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452B1 - 신호표시등 고정대 - Google Patents

신호표시등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452B1
KR101053452B1 KR1020080094185A KR20080094185A KR101053452B1 KR 101053452 B1 KR101053452 B1 KR 101053452B1 KR 1020080094185 A KR1020080094185 A KR 1020080094185A KR 20080094185 A KR20080094185 A KR 20080094185A KR 101053452 B1 KR101053452 B1 KR 101053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upport
insertion hole
boss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934A (ko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넉스
Priority to KR102008009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452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84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post or p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6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flashing, e.g. with rotating reflector or light source
    • F21S10/06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flashing, e.g. with rotating reflector or light source for providing a rotating light effect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표시등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신호표시등이 설치될 장비의 상단면 혹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호표시등의 지주가 삽입되는 수납부를 갖는 회동체와; 스프링을 통해 상기 회동체를 상기 고정체에 탄성적으로 축고정하는 축고정부재와; 상기 지주가 관통되어 지지되고, 상기 수납부에 체결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신호표시등 고정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장비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내부 중앙에서 돌출된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체는 상기 지지구에 조립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 끼워지는 삽입공과, 상기 결합구의 상면 일부에 일체로 고정된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고정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삽입공의 선단에 걸림됨과 동시에 상기 보스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후단이 걸림되고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에 체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표시등 고정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비를 조립, 설치, 이송할 때 장애물과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신호표시등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고, 또한 작업의 편의성이 확보되며,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신호표시등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공간적 제약을 덜 받게되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신호표시등, 경광등, 간섭, 장애물, 회전

Description

신호표시등 고정대{SUPPORTER FOR SIGNAL DISPLAY LIGHT}
본 발명은 신호표시등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회전이 용이토록 하여 신호표시등이 설치된 장비의 이송시 주변 시설물과의 간섭을 배제함으로써 이송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신호표시등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표시등은 경광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명 싸인 타워(Sign Tower)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신호표시등은 산업전반에 사용되는 각종 기계, 장치, 자동화 설비 등에 설치되어 작업별 상태를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됨은 물론 필요한 경우 지하철, 터널 등에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이와 같은 신호표시등은 내부에 일반 전구 혹은 LED와 같은 광원을 구비하고, 그 외부에 보통 적, 녹, 청 혹은 적, 녹, 황 등의 색깔을 갖는 캡을 씌워 각종 기계, 장치, 자동화설비 등의 동작시 위험 여부를 알리거나 혹은 작업상태를 표시하거나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하는 반사판을 구비하여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빛을 외부로 반사시켜 시인성을 더욱 높이고 있는 경우도 있다.
특히, 시인성 향상을 위해 이들 신호표시등은 기계, 장치, 자동화 설비와 같은 장비의 가장 윗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상기 신호표시등이 고정되는 방식은 상기 신호표시등의 하단인 봉상의 지주를 장비에 고정된 브라켓에 끼운 후 스크류와 너트로 직접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고정(마운트)용 사출물을 장비에 고정한 다음 이 사출물에 신호표시등의 지주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고정방식은 신호표시등이 장비의 상부에 수직상태로 설치고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장비를 조립, 해체하거나 이송시켜야 할 경우 그에 따른 일련의 작업시 공간적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신호표시등이 시인성 향상을 위해 대부분 장비의 상단에 설치되는 관계로 장비의 조립이나 이송시 주변 시설물과의 간섭이 발생되고, 심할 경우 신호표시등의 파손이나 손상의 문제가 발생되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등에 선적하거나 포장할 때 많은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358802호(2002.12.13) "표시등의 취부구조 및 표시등 지주 유니트"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신호표시등의 지주가 끼워지는 프레임을 마련하고, 이 프레임을 기단부에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필요시마다 이 볼트를 해체하는 것에 의해 신호표시등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장비의 조립, 설치나 이송시 간섭을 최소화하고 이송의 편의성을 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신호표시등이 장애물과 간섭될 때 매번 볼트를 풀고 조이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하였듯이, 신호표시등이 대부분 장비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볼트를 풀거나 조이기 위해 작업자가 장비 상단까지 올라가서 일정시간 동안 머물면서 작업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위험하기도 하는 등 많은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장비에 설치된 신호표시등의 조립, 해체, 이송 등과 관련되어 장애물과 간섭될 때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간단히 당기고 돌리는 것만으로도 신호표시등을 자유롭게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장애물과의 간섭을 제거하고, 그에 따라 신호표시등의 파손이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호표시등 고정대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신호표시등이 설치될 장비의 상단면 혹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호표시등의 지주가 삽입되는 수납부를 갖는 회동체와; 스프링을 통해 상기 회동체를 상기 고정체에 탄성적으로 축고정하는 축고정부재와; 상기 지주가 관통되어 지지되고, 상기 수납부에 체결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신호표시등 고정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장비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내부 중앙에서 돌출된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체는 상기 지지구에 조립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 끼워지는 삽입공과, 상기 결합구의 상면 일부에 일체로 고정된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고정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삽입공의 선단에 걸림됨과 동시에 상기 보스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후단이 걸림되고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에 체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표시등 고정대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지지구의 내면에는 상기 보스를 중심으로 동일 반경내에 일정각도를 두고 다수의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의 내면에는 상기 키홈에 키결합되는 키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키홈과 키의 테두리는 모따기 된 것이 더욱 좋다.
아울러, 상기 키홈은 90°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키홈과 키는 원형 또는 다각형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결합구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구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구의 외면과 단차를 두고 2~3mm 돌출된 끼움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캡 내부에는 신호표시등의 지주가 갖는 직경에 대응되게 규격화되어 상기 지주를 유동없이 고정지지하는 부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표시등 고정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장비를 조립, 설치, 이송할 때 장애물과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신호표시등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된다.
둘째, 장비를 조립, 설치, 이송할 때 장애물과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성이 확보된다.
셋째, 신호표시등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장비의 조립, 설치, 이송시 공간적 제약을 덜 받게 된다.
넷째, 작업자가 간단히 당기고 회전시키는 동작만에 의해서도 장애물과의 간섭을 배제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표시등 고정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표시등 고정대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기준으로 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표시등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표시등 고정대는 고정체(100)와, 상기 고정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동체(200)와, 도 4에 도시된 신호표시등(500)의 지주(510)를 상기 회동체(200)에 견고히 고정하도록 상기 회동체(200)의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고정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구성중 먼저, 고정체(100)는 장비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지지구(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대략 사각블럭 형상의 부재로서 네모서리 상면에 일정깊이의 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홈(112)에는 고정공(114)이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호형상으로 하향 만곡진 안내홈(116)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공(114)은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공이 될 수도 있고,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공이 될 수도 있는 바, 그 체결 수단에 따라 달리 지칭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장비에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116)은 상기 회동체(200)의 조립 및 회전동작시 원활한 조립성과 회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구(120)는 일측면이 개방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쪽을 향해 내부 중앙에는 보스(Boss)(122)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보스(122)는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하여 상기 회동체(200)가 이를 회전축으로 하여 원활하게 회전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상기 회동체(200)가 완전히 끼워질 수 있도록 회동체(20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구(120)의 내면에는 상기 보스(122)를 중심으로 동일반경내에 일정각도를 두고 서로 떨어져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키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키홈(124)은 후술될 키(Key)(212)가 삽입되어 키고정되게 유도하는 홈으로서 회동체(200)를 회전시킨 후 그 회전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상기 키홈(124)은 도시된 예와 같이, 90°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되도록 하여 180°회전될 수 있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키홈(124)의 갯수를 늘리거나 서로간의 이격 간격, 즉 각도를 달리하여 신 호표시등(500)의 좌,우 회전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키홈(124)의 내테두리는 모따기를 실시하여 키홈(124)을 향해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키(214)가 상기 키홈(124)에 삽입될 때에 보다 더 원활한 삽입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도시된 예에 따른 상기 키홈(124)은 그 형상이 사각형으로 개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하여, 도 1의 도시상 정중앙의 키홈(124)에 키(214)가 삽입된 상태로 회동체(200)가 고정체(100)에 조립되게 되면 도 2 및 도 3과 같은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회동체(200)는 상기 지지구(1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이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수납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210)의 선단에는 단차를 두고 끼움부(216)가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부(216)는 상기 지지구(120)의 개방된 면을 통해 지지구(120)에 끼워지는 부위임과 동시에 추후 상기 회동체(200), 즉 상기 결합구(21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구(120)로부터 일정거리 후퇴 이격시킬 때 일종의 가이드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끼움부(216)는 2~3mm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하여 외관품위 향상과 함께 구조적 안정성을 갖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210)의 내부 중앙에는 삽입공(2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212)은 상기 보스(122)가 끼워져 이를 중심으로 상기 결합구(2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상기 삽입공(212)을 중심으로 상기 키홈(124)이 형성된 반경과 동일 반경중 어느 지점에는 키(214)가 형성되며, 상기 키(214)는 상기 결합구(210)가 상기 지지구(120)에 조립될 때 키홈(124)에 삽입될 수 있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키(214)도 그 선단 외테두리를 따라 모따기되게 구성하여 상기 키홈(124)에 삽입시 원활한 결합이 유도되도록 형성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납부(220)의 경우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여기에는 상기 신호표시등(500)의 하단에 구비된 지주(510)가 끼워진다.
다시 말해, 상기 지주(510)는 그 일부가 상기 수납부(220)에 삽입됨으로써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캡(30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캡(300)은 상기 수납부(220)의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주(5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관통공(31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주(510)는 신호표시등(500)의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직경을 갖게 되는데, 예컨대 40~60mm의 직경을 갖는 A타입과, 80mm의 직경을 갖는 B타입이 있을 경우 상기 관통공(310)은 가장 큰 규격인 B타입에 맞게 가공됨이 바람직하고, 그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A타입의 지주(510)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별도 의 보강부재가 요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는 부쉬(Bush) 형태가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캡(300) 내부에서 쉽게 분리될 수 없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510)가 여기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고정캡(300)을 상기 수납부(220)에 체결함으로써 직경이 작은 A타입과 같은 지주(510)들도 흔들리지 않고 견실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체(200)는 축고정부재(400)에 의해 상기 고정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축고정부재(40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10), 고정링(420), 와셔(430) 및 고정구(44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410)은 상기 회동체(200)를 구성하는 결합구(210)의 삽입공(212)에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고정체(100)를 구성하는 지지구(120)의 보스(122)에도 끼워지는 형태를 가져야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410)의 선단은 상기 결합구(210)의 삽입공(212) 선단에 걸림되는 형태로 배치되어야 하며, 후단은 상기 고정링(420)에 걸림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링(420)이 스프링(410)을 지지한 채로 상기 삽입공(212)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구(440)가 상기 보스(12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스프링(410)이 상기 결합구(210)에 탄성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링(420)은 좌,우 양단이 요입되게 형성하여 스프링(410) 및 고정구(440)가 완전히 삽입되게 함으로써 외관상 미려함도 함께 달성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구(440)는 볼트 혹은 스크류가 될 수 있으며, 유동에 의한 풀림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와셔(430)를 개재시킴이 더욱 바람직하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100)와 회동체(2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되도록 하여 미적 외관은 물론 가볍고 강한 내구성을 갖도록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고정체(100)를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110)이 볼트나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장비의 상단면 혹은 측면에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회동체(200)를 구성하는 결합구(210)가 고정체(100)를 구성하는 지지구(120)에 조립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210)는 그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212)이 상기 지지구(120)에 형성된 보스(122)에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되게 되고, 동시에 결합구(210)의 선단, 즉 상기 지지구(120)의 개방면을 향한 선단에 형성된 끼움부(216)가 상기 지지구(120)의 테두리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이어 삽입공(212) 속으로 스프링(410)을 끼워 넣되, 상기 보스(122)에 끼워지는 형태로 끼워 넣고, 스프링(410)의 선단이 삽입공(212)의 선단에 걸림되게 배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링(420)을 삽입공(212)에 삽입함과 동시에 스프링(410)의 후단이 상기 고정링(420)에 걸림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이를 관통하여 와셔(430)의 개재하에 고정구(440)를 보스(122)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결합구(210)는 상기 지지구(120)에 탄성 고정되게 된다.
이후, 회동체(200)를 구성하는 수납부(220)에 신호표시등(500)의 지주(510)를 삽입하고, 고정캡(300)을 수납부(220)에 체결하게 되면 신호표시등(500)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주(510)의 설치시 먼저 상기 고정캡(300)을 상기 지주(510)에 끼운 다음 지주(510)의 하단을 수납부(220)에 끼우고, 이어 상기 고정캡(300)을 수납부(220)에 체결하는 순서로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설치된 신호표시등(500)이 장비의 조립, 설치 혹은 이송시 주변 시설물, 즉 장애물과 간섭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작업자는 신호표시등(500)을 분리할 필요없이 간단히 회동체(200)를 구성하는 결합구(210)를 잡고 당기게 된다.
그러면,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던 스프링(410)이 압축되면서 결합구(210)가 지지구(12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210)는 상기 지지구(1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결합구(210)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부(216)의 길이 범위내에서 분리되게 되고, 그 순간 키홈(124)에 끼워 고정되어 있던 키(214)가 상기 키홈(124)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신호표시등(500)은 상기 회동체(200)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장애물과 간섭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체(200)를 회전시켜 도 4에 예시된 형태로 신호표시등(500)을 젖히게 된다.
이후, 당겼던 결합구(210)를 놓게 되면 스프링(41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결합구(210)는 다시 지지구(120)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키(214)는 대응위치에 구비된 키홈(124) 속으로 삽입되어 키결합됨으로써 회전된 회동체(200)는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장애요인이 되었던 간섭현상이 제거됨으로써 작업자는 장비의 이송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표시등 고정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표시등 고정대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를 기준으로 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표시등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고정체 110....베이스프레임
120....지지구 200....회동체
210....결합구 220....수납부
300....고정캡 310....관통공
400....축고정부재 500....신호표시등
510....지주

Claims (8)

  1. 삭제
  2. 신호표시등이 설치될 장비의 상단면 혹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호표시등의 지주가 삽입되는 수납부를 갖는 회동체와; 스프링을 통해 상기 회동체를 상기 고정체에 탄성적으로 축고정하는 축고정부재와; 상기 지주가 관통되어 지지되고, 상기 수납부에 체결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신호표시등 고정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장비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내부 중앙에서 돌출된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체는 상기 지지구에 조립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 끼워지는 삽입공과, 상기 결합구의 상면 일부에 일체로 고정된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고정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삽입공의 선단에 걸림됨과 동시에 상기 보스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후단이 걸림되고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에 체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표시등 고정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내면에는 상기 보스를 중심으로 동일 반경내에 일정각도를 두고 다수의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의 내면에는 상기 키홈에 키결합되는 키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표시등 고정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과 키의 테두리는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표시등 고정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은 90°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표시등 고정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과 키는 원형 또는 다각형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표시등 고정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구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구의 외면과 단차를 두고 2~3mm 돌출된 끼움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표시등 고정대.
  8. 삭제
KR1020080094185A 2008-09-25 2008-09-25 신호표시등 고정대 KR101053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185A KR101053452B1 (ko) 2008-09-25 2008-09-25 신호표시등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185A KR101053452B1 (ko) 2008-09-25 2008-09-25 신호표시등 고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934A KR20100034934A (ko) 2010-04-02
KR101053452B1 true KR101053452B1 (ko) 2011-08-03

Family

ID=4221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185A KR101053452B1 (ko) 2008-09-25 2008-09-25 신호표시등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4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014B1 (ko) * 2013-06-04 2015-07-24 이원재 시그널 타워램프 지지대
KR102182144B1 (ko) * 2019-08-06 2020-11-23 신장공업 주식회사 조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636Y1 (ko) * 2001-08-13 2001-12-13 강경식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보호장치
KR100483800B1 (ko) * 2002-09-12 2005-04-20 주식회사 우진종합건축사사무소 가드레일부착용 도로표지판
KR100633557B1 (ko) * 2004-01-27 2006-10-13 서윤산업주식회사 도로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표지판의 풍하중 대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636Y1 (ko) * 2001-08-13 2001-12-13 강경식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보호장치
KR100483800B1 (ko) * 2002-09-12 2005-04-20 주식회사 우진종합건축사사무소 가드레일부착용 도로표지판
KR100633557B1 (ko) * 2004-01-27 2006-10-13 서윤산업주식회사 도로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표지판의 풍하중 대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014B1 (ko) * 2013-06-04 2015-07-24 이원재 시그널 타워램프 지지대
KR102182144B1 (ko) * 2019-08-06 2020-11-23 신장공업 주식회사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934A (ko)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8308B2 (en) Display screen
KR101053452B1 (ko) 신호표시등 고정대
CN105952740A (zh) 锁扣件及快速拆装吊装用连接锁扣结构
US20150146389A1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5027672A1 (zh) 一种采掘机导向螺杆紧固冲击架往复冲击采掘部
CN102829446B (zh) 灯具安装结构及照明装置
US8783918B2 (en) Easily maintainable lamp connection device
CN103452977B (zh) 连接装置
EP3514037B1 (en) Threaded interface buffer provided with anti-rotation structures
KR101882989B1 (ko) 회전방지형 가로등
CN102678703B (zh) 护栏转动接头组件及护栏
JP4640283B2 (ja) 屋外用照明装置
KR20130060818A (ko) 일체형 시그널 타워램프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200436760Y1 (ko) 가로등 지주
KR20110013832A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20210056144A (ko) 분리형 붐 조립체 결합구조
KR101560567B1 (ko) 가로등 지주용 연결 고정구
CN216202816U (zh) 一种用于圆柱面的灯具固定结构和灯具装置
CN104110607B (zh) 具有简易安装支架的灯具组件
CN108590345B (zh) 锁壳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JP2010080132A (ja) ポール灯
KR200448675Y1 (ko) 안전펜스
CN216530224U (zh) 一种悬垂线夹用穿销工具
US11846409B2 (en) Field configurable flagpole truck system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