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022Y1 -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빨래건조대 - Google Patents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빨래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022Y1
KR200397022Y1 KR20-2005-0020615U KR20050020615U KR200397022Y1 KR 200397022 Y1 KR200397022 Y1 KR 200397022Y1 KR 20050020615 U KR20050020615 U KR 20050020615U KR 200397022 Y1 KR200397022 Y1 KR 200397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 switch
sides
wire
bracket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6981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9702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to KR20-2005-0020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 빨래걸이봉이 장착된 브라켓을 지지하는 신축링크가 장착된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신축링크의 최고조 승강범위를 감지하는 신축링크안전장치를 더 구성하여 신축링크의 승강범위가 최상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신축링크안전장치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가 신축링크안전장치로부터 텐션작용에 의해 편심회동 되도록 하여 리미트스위치를 보호하도록 한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는, 구동모터가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구동모터의 양측으로 해권 및 권취되는 한 쌍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끝단이 각각 연결된 2개의 브라켓과 상기 2개의 브라켓에 각각 관통되고 빨래가 널어지는 다수개의 빨래걸이봉들과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된 X자형의 신축링크들로 구성된 전통식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전장치(100)는, 상기 와이어가 상측 외주연에 위치되어 가이드 되는 보조롤러(110)와; 상기 보조롤러(110)의 롤러축(111)이 축설되어 양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장공의 가이드공(121)이 양측면에 통공되고 양면 상측부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이부(122)를 갖는 롤러몸체(120)와; 상기 롤러몸체(120)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설된 상기 롤러축(111)에 축설되는 접속구(130)와; 상기 접속구(130)의 상단측과 밀접되는 접지편(141)을 갖는 리미트스위치(140)와; 상기 롤러몸체(120)의 양면 상측부에 형성된 걸이부(122)에 일측이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롤러몸체(120)의 양측으로 돌설된 롤러축(111)에 걸어지는 2개의 탄성스프링(150)이 구성된 와이어안전장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빨래걸이봉(2)들이 결합된 브라켓(4)의 선단 일측에 돌설된 돌기(4b)가 접지되는 접지편(211)이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212)가 내삽되어 고정되고 일측 상단 양쪽에 돌기(213)가 돌설되며 끝단측에 걸이편(214)이 형성된 리미트 본체(210)와; 상기 리미트 본체(210)의 일측이 힌지핀(221)에 의해 편심결합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212)가 내삽된 리미트본체(210)의 일측 상단 양측에 돌설된 돌기(213)가 끼워져 가이드 되는 호형상의 회전안내공(222)이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타측단에 걸이공(223)이 통공된 지지체(220)와; 상기 지지체(220)의 걸이공(223)에 일측이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내삽된 리미트본체(210)의 끝단측에 형성된 걸이편(214)에 걸어지는 탄성스프링(230)를 포함하는 브라켓안전장치(2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과,
빨래걸이봉(2)이 다수개 결합된 브라켓(4)의 선단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1)의 선단 내측면에 연결된 신축링크(3)의 선단측이 접지되는 접지편(311)이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310)와; 내측에 결합공(321)이 통공된 결합편(322)이 절곡형성되고 타측에 외측으로 절곡된 걸이부(323)가 돌설되며 상기 걸이부(323)의 일측에 호형상의 가이드공(324)이 통공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110)가 내삽되어 힌지핀(325)에 의해 일측이 힌지체결되는 고정체(320)와; 상기 고정체(320)의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이부(32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310)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320)의 가이드공(324)의 내측에 인입된 보조핀(312)에 연결된 스프링(330)을 포함하는 신축링크안전장치(3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LAUNDERING HANGER DRIVEN BYMOTOR WITH SAFE DEVICE PROTECTION STRUCTURE USING TENSION}
본 고안은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하강되는 빨래걸이봉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빨래걸이봉의 승강 또는 하강시에 장애물에 의해 빨래걸이봉이 닿을 경우나 또는 신축링크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신축링크의 승강범위를 벗어날 경우, 리미트스위치 등과 같은 장치들에 의해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안전감지장치에 텐션기능을 구비하여 안전감지장치가 텐션기능에 의해 일측으로 소정범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안전감지장치에 의해 모터의 정지할 경우 안전감지장치에 부가되는 완력을 최소화하여 안전감지장치의 고장율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는 세탁물을 널어서 말릴 수 있도록 된 세탁물 건조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도시의 가정에서는 실외에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경우, 대기 중의 공해물질에 의해 세탁물이 오염되기 쉽고 또한, 세탁물을 안전하게 건조시킬만한 공간을 실외에 확보하기 어려워 세탁물 건조대를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근자들어서는 빨래건조대가 설치된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빨래걸이봉이 승하강되는 전동식 빨래건조대가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a는 종래 모터의 구동에 의해 빨래가 널어지는 빨래걸이봉이 승/하강 되도록 구성된 전동식 빨래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및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동모터(M)가 구성된 하우징(1)과, 상기 구동모터(M)의 양측으로 해권 및 권취되는 한 쌍의 와이어(5)의 끝단이 각가 연결된 2개의 브라켓(4)과 상기 2개의 브라켓(4)에 각각 관통되고 빨래가 널어지는 다수개의 빨래걸이봉(2)들과 상기 브라켓(4)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1)의 내측면에 결합된 X자형의 신축링크(3)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구성된 모터(M)의 정/역회전에 의해 와이어(5)가 권취 및 해권되고 또한 신축링크(3)가 신장 및 축소되는 동작에 따라 상기 빨래걸이봉(2)이 승/하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빨래걸이봉(2)을 하강시켜 빨래를 널은 후, 빨래가 널어진 빨래걸이봉(2)을 다시 승강시켜 베란다 등과 같은 장소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승/하강되는 빨래걸이봉(2)이 장애물에 걸리게 될 경우,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바로 차단하여 모터의 구동력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엉키거나 모터에 부하가 걸리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감지장치가 더 구성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팽창력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안전장치(5a)가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빨래걸이봉(2)이 모터(M)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5)와 신축링크(3)에 의해 하강 되는 과정에서 주변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상기 빨래걸이봉(2)은 장애물에 걸려 하강이 멈추게 될 때, 상기 빨래걸이봉(2)의 승강 및 하강이 멈추어진 상태에서도 모터(M)는 계속적으로 구동되게 되고 또한,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5)와 신축링크(3)가 계속적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기 계속적으로 해권되는 와이어(5)가 풀어져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바, 상기 하우징(1)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와이어 안전감지장치(5a)에 의해 모터에 인가되던 전원이 자연스럽게 차단되어 와이어가 더 이상 작동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와이어가 엉키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의 내측 선단에는 상기 빨래걸이봉(2)이 다수개 장착된 브라켓(4)의 최고승강범위를 벗어남을 감지하는 브라켓 안전장치(4a)가 구성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빨래걸이봉(2)의 승/하강되도록 하는 브라켓(4)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브라켓(4)의 상승최고범위에 도달할 경우, 상기 브라켓(4)의 일측 선단에 돌설된 돌기(4b)가 상기 브라켓 안전장치(4a)에 접하게 되어 모터에 인가되던 전원이 자연스럽게 차단되어 브라켓(4) 및 브라켓(4)에 장착된 빨래걸이봉(2)이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4)의 일측에 체결된 X자형 신축링크(3)의 선단측, 다시말해 상기 하우징(1)의 내측에 체결되는 신축링크(3)의 일측에는 신축링크 안전장치(7)가 더 구성되어 있어, 상기 신축링크(3)가 최고 하강범위에 도달할 경우 신축링크(3)의 선단측이 자연스럽게 상기 신축링크 안전장치(7)와 접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모터에 인가되던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장치들은 모두 모터에 부하가 걸려 고장이 발생되거나 또는 와이어가 엉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안전장치(4a)(5a)(7)들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리미트스위치가 적용되고 있어 리미트스위치가 갖고 있는 전원을 단락시키는 기능에 의해 모터에 인가되던 전원이 순간적으로 차단되게 되고 상황이 종료될 경우엔 다시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전동식 빨래건조대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경우, 리미트스위치들이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와이어 안전장치(5a)의 경우 리미트스위치의 접지편이 상기 와이어의 하중에 의해 항상 접하여 가압되어 있다가 와이어가 풀어질 때, 와이어의 하중이 전달되지 않아 가압력이 풀어짐에 따라 와이어와 접하고 있는 접지편이 떨어지도록 하여 모터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구조인 바,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리미트스위치의 접지편이 와이어의 가압력에 의해 빨래건조대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경우 항상 리미트스위치의 몸체에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경우 상기 접지편의 탄성력이 저하되게 되어 와이어가 풀어질 때 접지편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모터에 인가되던 전원을 바로 차단하지 못함으로써 와이어가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 안전장치(4a)의 경우, 리미트 스위치의 접지편이 리미트 스위치의 몸체로부터 떨어져 있다가 상기 브라켓(4)이 최고 승강위치로 승강될 때 브라켓(4)의 돌기(4b)가 상기 브라켓 안전장치(4a)의 리미트 스위치 접지편을 들어올려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모터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작동되는 와이어는 바로 정지되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브라켓(4)이 상기 리미트 스위치 접지편을 계속적으로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되는 바, 장기간 사용할 경우 브라켓 안전장치(4a)의 리미트 스위치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리미트스위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거나 심할 경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브라켓 안전장치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신축링크 안전장치(7)의 경우, 일측이 하우징의 내측 선단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신축링크 안전장치(7)에 적용되는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모터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될 때, 전술한 것과 같이 신축링크(3)가 바로 정지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신축링크(3)의 선단측이 신축링크 안전장치(7)의 리미트 스위치 접지편을 계속적으로 밀어주게 되어 신축링크 안전장치(7)의 리미트 스위치가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지거나 위치가 가변되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들에 의해 와이어 안전장치(5a)와 브라켓 안전장치(4a)와 신축링크 안전장치(7)의 리미트 스위치들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많은 A/S가 발생되어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전동식 빨래건조대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터축에 축설된 권취롤러의 양측으로부터 권취되거나 해권되는 와이어를 보조하는 보조롤러의 일측에 와이어 안전장치를 구성하고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신축되는 신축링크의 선단측에 신축링크 안전장치를 구성하며 또한 신축링크에 의해 승하강 되어 빨래걸이봉을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브라켓을 정지시키는 브라켓 안전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안전장치들에 적용되는 리미트스위치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텐션기능을 갖도록 하여 모터에 전원이 차단될 때 바로 정지하지 못하게 되는 와이어와 신축링크 및 브라켓들의 작동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가 일측방향으로 편심회전되도록 하여 안전감지장치에 부가되는 완력을 최소화 함으로써 안전감지장치의 고장율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통식 빨래건조대는, 구동모터가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구동모터의 양측으로 해권 및 권취되는 쌍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끝단이 각각 연결된 2개의 브라켓과 상기 2개의 브라켓에 각각 관통되고 빨래가 널어지는 다수개의 빨래걸이봉들과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된 X자형의 신축링크들로 구성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상측 외주연에 위치되어 가이드되는 보조롤러와, 상기 보조롤러의 롤러축이 축설되어 양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장공의 가이드공이 양측면에 통공되고 양면 상측부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이부를 갖는 롤러몸체와, 상기 롤러몸체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설된 상기 롤러촉에 축설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의 상단측과 밀접되는 접지편을 갖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롤러몸체의 양면 상측부에 형성된 걸이부에 일측이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롤러몸체의 양측으로 돌설된 롤러축에 걸어지는 2개의 탄성스프링이 구성된 와이어안전장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몸체의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와이어가 빨래걸이봉의 하중에 의해 보조롤러의 외주연과 밀착되어 있을 경우엔 무접지상태이고, 와이어가 보조롤러의 외주연으로부터 떨어질 경우엔 접지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빨래걸이봉들이 결합된 브라켓의 선단 일측에 돌설된 돌기가 접지되는 접지편이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가 내삽되어 고정되고 일측 상단 양측에 돌기가 돌설되며 끝단측에 걸이편이 형성된 리미트 본체와; 상기 리미트 본체의 일측이 힌지핀에 의해 편심결합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내삽된 리미트본체의 일측 상단 양측에 돌설된 돌기가 끼워져 가이드 되는 호형상의 회전안내공이 양측면에 각자 형성되며 타측단에 걸이공이 통공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걸이공에 일측이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내삽된 리미트본체의 끝단측에 형성된 걸이편에 걸어지는 탄성스프링이 포함된 브라켓안전장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빨래걸이봉이 다수개 결합된 브라켓의 선단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선단 내측면에 연결된 신축링크의 선단측이 접지되는 접지편이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와; 내측에 결합공이 통공된 결합편이 절곡형성되고 타측에 외측으로 절곡된 걸이부가 돌설되며 상기 걸이부의 일측에 호형상의 가이드공이 통공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내삽되어 힌지핀에 의해 일측이 힌지체결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이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의 가이드공의 내측에 인입된 보조편에 연결된 스프링이 포함된 신축링크안전장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빨래걸이봉이 승/하강 가능되도록 하는 와이어가 빨래걸이봉의 하중에 의해 보조롤러의 상측 외주연에 밀접되어 있되, 상기 빨래걸이봉이 장애물에 걸려 와이어가 풀어짐에 따라 상기 보조롤러의 상측 외주연으로부터 와이어가 떨어질 경우에, 상기 보조롤러가 축설된 롤러몸체의 리미트스위치 접지편이 작동되어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이 바로 차단될 뿐만 아니라, 상기 롤러몸체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 접지편이 리미트스위치로부터 떨어진 상태에 있다가 보조롤러를 누르고 있는 와이어가 보조롤러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바로 리미트스위치에 접지되어 모터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구조임에 따라, 평상시에는 접지편이 리미트스위치로 부터 항상 떨어진 상태로 놓이게 되어 접지편의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신축링크의 일측에 신축링크 안전장치가 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축링크가 승강되는 최고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상기 신축링크 안전장치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가 내삽된 리미트 본체가 지지체의 내측으로 편심회전되어 상기 지지체로부터 어느 정도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완전하게 승강된 신축링크가 리미트스위치의 접지편에 접하고 있을 때,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내삽된 리미트본체가 지지체의 내측으로부터 어느 정도 젖혀진 상태로 위치됨으로써 리미트스위치의 접지편이 계속적으로 리미트스위치와 접지하고 있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리미트스위치가 고장나거나 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이하, 본 고안인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인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인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가 장착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의 구성요부인 와이어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인 와이어 안전장치의 후면부를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의 다른 구성요부인 신축링크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는, 구동모터(M)가 구성된 하우징(1)과, 상기 구동모터(M)의 양측으로 해권 및 권취되는 한 쌍의 와이어(5)와, 상기 와이어(5)의 끝단이 각각 연결된 2개의 브라켓(4)과 상기 2개의 브라켓(4)에 각각 관통되고 빨래가 널어지는 다수개의 빨래걸이봉(2)들과 상기 브라켓(4)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1)의 내측면에 결합된 X자형의 신축링크(3)들로 구성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상기 하우징(1) 내부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5)가 가이드 되도록 하는 보조롤러를 갖는 와이어 안전장치(100)와, 상기 브라켓(4)의 일측 선단에 돌설된 돌기(4b)가 접지되어 브라켓(4)의 승강이 정지되도록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는 브라켓 안전장치(200)와, 상기 신축링크(3)의 선단측에 접지되어 신축링크(3)의 신축됨을 정지하는 신축링크 안전장치(300)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안전장치(100)는, 상기 와이어가 상측 외주연에 위치되어 가이드 되는 보조롤러(110)와, 상기 보조롤러(110)의 롤러축(111)이 축설되어 양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장공의 가이드공(121)이 양측면에 통공되고 양면 상측부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이부(122)를 갖는 롤러몸체(120)와, 상기 롤러몸체(120)의 일측면외측으로 돌설된 상기 롤러축(111)에 축설되는 접속구(130)와, 상기 접속구(130)의 상단측과 밀접되는 접지편(141)을 갖는 리미트스위치(140)와, 상기 롤러몸체(120)의 양면 상측부에 형성된 걸이부(122)에 일측이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롤러몸체(120)의 양측으로 돌설된 롤러축(111)에 걸어지는 2개의 탄성스프링(150)이 구성된 와이어안전장치가 더 구성된다..
상기 롤러몸체(120)의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140)는, 상기 와이어가 빨래걸이봉의 하중에 의해 보조롤러의 외주연과 밀착되어 있을 경우엔 무접지 상태이고, 와이어가 보조롤러의 외주연으로부터 떨어질 경우엔 접지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안전장치(100)는, 하우징(1)의 내부에 구성된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권취 또는 해권되는 한 쌍의 와이어(5)가 롤러몸체(120) 내부에 축설된 보조롤러(110)의 상부측 외주연에 위치되어 가이드 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5)의 끝단측에 구성된 브라켓(4)의 빨래걸이봉(2)의 하중에 의해 항상 보조롤러(110)의 상측 외주연에 와이어(5)가 밀접되어 상기 보조롤러(110)를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롤러(110)가 가압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보조롤러(110)의 롤러축(111)에 축설된 접속구(130)가 상기 롤러몸체(120)의 아래측으로 하강되어 있게 되고 또한, 상기 보조롤러(110)의 롤러축(111)과 상기 롤러몸체(120)의 걸이부(122)에 각각 걸어진 탄성스프링(150)이 신장된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롤러몸체(120)의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140)의 접지편(141)은 상기 접속구(130)가 아래측으로 하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리미트스위치(140)로부터 벌어진 상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접지편(141)과 리미트스위치(140)가 벌어진 상태에서 전통식 빨래건조대의 빨래걸이봉을 승강 및 하강하여 빨래를 널어 건조시키는 것으로, 승강하거나 하강되던 빨래걸이봉(2)이 장애물 등에 걸리게 되어 동작이 진행되지 않을 경우엔, 상기 와이어안전장치(100)의 리미트스위치(140)에 의해 모터(M)의 구동이 중지된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래걸이봉(2)이 정상적으로 승강 및 하강될 때에는 와이어(5)가 상기 롤러몸체(120) 내부에 축설된 보조롤러(110)의 상측 외주연에 밀착되어 상기 보조롤러(110)를 타고 가이드 되고 또한, 상기 보조롤러(110)가 빨래걸이봉(2)의 하중이 전달되는 와이어(5)에 의해 눌러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롤러(110)의 롤러축(111)에 축설된 접속구(130)가 롤러몸체(120)의 아래측으로 하강되어 위치된다.
또한, 상기 롤러축(111)에 일측이 걸어진 상기 탄성스프링(150)이 신장되어 벌어지게 되고 상기 접속구(130)의 상측부와 접하고 있는 상기 접지편(141)은 리미트스위치(140)로부터 벌어진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가 상기 빨래걸이봉(2)이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엔, 상기 빨래걸이봉(2)의 하중이 와이어(5)에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5)에 의해 눌러진 보조롤러(110)가 상기 롤러축(111)에 일측이 걸어진 탄성스프링(150)의 빠른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롤러축(111)이 들어올려짐으로써 상기 보조롤러(110) 역시 롤러몸체(120)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구(130) 역시 롤러축(111)이 들러올려지는 동작에 의해 롤러축(111)에 축설되어 있는 관계로 들어올려지게 되는 바, 이 때, 상기 접속구(130)의 상측부에 접하고 있던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접지편(141)이 들어올려지게 됨으로써, 접지편(141)이 리미트스위치(140)와 접지되어 모터(M)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더 이상 모터(M)가 구동되지 않음에 따라 와이어가 엉키거나 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140)는 평상시에 접지편(141)이 리미트스위치(140)로부터 벌어진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가, 빨래걸이봉(2)이 장애물에 걸릴 때 접지편(141)이 리미트스위치(140)에 접지되기 때문에, 장기간 전동식 빨래건조대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접지편(141)의 텐션기능이 저하되거나 하지는 않는다.
상기 와이어(5)가 보조롤러(110)의 상측 외주연으로부터 떨어질 때, 롤러축(111)이 상측으로 이동됨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롤러축(111)의 양측단에 탄성스프링(150)의 일측이 걸어져 있고 또한, 상기 롤러축(111)이 축설되어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롤러몸체(120)의 가이드공(121)이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 안전장치(200)는, 상기 빨래걸이봉(2)들이 결합된 브라켓(4)의 선단 일측에 돌설된 돌기(4b)가 접지되는 접지편(211)이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212)가 내삽되어 고정되고 일측 상단 양측에 돌기(213)가 돌설되며 끝단측에 걸이편(214)이 형성된 리미트 본체(210)와, 상기 리미트 본체(210)의 일측이 힌지핀(221)에 의해 편심결합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212)가 내삽된 리미트본체(210)의 일측 상단 양측에 돌설된 돌기(213)가 끼워져 가이드 되는 호형상의 회전안내공(222)이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타측단에 걸이공(223)이 통공된 지지체(220)와, 상기 지지체(220)의 걸이공(223)에 일측이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내삽된 리미트본체(210)의 끝단측에 형성된 걸이편(214)에 걸어지는 탄성스프링(230)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 내부에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빨래걸이봉(2)이 장착된 브라켓(4)의 승강 최고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이 하강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체(220)의 내부에 일측이 편심 체결된 리미트본체(210)의 내부에 내삽된 리미트스위치(212)의 접지편(211)이 상기 리미트스위치(212)와 벌어진 상태로 놓이다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이 승강되면서 브라켓(4)의 일측 선단에 돌설형성된 돌기(4b)가 상기 리미트 본체(210) 내부에 내삽된 리미트스위치(212)의 접지편(211)에 닿을 경우, 상기 승강되는 브라켓(4)의 상측부를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리미트본체(210)에 내삽된 리미트스위치(212)와 접지되게 되어 모터의 전원이 차단된다.
이 때, 전원이 차단된 모터(M)는 어느 정도 자유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브라켓(4) 승강이 바로 멈추지 않고 조금 더 상승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모터의 자유회전에 의해 브라켓(4)이 더 상승될 경우, 상기 접지편(211)이 접지된 리미트스위치(212)가 내삽되어 있는 리미트본체(210)가 상기 지지체(220)의 내측으로 편심회전하기 때문에, 접지편(211)이 리미트스위치(212)에 계속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리미트스위치(212)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리미트본체(210)는 지지체(220)로부터 힌지핀(221)에 의해 편심되게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리미트본체(210)의 끝단측에 연장된 걸이편(214)에 상기 지지체(220)의 걸이공(223)에 일측이 걸어진 탄성스프링(230)의 타측이 걸어져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탄성스프링(230)의 텐션작용에 의해 지지체(220)의 내측으로 편심회전되다가 브라켓(4)이 하강할 때,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이 가능하다.
상기 리미트본체(210)가 지지체(220)의 내측으로 편심회전될 때, 상기 리미트본체(210)의 양측단에 돌설된 돌기(213)들이 상기 지지체(220)의 호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안내공(222)에 끼움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리미트본체(210)는 상기 지지체(220)의 내측으로 견고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신축링크 안전장치(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빨래걸이봉(2)이 다수개 결합된 브라켓(4)의 선단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1)의 선단 내측면에 연결된 신축링크(3)의 선단측이 접지되는 접지편(311)이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310)와, 내측에 결합공(321)이 통공된 결합편(322)이 절곡형성되고 타측에 외측으로 절곡된 걸이부(323)가 돌설되며 상기 걸이부(323)의 일측에 호형상의 가이드공(324)이 통공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310)가 내삽되어 힌지핀(325)에 의해 일측이 힌지체결되는 고정체(320)와, 상기 고정체(320)의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이부(32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310)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320)의 가이드공(324)의 내측에 인입된 보조핀(312)에 연결된 스프링(3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축링크 안전장치(300)는 상기 결합된(322)의 내측에 통공된 결합공(321)을 이용하여 볼트에 의해 하우징(1)의 선단 내측면에 체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빨래걸이봉(2)을 승강시키기 위해 신축링크(3)가 하우징(1)측으로 접혀질 때, 신축링크(3)의 선단측이 상기 신축링크 안전장치(300)의 리미트스위치(310) 접지편(311)에 접지되게 되어 모터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된다.
이 때, 전원이 차단된 모터(M)는 어느 정도 자유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신축링크(3)의 접혀지는 동작이 바로 멈추지 않고 조금 더 작동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모터의 자유회전에 의해 신축링크(3)가 더 작동되어 상기 신축링크(300)의 리미트 스위치(310) 접지편(311)을 계속적으로 밀게 될 경우, 상기 접지편(311)이 접지된 리미트스위치(310)가 상기 고정체(320)의 내측으로 편심회전하기 때문에, 리미트스위치(310)에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신축링크(3)의 미는 완력이 제거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리미트스위치(212)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신축링크 안전장치(300)의 리미트본체(310)는 고정체(320)로부터 일측이 힌지핀(325)에 의해 편심되게 힌지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310)의 끝단측에 연장된 보조핀(312)에 상기 고정체(320)의 걸이부(323)에 일측이 걸어진 스프링(330)의 타측이 걸어져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스프링(330)의 텐션작용에 의해 고정체(320)에 형성된 가이드공(324)을 따라 내측으로 편심회전되다가 신축링크(3)가 신축되어 펼쳐질 때,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이 가능하다.
본 고안인 전통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구조에 의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빨래걸이봉이 승/하강 가능되도록 하는 와이어가 빨래걸이봉의 하중에 의해 보조롤러의 상측 외주연에 밀접되어 있되, 상기 빨래걸이봉이 장애물에 걸려 와이어가 풀어짐에 따라 상기 보조롤러의 상측 외주연으로부터 와이어가 떨어질 경우에, 상기 보조롤러가 축설된 롤러몸체의 리미트스위치 접지편이 작동되어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이 바로 차단될 뿐만 아니라, 상기 롤러몸체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 접지편이 리미트스위치로부터 떨어진 상태에 있다가 보조롤러를 누르고 있는 와이어가 보조롤러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바로 리미트스위치에 접지되어 모터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구조임에 따라, 평상시에는 접지편이 리미트스위치로부터 항상 떨어진 상태로 놓이게 되어 접지편의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신축링크의 일측에 신축링크 안전장치가 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축링크가 승강되는 최고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상기 신축링크 안전장치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가 내삽된 리미트 본체가 지지체의 내측으로 편심회전되어 상기 지지체로부터 어느 정도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완전하게 승강된 신축링크가 리미트스위치의 접지편에 접하고 있을 때,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내삽된 리미트본체가 지지체의 내측으로부터 어느 정도 젖혀진 상태로 위치됨으로써 리미트스위치의 접지편이 계속적으로 리미트스위치와 접지하고 있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리미트스위치가 고장나거나 하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2b는 종래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안전감지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구성요부인 와이어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인 와이어 안전장치의 후면부를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다른 구성요부인 신축링크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구성요부인 와이어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구성요부인 신축링크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또 다른 구성요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안전감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와이어안전장치 110 : 보조롤러
111 : 롤러축 120 : 롤러몸체
121 : 가이드공 122 : 걸이부
130 : 접속구 140, 212, 310 : 리미트스위치
141, 211, 311 : 접지편 150, 230, 330 : 탄성스프링
200 : 브라켓 안전장치 210 : 리미트본체
213 : 돌기 214 : 걸이편
220 : 지지체 221, 325 : 힌지핀
222 : 회전안내봉 223 : 걸이공
300 : 신축링크 안전장치 320 : 고정체
321 : 결합공 322 : 결합편
323 : 걸이부 324 : 가이드공

Claims (4)

  1. 구동모터(M)가 구성된 하우징(1)과, 상기 구동모터(M)의 양측으로 해권 및 권취되는 한 쌍의 와이어(5)와, 상기 와이어(5)의 끝단이 각각 연결된 2개의 브라켓(4)과 상기 2개의 브라켓(4)에 각각 관통되고 빨래가 널어지는 다수개의 빨래걸이봉(2)들과 상기 브라켓(4)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1)의 내측면에 결합된 X자형의 신축링크(3)들로 구성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5)가 상측 외주연에 위치되어 가이드 되는 보조롤러(110)와;
    상기 보조롤러(110)의 롤러축(111)이 축설되어 양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장공의 가이드공(121)이 양측면에 통공되고 양면 상측부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이부(122)를 갖는 롤러몸체(120)와;
    상기 롤러몸체(120)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설된 상기 롤러축(111)에 축설되는 접속구(130)와;
    상기 접속구(130)의 상단측과 밀접되는 접지편(141)을 갖는 리미트스위치(140)와;
    상기 롤러몸체(120)의 양면 상측부에 형성된 걸이부(122)에 일측이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롤러몸체(120)의 양측으로 돌설된 롤러축(111)에 걸어지는 2개의 탄성스프링(150)과;
    를 포함하는 와이어안전장치(1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전장치(100)의 롤러몸체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140)는, 상기 와이어가 빨래걸이봉의 하중에 의해 보조롤러의 외주연과 밀착되어 있을 경우엔 무접지 상태이고, 와이어가 보조롤러의 외주연으로부터 떨어질 경우엔 접지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
  3. 구동모터(M)가 구성된 하우징(1)과, 상기 구동모터(M)의 양측으로 해권 및 권취되는 한 쌍의 와이어(5)와, 상기 와이어(5)의 끝단이 각각 연결된 2개의 브라켓(4)과 상기 2개의 브라켓(4)에 각각 관통되고 빨래가 널어지는 다수개의 빨래걸이봉(2)들과 상기 브라켓(4)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1)의 내측면에 결합된 X자형의 신축링크(3)들로 구성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빨래걸이봉(2)들이 결합된 브라켓(4)의 선단 일측에 돌설된 돌기(4b)가 접지되는 접지편(211)이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212)가 내삽되어 고정되고 일측 상단 양측에 돌기(213)가 돌설되며 끝단측에 걸이편(214)이 형성된 리미트 본체(210)와;
    상기 리미트 본체(210)의 일측이 힌지핀(221)에 의해 편심결합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212)가 내삽된 리미트본체(210)의 일측 상단 양측에 돌설된 돌기(213)가 끼워져 가이드 되는 호형상의 회전안내공(222)이 양측면에 각각 형성기며 타측단에 걸이공(223)이 통공된 지지체(220)와;
    상기 지지체(220)의 걸이공(223)에 일측이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내삽된 리미트본체(210)의 끝단측에 형성된 걸이편(214)에 걸어지는 탄성스프링(230)과;
    를 포함하는 브라켓안전장치(2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
  4. 구동모터(M)가 구성된 하우징(1)과, 상기 구동모터(M)의 양측으로 해권 및 권취되는 한 쌍의 와이어(5)와, 상기 와이어(5)의 끝단이 각각 연결된 2개의 브라켓(4)과 상기 2개의 브라켓(4)에 각각 관통되고 빨래가 널어지는 다수개의 빨래걸이봉(2)들과 상기 브라켓(4)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1)의 내측면에 결합된 X자형의 신축링크(3)들로 구성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빨래걸이봉(2)이 다수개 결합된 브라켓(4)의 선단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1)의 선단 내측면에 연결된 신축링크(3)의 선단측이 접지되는 접지편(311)이 일측에 구성된 리미트스위치(310)와;
    내측에 결합공(321)이 통공된 결합편(322)이 절곡형성되고 타측에 외측으로 절곡된 걸이부(323)가 돌설되며 상기 걸이부(323)의 일측에 호형상의 가이드공(324)이 통공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310)가 내삽되어 힌지핀(325)에 의해 일측이 힌지체결되는 고정체(320)와;
    상기 고정체(320)의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이부(32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310)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320)의 가이드공(324)의 내측에 인입된 보조핀(312)에 연결된 스프링(330)과;
    를 포함하는 신축링크안전장치(3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
KR20-2005-0020615U 2005-07-15 2005-07-15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빨래건조대 KR200397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615U KR200397022Y1 (ko) 2005-07-15 2005-07-15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빨래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615U KR200397022Y1 (ko) 2005-07-15 2005-07-15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빨래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022Y1 true KR200397022Y1 (ko) 2005-09-28

Family

ID=4369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615U KR200397022Y1 (ko) 2005-07-15 2005-07-15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빨래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0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82B1 (ko) 2008-12-17 2009-12-03 (주)웰테크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천장 롤러장치
KR200468161Y1 (ko) 2012-06-14 2013-07-26 (주)웰테크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82B1 (ko) 2008-12-17 2009-12-03 (주)웰테크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천장 롤러장치
KR200468161Y1 (ko) 2012-06-14 2013-07-26 (주)웰테크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913Y1 (ko) 빨래 건조대
KR200397022Y1 (ko)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빨래건조대
JPH08112495A (ja) 物干し装置
WO2020175964A1 (ko) 의류 처리장치
KR100371023B1 (ko) 천정 고정형 세탁물 건조대의 전동식 승강장치
KR20110090130A (ko) 빨래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CN106544840A (zh) 动力总成及电动晾衣机
KR200220049Y1 (ko) 천정 고정형 세탁물 건조대의 전동식 승강장치
KR200268978Y1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0471349Y1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
KR100988711B1 (ko) 빨래 건조대
JP3508582B2 (ja) 昇降物干し装置
KR101875929B1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
KR200444716Y1 (ko) 와이어 이탈방지기능을 갖는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안전장치
KR200468161Y1 (ko)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안전장치
KR200350789Y1 (ko)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CN207143551U (zh) 电动晾衣机
KR20030053194A (ko)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KR20090001401U (ko) 전동식 건조대의 승/하강 구동장치
KR200419465Y1 (ko)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승강제어장치
KR200378749Y1 (ko) 레버형 스위치가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KR200393825Y1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 제어장치
CN219908301U (zh) 一种晾衣机
KR101573864B1 (ko)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갖는 빨래 건조대
CN220376958U (zh) 一种衣物晾晒绳的收放模块及晾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3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invalidation of limitation]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TRIAL FOR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090219

Effective date: 2009113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112

Effective date: 20100623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911

Effective date: 2011031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415

Effective date: 2011061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415

Effective date: 2011112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614

Effective date: 2012010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228

Effective date: 20121016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321

Effective date: 2012101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712

Effective date: 201309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514

Effective date: 201309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911

Effective date: 2011031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72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721

Effective date: 2014091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729

Effective date: 201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