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433A -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6433A KR20120086433A KR1020110007650A KR20110007650A KR20120086433A KR 20120086433 A KR20120086433 A KR 20120086433A KR 1020110007650 A KR1020110007650 A KR 1020110007650A KR 20110007650 A KR20110007650 A KR 20110007650A KR 20120086433 A KR20120086433 A KR 201200864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ard rail
- guardrail
- connection structure
- rail
- bolt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도로 등의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을 간편한 위치 변화만으로 도로의 직선, 커브지역 또는 경사진 지역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지주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와;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복수 행의 가드레일과; 상기 가드레일의 양끝선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을 서로 결합하는 볼트축을 중심으로 상하 또는 좌우 선택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분할 연결체와; 상기 분할 연결체와 결합된 볼트축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지주에 관통되어 너트로 고정되어 상기 지주에 가드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의 위치 변화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지주와 가드레일의 연결부위를 조정하여 지주에 가드레일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도로용 가드레일 등의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을 간단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간단한 위치 변화만으로 도로의 직선, 커브구간 또는 경사진 구간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가드레일을 지주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차도와 자전거도로의 경계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에 주행하는 자전거 등이 운행 부주의나 사고에 의하여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근래에 들어 자전거 등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충돌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부여한 다양한 가드레일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도로의 특성상 직선구간뿐만 아니라, 커브구간에 맞도록 별도의 가드레일을 제작하였거나, 각도조절용 연결장치가 설치된 가드레일 등을 제안한 바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의 가드레일은 연결을 주로 용접작업에 의해 고정 설치하고 있었다. 그래서 지주 사이에 설치된 가드레일을 재차 설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특히 급커브구간이나 급경사 구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잘못 설치되거나 재차 보수를 필요로 할 경우, 한 번 설치된 가드레일을 다시 설치하기란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일 수밖에 없었다.
또한 후자의 경우, 한 번 설치된 가드레일의 위치에서 각도조절용 연결장치가 지주에 고정되기 때문에 가드레일의 각도를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조절해 줄 수가 없어, 제작 오차 및 조립 오차 또는 현장에서 긴급하게 발생하게 되는 조립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제작 및 조립 상의 오차를 조절해 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주에 결합하는 연결장치의 각도를 조절해 주어야하는 바, 이 과정에서 이미 지주에 결합한 다수개의 볼트 등을 풀어야 함과 아울러, 지주나 가드레일에 볼트 등을 새로 삽입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멍을 뚫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구멍을 뚫어 주는 경우에는 이미 설치된 난간의 미관을 상실하게 되었고, 그만큼 작업의 어려움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더불어 새로운 가드레일 설치각도에 맞게 연결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각도에 맞는 연결장치를 별도로 제작할 수밖에 없어 부품의 증가는 물론, 그만큼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을 간단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가드레일의 간단한 위치 변화만으로 도로의 직선, 커브구간 또는 경사진 구간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가드레일을 지주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와 가드레일을 연결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분할 연결체를 제공하여 설치되는 장소에 구분없이 지주에 가드레일을 상하좌우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주와 가드레일의 설치에 따른 재 설치작업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주에 위치 변화가 가능한 가드레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드레일의 설치변화에 따른 지주에 가드레일의 설치 작업이 쉬우며, 재설치에도 부품의 교체작업이 없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와;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복수 행의 가드레일과; 상기 가드레일의 양끝선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드레일의 서로의 양측을 결합하는 볼트축을 중심으로 상하 또는 좌우 선택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분할 연결체와; 상기 분할 연결체와 결합된 볼트축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지주에 관통되어 너트로 고정되어 상기 지주에 가드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할 연결체는 양측이 암수형태로 서로 대응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각각 관통하는 볼트축 및 너트로 체결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는 몸체의 일측 단턱부를 중심으로 전방에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각 일면에 관통되어 상기 볼트축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과; 상기 몸체의 타측으로 상기 가드레일의 양끝선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연결부재는 몸체의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각 일면에 관통되어 상기 볼트축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과; 상기 몸체의 타측으로 상기 가드레일의 양끝선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고정구는 상기 지주를 관통하는 몸체의 일단에 상기 너트와 체결되기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볼트 축에 끼워져 연결되기 위한 고리홈을 갖는 머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와;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복수 행의 가드레일과; 상기 가드레일의 양끝선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드레일의 서로의 양측을 결합하는 볼트축을 중심으로 상하 또는 좌우 선택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분할 연결체와; 상기 분할 연결체와 결합된 볼트축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지주에 관통되어 너트로 고정되어 상기 지주에 가드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을 간단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가드레일의 간단한 위치 변화만으로 도로의 직선, 커브구간 또는 경사진 구간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가드레일을 지주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할 연결체는 양측이 암수형태로 서로 대응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각각 관통하는 볼트축 및 너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므로, 지주와 가드레일을 연결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분할 연결체를 제공하여 설치되는 장소에 구분없이 지주에 가드레일을 상하좌우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와 가드레일의 설치에 따른 재 설치작업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분할 연결체와 레일고정구만을 분해 조립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주에 가드레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드레일의 설치변화에 따른 지주에 가드레일의 설치할 때에 재설치작업이 필요 없어 위치변화 작업이 쉬우며, 재설치에도 별도의 부품 교체작업이 없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용 가드레일의 전체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의 자전거도로용 가드레일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인 가드레일 연결을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인 가드레일 연결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용 가드레일의 좌우 각도조절을 보인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용 가드레일의 상하 각도조절을 보인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연결구조에 있어 분할 연결체와 가드레일의 다른 결합 형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용 가드레일의 전체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의 자전거도로용 가드레일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인 가드레일 연결을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인 가드레일 연결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용 가드레일의 좌우 각도조절을 보인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용 가드레일의 상하 각도조절을 보인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연결구조에 있어 분할 연결체와 가드레일의 다른 결합 형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지주와 결합되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를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드레일(200)과, 상기 가드레일(200)을 연결하는 한 쌍의 분할 연결체(300)와, 상기 분할 연결체(300)와 결합되어 상기 가드레일(200)을 지주(100)에 고정하는 레일 고정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지주(100)는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G)에 설치되는 지주(100)와 지주(100') 사이를 1경간이라 하는데, 통상 1경간(2-3m)정도의 거리를 두고 상기 지주(100)(100')사이에 복수 행의 가드레일(2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주(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드레일(200)의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101a)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드레일(200)은 중공의 금속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100') 사이에 지면(G)과 평행을 이루도록 복수행으로 설치되어 도로를 벗어나는 자전거 등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도로의 반대편에서 자동차 등이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분할 연결체(300)는 상기 가드레일(200)의 양끝선단부에 설치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제공되는 가드레일(200)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분할 연결체(300)는 한 쌍의 암수형태로 서로 대응하도록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를 각각 관통하여 너트(N10)와 체결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를 고정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가 상하 또는 좌우로 축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볼트축(B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310)는 상기 가드레일(200)의 원형파이프와 같은 원통형의 몸체(311) 일측에 형성된 단턱부(312)를 중심으로 전방에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연결편(313)(314)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313)(314)의 각 일면에는 각각 관통되어 상기 볼트축(B1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3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311)의 타측에는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가드레일(200)의 양끝선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3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10)는 한 쌍의 연결편(313)(314)의 사이에 일정 폭의 사이 간격을 두어 상기 레일고정구(400)가 결합하기 위한 간격 연결홈(317)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부재(320)는 상기 제1연결부재(310)에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어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320)는 몸체(321)의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연결편(323)(324)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323)(324)의 각 일면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볼트축(B1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325)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21)의 타측에는 상기 가드레일(200)의 양끝선단부에 결합되는 끼움부(32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부재(320)의 연결편(323)(324)의 사이에도 일정 폭의 간격을 갖는 간격 연결홈(327)을 두어 상기 제1연결부재(310)의 연결편(313)(314)을 외측에서 포개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볼트축(B10)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가 축 회전시에 서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310)의 단턱부(312)와 상기 제2연결부재(320)의 연결편(323)(324)은 각 일단이 같은 원호 형태의 단부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의 각 끼움부(316)(326)는 상기 가드레일(200)의 양끝선단부의 일측을 관통하는 직결나사볼트(B20)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고정구(400)는 상기 볼트축(B10)에 연결 고정된 상기 분할 연결체(300)를 상기 지주(100)에 고정하여 가드레일(200)이 지주(100)(100')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지주(100)를 관통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봉 형태의 몸체(401)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401)의 일단에 상기 너트(N10)와 체결되기 위한 수나사부(40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401)의 타단에는 상기 볼트축(B10)에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연결고리홈(403a)을 갖는 머리부(40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에 따른 가드레일의 설치 및 각도조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는 상기 지주(100)에 가드레일(200)을 고정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먼저 상기 가드레일(200)의 양끝선단부에 상기 분할 연결체(300)의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의 각 끼움부(316)(326)를 각각 결합한 후, 직결나사볼트(B20)에 의해 가드레일(200)과 체결, 고정한다.
다음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의 각 관통공(315)(325)을 관통하는 볼트축(B10)을 결합한 후, 반대쪽에서 너트(N10)를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는 서로 대응하도록 연결되어 한 쌍의 분할 연결체(300)를 이루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310)의 상하 연결편(313)(314)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 연결홈(317)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의 관통공(315)(325)을 관통하는 상기 볼트축(B10)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레일고정구(400)의 머리부(403)가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끝으로, 상기 가드레일(200)을 일체로 연결한 분할 연결체(300)와 축 결합된 레일고정구(400)를 상기 지주(100)의 관통공(101a)에 관통시켜 후방에서 너트(N20)를 조여 체결하는 것으로, 상기 지주(100)에 가드레일(200)을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직 형태의 도로가 아닌 커브지역이나 경사(언덕) 지역에 설치되는 가드레일 연결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전자의 도로가 커브지역일 경우에는 상기 볼트축(B10)을 중심으로 상기 분할 연결체(300)의 제1연결부재(310) 또는 제2연결부재(320)의 어느 하나만을 축 회전하여 원하는 각도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볼트축(B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후, 너트(N10)로 체결, 고정하여 설치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레일고정구(400)의 머리부(403)는 상기 볼트축(B10)이 수직으로 연결고리홈(403a)에 결합되도록 지면(G)과 수평으로 놓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지주(100)에 연결된 레일연결구(400)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으로 돌려 상기 레일고정구(400)의 머리부(403)가 지면(G)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한 후, 상기 분할 연결체(300) 또한 전자의 설치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돌려서 상기 볼트축(B10)이 지면(G)과 수평으로 결합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주(100)에서 가드레일(200)을 상부 또는 하부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상기 분할 연결체(300)와 결합되는 가드레일(20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분할 연결체(300)의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의 각 끼움부(316)(326)의 내측으로 가드레일(200)이 바로 결합하여 직결나사볼트(B20)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를 반듯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지주 101a : 관통공
200 : 가드레일 300 : 분할 연결체
310 : 제1연결부재 320 : 제2연결부재
311, 321 : 몸체 312 : 단턱부
313, 314, 323, 324 : 연결편 315, 325 : 관통공
316, 326 : 끼움부 317, 327 : 간격 연결홈
400 : 레일 고정구 401 : 몸체
402 : 수나사부 403 : 머리부
403a : 연결 고리홈
200 : 가드레일 300 : 분할 연결체
310 : 제1연결부재 320 : 제2연결부재
311, 321 : 몸체 312 : 단턱부
313, 314, 323, 324 : 연결편 315, 325 : 관통공
316, 326 : 끼움부 317, 327 : 간격 연결홈
400 : 레일 고정구 401 : 몸체
402 : 수나사부 403 : 머리부
403a : 연결 고리홈
Claims (5)
-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G)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100)와;
지면(G)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주(100)에 고정되는 복수 행의 가드레일(200)과;
상기 가드레일(200)의 양끝선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드레일(200)의 서로 양측을 결합하는 볼트축(B10)을 중심으로 상하 또는 좌우 선택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분할 연결체(300)와;
상기 분할 연결체(300)와 결합된 볼트축(B10)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지주(100)에 관통되어 너트(N10)로 고정되어 상기 지주(100)에 가드레일(200)을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연결체(300)는
양측이 암수형태로 서로 대응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를 각각 관통하는 볼트축(B10) 및 너트(N10)로 체결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310)는
몸체(311)의 일측 단턱부(312)를 중심으로 전방에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연결편(313)(314)과;
상기 연결편(313)(314)의 각 일면에 관통되어 상기 볼트축(B1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315)과;
상기 몸체(311)의 타측으로 상기 가드레일(200)의 양끝선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316); 및
상기 한 쌍의 연결편(313)(314) 사이에 상기 레일고정구(400)가 결합하기 위한 간격 연결홈(317)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320)는
몸체(321)의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연결편(323)(324)과;
상기 연결편(323)(324)의 각 일면에 관통되어 상기 볼트축(B1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325)과;
상기 몸체(321)의 타측으로 상기 가드레일(200)의 양끝선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326)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고정구(400)는
상기 지주(100)를 관통하는 몸체(401)의 일단에 상기 너트(N20)와 체결되기 위한 수나사부(40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401)의 타단에는 상기 볼트축(B10)에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연결고리홈(403a)을 갖는 머리부(40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7650A KR101270496B1 (ko) | 2011-01-26 | 2011-01-26 |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7650A KR101270496B1 (ko) | 2011-01-26 | 2011-01-26 |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6433A true KR20120086433A (ko) | 2012-08-03 |
KR101270496B1 KR101270496B1 (ko) | 2013-06-04 |
Family
ID=4687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7650A KR101270496B1 (ko) | 2011-01-26 | 2011-01-26 |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049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18446A (zh) * | 2014-05-27 | 2014-09-03 | 鞍钢集团矿业公司 | 缓冲护栏 |
CN108277759A (zh) * | 2018-04-19 | 2018-07-13 | 石家庄双明贸易有限公司 | 角度可调式组合护栏及其安装方法 |
KR102522718B1 (ko) * | 2022-09-21 | 2023-04-17 |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 가로대 간의 연결을 통한 각도조절 난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0720B1 (ko) * | 2015-09-15 | 2016-11-29 | (주) 대현목재 | 다양한 형상의 펜스 설치가 가능한 펜스용 연결브라켓. |
KR102035623B1 (ko) | 2018-07-23 | 2019-10-24 | 이재훈 | 도로용 가드레일의 연결구조 |
KR102219188B1 (ko) * | 2019-03-18 | 2021-02-23 | 김현구 |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연결구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50000647Y1 (ko) * | 1983-04-11 | 1985-04-18 | 김종규 | 철책 골격의 횡간 각도 조절구 |
KR200234138Y1 (ko) | 2001-03-02 | 2001-09-28 | 중재기업(주) | 난간의 난간대 조립구조 |
KR101165874B1 (ko) * | 2008-03-07 | 2012-07-13 | (주)엘지하우시스 | 펜스용 다관절 브라켓의 구조 |
-
2011
- 2011-01-26 KR KR1020110007650A patent/KR10127049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18446A (zh) * | 2014-05-27 | 2014-09-03 | 鞍钢集团矿业公司 | 缓冲护栏 |
CN108277759A (zh) * | 2018-04-19 | 2018-07-13 | 石家庄双明贸易有限公司 | 角度可调式组合护栏及其安装方法 |
KR102522718B1 (ko) * | 2022-09-21 | 2023-04-17 |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 가로대 간의 연결을 통한 각도조절 난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0496B1 (ko) | 2013-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0496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 |
KR101448706B1 (ko) | 가로대의 각도 조절 및 설치가 용이한 휀스 | |
KR100960217B1 (ko) | 회전기능과 이중조립구조를 가진 지주를 구비한 도로안전 방호책 | |
KR101103563B1 (ko) |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 |
KR101345989B1 (ko) | 합성목재 난간 결합구조 | |
KR100915986B1 (ko) | 송전선용 특고압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 |
KR20120033608A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 |
KR100759836B1 (ko) |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 |
KR20130026895A (ko) | 각도조절형 펜스 | |
JP5680321B2 (ja) | 防護柵及び防護柵の改修方法 | |
JP5417234B2 (ja) | 防護柵のビーム取付構造 | |
JP4767876B2 (ja) | 柵のビーム取付構造 | |
JP2010126982A (ja) | 横桟の接続構造 | |
CN109653522B (zh) | 一种临边防护栏固定装置 | |
KR100740856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 |
KR101026147B1 (ko) | 간편한 조립구조를 갖는 보도용 난간 및 그 조립방법 | |
KR20120134851A (ko) |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 |
JP5580146B2 (ja) | 防護柵における抜止具及び該抜止具を備える防護柵 | |
JP2019190146A (ja) | 防護柵 | |
JP4201896B2 (ja) | 防護柵の支柱とビームパイプのボルト止め構造 | |
KR102190330B1 (ko) | 무용접 펜스의 유격조절 기능을 구비한 체결장치 | |
JP5873761B2 (ja) | 高欄の横梁を支柱に取付ける方法及び取付構造 | |
JPH11152718A (ja) | 道路用防護柵 | |
KR101450243B1 (ko) | 건설공사용 파이프 비계 | |
JP3185870U (ja) | 防護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