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956B1 -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956B1
KR102428956B1 KR1020220044921A KR20220044921A KR102428956B1 KR 102428956 B1 KR102428956 B1 KR 102428956B1 KR 1020220044921 A KR1020220044921 A KR 1020220044921A KR 20220044921 A KR20220044921 A KR 20220044921A KR 102428956 B1 KR102428956 B1 KR 102428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ight
unit
dimm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드원
Priority to KR1020220044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2Adjustable mounting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가 개시된다. 개시된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면 상에 배치된 제1 지지대, 제1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지지대를 일부 삽입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2 지지대, 제2 지지대의 상부 측면에 연결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연결하는 조광연결부, 조광연결부와 제2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조광연결부와 제2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제2 지지대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 지지대에 대한 제2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제1 지지대는 제1 지지대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삽입부를 가지고, 제2 지지대는 제2 지지대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삽입부를 가지며, 높이조절부는 제1 가이드 삽입부와 제2 가이드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HEIGHT-ADJUSTABEL LIGHT POLE}
본 개시는 유지 편의성과 주변 환경 대응성이 개선된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어두운 환경에서 주변에 시야를 밝히기 위한 등주가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등주는 밤마다 지속적으로 켜진 상태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등주는 주변 시야를 밝게 하며 일반인들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지면에 대해 높게 설치된다. 그러나, 등주는 유지 관리를 위해 작업자가 수시로 등주에 대한 점검, 부품의 교체를 수행해야만 했었다.
따라서, 작업자는 등주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 사다리를 이용하여 등주에 올라가야 하였으나 이러나 작업은 작업자의 안전상의 사고가 발생한 가능성이 높으며, 등주의 유지 관리에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25556호(등록일자 2021.05.14)
본 개시는 유지 편의성과 주변 환경 대응성이 개선된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면 상에 배치된 제1 지지대, 제1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지지대를 일부 삽입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2 지지대, 제2 지지대의 상부 측면에 연결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연결하는 조광연결부, 조광연결부와 제2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조광연결부와 제2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제2 지지대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 지지대에 대한 제2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제1 지지대는 제1 지지대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삽입부를 가지고, 제2 지지대는 제2 지지대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삽입부를 가지며, 높이조절부는 제1 가이드 삽입부와 제2 가이드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보스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를 제공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보스가 상기 제1 가이드 삽입부와 상기 제2 가이드 삽입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2 지지대의 높이를 고정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가이드보스가 상기 제2 가이드 삽입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2 지지대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 평편하게 형성된 회전방지부 및 상기 회전방지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삽입부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1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제2 지지대에 대해 돌출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삽입부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2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보스와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제1 가이드 삽입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보스의 이격을 조절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고정 홈, 상기 고정 홈 상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가이드 삽입부와 상기 제2 가이드 삽입부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부,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 홈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대로 연장된 한 쌍의 브레이크 브라켓,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토크 롤러 및 상기 토크 롤러와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크 롤러의 회전을 조절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은, 상기 제2 지지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대와 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은, 상기 토크 롤러가 상기 제1 지지대에 접촉하는 제3 위치 및 상기 토크 롤러가 상기 제1 지지대와 이격된 제4 위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조광연결부는, 상기 조광연결부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유입구, 상기 조광연결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상기 제2 지지대 내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프,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저장하는 수용부 및 상기 조광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조광연결부는 상기 제2 지지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바디 및 상기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조광연결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수용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에 비례하여 상기 제2 지지대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제2 지지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광연결부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 내에 저장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을 기초로, 상기 와이어의 장력과 상기 조광부의 밝기는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장력과 상기 조광부의 밝기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조광부를 밝기를 조절하며, 상기 수용부의 저장된 유체의 양과 비례하여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짧아지고 상기 조광부의 밝기는 밝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 지지대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의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는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위치의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 제2 지지대 및 브레이크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 및 브레이크부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를 나타낸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분해사시도이다.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면 상에 배치된 제1 지지대(11), 제1 지지대(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지지대(11)를 일부 삽입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2 지지대(12), 제2 지지대(12)의 상부 측면에 연결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광부(30)를 연결하는 조광연결부(20), 조광연결부(20)와 제2 지지대(12) 사이에 배치되어 조광연결부(20)와 제2 지지대(12)를 지지하는 지지부(40) 및 제2 지지대(12)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 지지대(11)에 대한 제2 지지대(12)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광부(30)는 조광연결부(20)를 통해 제2 지지대(12)와 연결될 수 있으며, 빛을 조사하여 주변을 밝게 비출 수 있다. 조광부(30)는 내부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광부(30)는 LED, 전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광연결부(20)는 제2 지지대(12)와 조광부(30) 사이에 배치되어 조광부(30)를 안정적으로 제2 지지대(12)와 연결할 수 있다. 조광연결부(20)는 제2 지지대(12)에 대해 측면에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제1 지지대(11)에 대한 제2 지지대(12)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지면에 대한 조광부(30)의 높이도 조절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조광연결부(20)와 제2 지지대(12) 사이에 배치되어 조광연결부(20)와 제2 지지대(12)를 연결함과 동시에 조광연결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조광연결부(20)의 일단에는 조광부(30)가 배치되므로, 조광부(30)의 자중에 의해 조광연결부(20)가 휘거나 안정적인 배치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40)가 제2 지지대(12)에 대한 조광연결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의 구조적 안정적을 더할 수 있다.
여기서, 조광연결부(20), 조광부(30), 지지부(40)는 가벼운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광연결부(20), 조광부(30), 지지부(40)는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따. 예를 들어, 조광연결부(20), 조광부(30), 지지부(4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1)는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를 지면에 대해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이란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1)는 지면에 대한 제1 지지대(1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단부를 통해 제1 지지대(11)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1)는 고정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경은 제1 지지대(11)가 삽입되는 제2 지지대(12)의 연결구의 제2 직경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지지대(11)는 고정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제2 지지대(1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대(11)는 일단에 고정단부가 배치되고 타단은 제2 지지대(12)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지지대(11)는 제1 지지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 평편하게 형성된 회전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방지부는 제1 지지대(1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제1 지지대(11)의 일측에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대(11)가 제2 지지대(12)와 삽입되는 경우 제1 지지대(11)를 축으로 제2 지지대(1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바람, 충격에 의해 제2 지지대(1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작업하는 동안 제2 지지대(12)가 회전하는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지지대(11)는 제1 지지대(11)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삽입부(17-1)와 제1 가이드 삽입부(17-1)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1 삽입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삽입부(17-1)는 회전방지부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높이조절부(50)의 가이드보스(5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제1 지지대(11)와 제2 지지대(1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삽입부(17-1)는 가이드보스(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보스(51)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 삽입부(18-1)는 제1 지지대(11)의 상측에 위치하며 회전방지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제1 삽입부(18-1)는 제1 가이드 삽입부(17-1)와 길이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삽입부(18-1)는 높이조절부(50)의 체결부재(55)가 삽입되어 높이조절부(5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제1 지지대(11)와 제2 지지대(12)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대(12)는 제1 지지대(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지지대(11)를 일부 삽입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절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지지대(12)는 제1 지지대(11)를 삽입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지지대(12)는 내부에 제1 지지대(11)가 삽입되는 연결공간(S)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지지대(11)는 연결공간(S)을 따라 제2 지지대(12)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공간(S)의 제2 직경은 제1 지지대(11)의 제1 직경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아울러, 연결공간(S)의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상은 제1 지지대(11)의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대(12)의 상부는 막혀 있으며 연결공간(S)의 상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대(12)의 상부 일측에는 조광부(30)를 연결하는 조광연결부(20) 및 조광연결부(20)와 제2 지지대(12) 사이에 배치되어 조광연결부(20)를 지지하는 지지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조광연결부(20)와 지지부(40)는 제1 지지대(11)의 회전방지부와 길이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지지대(12)는 제2 지지대(12)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삽입부(17-2) 및 제2 지지대(12)에 대해 돌출 배치되며, 제2 가이드 삽입부(17-2)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2 삽입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삽입부(17-2)는 회전방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부(50)의 가이드보스(51)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삽입부(17-2)는 가이드보스(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보스(51)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2 삽입부(18-2)는 제2 지지대(12)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2 가이드 삽입부(17-2)와 길이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삽입부(18-2)는 높이조절부(50)의 체결부재(55)가 삽입되어 높이조절부(5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제1 지지대(11)와 제2 지지대(12)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50)는 제2 지지대(12)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 지지대(11)와 제2 지지대(12)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제1 지지대(11)에 대한 제2 지지대(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부(50)는 제1 가이드 삽입부(17-1)와 제2 가이드 삽입부(17-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제1 지지대(11)와 제2 지지대(12)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보스(51), 가이드보스(51)와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제1 가이드 삽입부(17-1)에 대한 가이드보스(51)의 이격을 조절하는 손잡이부(52), 손잡이부(52)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고정 홈(53), 고정 홈(53) 상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탄성부재(54) 및 탄성부재(54)와 고정 홈(53)을 관통하여 제1 위치에서 손잡이부(52),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를 고정하는 체결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보스(51)는 손잡이부(52)와 일체로 형성되며 손잡이부(52)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보스(51)는 제1 가이드 삽입부(17-1)와 제2 가이드 삽입부(17-2)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부(52)는 가이드보스(51)와 일체로 형성되며 작업자가 높이조절부(50)를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52)는 가이드보스(51)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홈(53)은 손잡이부(52)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55)가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고정 홈(53)은 제2 지지대(12)의 제2 삽입부(18-2)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며 체결부재(5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부(50)는 제2 지지대(12)에 대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54)는 고정 홈(53) 상에 배치되어 체결부재(55)를 제2 지지대(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부재(55)의 나사산을 푸는 즉시 손잡이부(52) 및 가이드보스(51)가 제2 지지대(12) 및 제1 지지대(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55)는 손잡이부(52) 및 가이드보스(51)가 제2 지지대(12) 및 제1 지지대(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가이드보스(51)가 제1 가이드 삽입부(17-1)와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부재(55)의 나사산을 푸는 방식을 통하여 손잡이부(52) 및 가이드보스(51)를 제1 가이드 삽입부(17-1)와 이격할 수 있으며 별도로 손잡이부(52)를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아 사용자의 높이조절부(50) 사용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체결부재(55)는 탄성부재(54)와 고정 홈(53) 및 제2 삽입부(18-2)를 관통하며, 제1 삽입부(18-1)를 선택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체결부재(55)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구체적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의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는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위치의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높이조절부(50)는 가이드보스(51)가 제1 가이드 삽입부(17-1)와 제2 가이드 삽입부(17-2)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제1 지지대(11)에 대한 제2 지지대(12)의 높이를 고정하는 제1 위치(도 4 참조)와 가이드보스(51)가 제2 가이드 삽입부(17-2)와 이격되어 제1 지지대(11)에 대한제2 지지대(12)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는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위치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는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는 제1 지지대(11)에 대한 제2 지지대(12)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에서, 제1 가이드 삽입부(17-1)와 제2 가이드 삽입부(17-2)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하고, 한 쌍의 제1 삽입부(18-1), 한 쌍의 제2 삽입부(18-2) 및 한 쌍의 고정 홈(53)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보스(51)는 제1 지지대(11)의 제1 가이드 삽입부(17-1)와 제2 지지대(12)의 제2 가이드 삽입부(17-2)를 동시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동시에 체결부재(55)는 한 쌍의 제1 삽입부(18-1), 한 쌍의 제2 삽입부(18-2) 및 한 쌍의 고정 홈(53)을 관통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보스(51)와 체결부재(55)의 체결력을 통해 제1 지지대(11)에 대해 제2 지지대(12)는 제1 높이(H1)를 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조광부(30)에 대한 유지 보스를 위해 조광부(30)의 높이를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체결부재(55)인 나사를 풀 수 있으며, 탄성부재(54)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부재(55)가 풀리는 즉시 체결부재(55)는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부재(55)를 해제하는 방식을 통해 가이드보스(51)를 제1 가이드 삽입부(17-1)와 이격시킬 수 있다. 이후, 체결부재(55)가 제1 삽입부(18-1)와 이격되고 가이드보스(51)가 제1 가이드 삽입부(17-1)와 이격되는 경우, 제1 지지대(11)에 대해 제2 지지대(12)는 높이가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손잡이부(52)를 이용하여 제2 지지대(12)를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조광부(30)를 사용자의 위치로 내려 조광부(30)에 대한 수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는 사용 시간, 외부 환경에 의해 조광부(30)의 유지 보수 및 부품의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의 높이를 조절하여 조광부(30)에 대한 접근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등주에 대한 높이 조절을 체결부재(55) 및 손잡이부(52)의 조작만으로 높이를 조절하여 높이 조절에 대한 조작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부(8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11), 제2 지지대(12) 및 브레이크부(80)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11) 및 브레이크부(80)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브레이크부(80)는, 손잡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지지대(12)에 연결되어 제1 지지대(11)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즉, 브레이크부(80)는 제2 지지대(12)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지지대(11)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제1 지지대(11)에 대해 제2 지지대(12)가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지지대(11)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부(80)는, 일단이 제2 지지대(12)와 연결되며 제1 지지대(11)로 연장된 한 쌍의 브레이크 브라켓(81), 브레이크 브라켓(8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브레이크 브라켓(81)의 이동에 따라 제1 지지대(11)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토크 롤러(82) 및 토크 롤러(82)와 브레이크 브라켓(81) 사이에 배치되어 토크 롤러(82)의 회전을 조절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브레이크 브라켓(81)은 제2 지지대(12)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1 지지대(11)와 인접한 곳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브레이크는 일단이 제2 지지대(12)와 연결되고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토크 롤러(82)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토크 롤러(82)는 한 쌍의 브레이크 브라켓(81)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크 브라켓(81)은 일단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구간(81-1)과 제1 구간(81-1)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1 구간(81-1)으로부터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의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제2 구간(81-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브레이크 브라켓(81)은 제1 지지대(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가이드 홈(86) 및 가이드 홈(86) 내에 배치되며 제2 지지대(12)와 결합되는 조절부재(8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브라켓(81)은 제2 지지대(12)와 직접 연결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브레이크 브라켓(81)과 제2 지지대(12) 사이에 용접 브라켓(89)가 배치되어 용접 브라켓(89)을 통해 제2 지지대(12)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홈(86)은 한 쌍의 브레이크 브라켓(81)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86)은 한 상의 브레이크 브라켓(81)의 제1 구간(81-1)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86)은 한 쌍의 브레이크 브라켓(81)과 제2 지지대(12)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제1 고정부재(85-1)를 중심으로 호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부재(84)가 가이드 홈(86)을 통과하여 제2 지지대(12)와 고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브레이크 브라켓(8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브레이크 브라켓(81)은 가이드 홈(86)을 형상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 브라켓(81)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일 경우, 토크 롤러(82)는 제1 지지대(11)와 이격된 제4 위치일 수 있다. 아울러, 브레이크 브라켓(81)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일 경우, 토크 롤러(82)는 제1 지지대(11)와 접촉된 제3 위치일 수 있다.
조절부재(84)는 가이드 홈(86)을 통과하여 제2 지지대(1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절부재(84)는 사용자가 브레이크 브라켓(81)을 상하로 이동시킬 경우, 가이드 홈(86)과 간섭되어 브레이크 브라켓(81)이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조절부재(84)를 통해 브레이크 브라켓(81)과 제2 지지대(12)의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절부재(84)를 강하게 체결하는 경우, 브레이크 브라켓(81)과 제2 지지대(12)는 강하게 접촉한 상태이며 브레이크 브라켓(81)은 기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조절부재(84)를 느슨하게 푸는 경우, 브레이크 브라켓(81)과 제2 지지대(12)의 접촉력은 약해지며, 사용자는 브레이크 브라켓(81)을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토크 롤러(82)는 제2 고정부재(85-2)를 통해 한 쌍의 브레이크 브라켓(8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토크 롤러(82)는 제1 지지대(11)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크 롤러(82)가 제1 지지대(11)와 접촉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통해 제2 지지대(12)를 하부로 이동시킬 때에 토크 롤러(82)와 제1 지지대(11)의 마찰력으로 인해 제2 지지대(12)가 제1 지지대(11)에 대해 급격하게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토크 롤러(82)는 손잡이부(52)와 상하로 일렬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는 토크 롤러(82)와 브레이크 브라켓(81) 사이에 배치되며, 토크 롤러(8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찰부재는 기 설정된 이상의 마찰력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부재는 피혁, 가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찰부재는 토크 롤러(82)와 접촉하여 토크 롤러(82)의 급격한 회전을 제어하여 토크 롤러(82)가 제1 지지대(11)와 접촉하는 경우, 토크 롤러(82)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제2 지지대(12)에 하부로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를 나타낸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대(11), 제2 지지대(12), 조광부(30), 높이조절부(50)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조광연결부(20)는, 조광연결부(20)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유입구(21), 조광연결부(20) 내부에 배치되며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제2 지지대(12) 내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프(22), 가이드 파이프(22)의 일단에 연결되어 가이드 파이프(22)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저장하는 수용부(23) 및 조광연결부(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지부(4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슬라이드 홈(24)을 포함할 수 있다.
조광연결부(20)는 조광부(30)를 지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유체가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 내부로 유입되어 제2 지지대(12)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부(23)로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조광연결부(20)는 제2 지지대(12)에 삽입된 상태이며, 제2 지지대(12)에 대해 조광연결부(20)의 각도는 달라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광연결부(20)는 제2 지지대(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조광연결부(20)는 제2 지지대(1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은 제2 지지대(12)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유입구(21)는 조광연결부(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외부의 유체가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유체는 비, 눈 등 외부 환경의 기상현상에서 포함되는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21)는 조광연결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파이프(22)는 조광연결부(20) 내부에 배치되며 유입구(21)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파이프(22)는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수용부(23)로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파이프(22)는 조광부(30)와 연결된 전기적 케이블(미도시)과 공간적으로 구분되어 가이드 파이프(22)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케이블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23)는 가이드 파이프(22)의 일단에 위치하며 가이드 파이프(22)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23)는 가이드 파이프(22)에서 전달되는 유체를 수용하며 유체의 자중에 의한 조광연결부(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수용부(23)의 내부에는 수용부(23)에 유입된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부(23a)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23a)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프로세스에 대해 유체의 양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수용부(23)는 제2 지지대(12)의 연결공간(S)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충분한 양의 유체가 포함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3a)는 무게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드 홈(24)은 지지부(40)의 슬라이드 바디(41)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조광연결부(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홈(24)은 지지부(40)의 슬라이드 바디(41)와 간섭되어 조광연결부(20)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의 슬라이드 바디(41)가 슬라이드 홈(24)의 일단과 간섭되어 조광연결부(20)의 기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수용부(23)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어 자중에 의해 지면에 대한 조광연결부(20)의 각도가 커지는 경우, 슬라이드 바디(41)는 슬라이드 홈(24)의 타단과 간섭되어 조광연결부(20)가 일정 이상의 각도로 커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지지부(40)는 일단이 슬라이드 홈(24)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바디(41) 및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이 제2 지지대(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힌지(42)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0)는 지면에 대한 각도가 달라지는 조광연결부(20)를 지속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조광연결부(20)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바디(41)는 조광연결부(20)의 슬라이드 홈(24) 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홈(2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1 힌지(42)부는 제2 지지대(12)와 힌지 연결되어 조광연결부(20)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제2 지지대(12)에 대한 지지부(40)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지지대(12)는 제2 지지대(12) 내부에 배치되고 조광연결부(20)와 와이어(61)를 통해 연결되어 와이어(61)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부(60) 및 센서부(23a), 구동부(60)와 연결되어 센서부(23a)와 구동부(6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구동모터 및 와이어(61)를 감거나 풀기 위한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제2 지지대(12) 내부의 연결공간(S)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60)는 제1 지지대(11)가 삽입되는 경우, 제1 지지대(11)와 간섭되는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61)는 구동부(60)와 조광연결부(20)의 와이어(61) 연결부와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된 조광연결부(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는 외부의 기상 환경이 포함하는 유체가 유입구(21)를 통해 조광연결부(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유입된 유체는 가이드 파이프(22)를 통해 제2 지지대(12)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부(23)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상환경에 노출되는 빈도, 기상환경이 포함하는 유체의 양과 비례하여, 수용부(23)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의 양이 증가할 수 있으며, 유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수용부(23) 및 수용부(23)가 저장하는 유체의 자중이 커질 수 있다.
이후, 조광연결부(20)는 수용부(23) 및 수용부(23)가 저장하는 유체의 자중에 의해 지면에 대한 각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조광연결부(20)의 각도가 커짐에 따라 슬라이드 홈(24) 내의 슬라이드 바디(41)는 이동할 수 있으며, 지지부(40)는 조광연결부(20)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드 홈(24)과 슬라이드 바디(41)는 상호간 접촉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조광연결부(20)의 각도가 급하게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조광연결부(20)는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어 수용부(23)에 저장된 유체의 양에 비례하여 제2 지지대(12)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가 노출된 외부 환경을 별도로 기록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면 및 제2 지지대(12)에 대한 조광연결부(20)의 기울어진 각도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가 노출된 외부 환경의 강도 및 유지 보수의 필요성 등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1`)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많은 수의 등주를 관리해야 하며 지속적인 등주의 상태를 추적할 수 없는 것을 고려할 때, 등주가 고장나기 전 상태에서도 조광연결부(20)의 각도를 통해 등주의 유지 관리가 필요한 것을 가시적으로 알 수 있으며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조광부(30)에 대한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높이조절부(50)를 통해 제2 지지대(12)를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지면 및 제2 지지대(12)에 대한 각도가 커진 조광연결부(20)를 통해 조광부(30)를 수리가 더욱 편리해지고 간단해질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된 상태에서도 조광부(30)는 지면을 바라보는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상부를 쳐다보거나 자세를 굽힌 상태에서 지면을 바라조는 조광부(30)를 수리해야하나, 조광연결부(20)의 각도가 커진 상태에서의 조광부(30)는 지면을 바라보는 각도가 커짐으로써, 사용자의 유지 보수를 위한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센서부(23a)를 통해 수용부(23)에 저장된 유체의 양을 기초로, 와이어(61)의 장력과 조광부(30)의 밝기는 결정하고, 결정된 장력과 조광부(30)의 밝기를 기초로 구동부(60)를 통해 와이어(61)의 길이를 조절하고 조광부(30)를 밝기를 조절하며, 수용부(23)의 저장된 유체의 양과 비례하여 와이어(61)의 길이는 짧아지고 조광부(30)의 밝기는 밝아지도록 제어하고, 와이어(61)는 제2 지지대(12)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유체의 양에 비례하여 조광연결부(20)의 지면 및 제2 지지대(12)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경우, 지면에 대한 조광부(30)의 조사가는 각이 커지게 되며 사용자는 등주에 대한 짧은 기간 내에 수리가 되므로, 등주는 지면에 대한 밝기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의 양을 기초로 조광부(30)의 밝기를 밝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조광연결부(20)의 변경된 각도 및 조광부(30)의 밝기를 통해 등주에 대한 유지보수의 필요성을 직관적이며 가시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와이어(61)의 길이를 통해 유체의 양에 비례하여 각도가 조절된 조광연결부(20)의 각도를 와이어(61)의 길이 조절을 통해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23) 내의 유체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며, 조광연결부(20)가 제2 지지대(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조인 경우, 외부의 바람, 충격에 의해 조광연결부(20)의 각도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각도가 조절된 상태의 조광연결부(20)의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1':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11: 제1 지지대
12: 제2 지지대 20: 조광연결부
30: 조광부 40: 지지부
50: 높이조절부 51: 가이드보스
52: 손잡이부 53: 고정 홈

Claims (9)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면 상에 배치된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대를 일부 삽입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2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부 측면에 연결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연결하는 조광연결부;
    상기 조광연결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광연결부와 상기 제2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2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제2 지지대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삽입부를 가지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 가이드 삽입부와 상기 제2 가이드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보스가 상기 제1 가이드 삽입부와 상기 제2 가이드 삽입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2 지지대의 높이를 고정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가이드보스가 상기 제2 가이드 삽입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2 지지대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 평편하게 형성된 회전방지부; 및
    상기 회전방지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삽입부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1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제2 지지대에 대해 돌출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삽입부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2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보스와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제1 가이드 삽입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보스의 이격을 조절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고정 홈;
    상기 고정 홈 상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등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가이드 삽입부와 상기 제2 가이드 삽입부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부,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 홈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등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대로 연장된 한 쌍의 브레이크 브라켓;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토크 롤러; 및
    상기 토크 롤러와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크 롤러의 회전을 조절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은,
    상기 제2 지지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대와 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은,
    상기 토크 롤러가 상기 제1 지지대에 접촉하는 제3 위치; 및
    상기 토크 롤러가 상기 제1 지지대와 이격된 제4 위치;로 이동 가능한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연결부는,
    상기 조광연결부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유입구;
    상기 조광연결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상기 제2 지지대 내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프;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저장하는 수용부; 및
    상기 조광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조광연결부는 상기 제2 지지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등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바디; 및
    상기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조광연결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수용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에 비례하여 상기 제2 지지대에 대한 각도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등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제2 지지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광연결부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 내에 저장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을 기초로, 상기 와이어의 장력과 상기 조광부의 밝기는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장력과 상기 조광부의 밝기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조광부를 밝기를 조절하며,
    상기 수용부의 저장된 유체의 양과 비례하여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짧아지고 상기 조광부의 밝기는 밝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 지지대의 각도를 유지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등주.
KR1020220044921A 2022-04-12 2022-04-12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KR102428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921A KR102428956B1 (ko) 2022-04-12 2022-04-12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921A KR102428956B1 (ko) 2022-04-12 2022-04-12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956B1 true KR102428956B1 (ko) 2022-08-03

Family

ID=8284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921A KR102428956B1 (ko) 2022-04-12 2022-04-12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95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556B1 (ko) 1991-07-10 1999-10-15 이데이 노부유끼 반도체기억장치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31286B1 (ko) * 2007-09-20 2009-12-11 전명희 방수 가로등 지주
KR101061477B1 (ko) * 2011-04-15 2011-09-02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가로등 지주대
KR101235010B1 (ko) * 2012-08-10 2013-02-21 주식회사 선진정밀 높이조절이 가능한 포스트 유닛
KR101546525B1 (ko) * 2015-01-22 2015-08-24 박세현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주 및 그 결합 방법
KR101934362B1 (ko) * 2017-01-16 2019-01-02 김상우 절첩식 가로등 암
KR101963254B1 (ko) * 2017-07-06 2019-04-01 한국도로공사 높이조절식 가로등
KR102285274B1 (ko) * 2020-01-29 2021-08-02 전두성 조작유닛에 의해 동작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스토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556B1 (ko) 1991-07-10 1999-10-15 이데이 노부유끼 반도체기억장치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31286B1 (ko) * 2007-09-20 2009-12-11 전명희 방수 가로등 지주
KR101061477B1 (ko) * 2011-04-15 2011-09-02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가로등 지주대
KR101235010B1 (ko) * 2012-08-10 2013-02-21 주식회사 선진정밀 높이조절이 가능한 포스트 유닛
KR101546525B1 (ko) * 2015-01-22 2015-08-24 박세현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주 및 그 결합 방법
KR101934362B1 (ko) * 2017-01-16 2019-01-02 김상우 절첩식 가로등 암
KR101963254B1 (ko) * 2017-07-06 2019-04-01 한국도로공사 높이조절식 가로등
KR102285274B1 (ko) * 2020-01-29 2021-08-02 전두성 조작유닛에 의해 동작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스토퍼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95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등주
JP2015525170A (ja) 光源を備えた被覆装置
GB2519430A (en) Recessed luminaire
KR20180054988A (ko) 차량용 리어 범퍼의 가변 스포일러 장치
US3478984A (en) Line reeling control means
KR101906581B1 (ko) 특고압 배전철탑의 접지장치
CN214479459U (zh) 一种电力工程用线缆配接器
KR101178216B1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CN110440187B (zh) 一种可调式led灯具
KR101606750B1 (ko) 각도조절 가능한 차량용 투광장치
CN102023266A (zh) 镇流器检测装置
KR102005850B1 (ko) 특고압 송배전선로의 지지철탑
CN201525668U (zh) 摩擦式张力控制器
CN209975027U (zh) 一种用于整经机上伸缩筘的横移装置
CN219889457U (zh) 一种灯光安装结构
SI1722041T1 (sl) Držalna priprava za namestitev vsaj ene vodilne vrvi priprave za senčenje ali usmerjanje svetlobe
KR20100012171A (ko) 와이어 로프 유도장치
CN212573232U (zh) 一种电气控制柜
CN208383980U (zh) 一种电机功率测试装置
RU2534121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кважин в грунте
KR101060206B1 (ko) 오일 완충 기구가 구비된 원사 장력 조절 장치
CN219636837U (zh) 悬吊检修平台的拉紧稳定装置和悬吊检修平台
KR870000083Y1 (ko) 소형 콘 와인다
KR200264966Y1 (ko) 전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CN219659838U (zh) 一种工业级交换机快速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