형성되고, 평판부(61b)가 형성된 나사산부(61c)로 이루어진 볼트(61)과, 상기 볼트(61)의 나사산부(61c)가 삽입되는 결합공(72)을 갖는 무회전결합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공(72)의 직경은 삽입되는 상기 볼트(61)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결합공(72)은 외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다수의 탄성편(7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직경은 상기 볼트(61)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61)가 상기 고정홀(33), 대응고정홀(59) 및 결합공(72)에 무회전 전진하여 삽입결합이 가능하고, 결합의 해재 시에는 회전하여 후진함으로써 결합이 해재된다.
상기 무회전결합부재(70)는 상기 결합공(72)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71)와, 상기 몸체(7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홀(33)에 삽입된 후 절곡되어 하우징(51)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아울러 상기 무회전결합부재(70)의 탄성편(73)은 상기 몸체(71)의 중앙에 결합공(72)을 천공한 후에, 천공된 결합공(72) 주변을 방사상으로 일정길이를 절개한 후에, 절개하여 형성된 다수의 절개부(75)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형성된다.
상기 볼트는 상기 고정홀(33), 대응고정홀(59) 및 결합공(72)에 무회전 전진하여 삽입결합 후, 결합공(72)에서 나사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6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지주(30)에 삽입 설치되는 하우징(51)은 가도등(L)의 설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HC)을 구비케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높이조절수단(HC)은 상기 상부지주(3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높이 조절용 고정홀(33)과, 상기 하우징(51)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33)에 대응하는 대응고정홀(59)과, 상기 고정홀(33)과 대응고정홀(59)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수단(HC)는 상기 상부지주(30)에서 상기 하우징(51)을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고정부재(60)를 상기 고정홀(33)과 대응고정홀(59)에 삽입하여 체결하여 조절된 높이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각도조절부(AC)를 위한 고정수단(FM)에서 상기 상부지주(30)의 고정홀은 상부지주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HC)의 고정홀(33)은 상기 고정수단(FM)의 고정홀(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60)와 무회전결합부재(70)에 의하여 결합 및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로등 지주대는 각도조절과 높이조절이 자유로면서도, 쉽고 용이하여 가로등 지주대의 설치 후에도 변경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져 사용편의성이 종래의 가로등 지주대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각형 형태나 타원과 같은 비정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L : 가로등 FM : 고정수단
AC : 각도조절부 HC : 높이조절수단
10 : 플랜지 11 : 앵커볼트
13 : 삽입공
20 : 하부지주
30 : 상부지주 31 : 요철부
33 : 고정홀
40 : 연결부재 41 : 투입구
43 : 관통공 45 : 지지구
47 : 끼움부
50 : 가로등설치부 51 : 하우징
53 : 캡 55 : 대응요철부
57 : 설치봉 59 : 대응고정홀
60 : 고정부재 61 : 볼트
61a : 머리부 61b : 평판부
61c : 나사산부 63 : 너트
70 : 무회전결합부재 71 : 몸체
72 : 결합공 73 : 탄성편
74 : 고정부 75 : 절개부

Claims (4)

  1. 앵커볼트에 결합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로부터 연장된 하부지주;
    상기 하부지주와 연결된 상부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로등 지주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와 상부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협하광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주 투입구, 상기 상부지주를 관통하는 관통구, 상기 상부지주를 지지하는 지지구, 상기 지지구의 측면에는 하부지주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끼움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지주의 상부에는 가로등이 설치된 가로등설치부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가로등설치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단에 끼워지는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부지주에 설치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가 더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조절부에는 각도조절 후, 하우징과 상부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부지주 상부에 형성된 요철부; 상기 요철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 상부에 형성된 대응요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부지주에 형성된 고정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다수개의 대응 고정홀; 상기 고정홀과 대응고정홀을 관통하여 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평판부가 형성된 나사산부로 이루어진 볼트; 상기 볼트의 나사산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갖는 무회전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공의 직경은 삽입되는 상기 볼트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결합공은 외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다수의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고, 그 직경은 상기 볼트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는 상기 고정홀, 대응 고정홀 및 결합공에 무회전 전진하여 삽입결합이 가능하고, 회전 후진하여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무회전결합부재는 상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된 후 절곡되어 하우징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무회전결합부재의 탄성편은 상기 몸체의 중앙에 결합공을 천공한 후에, 천공된 결합공 주변을 방사상으로 일정길이 절개한 후에, 절개하여 형성된 다수의 절개부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고정홀, 대응 고정홀 및 결합공에 무회전 전진하여 삽입결합 후 결합공에서 나사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지주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주에 설치되는 가로등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부지주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높이 조절용 고정홀; 상기 하우징에 고정홀에 대응하는 대응고정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지주대.
KR1020110035347A 2011-04-15 2011-04-15 가로등 지주대 KR10106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47A KR101061477B1 (ko) 2011-04-15 2011-04-15 가로등 지주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47A KR101061477B1 (ko) 2011-04-15 2011-04-15 가로등 지주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477B1 true KR101061477B1 (ko) 2011-09-02

Family

ID=4495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347A KR101061477B1 (ko) 2011-04-15 2011-04-15 가로등 지주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47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12B1 (ko) * 2013-02-14 2014-08-13 우성이엠씨(주) 파워 모노레일의 기초 구조물
KR101460790B1 (ko) * 2014-02-21 2014-11-14 주식회사 이티스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546525B1 (ko) * 2015-01-22 2015-08-24 박세현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주 및 그 결합 방법
KR101551582B1 (ko) * 2014-11-04 2015-09-08 곽구희 지주
KR101554534B1 (ko) 2015-05-12 2015-09-21 주식회사 에코루체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톱니 결합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1580277B1 (ko) * 2015-04-14 2015-12-24 (주)와이앤제이이앤씨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2110935B1 (ko) * 2019-07-17 2020-05-14 이병규 태양광 가로등
WO2020204619A1 (ko) * 2019-04-03 2020-10-08 씨제이전기 주식회사 차량통과 대수에 비례하여 조도를 제어하는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 및 가로등 제어방법
KR20200118274A (ko) * 2019-04-03 2020-10-15 씨제이전기 주식회사 차량통과 대수에 비례하여 조도를 제어하는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 제어방법
WO2021120571A1 (zh) * 2019-12-16 2021-06-24 星慧照明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模块的智慧路灯
KR102428956B1 (ko) * 2022-04-12 2022-08-03 주식회사 리드원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KR102637261B1 (ko) * 2022-11-15 2024-02-16 지용길 등기구용 안전등주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760Y1 (ko) * 2006-11-06 2007-10-01 박미정 가로등 지주
KR100795962B1 (ko) * 2007-05-14 2008-01-21 김인태 가로등의 지주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760Y1 (ko) * 2006-11-06 2007-10-01 박미정 가로등 지주
KR100795962B1 (ko) * 2007-05-14 2008-01-21 김인태 가로등의 지주 체결구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12B1 (ko) * 2013-02-14 2014-08-13 우성이엠씨(주) 파워 모노레일의 기초 구조물
KR101460790B1 (ko) * 2014-02-21 2014-11-14 주식회사 이티스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551582B1 (ko) * 2014-11-04 2015-09-08 곽구희 지주
KR101546525B1 (ko) * 2015-01-22 2015-08-24 박세현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주 및 그 결합 방법
KR101580277B1 (ko) * 2015-04-14 2015-12-24 (주)와이앤제이이앤씨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1554534B1 (ko) 2015-05-12 2015-09-21 주식회사 에코루체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톱니 결합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2185503B1 (ko) * 2019-04-03 2021-01-07 씨제이전기 주식회사 차량통과 대수에 비례하여 조도를 제어하는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 제어방법
WO2020204619A1 (ko) * 2019-04-03 2020-10-08 씨제이전기 주식회사 차량통과 대수에 비례하여 조도를 제어하는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 및 가로등 제어방법
KR20200118274A (ko) * 2019-04-03 2020-10-15 씨제이전기 주식회사 차량통과 대수에 비례하여 조도를 제어하는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 제어방법
KR102110935B1 (ko) * 2019-07-17 2020-05-14 이병규 태양광 가로등
WO2021120571A1 (zh) * 2019-12-16 2021-06-24 星慧照明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模块的智慧路灯
KR102428956B1 (ko) * 2022-04-12 2022-08-03 주식회사 리드원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KR102637261B1 (ko) * 2022-11-15 2024-02-16 지용길 등기구용 안전등주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477B1 (ko) 가로등 지주대
US20110036025A1 (en) Ground Anchor
KR10197959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용 지주
US20120092881A1 (en) Lighting Fixture Mounting Post
KR101557108B1 (ko) 시공 및 교체가 용이한 친환경 파일을 이용한 고정장치
KR100985714B1 (ko) 상하 2단계로 각도조절이 되는 각도조절용 가로등 제조방법
KR101387362B1 (ko) 다단 구조의 신호등 또는 가로등에 적용되는 조립형 지주
KR101546524B1 (ko) 유지관리 효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가로등 지주
KR200480825Y1 (ko) 조사각도의 변화가 용이한 가로등용 연결수단
EP2602405B1 (fr) Ensemble de plot de fondation à visser pour constructions extérieures légères
KR20120086433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US9234651B2 (en) Lighting fixture mounting post
KR100875276B1 (ko) 도로용 강관유닛
KR101379245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20120033608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KR101132192B1 (ko) 가로등용 태양전지 패널 고정유닛
KR20100104104A (ko) 지지 구조물
KR101921559B1 (ko)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CN109653522B (zh) 一种临边防护栏固定装置
KR101226843B1 (ko) 조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KR200466401Y1 (ko)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와이어
KR100872914B1 (ko) 가로등 회전 방지장치
KR101560567B1 (ko) 가로등 지주용 연결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