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789Y1 -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789Y1
KR200350789Y1 KR20-2004-0005664U KR20040005664U KR200350789Y1 KR 200350789 Y1 KR200350789 Y1 KR 200350789Y1 KR 20040005664 U KR20040005664 U KR 20040005664U KR 200350789 Y1 KR200350789 Y1 KR 200350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drying rack
guide roller
motor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식
Original Assignee
김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식 filed Critical 김동식
Priority to KR20-2004-0005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7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7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by clamping between two retaining-pl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베란다 등에 설치된 빨래 건조대를 주부나 노약자 등도 자동으로 작동시켜 손쉽게 펴거나 접을 수 있는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우 양단에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이동시키는 좌우측 안내 로울러(22),(24)를 갖는 천정 고정 프레임(20)과; 상기 좌우측 안내 로울러(22),(24)에 걸쳐진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동시에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끝단부에 연결된 선형 체인부(30)와; 상기 선형 체인부(30)를 S자 형태로 꺾여져 이동되도록 체인 안내 로울러(46)가 형성되며, 천정 고정 프레임(20)의 중앙측에 체인 안내 로울러(46)에 꺾여져 이동되는 선형 체인부(30)의 선형운동을 돕도록 회전되는 DC용 모터(50)를 갖는 스프로켓(40)과; 상기 DC용 모터(50)의 작동을 멈추도록 선형 체인부(30)에 선형운동되는 선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32),(42)와; 상기 선형 체인부(30)가 이동되는 동일선상의 천정 고정 프레임(20)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32),(42)가 걸리도록 형성된 상승 및 하강 고정 스톱퍼(34),(44)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UP/DOWN APPARATUS FOR LAUNDRY HANGER USING CHAIN}
본 고안은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의 베란다 등에 설치된 빨래 건조대를 주부나 노약자 등도 자동으로 작동시켜 손쉽게 펴거나 접을 수 있는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아파트 등의 베란다에는 바닥에 세워서 두는 이동식 스텐드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아파트나 빌라 등의 베란다 등의 천정에 메달아 두고 사용하는 천정식 고정 빨래 건조대 등이 있다.
기존에 아파트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천정식 고정 빨래 건조대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란다 천정 등에 자바라식의 승하강아암(4)을 메달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승하강아암(4)의 끝단부에 건조대 프레임부(12)를 장착시키고 있다.
상기 승하강아암(4)을 접었다 폈다 할수 있도록 하단부측의 중심상을 당김포인트부(6)에 작동와이어(2)의 끝단을 연결시켜 잡아 당기거나 내리도록 하여 승하강아암(4)의 하단부에 형성된 건조대 프레임부(12)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천정식 고정 빨래건조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와이어(2)를 하부측으로 잡아 당기면 건조대 프레임부(12)는 베란다의 천정(10)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빨래를 건조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건조대 프레임부(12)를 상부측으로 접어둔 상태로 보관한다.
이때 작동와이어(2)를 하부측으로 당기게 되면 작동와이어(2)의 끝단부는 승하강아암(4)의 당김포인트부(6)에 연결되어 있어 상부측으로 당겨지면서 승하강아암(4)이 접혀지면서 상승한다.
동시에 승하강아암(4)의 하단에 장착된 건조대 프레임부(12) 또한 같이 상승하게 된다.
작동와이어(2)는 건조대 프레임부(12)가 완전히 상승하고 난후에는 내려오지 않도록 작동와이어(2)를 벽에 고정된 고리 등에 묶어둔다.
또한, 빨래를 건조할시에는 벽에 묶여있는 작동와이어(2)를 풀어 건조대 프레임부(12)를 하강시켜 적당한 위치로 내린 후에 더이상 내려오지 않도록 작동와이어(2)를 다시 벽에 묶어둔다.
이와 같이 와이어에 의해 작동되는 빨래건조대는 매달아 놓은 건조대 프레임부(12)의 젖은 빨래를 말리기 위해 널어 놓았을 경우, 작동와이어(2)를 느슨하게묶여져 있을 경우에는 걸어 놓은 빨래의 무게에 의해 순간적으로 작동와이어(2)가 풀리면서 건조대 프레임부(12)에 걸어 놓은 빨래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주부나 노약자들은 작동와이어(2)를 당겨 건조대 프레임부(12)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에는 적지않은 힘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당겨진 작동와이어(2)를 벽에 고정시키기 위해 묶기에는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에 문제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전동식으로 빨래 건조대를 승하강시키는 장치는 나와 있으나, 이는 드럼에 와이어를 감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감길시나 풀시에 서로 엉켜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아파트 등의 베란다 등에 설치된 빨래 건조대를 주부나 노약자 등도 자동으로 작동시켜 손쉽게 펴거나 접을 수 있는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수동 빨래 건조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는 도 2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도 4 는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의 측면을 부분적으로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고안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의 회전안내로울러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천정 고정 프레임 22: 좌측 안내 로울러
24: 우측 안내 로울러 26: 좌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
28: 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 30: 선형 체인부
32: 상승 이동 스톱퍼 34: 상승 고정 스톱퍼
40: 스프로켓 42: 하강 이동 스톱퍼
44: 하강 고정 스톱퍼 46: 체인안내로울러
48: 와이어 이탈 방지판 50: DC용 모터
60: 원형 체인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는, 좌우 양단에 좌우측 건조대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좌우측 안내 로울러를 갖는 천정 고정 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안내 로울러에 걸쳐진 좌우측 건조대 와이어를 동시에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끝단부에 연결된 선형 체인부와; 상기선형 체인부를 S자 형태로 꺾여져 이동되도록 체인 안내 로울러가 형성되며, 천정 고정 프레임의 중앙측에 체인 안내 로울러에 꺾여져 이동되는 선형 체인부의 선형운동을 돕도록 회전되는 DC용 모터를 갖는 스프로켓과; 상기 DC용 모터의 작동을 멈추도록 선형 체인부에 선형운동되는 선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와; 상기 선형 체인부가 이동되는 동일선상의 천정 고정 프레임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가 걸리도록 형성된 상승 및 하강고정스톱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의 다른 변형예로써, 좌우 양단에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좌우측 안내 로울러를 갖는 천정 고정 프레임과; 상기 우측 안내 로울러의 하단측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좌측 안내 로울러를 경유해서 이동되는 좌측 승하강 와이어의 간섭방지용 우측 하단 로울러와; 상기 좌측 안내 로울러 및 우측 하단 로울러, 우측 안내 로울러를 따라 이동된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를 동시에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끝단부를 외주측에 일체로 고정시킨 원형 체인부와; 상기 원형 체인부가 원형을 회전되도록 일단측에는 체인 안내로울러가 위치되게 형성되며, 원형 체인부를 회전시키도록 체인 안내 로울러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DC용 모터를 갖는 스프로켓과; 상기 DC용 모터의 작동을 멈추도록 원형 체인부에 원형운동(圓形運動)되는 선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와; 상기 원형 체인부가 이동되는 동일선상의 천정 고정 프레임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가 걸리도록 형성된 승하강 고정 스톱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도 2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는 도 4 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의 회전 안내 로울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의 천정 고정프레임(20)이 형성되고, 좌우측 양단에는 하부측으로 처지게 형성된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안내하는 좌우측 안내 로울러(22),(24)가 형성된다.
천정 고정 프레임(20) 상에는 좌측 안내 로울러(22)측에 체인 안내 로울러(46)가 위치되게 형성되며, 천정 고정 프레임(20)의 중앙측에는 DC용 모터(50)를 갖는 스프로켓(40)이 형성된다.
스프로켓(40)의 특징은 스프로켓(40)에 체인이 완전하게 걸려지면 회전되는 것으로 확실한 구동 전달력을 갖고 있으며, 미끄러지거나 하여 회전력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DC용 모터(50)는 특히, 작동중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부하가 걸리면 자동적으로 멈출뿐만 아니라, 작동이 정지된 후에도 정지된 상태로 회전되지 않고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DC용 모터(50)는 최근에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모터에 관한 기술로 DC 워엄기어형 모터중에 하나이다.
체인 로울러(46) 및 스프로켓(40)의 고정 위치는 대략 S 자형태로 선형 체인부(30)가 끼워져 이동되게 형성된다.
상기 선형 체인부(30)의 끝단에는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의 단부가 일체로 연이어지게 형성된다.
선형 체인부(30)에 선형운동되는 선상에 일정 간격을 둔상태로 회전방향의 외경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32),(42)가 형성된다.
상기 상승 및 하강 고정 스톱퍼(34),(44)는 선형 체인부(30)가 이동되는 동일 선상의 천정 고정 프레임(20)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32),(42)가 걸리도록 위치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로써, 도 4 및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 승하강장치는, 직사각형태의 천정 고정 프레임(20)이 형성되고, 좌우측 양단에는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안내하는 좌우측 안내 로울러(22),(24)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우측 하단 로울러(23)는 상기 우측 안내 로울러(24)의 하단측에 위치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 안내 로울러(22)를 경유해서 이동되는 좌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가 이동되면서 꼬이거나 이동되는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다른 장치 등에 걸려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특징이 있다.
원형 체인부(60)의 외주면측에는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가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길이 조절이 되도록 되어 있다.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형 체인부(60)는 천정 고정프레임(23)의 일단측에는 체인 안내 로울러(46)가 위치되게 형성된 내경의 일측이 끼워지고, 그 타단측에는 원형 체인부(60)를 회전시키도록 내경의 일측이, DC용 모터(50)에 회전되는 스프로켓(40)에 끼워진다.
상기 작동중인 DC용 모터(50)의 회전을 멈추도록 원형 체인부(60)상에는 원형으로 회전되게 운동되는 선상의 바깥측에 일체로 일정간격을 둔상태로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32),(42)가 형성된다.
또, 상승 및 하강 고정스톱퍼(34),(44)는, 원형 체인부(60)가 이동되는 동일선상의 천정 고정 프레임(20)에 위치되게 고정 형성되고,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32),(42)가 걸리도록 위치되게 형성된다.
체인 안내 로울러(46)에는 원형 체인부(60)의 하강 이동 스톱퍼(42)에 결합된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의 꺾임 이동시 원형 체인부(60)의 두께방향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와이어 이탈 방지판(48)을 형성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의 승하강장치의 작동관계를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의 승하강장치는,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도시않음)를 이용해 도 2 및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용 모터(5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회전시키면 스프로켓(40)은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DC용 모터(50)를 이용해 스프로켓(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빨래 건조대(도시않음)에 연결된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상승시키고, 반대로 스프로켓(4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하부측으로 하강시키게 작동된다.
사용자는 천정측으로 접혀져 있는 빨래 건조대를 하부측으로 내리기 위해서는 접혀있는 자바라식 프레임(도시않음)을 펼쳐야 하기 때문에 당겨져 있는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하강시켜야 한다.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DC용 모터(50)의 회전력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선형 체인부(30)를 이동시킨다.
상기 선형 체인부(30)는 스프로켓(40)의 회전수만큼 그길이가 늘어났다 줄어든다.
이때에 일직선지게 형성된 선형 체인부(30)의 끝단에는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의 끝단이 연결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 끝단에 장착되어 있는 빨래 건조대 등의 자중에 의해 언제나 하부측으로 당겨지므로 수평되게 펴져 있다.
또한, 직선형태의 선형으로 이동되는 선형 체인부(30)가 스프로켓(40)에 끼워진 상태로 원할하게 이동되도록 스프로켓(40)의 위치보다 전면의 좌우측 어느 한곳에 위치되도록 형성시키게 되면 더욱 확실하게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선형 체인부(30)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켓(40)의 위치와 체인 안내로울러(46)의 위치를 달리해서 선형 체인부(30)를 S자로 꺾인 상태로 이동시키므로스프로켓(40)의 외주경측에 감겨지는 형태가 되어 회전시 확실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체인 안내 로울러(46)에 의해 선형 체인부(30)를 S자로 꺾은 상태로 회전되도록 스프로켓(40)를 회전시키면, 선형 체인부(30)의 끝단에 연결된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동시에 당겼다 밀쳤다 하기 때문에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동시에 조절된다.
또한, 선형 체인부(30)의 끝단에 일체로 연결된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는 동일한 위치에서 선형 체인부(30)에 의해 당겨져야 하기 때문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가 좌측 안내 로울러(22)를 거쳐 우측에 형성된 우측 안내 로울러(24)를 타고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원래의 위치에서 우측 안내 로울러(24)를 타고 수직으로 올라가는 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와 좌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는 한줄로 동일한 위치로 상승된다. 이는, 우측 안내로울러(22)를 타고 올라가는 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8) 및 좌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는 선형 체인부(30)의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하게 당겨지고 밀쳐진다.
상기와 같이 선형 체인부(30)는 천정 고정프레임(20)의 중앙측에 형성된 스프로켓(40)에 의해 이동될시에, 스프로켓(40)을 회전시키는 DC용 모터(50)를 이용해 사용자가 계속 스위치를 누르고 있을시에도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선형 체인부(30)를 이동시키는 스프로켓(40)의 DC용 모터(50)에 도는방향으로 계속에서 회전되지 못하도록 부하를 주기 위해 선형 체인부(30)상에 상승 이동 스톱퍼(42) 및 하강 이동 스톱퍼(32)를 장착시키고 있다.
스프로켓(40)의 회전에 의해 당겨져 이동되는 선형 체인부(30)상에는 어느 길이 이상이 되면 상승 이동 스톱퍼(42)가 따라 이동되어 상승 고정스톱퍼(44)에 걸려 더이상은 회전이 진행하지 않는다.
이때에 스프로켓(40)는 DC용 모터(50)의 힘에 의해 계속회전하려다 모터에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DC용 모터(50)는 자동적으로 멈추게 된다.
또한, 반대로 선형 체인부(30)를 밀쳐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천정 고정프레임(20)의 하부측으로 하강시킬시에는 스프로켓(4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선형 체인부(30)를 밀치게 이동시키므로 끝단에 연결된 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8) 및 좌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는 우측 가이드 로울러(24)를 따라 하부측으로 하강된다.
또한, 좌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는 우측 가이드 로울러(24)를 따라 하강하면서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좌측 가이드 로울러(22)를 경유해서 하부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선형 체인부(30)의 끝단부측에 형성된 하강 이동스톱퍼(32)는, 선형 체인부(30)가 밀쳐지면서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가 하강할시에 스프로켓(40)에 의해 당겨지면서 천정 고정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는 하강 고정스톱퍼(34)에 부딪혀 걸려진다.
이와 같이 선형운동(線形運動)을 하는 선형 체인부(3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하강 이동 스톱퍼(32)가 하강 고정 스톱퍼(34)에 걸리게 되면, 동시에 스프로켓(40)를 회전시키는 DC용 모터(50)에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모터는 더이상회전되지 못하고 자동으로 정지된다.
이와 같이 선형 체인부(30)에 형성된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42),(32) 및 천정 고정 프레임(20)상에 형성된 상승 및 하강 고정스톱퍼(44),(34)에 의해 다른 제어 스위치가 필요 없이 DC용 모터(50) 자체만을 갖고 부하를 주어 정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로 원형 체인을 이용해 승하강장치의 작동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승하강시키도록 천정 고정프레임(20)에서 회전되는 원형 체인부(60)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된다.
천정 고정프레임(20)상에서 회전되는 원형 체인부(60)는 일단측에 감겨진 상태로 체인이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되어 있는 체인 안내로울러(46)에 걸고, 반대측에는 원형 체인부(6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부여해주는 DC용 모터(50)를 갖는 스프로켓(40)에 회전되게 걸어둔다.
상기와 같이 원형 체인부(60)를 걸어둔 상태에서 체인 안내로울러(46)에 형성된 장력조절부(70)를 이용해 체인 안내 로울러(46)를 바깥측으로 밀치면 원형 체인부(60)는 팽팽하게 조절된다.
따라서, 체인 안내 로울러(46) 및 스프로켓(40)에 의해 걸려있는 원형 체인부(60)는 팽팽하게 장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원할하게 회전된다.
상기 원형 체인부(60)를 따라 동일하게 이동되는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원형 체인부(60)를 회전시키는 스프로켓(40)의 DC용 모터(5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를 조절하면 높낮이이 쉽게 조절된다.
또한, 스프로켓(40)이 어느 이상 불필요하게 회전되어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에 설정된 길이보다 길게 되려는 힘이 작용할 경우에는 DC용 모터(50)에 부하가 걸리게 하여 정지시키면 된다.
본 고안은 원형 체인부(60)가 원형으로 회전되는 선상의 천정 고정프레임(20)상에 형성된 상승 및 하강 고정스톱퍼(34),(44)에 걸려지도록, 회전되는 원형 체인부(60)상의 외경측에 형성된 상승 및 하강 이동스톱퍼(34),(44)에 부딪혀 정지된다.
즉, DC용 모터(50)에 의해 스프라켓(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원형 체인부(6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형 체인부(60)에 일체로 고정된 좌우측 건조대 승항강 와이어(26),(28)는 우측 가이드 로울러(24)를 따라 하강된다.
상기와 같이 원형 체인부(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일정 길이만큼 회전되면 원형 체인부(60)의 외주경측에 형성된 하강 이동 스톱퍼(42)가 천정 고정 프레임(20)상에 형성된 하강 고정스톱퍼(44)상에 부딪히면서 스프로켓(40)를 회전시키는 DC용 모터(50)에 부하를 주기 때문에 모터는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자동 정지된다.
또한, 반대로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상승시키기 위해서스프로켓(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형 체인부(6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는 동일하게 이동되면서 상승된다.
상기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의 상승높이를 결정짓기 위해 원형 체인부(60)상에 형성된 상승 이동 스톱퍼(32)상에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상승 이동 스톱퍼(32)에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고정시켜 동일하게 회전시키게 되면, 상승이동 스톱퍼(32)의 위치를 조절하여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의 길이를 조절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형 체인부(60)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승 이동 스톱퍼(32)가 고정 프레임(20)상에 형성된 상승 고정 스톱퍼(34)에 부딪혀 걸려지면, 회전되던 스프로켓(40)의 DC용 모터(50)는 부하가 걸려 정지된다.
이와 같이 DC용 모터(50)에 부하가 걸리게 하여 자동으로 모터를 정지시키므로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의 길이 조절에 의한 작동은 쉽게 제어된다.
본 고안의 DC용 모터(50)는 부하가 걸리면 정지됨과 동시에 정지된 후에도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8)에 매달려 있는 빨래 건조대(도시않음)의 무게 및 이에 걸려지는 빨래의 무게에 의해 가중되는 무게에 의해서도 회전되지 않는 DC 워엄기어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를 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8)와 동일하게 길이 조절되도록 좌우측 가이드로울러(22)상을 거쳐 우측 가이드 로울러(24)의 하단부에 우측 하단 로울러(23)를 거쳐 우측 가이드 로울러(24)를 타고 이동되는 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8)와 동일한 위치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을 원형 체인부(60)를 따라 수평지게 이동되도록 일체로, 효율상 원형 체인부(60)에 형성된 하강 이동스톱퍼(42)상에 끝단이 연결되어 이동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고안의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은 원형 체인부(60)상에 끝단부만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강 이동 스톱퍼(42)에 고정된 좌우측 건조 승하강 와이어(26),(28)가 체인 안내 로울러(46)상을 타고 넘어갈때에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가 구부러지면서 바깥측으로 틀어져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인 안내 로울러(46)의 상에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이탈 방지판(48)에 의해 이탈됨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체인 안내 로울러(46)의 외경측에는 도우넛형 돌기라인부(47)가 형성되어 있어 감아져 회전되는 원형 체인부(60)의 내경측이 끼워져 상태로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된다.
본 고안의 체인 안내 로울러(46)는 원형 체인부(60)의 회전반경의 바깥측으로 밀치도록 형성된 장력 조절부(70)에 의해 사용중 원형 체인부(60)가 느슨해질경우에 조여주면 원상태의 장력을 복원할 수 있어 원형 체인부(60)가 느슨해져 헛돌거나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에 의해 아파트 등의 베란다 등에 설치된 빨래 건조대를 노약자 등도 자동으로 작동시켜 손쉽게 펴거나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인으로 이용해 회전력을 전달하므로 힘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인을 이용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DC용 모터를 사용하므로 인해, 다른 정지 스위치 등을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시에 단가를 현저하게 낮춘 상태로 보급시켜 줄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에 있어서,
    좌우 양단에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걸쳐진 상태로 이동시키는 좌우측 안내 로울러(22),(24)를 갖는 천정 고정 프레임(20)과;
    상기 좌우측 안내 로울러(22),(24)에 걸쳐진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동시에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끝단부에 연결된 선형 체인부(30)와;
    상기 선형 체인부(30)를 S자 형태로 꺾여져 이동되도록 체인 안내 로울러(46)가 형성되며, 천정 고정 프레임(20)의 중앙측에 체인 안내 로울러(46)에 꺾여져 이동되는 선형 체인부(30)의 선형운동을 돕도록 회전되는 DC용 모터(50)를 갖는 스프로켓(40)과;
    상기 DC용 모터(50)의 작동을 멈추도록 선형 체인부(30)상에 선형운동되는 선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32),(42)와;
    상기 선형 체인부(30)가 이동되는 동일선상의 천정 고정 프레임(20)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32),(42)가 걸리도록 형성된 상승 및 하강 고정 스톱퍼(34),(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2.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에 있어서,
    좌우 양단에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이동시키는 좌우측 안내 로울러(22),(24)를 갖는 천정 고정 프레임(20)과;
    상기 우측 안내 로울러(24)의 하단측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좌측 안내 로울러(22)를 경유해서 이동되는 좌측 승하강 와이어(26)의 간섭방지용 우측 하단 로울러(23)와;
    상기 좌측 안내 로울러(22) 및 우측 하단 로울러(23), 우측 안내 로울러(24)를 따라 이동된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끝단부를 외주측에 일체로 고정시킨 원형 체인부(60)와;
    상기 원형 체인부(60)가 원형으로 회전되도록 일단측에는 체인 안내 로울러(46)가 끼워진 상태로 위치되게 형성되며, 원형 체인부(60)를 회전시키도록 체인 안내 로울러(46)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DC용 모터(50)를 갖는 스프로켓(40)과;
    상기 DC용 모터(50)의 작동을 멈추도록 원형 체인부(60)에 원형운동되는 선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32),(42)와;
    상기 원형 체인부(60)가 이동되는 동일선상의 천정 고정 프레임(20)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32),(42)가 걸리도록 형성된 상승 및 하강 고정 스톱퍼(34),(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안내 로울러(46)에는 원형 체인부(60)에 하강이동스톱퍼(42)에 결합된 좌우측 건조대 승하강 와이어(26),(28)의 꺾임 이동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면을 덮는 와이어이탈방지판(4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C용 모터는 워엄기어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KR20-2004-0005664U 2004-03-03 2004-03-03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KR200350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664U KR200350789Y1 (ko) 2004-03-03 2004-03-03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664U KR200350789Y1 (ko) 2004-03-03 2004-03-03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789Y1 true KR200350789Y1 (ko) 2004-05-13

Family

ID=4943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664U KR200350789Y1 (ko) 2004-03-03 2004-03-03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7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5342A (zh) * 2018-04-19 2018-08-10 广东尚高科技有限公司 链条式电动晾衣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5342A (zh) * 2018-04-19 2018-08-10 广东尚高科技有限公司 链条式电动晾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157B1 (ko) 회전식 빨래 건조대
KR101630968B1 (ko) 자동승강식 건조장치
JP4885684B2 (ja) 昇降物干し装置
JP3165335B2 (ja) 物干し装置
KR200350789Y1 (ko)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KR200411702Y1 (ko) 자동 빨래건조대
KR101440071B1 (ko) 세탁물 건조대 승/하강 장치
KR100371023B1 (ko) 천정 고정형 세탁물 건조대의 전동식 승강장치
KR20110090130A (ko) 빨래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KR101178216B1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0350788Y1 (ko) 볼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KR200220049Y1 (ko) 천정 고정형 세탁물 건조대의 전동식 승강장치
CN206256293U (zh) 电动晾衣机
KR200274950Y1 (ko)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KR200184385Y1 (ko) 세탁물 건조대
KR100438023B1 (ko)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KR200356571Y1 (ko) 로울러 구동 빨래 건조대
KR101875929B1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
KR101659781B1 (ko) 수동형 회전 빨래 건조장치
JP3109675U (ja) ローラ駆動式洗濯物乾燥台
KR200361305Y1 (ko) 빨래 건조대
KR890007320Y1 (ko) 천정 부착형 세탁물 건조대
KR101573864B1 (ko)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갖는 빨래 건조대
KR200397022Y1 (ko)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빨래건조대
KR20090006051U (ko) 천정 부착용 자동 빨래 건조대의 승하강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