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216B1 -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216B1
KR101178216B1 KR1020100044099A KR20100044099A KR101178216B1 KR 101178216 B1 KR101178216 B1 KR 101178216B1 KR 1020100044099 A KR1020100044099 A KR 1020100044099A KR 20100044099 A KR20100044099 A KR 20100044099A KR 101178216 B1 KR101178216 B1 KR 101178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frame
wire
shaf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610A (ko
Inventor
황윤수
Original Assignee
황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윤수 filed Critical 황윤수
Priority to KR102010004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2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025/1485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for diving outf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에 의해 세탁물이 거치된 승강 프레임이 상하 승강하여 위상이 조절되도록 구성한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Electric clothes hack}
본 발명은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에 의해 세탁물이 거치된 승강 프레임이 상하 승강하여 위상이 조절되도록 구성한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아파트의 베란다의 천정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건조하는 세탁물 건조대는, 일반적으로 천정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세탁물을 거치하는 승강프레임이 시저암을 통해 고정된 형태로 상기 고정프레임과 승강프레임 사이에는 와이어가 마련되어, 사용자는 와이어를 직접 당겨 세탁물이 거치된 승강 프레임의 위상을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세탁물 건조대는 세탁물이 거치된 승강프레임의 위상을 조절하기 위해 매번 와이어를 당겨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롭기도 하고 또 와이어가 불안정하게 고정되므로, 승강프레임에 다량의 세탁물을 거치하면 와이어의 고정이 해체되어 승강프레임이 하부로 쳐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한편, 최근에는 구동모터의 구동을 통해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여 승강프레임의 위상을 조절하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가 제안 및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의 제안 및 보급으로 승강프레임의 위상조절에 따른 향상된 편리성과 안정성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는 구동부의 구동에 따른 승강프레임의 승강범위를 한정하는 전용의 구조가 형성되지 아니한 관계로, 사용자가 직접 승강프레임의 위상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제어부의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승강프레임의 위상을 조절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승강프레임의 위상조절은 승강프레임의 위상 조절과정에 콘트롤러를 반복적으로 조절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또 사용자가 콘트롤러를 통해 구동부를 과도하게 구동시키면 와이어가 승강프레임이 승강범위를 벗어날 수도 있다.
특히, 구동부의 과도한 구동에 의해 와이어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과정에 과도한 처짐이나 당김이 발생되면, 와이어가 꼬이거나 꼬이거나 끊어지는 등의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구동부의 구동량을 감지 및 제어하여 승강 프레임의 승강 범위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함에 있고,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구동부에 의한 와이어의 언와인딩 작용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 프레임이 장애물에 간섭되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면, 구동부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언와인딩된 와이어가 꼬임되거나 끊어지는 등의 물리적인 손상이 간편하게 예방하도록 한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는,
천정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권취드럼, 및 상기 권취드럼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의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 권취드럼에 의한 와이어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에 의해 승강하며, 세탁물의 거치공간이 확보된 승강 프레임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축, 또는 이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에는 슬라이더가 체결되어, 승강 프레임의 승강을 위한 구동모터의 정역 회전량에 따라 슬라이더가 비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양편에는 슬라이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 한계점이 형성되고, 이 이동 한계점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이동 한계점에 도달되는 슬라이더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 1 리미트 스위치와 제 2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된 감지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감지부의 제 1 리미트 스위치 또는 제 2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이동 한계점에 도달되는 슬라이더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구동모터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승강 프레임이 승강 범위를 벗어나 승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는,
고정 프레임을 통해 천정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권취드럼, 및 상기 권취드럼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세탁물의 거치공간이 확보된 승강 프레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권취드럼에 의한 와이어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에 의해 승강 프레임이 승강하도록 구성된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승강공이 형성된 힌지 브라켓과; 상기 승강공에 축을 삽입하여 힌지 브라켓에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힌지 브라켓에 고정되어 지지롤러의 승강에 따른 위상 변화를 계측하는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계측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롤러는 구동부와 승강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지지롤러가 와이어에 의한 상향 지지가 해제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 감지 스위치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고, 제어부는 제어부는 구동부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는, 구동모터의 정역 회전량을 전기적으로 제한하는 계측부를 형성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량과 비례하는 승강프레임의 승강범위를 간편하게 한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 계측부는 권취드럼이 설치되는 회전축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측부를 형성하면, 콘크롤러의 단순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프레임의 상하 위상이 각각 설정되므로 승강프레임의 위상조절에 따른 편리성이 도모될 수 있고, 또 구동부가 과다하게 구동되어 발생되는 와이어의 훼손 등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의 처짐여부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계측부에 의해 장애물과의 간섭에 의해 승강프레임이 하강하지 못하는 등 와이어의 처짐이 발생되면 구동부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와이어가 처짐이 발생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지속적으로 언와인딩되어 자체적으로 훼손되는 문제점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 구동부의 상세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설치된 계측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의 외형 구성과, 및 본 장치에 구현된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 구동부의 상세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설치된 계측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정에 고정되는 구동모터(11)와, 상기 구동모터(11)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권취드럼(12), 및 상기 권취드럼(12)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9)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10)와; 상기 구동모터(11)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20); 및 세탁물의 거치공간이 확보된 승강 프레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0)는 일반적으로 고정 프레임(40)을 통해 천정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30)은 구동부(10)에 형성된 와이어(19)의 타단과 연결되어 권취드럼(12)에 의한 와이어(19)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에 의해 상하 승강하여 위상이 조절된다.
그리고, 이러한 승강 프레임(30)의 승강을 위한 구동부(10)의 구동은, 제어부(20)에 형성된 유선 또는 무선의 콘트롤러(미도시)를 통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1)와 권취드럼(12) 사이에 감속구조를 형성하여 소용량의 구동모터(11)를 통해 생성되는 구동력을 감속을 통해 증가시켜 승강 프레임(30)의 안정적인 승강이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권취드럼(12)을 케이스(10a)에 설치된 회전축(13)에 고정하고, 상기 구동모터 축(11a)과 회전축(13) 사이에 감속기어(14)를 설치한 형태의 감속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구동모터의 축에 직경이 작은 감속기어(11b)를 설치하고 회전축(13)에 구동모터 축(11a)에 설치된 감속기어(11b)와 치합되는 감속기어(14)를 설치하여, 치차비에 따른 감속기어(11b, 14)의 감속작용에 의해 구동모터(11)에서 생성된 회전력이 증가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0)를 고정한 고정프레임(40)과 승강 프레임(30)의 양편에는 시저암(50)이 각각 설치되어, 승강프레임(30)의 안정된 고정상태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시저암(50)의 상단과 하단은 승강프레임(30)에 형성된 가이드공(31)과 고정프레임(40)에 형성된 가이드공(41)에 핀(51)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 승강프레임(30)의 승강에 따른 절첩 및 전개과정에 시저암(50)의 단부는 가이드공(31, 4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동부(10)에는 권취드럼(12)에 일단이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19)가 양편으로 대칭되게 인출되며 이 인출된 와이어(19)는 고정 프레임(40)의 양편에 각각 배치된 안내롤러(42)를 통해 안내되어서, 하부에 위치된 승강 프레임(30)과 각각 결속된다.
그리하여, 상기 구동모터(10)의 정역 구동에 따른 권취드럼(12)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작용에 의해 승강 프레임(30)은 승강하여 위상이 조절되고,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40)과 승강 프레임(30) 사이에 설치된 시저암(50)은 절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1)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권취드럼(12)에 권취되는 와이어(19)의 와인딩 및 언와인딩 길이는 승강 프레임(30)의 승강거리와 비례한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1)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값을 통해 승강 프레임(30)의 승강범위가 설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모터(11)가 과다 구동하여 승강 프레임(30)이 승강범위를 벗어나 승강되는 것을 예방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11)의 구동에 정역 회전하는 구동모터의 축(11a), 또는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3)에 나사산(13a)을 형성하고, 이 나사산(13a)에 슬라이더(15)를 체결하여 구동모터(11)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슬라이더(15)가 좌우로 비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좌우 이동하는 슬라이더(15)의 이동 한계점(P, P')에 제 1 리미트 스위치(61)와 제 2 리미트 스위치(62)를 각각 형성한 감지부(60)를 배치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구동부(10)에는 일자형의 안내공(16a)이 형성된 가이드(16)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16)의 안내공(16a)에는 슬라이더(15)의 안내봉(15a)이 관통되어, 슬라이더(15)는 체결된 회전축(13)과 함께 회전하지 아니하고 회전축(13)과의 체결량의 변화에 따라 가이드(16)의 안내공(16a)을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1)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슬라이더(15)가 좌측에 형성된 이동 한계점(P)에 도달하여 제 1 리미트 스위치(61)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20)는 정전류의 공급을 차단시켜 구동모터(11)의 정방향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구동모터(11)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슬라이더(15)가 우측에 형성된 이동 한계점(P')에 도달하여 제 2 리미트 스위치(62)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20)는 역전류의 공급을 차단시켜 구동모터(11)의 역방향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60)의 제 1 리미트 스위치(61) 또는 제 2 리미트 스위치(62)에 의해 이동 한계점(P, P')에 도달되는 슬라이더(15)가 감지되면 제어부(20)는 구동모터(11)의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구동모터(11)가 과다 구동하여 승강 프레임(30)이 승강 범위를 벗어나 승강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10)와 안내롤러(42) 사이에 와이어(19)의 처짐여부를 계측하여 와이어(19)의 처짐여부에 따라 구동모터(11)의 전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계측부(70)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측부(70)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40)에 고정되며 승강공(71a)이 형성된 힌지 브라켓(70)과; 상기 힌지 브라켓(71)의 승강공(71a)에 축(72a) 설치되며 와이어(19)에 의한 상향 지지여부에 따라 위상이 변경되는 지지롤러(72); 및 상기 힌지 브라켓(71)에 고정되어 지지롤러(72)의 위상변화를 계측하는 감지 스위치(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계측부(70)는, 도 4a의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와이어(19)의 처짐이 발생되어 와이어(19)에 의한 상향 지지가 사라져 자중에 의해 지지롤러(72)가 하강하면, 감지 스위치(73)는 하강된 지지롤러(72)의 감지를 통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에 인가한다. 이후, 감지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20)는 구동모터(11)의 전류 공급을 차단한다.
즉, 도 4a와 같이 구동부(10)의 와이어(19)가 언와인딩되어 승강프레임(30)이 정상적으로 하강하면 구동부(10)와 승강프레임(30)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19)는 항시 팽팽히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여 계측부(70)의 지지롤러(72)를 상향 지지하며, 이 상태에서는 제어부(20)는 구동부(10)에 전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그러나, 도 4b와 같이 구동부(10)의 와이어(19)가 언와인딩되는 과정에 승강프레임(30)이 장애물 등에 의해 간섭되어 비정상적으로 하강하면, 구동부(10)와 승강프레임(30)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19)는 처짐이 발생되므로, 와이어(19)에 의한 지지롤러(72)의 상향 지지가 해제되어 지지롤러(72)는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에 의한 상향 지지가 해제되어서 지지롤러(72)가 하강하면, 감지 스위치(73)는 하강된 지지롤러(72)의 감지를 통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에 인가하고, 결과적으로 제어부(20)는 구동모터(11)의 전류 공급을 차단시켜 구동부(10)에 의한 와이어(19)의 언와인딩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와이어(19)의 언와이딩 과정에 승강 프레임(30)이 장애물에 간섭되어 하강하지 못하여 구동부(10)와 승강프레임(30)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19)의 처짐이 발생되면, 계측부(70)는 제어부(20)를 통해 구동부(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와이어(19)의 언와인딩을 정지시킴으로써, 와이어(19)의 과다 처짐에 따른 와이어의 꼬임 등의 물리적 손상을 예방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 브라켓(71)의 하부에 승강축(72a)을 형성하고 이 승강축(72a)을 고정프레임(40)에 관통시켜 힌지 브라켓(71)을 승강구조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저면과 이를 관통한 승강축(72a)의 하단 사이에는 스프링(74)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감지부(70)를 구성하는 힌지 브라켓(71)이 스프링(74)의 탄반력에 의해 하부로 탄력적으로 하강하려는 성향을 갖게 되므로, 지지롤러(72)를 상향 지지하는 와이어(19)가 항시 팽팽히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프레임(30)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40)에 제어부(20)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승강 프레임(30)에 빛을 발산하는 등기구(80)를 배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등기구(80)에는 조명광을 발산하는 조명램프(81)뿐 아니라, 살균기능을 갖는 자외선을 발산하는 UV램프, 또는 전열을 발산하는 전열램프 등의 기능성 램프 등이 설치되어, 주위 조도의 상승뿐 아니라 살균이나 향상된 건조가 도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10. 구동부
10a. 케이스 11. 구동모터
11a. 구동모터 축 11b. 감속기어
12. 권취드럼 13. 회전축
13a. 나사산 14. 감속기어
15. 슬라이더 15a. 안내봉
16. 가이드 16a. 안내공
19: 와이어 20. 제어부
30. 승강 프레임 31. 가이드공
40. 고정 프레임 41. 가이드공
42. 안내롤러 50. 시저암
51. 핀 60. 감지부
61. 제 1 리미트 스위치 62. 제 2 리미트 스위치
70. 계측부 71. 힌지 브라켓
71a. 승강공 71b. 승강축
72. 지지롤러 72a. 축
73. 감지 스위치 74. 스프링
80. 등기구 81. 조명램프
P, P´. 이동 한계점

Claims (5)

  1. 천정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권취드럼, 및 상기 권취드럼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의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 권취드럼에 의한 와이어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에 의해 승강하며, 세탁물의 거치공간이 확보된 승강 프레임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축, 또는 이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에는 슬라이더가 체결되어, 승강 프레임의 승강을 위한 구동모터의 정역 회전량에 따라 슬라이더가 비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양편에는 슬라이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 한계점이 형성되고, 이 이동 한계점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이동 한계점에 도달되는 슬라이더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 1 리미트 스위치와 제 2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된 감지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감지부의 제 1 리미트 스위치 또는 제 2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이동 한계점에 도달되는 슬라이더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구동모터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승강 프레임이 승강 범위를 벗어나 승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권취드럼은 케이스에 설치된 회전축에 고정되고 이 회전축과 구동모터 축 사이에는, 치차비에 따른 감속을 통해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감속기어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일자형의 장공이 형성된 가이드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의 장공에는 슬라이더의 안내봉이 관통되어, 슬라이더는 가이드의 장공을 관통한 안내봉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4. 고정 프레임을 통해 천정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권취드럼, 및 상기 권취드럼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세탁물의 거치공간이 확보된 승강 프레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권취드럼에 의한 와이어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에 의해 승강 프레임이 승강하도록 구성된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승강공이 형성된 힌지 브라켓과; 상기 승강공에 축을 삽입하여 힌지 브라켓에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힌지 브라켓에 고정되어 지지롤러의 승강에 따른 위상 변화를 계측하는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계측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롤러는 구동부와 승강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지지롤러가 와이어에 의한 상향 지지가 해제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 감지 스위치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고, 제어부는 제어부는 구동부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의 하부에는, 고정프레임을 관통하여 힌지 브라켓을 승강구조로 고정하는 승강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저면과 이를 관통한 승강축의 하단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힌지 브라켓의 지지롤러에 견착된 와이어가 하부로 당겨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1020100044099A 2010-05-11 2010-05-11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101178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99A KR101178216B1 (ko) 2010-05-11 2010-05-11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99A KR101178216B1 (ko) 2010-05-11 2010-05-11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610A KR20110124610A (ko) 2011-11-17
KR101178216B1 true KR101178216B1 (ko) 2012-08-29

Family

ID=4539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099A KR101178216B1 (ko) 2010-05-11 2010-05-11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730A (ko) * 2016-12-09 2018-06-19 김인곤 옥외세탁물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61Y1 (ko) * 2012-06-14 2013-07-26 (주)웰테크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안전장치
CN108035125A (zh) * 2017-12-21 2018-05-15 佛山市珂莎巴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晾衣杆
KR102319246B1 (ko) * 2019-10-24 2021-10-29 주식회사 리빙키친 접철식 식기건조대를 구비한 주방 싱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730A (ko) * 2016-12-09 2018-06-19 김인곤 옥외세탁물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610A (ko)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216B1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101630968B1 (ko) 자동승강식 건조장치
EP0804674B1 (en) An end stop devic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window screening arrangement
KR100972781B1 (ko)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KR20180026936A (ko)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
KR20190046959A (ko) 롤러 블라인드를 위한 조절 가능한 스프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8154802A (ja) 昇降物干し装置
KR20110090130A (ko) 빨래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JP2009028273A (ja) 昇降物干し装置
JP2010205431A (ja) 昇降式照明装置
KR100865942B1 (ko)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JP5184143B2 (ja) 昇降装置
JP3288641B2 (ja)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KR200274950Y1 (ko)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JP3261106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
JP2011143234A (ja) 昇降可能なカーテンレールを備えたカーテン装置
KR101186565B1 (ko) 빨래 건조대
KR100438023B1 (ko)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KR100992158B1 (ko) 세탁물걸이 봉이 삽입된 전동식세탁물 건조대
KR200360695Y1 (ko) 세탁물 건조대의 승하강 구동장치
KR20190009140A (ko) 스마트형 건조장치
JP3612237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及び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JP4616610B2 (ja) 昇降物干し装置
KR200350789Y1 (ko)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KR101192393B1 (ko) 빨래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