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790B1 -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790B1
KR101460790B1 KR1020140020620A KR20140020620A KR101460790B1 KR 101460790 B1 KR101460790 B1 KR 101460790B1 KR 1020140020620 A KR1020140020620 A KR 1020140020620A KR 20140020620 A KR20140020620 A KR 20140020620A KR 101460790 B1 KR101460790 B1 KR 101460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vertical
locking
pipe
street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티스
Priority to KR102014002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32Hook and loop-type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의 상부에 가로등주 암의 수직관을 삽입하는 과정만을 통해 가로등주 암을 지주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지주의 상부에서 가로등주 암의 수직관을 일부만 뽑았다가 회전시킨 다음, 다시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가로등주 암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세워지고 상부가 개방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수직 연결관과 수직 연결관의 측부에 돌출되고 단부에는 램프가 구비되는 암으로 구성되는 가로등주 암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내부 상부에 고정되고 중앙에 수직 조립홀이 형성되는 고정관과; 상기 수직 연결관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의 중앙이 상기 고정관에 삽입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수단의 하향 누름을 통해 상기 가로등주 암을 회전되지 않게 고정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ARM ANGLE REGULATING APPARATUS OF STREET LIGHT}
본 발명은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의 상부에 가로등주 암의 수직관을 삽입하는 과정만을 통해 가로등주 암을 지주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지주의 상부에서 가로등주 암의 수직관을 일부만 뽑았다가 회전시킨 다음, 다시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가로등주 암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street light)이라 함은 가로 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조명시설이다. 그리고, 가로등은 도로가나 어린이 공원이나 놀이터 등에 야간에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가로등은 지면에 하부가 다수의 기초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부에 측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돌출 단부에는 램프가 구비되는 가로등주 암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로등을 지면에 세워 고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지주의 상부에서 돌출된 돌출 단부의 위치를 조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76090호의"각도조절용 가로등의 제작방법"(이하, "종래의 각도조절용 가로등의 제작방법"이라 한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각도조절용 가로등의 제작방법은 가로등주 암과 상부지주가 연결되는 부위에 각도조절 볼트홈과 각도조절홈을 형성하여 상부지주의 상부에 가로등주 암의 하부를 결합하는 경우 가로등주 암의 조절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각도조절용 가로등의 제작방법은 볼트들의 체결을 통해 상부지주의 상부에 가로등주 암을 고정함으로써, 볼트들의 체결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음은 물론, 볼트들을 일일이 체결해야 함에 따라 가로등의 시공시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76090호의"각도조절용 가로등의 제작방법"(2010.08.1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의 상부에 가로등주 암의 수직관을 삽입하는 과정만을 통해 가로등주 암을 지주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지주의 상부에서 가로등주 암의 수직관을 일부만 뽑았다가 회전시킨 다음, 다시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가로등주 암의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관의 둘레에 지주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관에 걸리는 걸림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가로등주 암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로등주 암의 삽입 수직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록킹수단을 구성하는 관통볼을 삽입함으로써 가로등주 암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로등주 암의 수직관의 상부에 크레인의 후크가 걸리는 고리를 구비함으로써 가로등주 암을 지상에서 좀 더 용이하게 상부로 인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는, 지면에 세워지고 상부가 개방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수직 연결관과 수직 연결관의 측부에 돌출되고 단부에는 램프가 구비되는 암으로 구성되는 가로등주 암을 포함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내부 상부에 고정되고 중앙에 수직 조립홀이 형성되는 고정관과; 상기 수직 연결관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의 중앙이 상기 고정관에 삽입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수단의 하향 누름을 통해 상기 가로등주 암을 회전되지 않게 고정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수직 연결관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중앙에 전선 관통홀이 형성되는 판형상의 누름 원형판과, 상기 누름 원형판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조립홀에 삽입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록킹홀이 형성되는 수직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의 상기 삽입 수직관은, 삽입 수직관의 일측에 하부가 개방된 두 개의 수직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고 하부의 외측에는 상기 고정관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걸림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의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고정관의 둘레에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혀 있게 형성되는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의 중간에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록킹홀에 삽입되는 록킹볼이 장착되는 수평홀과, 상기 수직홈에 상부로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연결수단의 하향 누름을 통해 상기 록킹볼을 상기 록킹홀들 중 하나에 삽입시키는 록킹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의 상기 록킹 작동부는, 상기 수직홈의 하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직홈에 삽입되고 상부가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며 하부에는 상기 록킹볼의 후진 공간을 제공하여 록킹볼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하단이 뾰족한 원뿔부가 형성되는 승강 작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의 상기 수직 연결관의 상부에는 크레인의 후크가 걸리는 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주의 상부에 가로등주 암의 수직관을 삽입하는 과정만을 통해 가로등주 암을 지주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로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주의 상부에서 가로등주 암의 수직관을 일부만 뽑았다가 회전시킨 다음, 다시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가로등주 암의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함에 따라, 가로등의 시공 과정에서 가도등 암의 설치 각도를 신속하게 조정함으로써 가로등의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관의 둘레에 지주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관에 걸리는 걸림 탄성부재를 형성함에 따라, 가로등주 암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외부에서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가로등주 암이 지주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등주 암의 삽입 수직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록킹수단을 구성하는 관통볼을 삽입함에 따라, 가로등주 암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등주 암의 수직관의 상부에 크레인의 후크가 걸리는 고리를 구비함에 따라, 가로등주 암을 지상에서 좀 더 용이하게 인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로등의 시공 시간을 좀 더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정장치가 구비된 가로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정장치가 구비된 가로등을 나타내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 암 각도 조정장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조립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c는 가로등주 암의 일부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정장치가 구비된 가로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정장치가 구비된 가로등을 나타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는 지면에 세워지고 상부가 개방된 지주(1)와, 상기 지주(1)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수직 연결관(21)과 수직 연결관(21)의 측부에 돌출되고 단부에는 램프(221)가 구비되는 암(22)으로 구성되는 가로등주 암(2)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는 상기 지주(1)의 내부 상부에 고정되고 중앙에 수직 조립홀(31)이 형성되는 고정관(3)과,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의 중앙이 상기 고정관(3)에 삽입되는 연결수단(4)과, 상기 고정관(3)의 내부에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수단(4)의 하향 누름을 통해 상기 가로등주 암(2)을 회전되지 않게 고정하는 록킹수단(5)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관(3)은 지주(1)의 내부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관(3)은 지주(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수단(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관(3)의 상면에 밀착되고 고정관(3)의 수직 조립홀(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조립홀(31)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중앙에 전선 관통홀(411)이 형성되는 판형상의 누름 원형판(41)과, 상기 누름 원형판(41)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조립홀(31)에 삽입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록킹홀(421)이 형성되는 삽입 수직관(4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 수직관(42)의 일측에는 가로등주 암(2)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두 개의 수직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고 하부의 외측에는 상기 고정관(3)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423)이 형성되는 걸림 탄성부재(422)가 더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상부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주 암(2)을 지상에서 좀 더 용이하게 인상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의 후크가 걸리는 고리(21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록킹수단(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의 상부에 가로등주 암(2)의 삽입 수직관(42)을 삽입하는 과정만을 통해 가로등주 암(2)을 지주(1)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관(3)의 둘레에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혀 있게 형성되는 수직홈(51)과, 상기 수직홈(51)의 중간에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록킹홀(421)에 삽입되는 록킹볼(53)이 장착되는 수평홀(52)과, 상기 수직홈(51)에 상부로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연결수단(4)의 하향 누름을 통해 상기 록킹볼(53)을 상기 록킹홀(421)들 중 하나에 삽입시키는 록킹 작동부(5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록킹 작동부(54)는, 가로등주 암(2)의 삽입 수직관(42)에 형성되는 록킹홀(421)에 상기 록킹볼(53)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홈(51)의 하부에 삽입되는 스프링(541)과, 상기 수직홈(51)에 삽입되고 상부가 스프링(541)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며 하부에는 상기 록킹볼(53)의 후진 공간을 제공하여 록킹볼(53)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하단이 뾰족한 원뿔부(543)가 형성되는 승강 작동축(54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정장치를 통해 가로등을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 암 각도 조정장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조립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c는 가로등주 암의 일부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로등주 암(2)을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지주(1)를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한다. 그리고, 가로등주 암(2)을 크레인으로 인상시켜 하강 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기 가로등주 암(2)의 수직 연결관(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 수직관(42)을 상기 지주(1)에 고정된 고정관(3)의 수직 조립홀(31)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하부에 구비된 누름 원형판(41)이 상기 고정관(3)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 작동축(542)을 하부로 눌러주게 됨으로써, 승강 작동축(542)의 외주면이 상기 수평홀(52)에 장착된 록킹볼(53)에 밀착되어 록킹볼(53)을 내측으로 전진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측으로 전진된 록킹볼(53)은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록킹홀(421)들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서, 가로등주 암(2)이 지주(1)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지주(1)의 상부에 가로등주 암(2)의 삽입 수직관(42)을 삽입하는 과정만을 통해 가로등주 암(2)을 지주(1)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로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주(1)의 상부에 가로등주 암(2)이 조립되어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등주 암(2)의 설치 각도를 변경시킬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지주(1)의 상부에 조립된 가로등주 암(2)을 크레인을 통해 다시 인상함으로써 가로등주 암(2)의 삽입 수직관(42)을 고정관(3)의 수직 조립홀(31)로부터 일부만 뽑아낸다.
그러면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하부에 구비된 누름 원형판(41)이 상기 고정관(3)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됨으로써, 고정관(3)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 작동축(542)의 상부가 스프링(541)의 탄발력으로 인하여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작동축(542)이 상부로 돌출되는 과정에서는 승강 작동축(542)의 하부에 위치되는 원뿔부(543)가 상승됨으로써 원뿔부(543)의 둘레 공간으로 상기 록킹볼(53)이 후퇴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록킹볼(53)이 후퇴됨에 따라, 록킹볼(53)이 상기 삽입 수직관(42)의 록킹홀(421)로부터 이탈된다.
다음 가로등주 암(2)을 작업자가 원하는 회전시켜 각도를 맞춘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통해 가로등주 암(2)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가로등주 암(2)의 삽입 수직관(42)을 상기 지주(1)에 고정된 고정관(3)의 수직 조립홀(31)에 다시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하부에 구비된 누름 원형판(41)이 상기 고정관(3)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 작동축(542)을 하부로 눌러주게 됨으로써, 승강 작동축(542)의 외주면이 상기 수평홀(52)에 장착된 록킹볼(53)에 밀착되어 록킹볼(53)을 내측으로 전진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측으로 전진된 록킹볼(53)은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록킹홀(421)들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서, 가로등주 암(2)이 지주(1)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의 상부에서 가로등주 암(2)의 삽입 수직관(42)을 일부만 뽑았다가 가로등주 암(2)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다음, 가로등주 암(2)의 삽입 수직관(42)을 다시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가로등주 암(2)의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지주
2 : 가로등주 암
21 : 수직 연결관
211 : 고리
22 : 암
221 : 램프
3 : 고정관
31 : 수직 조립홀
4 : 연결수단
41 : 누름 원형판
411 : 전선 관통홀
42 : 삽입 수직관
421 : 록킹홀, 422 : 걸림 탄성부재, 423 : 걸림턱
5 : 록킹수단
51 : 수직홈
52 : 수평홀
53 : 록킹볼
54 : 록킹 작동부
541 : 스프링, 542 : 승강 작동축, 543 : 원뿔부

Claims (6)

  1. 지면에 세워지고 상부가 개방된 지주(1)와, 상기 지주(1)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수직 연결관(21)과 수직 연결관(21)의 측부에 돌출되고 단부에는 램프(221)가 구비되는 암(22)으로 구성되는 가로등주 암(2)을 포함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1)의 내부 상부에 고정되고 중앙에 수직 조립홀(31)이 형성되는 고정관(3)과;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의 중앙이 상기 고정관(3)에 삽입되는 연결수단(4)과;
    상기 고정관(3)의 내부에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수단(4)의 하향 누름을 통해 상기 가로등주 암(2)을 회전되지 않게 고정하는 록킹수단(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은,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중앙에 전선 관통홀(411)이 형성되는 판형상의 누름 원형판(41)과,
    상기 누름 원형판(41)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조립홀(31)에 삽입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록킹홀(421)이 형성되는 삽입 수직관(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수직관(42)은,
    삽입 수직관의 일측에 하부가 개방된 두 개의 수직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고 하부의 외측에는 상기 고정관(3)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423)이 형성되는 걸림 탄성부재(42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5)은,
    상기 고정관(3)의 둘레에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혀 있게 형성되는 수직홈(51)과,
    상기 수직홈(51)의 중간에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록킹홀(421)에 삽입되는 록킹볼(53)이 장착되는 수평홀(52)과,
    상기 수직홈(51)에 상부로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연결수단(4)의 하향 누름을 통해 상기 록킹볼(53)을 상기 록킹홀(421)들 중 하나에 삽입시키는 록킹 작동부(5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작동부(54)는,
    상기 수직홈(51)의 하부에 삽입되는 스프링(541)과,
    상기 수직홈(51)에 삽입되고 상부가 스프링(541)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며 하부에는 상기 록킹볼(53)의 후진 공간을 제공하여 록킹볼(53)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하단이 뾰족한 원뿔부(543)가 형성되는 승강 작동축(5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상부에는 크레인의 후크가 걸리는 고리(21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20140020620A 2014-02-21 2014-02-21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46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620A KR101460790B1 (ko) 2014-02-21 2014-02-21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620A KR101460790B1 (ko) 2014-02-21 2014-02-21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790B1 true KR101460790B1 (ko) 2014-11-14

Family

ID=5229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620A KR101460790B1 (ko) 2014-02-21 2014-02-21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7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0314A1 (en) * 2017-09-22 2019-03-27 ZG Lighting France S. A. Luminaire
KR20190082432A (ko) * 2017-12-31 2019-07-10 강원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절장치
KR102260764B1 (ko) * 2019-12-31 2021-06-07 강원 보강 등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974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자동차용 클러치 조작 기구의 2단 록킹 구조
KR100985715B1 (ko) * 2009-05-06 2010-10-06 주식회사 신한빛 각도조절용 가로등
KR101061477B1 (ko) * 2011-04-15 2011-09-02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가로등 지주대
KR101152150B1 (ko) * 2011-12-16 2012-06-15 (주) 닛시트로닉스 가로등지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974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자동차용 클러치 조작 기구의 2단 록킹 구조
KR100985715B1 (ko) * 2009-05-06 2010-10-06 주식회사 신한빛 각도조절용 가로등
KR101061477B1 (ko) * 2011-04-15 2011-09-02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가로등 지주대
KR101152150B1 (ko) * 2011-12-16 2012-06-15 (주) 닛시트로닉스 가로등지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0314A1 (en) * 2017-09-22 2019-03-27 ZG Lighting France S. A. Luminaire
KR20190082432A (ko) * 2017-12-31 2019-07-10 강원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절장치
KR102040251B1 (ko) 2017-12-31 2019-11-05 주식회사 인테로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절장치
KR102260764B1 (ko) * 2019-12-31 2021-06-07 강원 보강 등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8035B2 (en) Anchor foundation mechanism with ease of fixing and increased fixing force for post
KR101460790B1 (ko)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686577B1 (ko) 맨홀뚜껑 결합체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밸브실
US20070029459A1 (en) Outdoor lighting assembly
KR10197959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용 지주
US20120326001A1 (en) Base structure
KR101049893B1 (ko) 내풍압성이 우수한 가로등
KR101919217B1 (ko) 광전지 리셉터클
KR200480825Y1 (ko) 조사각도의 변화가 용이한 가로등용 연결수단
KR101689851B1 (ko) 경사도 조절형 우수용 맨홀커버
KR200472572Y1 (ko) Cctv용 카메라 거치대
CN108951888B (zh) 装配式墙体连接装置及其连接方法
KR20120125071A (ko) 가로등 암대의 연결구조
KR101315835B1 (ko) 조립식 가로등 주
KR101882989B1 (ko) 회전방지형 가로등
KR20110129002A (ko) 가로등의 지주 결합구조
KR200454040Y1 (ko) 가로등용 배너걸이
KR20110013832A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101334792B1 (ko) 높낮이 조절형 맨홀뚜껑 시스템
KR20190082432A (ko)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절장치
KR102527853B1 (ko) 접이식 그늘막
KR200392252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램프 하우징
KR101428016B1 (ko)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기초 커버
KR200460418Y1 (ko)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KR200483684Y1 (ko) 천장등용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