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936A -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936A
KR20180026936A KR1020160113886A KR20160113886A KR20180026936A KR 20180026936 A KR20180026936 A KR 20180026936A KR 1020160113886 A KR1020160113886 A KR 1020160113886A KR 20160113886 A KR20160113886 A KR 20160113886A KR 20180026936 A KR20180026936 A KR 20180026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laundry
supply unit
unit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정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철 filed Critical 정우철
Priority to KR102016011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936A/ko
Publication of KR2018002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3Humidity by using sorbent or hygroscopic materials, e.g. chemical substances, molecular sie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에 관한 기술이고,
세탁물이 빠르게 건조되도록 건조용 바람으로 통풍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기술과, 세탁물에 대해 살균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건조대 자체에 조명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광이 없는 공간에서도 빠른 시간에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고, 거치되어 있는 세탁물에 자외선을 조사함에 따라 세탁물의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체적인 조명구조에 의해 해당 공간의 실내 조명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Ceiling drying device with an electric lift and self-drying function}
본 발명은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형 건조장치에 걸쳐진 세탁물을 건조용 바람장치와 수분흡수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건조 시키고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살균할 수 있는 거치형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치형 건조장치는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건조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에는 바닥에 세워 놓고 세탁물을 거치하는 입식형과, 천장에 매달에 둔 채 빨래를 거치하는 견인형이 있다.
주택에 설치되는 거치형 건조장치는 주변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 방식으로서, 접힘용 힌지부에 의해 승하강하는 걸이대에 세탁물을 거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걸이바아가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기존의 천정형 건조장치는 천장에 접이형 승강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빨래 걸이바아를 가지는 받침대에 설치되어 로프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하도록 설치케이스부(5)를 구성하고, 상기 설치케이스부(5)의 내부에는 조작부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전동모터를 제어하는 상하이동 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 빨래 걸이봉에 걸쳐진 세탁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치형 건조장치는 일반적으로 세탁된 의류를 건조시킬 때에 거치형 건조장치에 세탁물을 거치하여 상온의 상태에서 자연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온 상태에서의 자연 건조는 기후 조건에 따라 세탁물이 건조되는 시간이 많이 차이가 난다.
또한 추운 겨울, 장마철 및 하루종일 햇볕이 들지 않는 공간에서는 세탁물이 건조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창문을 닫아놓았을 경우 통풍이 되지 않아 세탁물에 곰팡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견인형 거치형 건조장치가 베란다의 천장에 설치될 경우 베란다에 설치된 조명을 가리게 되어 베란다의 실내를 어둡게 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세탁물의 건조시 빠른 시간 안에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고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거치형 건조장치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 기술이 갖는 여러 해결 과제를 해결하여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서,
세탁물이 빠르게 건조되도록 건조용 바람으로 통풍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거치형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세탁물에 대해 살균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거치형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건조대 자체에 조명기능을 가질 수 있는 거치형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복수개의 걸이봉이 결합되어 세탁물이 거치되는 걸침바아와 상기 걸침바아가 로프를 통해 설치케이스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걸침바아에 연결된 로프가 전동모터의 로프권취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시 권취되면서 상기 걸침바아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상하이동 구동부, 상기 걸침바아에 걸쳐진 세탁물에 건조용 바람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용 바람 공급부 및 상기 상하이동 구동부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하이동 구동부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설치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케이스의 내부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공기 흡기홀 내부에 상기 세탁물의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습기제거부재와, 상기 세탁물로부터 습기제거부재로 수분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습기제거부재 상에 구비된 팬과 전동모터를 가지는 공기 흡기부를 포함하는 수분흡수부, 상기 설치케이스의 외부 소정의 위치에 상기 세탁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용 발광램프와, 상기 살균용 발광램프에 입력되는 전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전류 평준화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부, 및 상기 설치케이스의 측면에 어두운 공간을 조명하도록 하기 위한 조명등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기존 기술의 해결과제 해결을 위한 각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걸침바아에 걸쳐진 세탁물에 건조용 바람을 공급하거나 건조용 바람의 공급과 동시에 수분을 필터링함으로써, 채광이 없는 공간에서도 빠른 시간에 세탁물을 건조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걸침바아에 걸쳐진 세탁물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세탁물의 세균을 살균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설치케이스의 양측 또는 중앙에 조명등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설치케이스가 설치된 공간의 조명수단이 상기 걸침바아에 걸쳐진 세탁물에 의해 가려지더라도 어두운 공간을 조명할 수 있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요소가 작동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3은 내부 부고는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4는 송풍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연결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6은 도5의 단면개략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복수개의 걸이봉이 결합되어 세탁물이 거치되는 걸침바아와 상기 걸침바아가 로프를 통해 설치케이스로 승하강할 수 있는 거치형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케이스는, 상기 걸침바아에 연결된 로프가 전동모터의 로프권취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시 권취되면서 상기 걸침바아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상하이동 구동부, 상기 걸침바아에 걸쳐진 세탁물에 건조용 바람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용 바람 공급부, 및 상기 상하이동 구동부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하이동 구동부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이 거치되기 위한 걸침바아(110), 상기 걸침바아(11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하이동 유도부(114), 및 상기 상하이동 유도부(114)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상하이동 구동부(미도시)와 걸침바아(110)에 걸쳐진 세탁물을 빠르게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용 바람 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한 설치케이스(10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침바아(110)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11)에 복수개의 메인걸침프레임(112)의 양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11)의 일면에는 각각 상기 걸침바아(110)가 상하로 이동되어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상하이동 유도부(114)의 로프(114b) 일단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걸침바아(110)가 설치되는 길이방향으로 메인걸침프레임(112)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메인걸침프레임(112)에 삽입되는 보조 걸침프레임(115)이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걸침프레임(115)은 메인걸침프레임(112)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며, 각각의 메인걸침프레임(112)과 보조 걸침프레임(115)의 간격은 세탁물이 거치되었을 때 햇볕에 첫분히 노출될 수 있고 통풍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상하이동 유도부(114)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11)과 상기 설치케이스(101)의 내부 지지체 사이에 상기 걸침바아(11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X' 자 형태의 접힘용 힌지부(114a)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걸침바아(110)는 상기 지지프레임(111)에 연결된 로프(114b)가 설치케이스(101)로부터 당겨지게 되면 상기 접힘용 힌지부(114a)가 힌지에 의해 접히면서 상승하게 되고, 상기 로프(114b)가 설치케이스(101)로부터 풀리게 되면 상기 접힘용 힌지부(114a)가 힌지에 의해 펼쳐지면서 하강하게 된다.
설치케이스(10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침바아(110)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상하이동 구동부(120), 상기 걸침바아(110)의 메인걸침프레임(112)과 보조 걸침프레임(115)에 걸쳐진 세탁물에 건조용 바람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 및 상기 상하이동 구동부(120)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하이동 구동부(120)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치케이스(101)의 외부에는 상기 상하이동 구동부(120)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복수개의 입력키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4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조작부(150)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0)가 구비된다.
상하이동 구동부(120)는 상기 설치케이스(101)의 내부 중앙 일면에 전동모터(121)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모터(121)에는 전동모터(1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프권취롤러(122)이 연결되며, 상기 로프권취롤러(122)에는 설치케이스(101)의 내부 양 측면에 설치된 경로안내 롤러(123)에 의해 가이드되어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11)에 연결된 로프(114b)의 타단이 감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11)에 연결된 한 쌍의 로프(114b)는 상기 전동모터(121)의 정회전에 따라 동시에 당겨지고 역회전에 따라 동시에 풀려지도록 각각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으로 로프권취롤러(12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 구동부(120)의 전동모터(121)는 구동축과 로프권취롤러(122)의 연결축이 90ㅀ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어 로프권취롤러(122)의 연결축에서는 기어의 치형이 파손될 정도의 힘(약 200 ㎏)이 가해지지 않으면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감속기어구조가 셀프 로킹(Self-locking)되는 웜 기어 브레이크 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동모터(121)의 로프권취롤러(122)의 연결축에 제어부(140)에 접속되는 감지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걸침바아(110)의 하강시 걸침바아(110)에 장애물이 닿으면, 상기 감지장치(미도시)가 로프(114b)의 풀림을 감지하여 상기 전동모터(121)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이동 구동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121)가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전동모터(121)에 연결된 로프권취롤러(122)에 로프(114b)가 당겨지고 풀려지게 함으로써, 상기 걸침바아(110)가 상하로 승강 되도록 한다.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는 상기 설치케이스(101)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건조바람 토출구(131) 상부에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노딜리움(Anodilium) 등으로 제작된 가열프레임(132)이 설치되고, 상기 가열프레임(132)의 상부에는 세탁물에 건조용 바람을 공급시키기 위한 송풍기(133)가 설치된다.
한편,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의 가열프레임(132)이 소정의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가열프레임(132)에 일시적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과열방지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열프레임(132)이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가열프레임(132)에 송풍기(133)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건조바람 토출구(131)를 통해 상기 걸침바아(110)에 걸쳐진 세탁물에 건조용 바람을 공급하게 된다.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외에 상기 걸침바아(110)의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하기 위한 습기제거부재(135)가 상기 건조바람 토출구(131)의 양측에 형성된 공기 흡기홀(136)의 안측에 더 설치된다.
이 경우, 세탁물로부터 습기제거부재(135)로 수분 유입을 용이하게 유입시키기 위한 습기제거부재(135) 상에 팬과 전동모터가 구비된 공기 흡기부(134)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하면, 세탁물의 수분을 건조대 설치케이스의 습기제거부재에서 제거한 후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빨래 건조물에 공급됨으로써, 장마철 등과 같은 수분이 많은 시기 등에 있어서 신속히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프레임(132)과 송풍기(133)의 동작은 상기 조작부(150)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0)는 상기 설치케이스(10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이동 구동부(120)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상하이동 구동부(120)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전원부(160)로부터 공급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조작부(150)의 입력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 구동부(120)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중앙처리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조작부(150)로부터 걸침바아(110)의 메인걸침프레임(112) 또는 보조 걸침프레임(115)에 걸쳐진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상기 걸침바아(110)를 하강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상하이동 구동부(120)의 전동모터(121)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후, 전동모터(12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정회전하게 되고 상기 전동모터(121)에 연결된 로프권취롤러(122)에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상기 로프권취롤러(122)에 결합된 로프(114b)가 상기 경로안내 롤러(123)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풀려지고 이로 인해 상기 로프(114b)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111)이 하강하게 된다.
이후, 상기 걸침바아(110)의 메인걸침프레임(112) 또는 보조 걸침프레임(115)에 걸쳐진 세탁물에 건조용 바람을 공급하기 위하여 조작부(150)로부터 상기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의 가열프레임(132)과 송풍기(133)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후, 가열프레임(132)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가열되고, 상기 송풍기(133)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열된 가열프레임(132)에 공기를 송풍하여 건조바람 토출구(131)를 통하여 세탁물에 건조용 바람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상기 가열프레임(132)과 송풍기(133)가 조작부(150)에 입력된 시간 동안만 동작되도록 가열프레임(132)과 송풍기(133)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송풍기(133)로부터 세탁물에 공급되는 건조용 바람에 의해 세탁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공기 흡기부(134)와 습기제거부재(135)를 통해 필터링되어 상기 송풍기(133)에 습기가 없는 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이후 걸침바아(110)의 세탁물이 모두 건조된 후 조작부(150)로부터 상기 걸침바아(110)를 상승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가열프레임(132)과 송풍기(133)의 입력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용 바람 공급부(130)의 가열프레임(132)과 송풍기(13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전동모터(12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전동모터(121)에 연결된 로프권취롤러(122)에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상기 로프권취롤러(122)에 결합된 로프(114b)가 상기 경로안내 롤러(12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프(114b)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111)이 상승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거치형 건조장치(100)는 가열프레임(132)을 가열시키고 상기 가열된 가열프레임(132)에 송풍기(133)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발생되는 건조용 바람을 세탁물에 공급시키거나 건조용 바람의 공급과 동시에 세탁물의 수분을 보다 빨리 필터링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에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설치케이스(101)의 외부에 살균용 발광램프를 구비하여 세탁물의 세균을 살균시키는 거치형 건조장치(100)를 제공한다.
즉 자외선공급부(170)를 제외하곤 본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분에 대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자외선공급부(17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자외선공급부(170)는 상기 설치케이스(101) 외부 하단 양 측면에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살균용 발광램프(171)가 설치되고, 상기 살균용 발광램프(171)의 일단에는 상기 살균용 발광램프(171)에 입력되는 전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공지의 전류 평준화부(172)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살균용 발광램프(171)와 같이 방전에 의해 발광하는 방전램프는, 전류가 흐르면 방전에 필요한 전압이 떨어지므로, 일정한 전압을 가하여 방전을 일으키게 한다. 이 때, 전류가 지나치게 증가하면, 램프가 파괴될 염려가 있으므로, 전류 평준화부(172)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자외선공급부(170)는 상기 제어부(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부(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그리고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조작부(150)의 입력에 의한 시간동안 자외선공급부(170)의 살균용 발광램프(171)가 동작되어 상기 걸침바아(110)에 걸쳐진 세탁물에 자외선을 공급시킴으로써, 세탁물에 남아 있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전술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구성외에 자외선공급부(1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 외에 도면과 같이 설치케이스의 양측이나 중앙에 조명등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베란다 등의 실내 조명역할도 병행할 수도 있다.
100 : 거치형 건조장치 101 : 설치케이스
110 : 걸침바아 111 : 지지프레임
112 : 메인걸침프레임 114 : 상하이동 유도부
114a : 접힘용 힌지부 114b : 로프
115 : 보조 걸침프레임 120 : 상하이동 구동부
121 : 전동모터 122 : 로프권취롤러
123 : 경로안내 롤러 130 : 건조용 바람 공급부
131 : 건조바람 토출구 132 : 가열프레임
133 : 송풍기 134 : 공기 흡기부
135 : 습기제거부재 136 : 공기 흡기홀
140 : 제어부 150 : 조작부
160 : 전원부 170 : 자외선공급부
171 : 살균용 발광램프 172 : 전류 평준화부

Claims (1)

  1.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복수개의 걸이봉이 결합되어 세탁물이 거치되는 걸침바아와 상기 걸침바아가 로프를 통해 설치케이스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걸침바아에 연결된 로프가 전동모터의 로프권취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시 권취되면서 상기 걸침바아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상하이동 구동부, 상기 걸침바아에 걸쳐진 세탁물에 건조용 바람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용 바람 공급부 및 상기 상하이동 구동부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하이동 구동부와 건조용 바람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설치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케이스의 내부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공기 흡기홀 내부에 상기 세탁물의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습기제거부재와, 상기 세탁물로부터 습기제거부재로 수분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습기제거부재 상에 구비된 팬과 전동모터를 가지는 공기 흡기부를 포함하는 수분흡수부, 상기 설치케이스의 외부 소정의 위치에 상기 세탁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용 발광램프와, 상기 살균용 발광램프에 입력되는 전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전류 평준화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부, 및 상기 설치케이스의 측면에 어두운 공간을 조명하도록 하기 위한 조명등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
KR1020160113886A 2016-09-05 2016-09-05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 KR20180026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86A KR20180026936A (ko) 2016-09-05 2016-09-05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86A KR20180026936A (ko) 2016-09-05 2016-09-05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936A true KR20180026936A (ko) 2018-03-14

Family

ID=6166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886A KR20180026936A (ko) 2016-09-05 2016-09-05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93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7667A (zh) * 2019-09-16 2019-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晾衣架组件
CN110938975A (zh) * 2019-12-05 2020-03-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晾衣架
CN111271352A (zh) * 2020-01-17 2020-06-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晾衣架端盖固定装置及智能晾衣架
KR102240519B1 (ko) * 2020-12-04 2021-04-15 박소현 자동 빨래 건조대
CN112891587A (zh) * 2021-03-15 2021-06-04 安徽中佳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用烘干装置
WO2021109607A1 (zh) * 2019-12-04 2021-06-10 苏州云首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杀菌快速风干晾衣架
CN113529384A (zh) * 2020-04-13 2021-10-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晾衣设备控制方法、装置、晾衣设备及存储介质
KR102432294B1 (ko) * 2022-07-25 2022-08-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비재실 상태 선택형 공기 및 표면살균 기능의 스마트 감염병 선별진료소 시스템
KR102444916B1 (ko) * 2022-07-25 2022-09-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비재실 상태 선택형 스마트 공기 및 표면 살균시스템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7667A (zh) * 2019-09-16 2019-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晾衣架组件
WO2021109607A1 (zh) * 2019-12-04 2021-06-10 苏州云首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杀菌快速风干晾衣架
CN110938975A (zh) * 2019-12-05 2020-03-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晾衣架
CN111271352A (zh) * 2020-01-17 2020-06-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晾衣架端盖固定装置及智能晾衣架
CN113529384A (zh) * 2020-04-13 2021-10-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晾衣设备控制方法、装置、晾衣设备及存储介质
KR102240519B1 (ko) * 2020-12-04 2021-04-15 박소현 자동 빨래 건조대
CN112891587A (zh) * 2021-03-15 2021-06-04 安徽中佳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用烘干装置
KR102432294B1 (ko) * 2022-07-25 2022-08-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비재실 상태 선택형 공기 및 표면살균 기능의 스마트 감염병 선별진료소 시스템
KR102444916B1 (ko) * 2022-07-25 2022-09-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비재실 상태 선택형 스마트 공기 및 표면 살균시스템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6936A (ko) 전동 승강 및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천정형 건조장치
JP3221820U (ja) 知能型物干し枠
KR100664989B1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의 제어시스템
KR101630968B1 (ko) 자동승강식 건조장치
CN107700179A (zh) 带烘干功能的晾衣机
KR100861115B1 (ko)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KR20120129548A (ko) 세탁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0809097B1 (ko)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CN211872356U (zh) 一种智能电动晾衣架
CN202482664U (zh) 快速烘干杀菌智能晾衣架
KR101334943B1 (ko) 온실용 보호커튼이 설치된 비닐하우스
KR20190009140A (ko) 스마트형 건조장치
KR100497325B1 (ko) 빨래 건조대
KR100758647B1 (ko) 신발 살균건조장치 및 방법
CN102605593A (zh) 快速烘干杀菌智能晾衣架
KR20100003022A (ko) 원적외선 빨래건조대
KR101279263B1 (ko) 화재경보장치
KR101178216B1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0316690Y1 (ko) 빨래 건조대
KR100497327B1 (ko) 빨래 건조함
KR20090115388A (ko) 원적외선 빨래 건조대
KR20080029344A (ko) 세탁물 건조기
KR200449466Y1 (ko) 슬리퍼 살균 건조 장치
KR200332504Y1 (ko) 빨래 건조함
CN210177219U (zh) 一种自带氛围灯提示功能的智能晾衣架主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