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3194A -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3194A
KR20030053194A KR1020010083261A KR20010083261A KR20030053194A KR 20030053194 A KR20030053194 A KR 20030053194A KR 1020010083261 A KR1020010083261 A KR 1020010083261A KR 20010083261 A KR20010083261 A KR 20010083261A KR 20030053194 A KR20030053194 A KR 20030053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connecting line
tension
safety device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8023B1 (ko
Inventor
이재남
Original Assignee
이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남 filed Critical 이재남
Priority to KR10-2001-0083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0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빨래 걸이요소의 양쪽 지지판 중간부에 양쪽 연결줄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줄이 권회되는 권취용 보빈이 지지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체의 양단부에는 연결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가 각각 결합된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빨래 걸이요소가 장애물에 걸려 하강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연결줄이 장력을 잃고 늘어지는 때에 상기 연결줄의 늘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장력 감지장치와, 상기 장력 감지장치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이 추가된 구동모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는 빨래 걸이요소가 하강하는 도중에 빨래 걸이요소가 하부의 장애물에 걸림에 따라 연결줄이 정상적인 텐션을 잃고 늘어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빨래 걸이요소가 하강되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 연결줄이 꼬이거나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연결줄이 늘어지는 상황에서 구동모터를 정지시킨 후, 구동모터를 수회(2∼3회) 역회전시켜 빨래 걸이요소를 상승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애물을 쉽게 치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LAUNDERING DRY HANGER}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빨래 걸이요소가 하강하는 도중에 빨래 걸이요소가 하부의 장애물에 걸림에 따라 연결줄이 정상적인 텐션을 잃고 늘어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빨래 걸이요소가 하강되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 연결줄이 꼬이거나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과 같은 베란다가 마련된 공동주택에 주로 설치되는 천장 부착형 빨래 건조대는 국내 실용신안공개 93-25700호, 실용신안등록 20-0229767호 및 실용신안등록 20-0220049호에 알려진 바와 같이, 빨래 걸이봉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걸이봉의 좌,우측 지지판에 연결줄을 연결하여 이 연결줄을 천정측에 설치되고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혹은 원통형 드럼)에 감거나 풀어서 승강시키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빨래 건조대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연결줄이 풀리면서 걸이봉이 하강하는 동안에 하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할 뿐아니라, 연결줄이 꼬이거나 엉키게 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실용신안등록번호 0254649호로 등록된 보다 개량된 형태의 빨래 건조대도 역시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빨래 건조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빨래 건조대의 연결줄 늘어짐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빨래를 널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봉(12)을 양쪽 연결줄(20)에 연결하여 빨래 걸이요소(10)가 형성되고, 이 빨래 걸이요소(10)를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양쪽 연결줄(20)은 구동수단(50)의 구동모터(51)에 결합된 보빈(52)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구동모터(51)의 회전에 의해 권회되도록 되어 있으며, 구동모터(51)가 결합되는 지지체(40)의 양단부에는 연결줄(20)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53)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빨래 걸이요소(10)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한 쌍의 지지판(11)에 복수개의 걸이봉(12)의 양단부를 결합하고, 양쪽 지지판(11)의 연결공(11c)에 연결줄(20)의 하단부를 연결한 형태가 이용되고 있으며, 또 하나의 걸이봉(12)의 양단부를 연결줄(20)의 하단부에 직접 연결한 형태도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부호 30은 지지체(40)와 빨래 걸이요소(10)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빨래 걸이요소(10)가 좌우로 흔들림을 방지하는 X자형 링크(30)로서, 이 X자형 링크(30)는 제품에 따라 채용하지 않는 것도 알려지고 있다.
또한, 부호 11a, 41a는 상기 하측 지지판(11)과 상측 지지판(41)에 각각 형성된 장공을 보인 것이고, 11b는 연결핀을 각각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빨래 건조대는 구동모터(51)의 구동력으로 연결줄(20)을 풀어 빨래 걸이요소(10)를 하부의 적합한 위치로 하강시킨 후, 걸이봉(12)에 빨래를 널고,빨래 걸이요소(10)를 다시 상승시켜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면 고정된 위치에서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빨래 건조대는 빨래 걸이요소(10)의 자체 무게만으로도 연결줄(20)이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권취용 보빈(52)에 꼬이거나 엉키지 않고 감기거나 풀릴 수 있으나, 만약 빨래 걸이요소(10)가 하강되고 있을 때 빨래 걸이요소(10) 하부에 장애물이 있으면 빨래 걸이요소(10)가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빨래 걸이요소(10)가 내려가지 못할 상황인 경우 구동모터(51)를 즉시 정지시키지 못해 계속 회전하게 되면 연결줄(20)이 계속 풀리면서 정상적인 텐션을 잃고 늘어져서 권취용 보빈(52)에 엉키거나 꼬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되면 연결줄(20)을 정리하여야 하나 매우 힘들고, 기기의 고장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애프터서비스(A/S)의 빈도가 높아지므로 판매 및 관리하는 회사의 업무가 증가되고,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는 빨래 걸이요소가 하강하는 도중에 장애물에 닿게 되는 등의 이유로 연결줄이 늘어진 상황이 발생하여 연결줄에 작용하던 수직방향의 장력이 없어지면 구동모터를 즉시 정지시켜 연결줄이 보빈에서 더 이상 풀어지지 않도록 하고, 장애물을 제거한 후 다시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의 개발이 꼭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빨래 걸이요소가 하강하는 도중에 연결줄이 정상적인 텐션을 잃고 늘어진 때에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 빨래 걸이요소가 하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결줄이 꼬이거나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이 연결줄이 늘어지는 상황에서 구동모터를 정지시킨 후, 구동모터를 수회(2∼3회) 역회전시켜 빨래 걸이요소를 상승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애물을 쉽게 치울 수 있게 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원인이 선출원한 빨래 건조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빨래 건조대의 연결줄 늘어짐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연결줄의 늘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가이드롤러를 바탕으로 설치된 감지장치의 서로 다른 형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연결줄의 늘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가 별도의 감지롤러를 바탕으로 설치된 서로 다른 형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연결줄의 늘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의 또 다른 형태들을 보인 분해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의 개략 블럭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빨래 건조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빨래 걸이요소11 : 지지판
20 : 연결줄40 : 지지체
51 : 구동모터52 : 보빈
53 : 가이드롤러53a : 감지롤러
70 : 장력 감지장치71 : 감지구
71a : 중간부71b : 축부
71c, 71d : 감지단72 : 스프링
72a : 걸고리74 : 브래키트
74a : 지지간74b : 장공
75 : 감지봉76 : 감지판
76a : 통공77 : 광센서
78 : 감지판78a : 철편
79 : 자기센서100 : 구동모터 제어부
101, 102 : 좌,우측센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권취용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회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와, 빨래를 널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봉을 상기 연결줄에 연결하여 형성되는 빨래 걸이요소로 구성되는 통상의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빨래 걸이요소가 장애물에 걸려 하강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연결줄이 장력을 잃고 늘어지는 때에 상기 연결줄의 늘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장력 감지장치와, 상기 장력 감지장치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이 추가된 구동모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력 감지장치는 일 예를 들어 상기 보빈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모터가 고정되는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감지구와, 상기 지지체의 일측부와 상기 감지구의 일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구의 중간부가 상기 연결줄 위에 접촉되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연결줄이 늘어짐에 의해 감지구가 회전하는 때에 감지구의 감지단에 의해 접속되는 마이크로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력 감지장치는 다른 예로서 상기 보빈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양쪽 가이드롤러에 고정되는 감지판과, 이 감지판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 제어부는 리모콘(콘트롤박스)에 구비된 하강 버튼을 누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를 정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장력 감지장치의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이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를 일시 정지시키는 단계와, 이어서 상기 구동모터를 2∼3회 정도 역회전시키는 단계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를 보인 평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 사시도를 보인 것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의 개략 블럭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 그리고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는 통상의 구동모터 제어부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구동모터(51)와, 상기 구동모터(51)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권취용 보빈(52)과, 상기 보빈(52)에 권회되는 연결줄(20)과, 상기 연결줄(20)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53)와, 빨래를 널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봉(12)을 상기 연결줄(20)에 연결하여 형성되는 빨래 걸이요소(10)로 구성되는 통상의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빨래 걸이요소(10)가 장애물에 걸려 하강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연결줄(20)이 장력을 잃고 늘어지는 때에 상기 연결줄(20)의 늘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장력 감지장치(70)와, 상기 장력 감지장치(70)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이 추가된 구동모터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력 감지장치(70)의 한 형태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보빈(52)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5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지지체(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감지구(71)와, 상기 지지체(40)의 일측부와 감지구(71)의 일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감지구(71)의 중간부(71a)가 연결줄(20) 위에 접촉되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72)과, 상기 연결줄(20)이 늘어짐에 의해 감지구(71)가 회전하는 때에 감지구(71)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소자(73)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구(71)는 강선(steel wire)과 같은 금속선을 절곡하여 중간부(71a)의 양측에 축부(71b),(71d)가 구비되고, 일측 축부(71b)에는 감지단(71c)이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감지구(71)는 그의 중간부(71a)가 연결줄(20) 위에 접촉되도록 그 양측 축부(71b),(71d)가 지지체(40)의 양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체(40)의 일측판에 고정된 걸고리(72a)와 상기 타측 축부(71b) 사이에 스프링(72)이 연결된다.
상기 감지소자(73)에는 감지구(71)의 감지단(71c)에 의해 접속되는 마이크로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스위치 또는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73a는 작동간을 보인 것이다.
도 12에서 좌측센서(101)는 도 3에서 보빈(52)의 좌측에 설치되는 감지소자(73), 우측센서(102)는 우측에 설치되는 감지소자(73)를 의미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로서, 이하 도 1 내지 도 4, 그리고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는 구동모터(51)가 온(ON)되고(S200), 구동모터(51)가 정회전되어(S210), 빨래 걸이요소(10)가 하강하게 되고, 빨래 걸이요소(10)가 하강하면서 좌측부 또는 우측부가 하부의 장애물에 걸림에 따라 이동이 정지되면, 걸리게 되는 측의 연결줄(20)이 정상적인 장력을 잃고 늘어지게 되므로 보빈(52)의 양측에 설치된 감지구(71) 중에서 연결줄(20)이 늘어지는 측의 감지구(71)가 스프링(72)의 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이와 같이 감지구(71)가 회전함에 따라 좌,우측센서(101),(102), 즉 양측 감지소자(73) 중에서 감지구(71)의 감지단(71c)이 접촉되는 감지소자(73)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우측센서(101),(102)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동작하여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이 감지신호가 구동모터 제어부(100)에 입력되고, 이 구동모터 제어부(100)에 의해 구동모터(51)가 일시 정지한 후(S230), 2∼3회 정도 역회전하며(S240), 이에 따라 빨래 걸이요소(10)가 위로 소정 길이만큼 상승하고 정지한다.
이와 같이 빨래 걸이요소(10)가 위로 상승하면 빨래 걸이요소(10)와 그 하부에 있는 장애물 사이에 여유간격이 생기므로 장애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물을 제거한 후 구동모터(51)를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빨래 걸이요소(10)의 양측부가 동일하게 안정적으로 하강하며, 이에 따라 양쪽 연결줄(20)에 정상적인 장력이 유지되므로 연결줄(20)이 꼬이거나 엉킴 현상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장력 감지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장력 감지장치(70)는 보빈(52)과 양쪽 가이드롤러(53) 사이에 브래키트(74)가 설치되고, 이 브래키트(74)의 양쪽 지지간(74a)에 형성된 장공(74b)에 감지봉(75)이 연결줄(20)의 위에 위치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감지봉(75)의 양단부에는 연결줄(20)에 탄력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스프링(72)이 연결되고, 브래키트(74)의 중간부에는 감지봉(75)을 감지하는 감지소자(73)가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른 형태의 장력 감지장치(70)는 연결줄(20)이 장력을 잃고 쳐지게 되면 감지봉(75)이 감지소자(73)인 마이크로 리미트스위치의 작동간(73a)에 접촉되어 마이크로 리미트스위치가 이를 감지하고, 이 감지신호가 구동모터 제어부(100)에 전달되며, 이후 동작은 위 실시예와 같이, 구동모터(51)가 정지하게 되므로 연결줄(20)의 꼬임이 방지되고, 구동모터(51)가 다시 수회 역회전하여 빨래 걸이요소(10)가 위로 상승하고 정지하므로 장애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9는 장력 감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장력 감지장치(70)는 보빈(52)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양쪽 가이드롤러(53)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6의 장력 감지장치(70)는 양쪽 가이드롤러(53)에 고정되고 다수개의 통공(76a)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감지판(76)과, 이 감지판(76)의 통공(76a)에 의해 감지판(76)의 회전을 광센서(77)로 구성된다.
도 7의 장력 감지장치(70)는 양쪽 가이드롤러(53)에 고정되고 다수개의 철편(강철판 조각)(78a)이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감지판(78)과, 이 감지판(78)의 철편(78a)에 의해 감지판(78)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센서(79)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의 장력 감지장치(70)는 보빈(52)과 양쪽 가이드롤러(53) 사이에 설치된 감지롤러(53a)와, 이들 감지롤러(53a)에 고정되고 다수개의 통공(76a)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감지판(76)과, 이 감지판(76)의 통공(76a)에 의해 감지판(76)의 회전을 광센서(77)로 구성된다.
도 9의 장력 감지장치(70)는 보빈(52)과 양쪽 가이드롤러(53) 사이에 설치된 감지롤러(53a)와, 이들 감지롤러(53a)에 고정되고 다수개의 철편(78a)이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감지판(78)과, 이 감지판(78)의 철편(78a)에 의해 감지판(78)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센서(79)로 구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장력 감지장치(70)는 빨래 걸이요소(10)가 정상적으로 하강하면 가이드롤러(53) 및 감지롤러(53a)가 회전을 하여 감지판(76),(78)이 함께 정상적으로 회전하나, 빨래 걸이요소(10)의 하부에 장애물이 걸려 하강하지 못함에 따라 연결줄(20)이 장력을 잃고 쳐지게 되면 가이드롤러(53) 및감지롤러(53a)와 이에 결합된 감지판(76),(78)의 회전하지 못하므로 광센서(77) 또는 자기센서(79)가 이를 감지하고, 이 감지신호가 구동모터 제어부(100)에 전달되며, 이후 동작은 위 실시예와 같이, 구동모터(51)가 정지하게 되므로 연결줄(20)의 꼬임이 방지되고, 구동모터(51)가 다시 수회 역회전하여 빨래 걸이요소(10)가 위로 상승하고 정지하므로 장애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력 감지장치(70)는 가이드롤러(53)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간단하므로 보다 바람직한 것이나, 빨래 건조대의 설치 상황에 따라 가이드롤러(53)를 이용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감지롤러(53a)를 추가하여 이용하게 된다.
도 10은 장력 감지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 연결줄(20)이 통과하는 통로에 광센서(77)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 도 10의 장력 감지장치(70)는 연결줄(20)이 정상적인 장력으로 팽팽히 당겨진 경우에는 좌측부와 같이 광센서(77)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연결줄(20)이 장력을 잃고 쳐지게 되면 우측부와같이 광센서(77)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이후 동작은 위 실시예와 같이, 구동모터(51)가 감지신호에 의해 정지하게 되므로 연결줄(20)의 꼬임이 방지되고, 구동모터(51)가 다시 수회 역회전하여 빨래 걸이요소(10)가 위로 상승하고 정지하므로 장애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장력 감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상기 연결줄(20)에 강철선을 이용하고, 연결줄(20)이 통과하는 통로에 자기센서(79)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 도 11의 장력 감지장치(70)는 연결줄(20)이 정상적인 장력으로 팽팽히 당겨진 경우에는 좌측부와 같이 자기센서(79)와 거리를 두고 위치하게되고, 연결줄(20)이 장력을 잃고 쳐지게 되면 우측부와같이 자기센서(79)에 근접하여 위치하게 되므로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이후 동작은 위 실시예와 같이, 구동모터(51)가 감지신호에 의해 정지하게 되므로 연결줄(20)의 꼬임이 방지되고, 구동모터(51)가 다시 수회 역회전하여 빨래 걸이요소(10)가 위로 상승하고 정지하므로 장애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연결줄(20)이 장력을 잃고 쳐지는 경우 이를 직접 감지하거나, 연결줄(20)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53) 및 감지롤러(53a)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감지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는 빨래 걸이요소(10)가 하강할 때에 하부에 장애물이 있어 정상적으로 하강하지 못하고 연결줄(20)이 쳐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한 것이므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감지하기 위한 센서도 위에 예시한 광센서, 자기센서와 같은 근접센서 이외에 다른 형태의 센서, 그리고 각종 엔코더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는 빨래 걸이요소가 하강하는 도중에 빨래 걸이요소가 하부의 장애물에 걸림에 따라 연결줄이 정상적인 텐션을 잃고 늘어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빨래 걸이요소가 하강되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 연결줄이 꼬이거나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연결줄이 늘어지는 상황에서 구동모터를 정지시킨 후, 구동모터를 수회(2∼3회) 역회전시켜 빨래 걸이요소를 상승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애물을 쉽게 치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빨래 걸이요소의 무단 정지에 의한 연결줄의 꼬임 및 엉킴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게 사용 취급할 수 있고, 기기의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애프터서비스의 빈도를 줄여 판매 관리에 따른 업무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구동모터(51)와, 상기 구동모터(51)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권취용 보빈(52)과, 상기 보빈(52)에 권회되는 연결줄(20)과, 상기 연결줄(20)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53)와, 빨래를 널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봉(12)을 상기 연결줄(20)에 연결하여 형성되는 빨래 걸이요소(10)로 구성되는 통상의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빨래 걸이요소(10)가 장애물에 걸려 하강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연결줄(20)이 장력을 잃고 늘어지는 때에 상기 연결줄(20)의 늘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장력 감지장치(70)와, 상기 장력 감지장치(70)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이 추가된 구동모터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 제어부(100)는 하강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51)를 정회전시키는 단계(S210)와, 상기 장력 감지장치(70)의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이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51)를 일시 정지시키는 단계(S230)와, 이어서 상기 구동모터(51)를 2∼3회 정도 역회전시키는 단계(S240)를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감지장치(70)는 상기 보빈(52)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5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모터(51)가 고정되는 지지체(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감지구(71)와, 상기 지지체(40)의 일측부와 상기 감지구(71)의 일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구(71)의 중간부(71a)가 상기 연결줄(20) 위에 접촉되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72)과, 상기 연결줄(20)이 늘어짐에 의해 감지구(71)가 회전하는 때에 감지구(71)의 감지단(71c)에 의해 접속되는 마이크로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감지장치(70)는 상기 보빈(52)과 양쪽 가이드롤러(53) 사이에 브래키트(74)가 설치되고, 이 브래키트(74)의 양쪽 지지간(74a)에 형성된 장공(74b)에 감지봉(75)이 상기 연결줄(20)의 위에 위치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감지봉(75)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줄(20)에 탄력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스프링(72)이 연결되고, 상기 브래키트(74)의 중간부에는 상기 감지봉(75)에 의해 접속되는 마이크로 리미트스위치가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감지장치(70)는 상기 보빈(52)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양쪽 가이드롤러(53)에 고정되는 감지판(76),(78)과, 이 감지판(76)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감지장치(70)는 상기 보빈(52)과 양쪽 가이드롤러(53) 사이에 설치된 감지롤러(53a)와, 이들 감지롤러(53a)에 고정되는 감지판(76),(78)과, 이 감지판(76)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판(76)에는 다수개의 통공(76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광센서(7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판(78)에는 다수개의 철편(78a)이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고, 상기 센서는 자기센서(7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감지장치(70)는 상기 연결줄(20)이 통과하는 통로에 광센서(77)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감지장치(70)는 상기 연결줄(20)에 강철선을 이용하고, 이 연결줄(20)이 통과하는 통로에 자기센서(79)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구(71)는 금속선을 절곡하여 중간부(71a)의 양측에 축부(71b),(71d)가 구비되고, 일측 축부(71b)에는 감지단(71c)이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감지구(71)는 그의 중간부(71a)가 연결줄(20) 위에 접촉되도록 그 양측 축부(71b),(71d)가 상기 지지체(40)의 양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체(40)의 일측판에 고정된 걸고리(72a)와 상기 타측 축부(71b) 사이에 스프링(72)이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KR10-2001-0083261A 2001-12-22 2001-12-22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KR100438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261A KR100438023B1 (ko) 2001-12-22 2001-12-22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261A KR100438023B1 (ko) 2001-12-22 2001-12-22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026U Division KR200274950Y1 (ko) 2002-02-07 2002-02-07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194A true KR20030053194A (ko) 2003-06-28
KR100438023B1 KR100438023B1 (ko) 2004-07-02

Family

ID=2957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261A KR100438023B1 (ko) 2001-12-22 2001-12-22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0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462B1 (ko) * 2002-09-27 2004-12-29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세탁물건조대의 구동장치
CN106436216A (zh) * 2016-10-26 2017-02-22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电动晾衣机
CN110219146A (zh) * 2019-06-27 2019-09-10 安徽立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衣架升降机构及其智能衣架系统
CN113737481A (zh) * 2021-08-25 2021-12-03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遇阻检测系统及晾衣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1268B2 (ja) * 1989-07-27 1998-07-02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有価証券類精算システム
JP3165335B2 (ja) * 1994-10-14 2001-05-14 松下電工株式会社 物干し装置
JP3475813B2 (ja) * 1998-10-28 2003-12-10 松下電工株式会社 昇降物干し装置
KR200239524Y1 (ko) * 2001-04-09 2001-10-11 김지연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462B1 (ko) * 2002-09-27 2004-12-29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세탁물건조대의 구동장치
CN106436216A (zh) * 2016-10-26 2017-02-22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电动晾衣机
CN110219146A (zh) * 2019-06-27 2019-09-10 安徽立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衣架升降机构及其智能衣架系统
CN113737481A (zh) * 2021-08-25 2021-12-03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遇阻检测系统及晾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8023B1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968B1 (ko) 자동승강식 건조장치
KR100438023B1 (ko)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KR200274950Y1 (ko)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JP3165335B2 (ja) 物干し装置
KR20100046635A (ko) 빨래 건조대
KR20110090130A (ko) 빨래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KR101178216B1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100371023B1 (ko) 천정 고정형 세탁물 건조대의 전동식 승강장치
KR100773868B1 (ko)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및 그 설치방법
CN202610596U (zh) 一种电动晾衣机
KR20160084123A (ko) 회전식 빨래 건조대
CN206256293U (zh) 电动晾衣机
KR200220049Y1 (ko) 천정 고정형 세탁물 건조대의 전동식 승강장치
JP509838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ケーブル吊手装置
KR20180000314U (ko) 야외형 이불건조대
KR100992158B1 (ko) 세탁물걸이 봉이 삽입된 전동식세탁물 건조대
KR200397022Y1 (ko) 텐션에 의한 안전감지장치의 보호구조를 갖는 전동식빨래건조대
KR200350789Y1 (ko)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JP6467210B2 (ja) 物干し装置
KR200350788Y1 (ko) 볼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KR100631330B1 (ko) 천장 설치형 세탁물 건조대 장치
JPH11128593A (ja) 天井吊り下げ式物干し
KR200460081Y1 (ko) 옷걸이대
KR200468161Y1 (ko)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안전장치
KR200324647Y1 (ko) 베란다 설치용 세탁물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326

Effective date: 200810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326

Effective date: 20090107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