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062A - 조립식 가로등주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로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062A
KR20140023062A KR1020120089618A KR20120089618A KR20140023062A KR 20140023062 A KR20140023062 A KR 20140023062A KR 1020120089618 A KR1020120089618 A KR 1020120089618A KR 20120089618 A KR20120089618 A KR 20120089618A KR 20140023062 A KR20140023062 A KR 20140023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fastening hole
street lamp
lower portion
str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미선
Original Assignee
디지엘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지엘시스템(주) filed Critical 디지엘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2008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3062A/ko
Publication of KR2014002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removable without tools, e.g. of stud-and-sock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100)는, 지면으로부터 설치된 앵커볼트에 너트(N)로 체결고정되며, 외측둘레에 체결공(111)이 형성된 관삽입부(112)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의 관삽입부(112)에 하부가 안내 설치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121)이 형성된 중공의 제1기둥(120)과, 상기 제1기둥(12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 지지되는 제1연결관체(130)와, 상기 제1연결관체(13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141)이 형성된 중공의 제2기둥(140)과, 상기 제2기둥(14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 지지되는 제2연결관체(150)와, 상기 제2연결관체(15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161)이 형성된 중공의 제3기둥(160)과, 상기 제3기둥(160)의 상부 막음 설치와 함께 가로등 램프가 설치되는 아암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마감재(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가로등주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개별적인 제작으로서 차량으로부터 다량의 적재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에서의 조립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제1기둥, 제2기둥 및 제3기둥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가로등을 시설할 수 있음은 물론, 훼손된 기둥만을 별도로 해체하고 새로운 기둥으로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가로등주{A fabricated street light pole}
본 발명은 조립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가로등주를 개선하여 현장에 맞게 요구하는 길이로 용이하게 다단으로 설치함은 물론, 훼손에 따른 각부분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조립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도로 및 공원, 골목길 등에 시설되며, 시설되는 장소에 맞게 그 길이 또한 각기 다르게 설치된다.
통상 가로등의 기둥인 가로등주는 스틸 또는 스텐레스 소재로 1단 또는 2단으로 용접하여 5 내지 10미터의 길이에 이르기까지 제작되며, 가로등주(10)의 하부에는 받침부(11)가 용접되고, 상부에는 가로등 아암(12)이 용접 설치되며, 아암의 단부에는 가로등 램프(13)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가로등주의 내부에는 가로등 램프와 전기적으로 전력공급을 위한 안정기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가로등주(1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각진 형태로 제작되는바, 대부분 가로등 전문 제작장소에서 제작되어 검사가 이루어지고 현장까지 대형 차량으로 운반이 이루어져 현장 설치를 하고 있다.
따라서 길이가 길게 제작된 가로등일수록 많은 개수의 가로등을 실어 운반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며, 차량으로부터 가로등을 내려 해당위치에 세워 시설하는데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즉, 가로등이 설치되는 바닥으로부터 이미 설치된 앵커볼트에 맞추어 가로등을 세운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너트의 체결이 이루어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로등주의 상부로부터 분기된 가로등 아암은 가로등주에 용접되어 완제품으로 출하되는 점에서 가로등 램프의 가로등의 운반에 애로사항이 따르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가로등은 차량의 충돌사고로 인해 가로등주가 훼손되면 전체적으로 가로등을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로등주를 개선하여 현장에 맞게 요구하는 길이로 용이하게 다단으로 설치함은 물론, 각 부분의 훼손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조립식 가로등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등주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주는, 지면으로부터 설치된 앵커볼트에 너트로 체결고정되며, 외측둘레에 체결공이 형성된 관삽입부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관삽입부에 하부가 안내 설치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이 형성된 중공의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 지지되는 제1연결관체와, 상기 제1연결관체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이 형성된 중공의 제2기둥과, 상기 제2기둥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 지지되는 제2연결관체와, 상기 제2연결관체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이 형성된 중공의 제3기둥과, 상기 제3기둥의 상부 막음 설치와 함께 가로등 램프가 설치되는 아암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마감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기둥, 제2기둥 및 제3기둥의 내경에는 원주상으로 다수개의 조립홈이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연결관체 및 제2연결관체의 상,하부와 상기 상부마감재의 하부에는 각 기둥의 내경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삽입부의 외측둘레에는 조립돌부 및 각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는 각 기둥의 단부를 받치기 위한 받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로등주는 가로등주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개별적인 제작으로서 차량으로부터 다량의 적재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에서의 조립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제1기둥, 제2기둥 및 제3기둥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가로등을 시설할 수 있음은 물론, 훼손된 기둥만을 별도로 해체하고 새로운 기둥으로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가로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인 가로등주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의 받침대에 제1기둥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의 연결관체에 기둥이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의 조립에 의한 가로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100)는,
지면으로부터 설치된 앵커볼트에 너트(N)로 체결고정되며, 외측둘레에 체결공(111)이 형성된 관삽입부(112)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의 관삽입부(112)에 하부가 안내 설치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121)이 형성된 중공의 제1기둥(120)과, 상기 제1기둥(12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 지지되는 제1연결관체(130)와, 상기 제1연결관체(13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141)이 형성된 중공의 제2기둥(140)과, 상기 제2기둥(14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 지지되는 제2연결관체(150)와, 상기 제2연결관체(15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161)이 형성된 중공의 제3기둥(160)과, 상기 제3기둥(160)의 상부 막음 설치와 함께 가로등 램프가 설치되는 아암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마감재(1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기둥(120), 제2기둥(140) 및 제3기둥(160)의 내경에는 원주상으로 다수개의 조립홈(122)(142)(162)이 배열 형성된다.
상기 제1기둥(120), 제2기둥(140) 및 제3기둥(160)의 외측둘레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관체(130) 및 제2연결관체(150)의 상,하부와 상기 상부마감재(170)의 하부에는 각 기둥의 내경에 삽입되는 삽입부(132)(152)(172)가 형성되고, 삽입부(132)(152)(172)의 외측둘레에는 조립돌부(132a)(152a)(172a) 및 각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32b)(152b)(172b)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32)(152)(172)의 일측에는 각 기둥의 단부를 받치기 위한 받침턱(132c)(152c)(172c)이 형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S는 체결나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조립식 가로등주의 조립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10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기존의 가로등주와 같이 일체형으로 용접되어 제작되는 방식과는 달리 현장 조립형으로 차량을 통한 각 구성요소의 운반이 용이하고, 대량 운반이 가능하며, 부분 운반과 현장에서의 부분 조립실시가 가능하다.
현장에 운반된 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가로등의 설치를 위해 설치된 앵카볼트(B)에 맞추어 받침대를 설치하기 이전 받침대는 먼저 제1기둥과 연결작업한다.
받침대(110)에 제1기둥(120)의 외경이 삽입된 상태에서 받침대의 외측으로부터 마련된 결합공을 통해 제1기둥측 체경공으로 보울트를 관통하고, 받침대의 내측에서 너ㅊ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받침대(110)와 제1기둥(120)을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제1기둥(120)이 설치된 상태의 받침대(110)의 바닥면에 마련된 장공을 통해 너트(N)의 체결로서 받침대(110)를 지면에 고정시켜 준다. 이는 가로등을 세워 고정할 수 있는 부분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110)가 조립된 상태에서 현장에서는 제1기둥(120)의 상부로부터 제2기둥(140) 및 제3기둥(160)을 다음과 같이 조립한다.
먼저, 받침대와 함께 설치된 제1기둥(120)에는 제2기둥(140), 제3기둥(160)의 조립은 제1연결관체(130)로서 제1기둥(120)과 제2기둥(140)을 연결 조합하고, 제2연결관체(150)로서 제2기둥(140)과 제3기둥(160)을 연결 조합하는 형태로 가로등주(100)를 조합한다.
상기 제1연결관체(130)의 상부와 하부에 마련된 삽입부(132)의 조립돌부(132a)에 제1기둥(120)의 내경에 형성된 조립홈(122)을 일치시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은 제1기둥(120)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체결공(121)과 상기 삽입부(132)에 형성된 체결공(132b)이 상호 일치되는 상태로서 준비된 체결나사(S)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연결한다.
상기 제1연결관체(130)의 반대측 삽입부(132)에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기둥의 내경을 위치시켜 조립돌부(132a)와 제2기둥(140)측 조립홈(14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공(132b)에 각각 체결나사(S)를 체결하여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제1기둥(120)과 제2기둥(140)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2연결관체(150)의 삽입부(152)를 제2기둥(140)의 단부 내경이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돌부(152a)와 조립홈(152)을 일치시켜 조합하고, 체결공(141)과 체결공(142b)을 통해 체결나사(S)를 체결하여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제2연결관체(150) 상부측 삽입부(152)에 형성된 조립돌부(152a)에는 제3기둥(160)의 내경측 조립홈(162)를 일치시키고, 제3기둥(160)의 체결공(161)를 통해 삽입부(152)측 체결공(152b)에 체결나사(S)를 체결하여 제3기둥(160)을 연장 조합한다.
한편, 상기 제3기둥(160)의 상부가 되는 단부에는 상부마감재(170)의 삽입부(172)를 제3기둥(160)의 내경에 형성된 조립홈(162)과 일치시켜 삽입한 다음 제3기둥(160)의 체결공(161)를 통해 삽입부(172)측 체결공(172b)에 체결나사(S)를 체결하여 상부마감재(170)를 조합한다.
상기와 같이 제2연결관체, 제2연결관체, 상부마감재와 제1기둥, 제2기둥, 제3기둥이 연속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며, 이때 제1연결관체, 제2연결관체 상부마감재의 받침턱은 제1기둥, 제2기둥, 제3기둥을 지지하는 형태로 조합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는 상기 상부마감재(170)의 받침턱 사이에 마련된 힌지부재에는 가로등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아암 지지봉을 연결 설치하고, 제2연결관체의 받침턱 사이에는 가로등 아암을 연결 설치하는 연결수단이 모두 설치된 상태에서 현장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가로등주 및 가로등 아암, 램프가 조립된 상태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가로등주를 지면으로부터 설치된 받침대의 관 삽입부에 제1기둥의 하부를 삽입한 다음 그 외측둘레서 체결공을 통해 체결나사로서 제1기둥을 고정함으로써 가로등의 설치를 완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는 차량의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조립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제1기둥, 제2기둥 및 제3기둥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가로등을 시설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충돌로 인해 훼손된 기둥만을 별도로 해체하고 새로운 기둥으로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100: 가로등주 110: 받침대
120: 제1기둥 130: 제1연결관체
140: 제2기둥 150: 제2연결관체
160: 제3기둥 170: 상부마감재

Claims (3)

  1. 가로등주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주(100)는,
    지면으로부터 설치된 앵커볼트에 너트(N)로 체결고정되며, 외측둘레에 체결공(111)이 형성된 관삽입부(112)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의 관삽입부(112)에 하부가 안내 설치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121)이 형성된 중공의 제1기둥(120)과,
    상기 제1기둥(12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 지지되는 제1연결관체(130)와,
    상기 제1연결관체(13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141)이 형성된 중공의 제2기둥(140)과,
    상기 제2기둥(14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 지지되는 제2연결관체(150)와,
    상기 제2연결관체(15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되며,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체결공(161)이 형성된 중공의 제3기둥(160)과,
    상기 제3기둥(160)의 상부 막음 설치와 함께 가로등 램프가 설치되는 아암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마감재(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로등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120), 제2기둥(140) 및 제3기둥(160)의 내경에는 원주상으로 다수개의 조립홈(122)(142)(162)이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로등주.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체(130) 및 제2연결관체(150)의 상,하부와 상기 상부마감재(170)의 하부에는 각 기둥의 내경에 삽입되는 삽입부(132)(152)(172)가 형성되고, 삽입부(132)(152)(172)의 외측둘레에는 조립돌부(132a)(152a)(172a) 및 각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32b)(152b)(172b)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32)(152)(172)의 일측에는 각 기둥의 단부를 받치기 위한 받침턱(132c)(152c)(17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로등주.
KR1020120089618A 2012-08-16 2012-08-16 조립식 가로등주 KR20140023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618A KR20140023062A (ko) 2012-08-16 2012-08-16 조립식 가로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618A KR20140023062A (ko) 2012-08-16 2012-08-16 조립식 가로등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062A true KR20140023062A (ko) 2014-02-26

Family

ID=5026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618A KR20140023062A (ko) 2012-08-16 2012-08-16 조립식 가로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30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7647A (zh) * 2016-01-21 2016-04-20 国网山东省电力公司冠县供电公司 一种高压输电线路杆塔防外力破坏保护装置
KR20190044222A (ko) * 2017-10-20 2019-04-30 이남현 도로표지판용 조립식지주
CN111927185A (zh) * 2020-08-20 2020-11-13 长春建筑学院 一种应急电力通讯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7647A (zh) * 2016-01-21 2016-04-20 国网山东省电力公司冠县供电公司 一种高压输电线路杆塔防外力破坏保护装置
KR20190044222A (ko) * 2017-10-20 2019-04-30 이남현 도로표지판용 조립식지주
CN111927185A (zh) * 2020-08-20 2020-11-13 长春建筑学院 一种应急电力通讯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031B1 (ko) 가로 시설물 설치대
CN102444204B (zh) 可延长跨度距离及降低顶棚高度的支撑梁结构体及其安装方法
KR100754908B1 (ko) 가로등
KR20140023062A (ko) 조립식 가로등주
KR101137602B1 (ko)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KR100976095B1 (ko) 각도조절용 가로등
KR200430523Y1 (ko) 가로등주의 연결구조
KR101187573B1 (ko) 조립성, 정밀성 및 구조강성을 개선한 연결구를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KR101399157B1 (ko) 태양전지 가로등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200420241Y1 (ko) 가로등 받침 베이스
KR101474736B1 (ko) 가로등의 기둥 고정장치
KR101087985B1 (ko) 아암 지주와 폴대지주의 조립성, 직선도 개선과 제조 생산성을 개선한 림 타입 유니언을 갖는 가로등주
KR101882989B1 (ko) 회전방지형 가로등
KR101292793B1 (ko) 가로등용 아암 연결구
KR20100104104A (ko) 지지 구조물
KR101910949B1 (ko) 조명타워의 사각 기둥 시공방법
KR20130140311A (ko) 리브없는 구조의 신호등 지주장치
KR100976096B1 (ko) 각도조절용 가로등의 제작방법
KR200390139Y1 (ko) 휀스
KR200470917Y1 (ko)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KR20050037270A (ko)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KR100962318B1 (ko) 조립식 가로등주 부품용 일체형 지주받침대
KR200432962Y1 (ko) 조명기구용 지주
KR102106063B1 (ko) 가로등 지주의 암 회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729

Effective date: 201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