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989B1 - 회전방지형 가로등 - Google Patents

회전방지형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989B1
KR101882989B1 KR1020160142972A KR20160142972A KR101882989B1 KR 101882989 B1 KR101882989 B1 KR 101882989B1 KR 1020160142972 A KR1020160142972 A KR 1020160142972A KR 20160142972 A KR20160142972 A KR 20160142972A KR 101882989 B1 KR101882989 B1 KR 101882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bolt
bolts
upper strut
socke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163A (ko
Inventor
윤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이앤씨
Priority to KR102016014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9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방지형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외면에 볼트(110)가 노출되게 형성된 하부지주(100)와; 하부지주(100)에 끼워져 하부지주(100)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지주(200)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310)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홈(320)을 갖추고서, 상부지주(20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볼트(210)에 의해 고정되는 소켓관(300)과; 하부지주(10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볼트(110)의 위치 및 상부지주(200)를 들어올렸을 때 볼트(110)와 연결홈(320)이 동일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부지주(200)의 설치각도 조절을 위해 상부지주(200)를 들어올렸을 때 하부지주(100)의 볼트(110)와 소켓관(300)의 연결홈(320)이 동일수평선상에 배치되는 위치를 하부지주(100)의 외면에 형성된 표시부(400)를 통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시행착오 없이 단번에 작업을 끝낼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노동부하를 경감하여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방지형 가로등{Street Light for preventing rotation}
본 발명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제조가 매우 편리하고, 외력에 의한 회전 방지 및 필요에 따라 설치각도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볼트 간의 상호 간섭을 미연에 확인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분리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회전방지형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광장, 공원 등을 조명하거나, 골목, 도로, 다리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방범용, 교통안전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도시 미관용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종래의 가로등 구조를 살펴보면, 베이스기둥의 상부에 상부기둥을 삽입한 뒤, 베이스기둥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볼트로 상부기둥을 고정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파이프기둥을 고정하는 볼트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로등 기둥의 흔들림으로 인해 조금씩 풀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상측의 파이프기둥이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4386호(가로등 기둥의 결합구조)가 있다.
도 7은 상기 종래 기술 1의 대표도로서, 베이스기둥(2a)의 상단부에 소직경의 설치부(11)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하나 이상의 홈(11a)이 설치부(11)에 형성되고, 빗물을 베이스기둥(2a)의 외측 둘레면으로 안내하는 캡(12)이 파이프기둥(2b)의 하측 둘레면에 밀봉결합되며, 베이스기둥(2a)의 설치부(11)의 홈(11a)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12a)가 캡(12)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베이스기둥(2a)과 파이프기둥(2b)의 상호 결합시 베이스기둥(11)의 홈(11a)에 파이프기둥(2b)에 설치된 캡(12)의 삽입부(12a)가 결합됨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이프기둥(2b)이 회전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 1은 베이스기둥(2a)의 상면에 홈(11a)을 형성하는 방식이므로 제조가 쉽지 않고, 이에 따라 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베이스기둥(2a)의 상면에 홈(11a)을 형성하게 되면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해져 외력이 파이프기둥(2b)에 작용할 경우 뒤틀림 응력이 홈(11a)에 집중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파이프가 찢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앞선 종래기술 1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5962호(가로등 지주 체결구조)가 있다.
도 8은 상기 종래기술 2의 대표도로서, 하부지주(320)의 상부에 숫 소켓 부(321)가 형성되고, 상부 지주(330)의 하부에 암 소켓 부(331)가 형성되며, 숫 소켓 부(321)와 암 소켓 부(331)의 결합에 의해서 하부 지주(320)와 상부 지주(330)가 체결되되, 숫 소켓 부(321)의 외주 면에는 종 방향으로 다수의 삽입 홈(321a)이 형성되고, 삽입 홈(321a)에 끼워지도록 암 소켓 부(331)의 내주 면에는 돌기(332)가 형성되고, 삽입 홈(321a)에 돌기(332)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하부지주(320)에 상부지주(330)가 체결되는 가로등의 지주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홈(321a)들 사이에는 삽입 홈(321a)들을 횡으로 연결하는 연결 홈(322)이 형성되며, 연결 홈(322)에 의해서 돌기(332)가 인접하고 있는 삽입 홈(321a)으로 이동 가능하고, 돌기(332)의 이동에 의해서 상부 지주(330)의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부지주(3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상부지주(330)의 설치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 2는 하부지주(320)에 숫소켓부(321)를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나 그 비용이 매우 비싸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지주(320)의 내부에 돌기(332)를 형성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다.
게다가, 상기 숫소켓부(321)를 중공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한쪽만 고정하게 되면 한쪽만 고정된 부분으로 뒤틀림 응력이 집중됨에 따라 변형 및 파손이 쉽게 일어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4386호(가로등 기둥의 결합구조)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5962호(가로등 지주 체결구조)
본 발명은 제조가 매우 편리하고, 외력에 의한 회전 방지 및 필요에 따라 설치각도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볼트 간의 상호 간섭을 미연에 확인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분리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회전방지형 가로등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부 외면에 볼트가 노출되게 형성된 하부지주와;
하부지주에 끼워져 하부지주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지주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홈을 갖추고서, 상부지주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볼트에 의해 상부지주에 고정되는 소켓관과;
하부지주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볼트의 위치 및 상부지주를 들어올렸을 때 볼트와 연결홈이 동일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및 소켓관으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제조 및 조립이 쉽고, 설치가 매우 편리하며, 손상시 해당 부재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켓관의 삽입홈에 하부지주의 볼트가 배치됨에 따라 외력이 상부지주에 작용하더라도 하부지주를 중심으로 상부지주가 회전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특정위치에서 상부지주가 하부지주에 형성된 볼트의 간섭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소켓관에 연결홈을 형성해 줌으로서 하부지주를 중심으로 상부지주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하부지주로부터 상부지주의 분리작업시 하부지주의 외면에 형성된 표시부를 통해 볼트들 간의 상호 간섭 여부를 미연에 확인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분리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상부지주의 설치각도 조절을 위해 상부지주를 들어올렸을 때 볼트와 연결홈이 동일수평선상에 배치되는 위치를 하부지주의 외면에 형성된 표시부를 통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시행착오 없이 단번에 작업을 끝낼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노동부하를 경감하여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형 가로등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형 가로등의 A 부분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형 가로등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과 도 8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형 가로등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형 가로등의 A 부분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형 가로등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가로등은,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 소켓관(300) 및 표시부(4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제조가 매우 편리하고, 외력에 의한 회전 방지 및 필요에 따라 설치각도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볼트 간의 상호 간섭을 미연에 확인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분리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지주(100)는 지면에 세워지는 기둥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지주(200)를 떠받쳐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부지주(100)의 상단부 둘레(외주)면에는 볼트(110)가 상호 대향되게 체결되며, 볼트(110)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어 소켓관(300)의 삽입홈(310)에 인입된다.
상기 상부지주(200)는 램프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부지주(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지주(200)의 하단부 둘레에는 볼트(21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이 구멍은 소켓관(300)에 형성되는 구멍과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구멍의 경우 볼트(21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켓관(300)은 스플라인형상의 요철모양의 단면을 갖는 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부지주(200)의 하부를 통해 내측으로 끼워져 상부지주(200)와 함께 볼트(210)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상부지주(200)와 소켓관(300)을 고정하는 볼트(210)의 단부는 소켓관(300)을 관통해 소켓관(3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소켓관(300)의 둘레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부(310)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횡(수평)방향으로 연결홈(3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310)에 하부지주(100)의 볼트(110)가 배치되면 소켓관(300)은 볼트(11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지만, 연결홈(320)에 볼트(110)가 배치되면 소켓관(300)은 볼트(110)와 간섭되지 않아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310)를 통해 상부지주(200)의 회전을 제한하고, 연결홈(320)을 통해 상부지주(200)의 회전각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 예로서, 상기 하부지주(100)에 상부지주(200)를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 하부지주(100)의 외부로 노출된 볼트(110)의 위치를 작업자가 유관으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상부지주(200)의 볼트(210)와 하부지주(100)의 볼트(110) 간의 간섭을 피해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부지주(100)로부터 상부지주(200)를 분리시키고 할 경우 하부지주(100)의 볼트(110)가 상부지주(200)에 결합된 소켓관(300)의 내부에 은닉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를 전혀 알 수가 없으며, 특히 하부지주(100)의 볼트(110)와 상부지주(200)의 볼트(210)가 동일수직선상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볼트(110,210) 간의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하부지주(100)로부터 상부지주(200)를 분리할 수 없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하부지주(100)의 볼트(110)와 소켓관(330)의 연결홈(320)을 동일수평선상으로 맞춰 준 상태에서 하부지주(100)의 볼트(110)와 상부지주(200)의 볼트(210)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위치까지 상부지주(200)를 회전시켜 준 다음 상부지주(200)를 뽑으면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간단한 방법에도 불구하고, 작업자는 상부지주(200)를 얼마만큼 들어 올려야 하부지주(100)의 볼트(110)와 소켓관(300)의 연결홈(320)이 동일수평선상에 배치되는지를 감각 및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작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해 작업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며, 이에 따라 노동부하의 가중으로 인해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부지주(100)의 외면에 표시부(400)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소하였다는 점을 주목해 주기 바란다.
상기 표시부(400)는 하부지주(100)의 볼트(110)에 위치 및 상부지주(200)를 들어올렸을 때 볼트(110)와 연결홈(320)이 동일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 놓은 수단이다.
상기 표시부(400)는 페인트, 색상(야광)테이프 등과 같은 것일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실시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지주(100)로부터 상부지주(200)를 분리시키고 할 경우에는 하부지주(100)의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표시부(400)까지 상부지주(200)를 들어올려 주게 되면, 비록 하부지주(100)의 볼트(110)가 상부지주(200)에 결합된 소켓관(300)의 내부에 은닉되어 있더라도 하부지주(100)의 볼트(110)와 소켓관(330)의 연결홈(320)이 동일수평선상으로 맞춰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지주(100)의 볼트(110)와 소켓관(330)의 연결홈(320)이 동일수평선상으로 맞춘 상태에서 하부지주(100)의 볼트(110)와 상부지주(200)의 볼트(210)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위치까지 상부지주(200)를 회전시켜 준 다음 상부지주(200)를 뽑으면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 및 소켓관(300)으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제조 및 조립이 쉽고, 설치가 매우 편리하며, 손상시 해당 부재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소켓관(300)의 삽입홈(310)에 하부지주(100)의 볼트(110)가 배치됨에 따라 외력이 상부지주(200)에 작용하더라도 하부지주(100)를 중심으로 상부지주(200)가 회전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특정위치에서 상부지주(200)와 일체형을 이루는 소켓관(300)이 하부지주(100)에 형성된 볼트(110)와 간섭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소켓관(300)에 연결홈(320)을 형성해 줌으로서 하부지주(100)를 중심으로 상부지주(200)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하부지주(100)로부터 상부지주(200)의 분리작업시 하부지주(100)의 외면에 형성된 표시부(400)를 통해 볼트(110,210)들 간의 상호 간섭 여부를 미연에 확인할 수 있어 시행착오 없이 쉽고 간편하게 분리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부지주(200)의 설치각도 조절을 위해 상부지주(200)를 들어올렸을 때 하부지주(100)의 볼트(110)와 소켓관(300)의 연결홈(320)이 동일수평선상에 배치되는 위치를 하부지주(100)의 외면에 형성된 표시부(400)를 통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시행착오 없이 단번에 작업을 끝낼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노동부하를 경감하여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하부지주 110: 볼트 200: 상부지주
210: 볼트 300: 소켓관 310: 삽입부
320: 연결홈 400: 표시부

Claims (1)

  1. 상단부 외주면에 볼트(110)가 노출되게 체결된 하부지주(100)와;
    하부지주(100)에 끼워져 하부지주(100)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지주(200)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310)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홈(320)을 갖추고서, 상부지주(20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볼트(210)에 의해 상부지주(200)에 고정되는 소켓관(300)과;
    하부지주(10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볼트(110)의 위치 및 상부지주(200)를 들어올렸을 때 볼트(110)와 연결홈(320)이 동일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지형 가로등.
KR1020160142972A 2016-10-31 2016-10-31 회전방지형 가로등 KR101882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72A KR101882989B1 (ko) 2016-10-31 2016-10-31 회전방지형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72A KR101882989B1 (ko) 2016-10-31 2016-10-31 회전방지형 가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63A KR20180047163A (ko) 2018-05-10
KR101882989B1 true KR101882989B1 (ko) 2018-07-27

Family

ID=6218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972A KR101882989B1 (ko) 2016-10-31 2016-10-31 회전방지형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64B1 (ko) * 2019-12-31 2021-06-07 강원 보강 등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839U (ko) * 2022-11-15 2022-12-02 지용길 등기구에 대한 안전 등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523Y1 (ko) 2006-08-22 2006-11-10 이성형 가로등주의 연결구조
KR100795962B1 (ko) * 2007-05-14 2008-01-21 김인태 가로등의 지주 체결구조
KR200477565Y1 (ko) 2014-11-28 2015-06-25 구경회 가로등용 폴대의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327A (ja) * 1993-03-08 1994-09-13 Nippon Steel Corp 継ぎ式鋼管柱
JPH06257325A (ja) * 1993-03-08 1994-09-13 Nippon Steel Corp 継ぎ式鋼管柱及びそれに用いる短尺鋼管
KR200424386Y1 (ko) 2006-06-08 2006-08-22 장경자 가로등 기둥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523Y1 (ko) 2006-08-22 2006-11-10 이성형 가로등주의 연결구조
KR100795962B1 (ko) * 2007-05-14 2008-01-21 김인태 가로등의 지주 체결구조
KR200477565Y1 (ko) 2014-11-28 2015-06-25 구경회 가로등용 폴대의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64B1 (ko) * 2019-12-31 2021-06-07 강원 보강 등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63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1882989B1 (ko) 회전방지형 가로등
KR100754908B1 (ko) 가로등
KR100795962B1 (ko) 가로등의 지주 체결구조
CN102647873A (zh) 用于非平面安装的led显示屏框架及led显示装置
KR101387362B1 (ko) 다단 구조의 신호등 또는 가로등에 적용되는 조립형 지주
KR200473516Y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연결구조
KR101254484B1 (ko) 미관이 개선되는 신호등주용 아암
KR100876949B1 (ko)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100759836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101087985B1 (ko) 아암 지주와 폴대지주의 조립성, 직선도 개선과 제조 생산성을 개선한 림 타입 유니언을 갖는 가로등주
KR20140023062A (ko) 조립식 가로등주
KR200392021Y1 (ko) 신축성 가로등주
KR102033681B1 (ko) 방폭 라이팅 지주
KR20110129002A (ko) 가로등의 지주 결합구조
KR200436760Y1 (ko) 가로등 지주
KR20110013832A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JPH08138421A (ja) 屋外用昇降式照明器具
KR101053452B1 (ko) 신호표시등 고정대
KR100872914B1 (ko) 가로등 회전 방지장치
KR20210000630U (ko) 가로등 지주 고정장치
KR20160033889A (ko) 가로등
KR200216697Y1 (ko) 가로등 설치용 구조물
CN218599620U (zh) 灯臂连接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