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889A - 가로등 - Google Patents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889A
KR20160033889A KR1020140124650A KR20140124650A KR20160033889A KR 20160033889 A KR20160033889 A KR 20160033889A KR 1020140124650 A KR1020140124650 A KR 1020140124650A KR 20140124650 A KR20140124650 A KR 20140124650A KR 20160033889 A KR20160033889 A KR 20160033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trut
support
bracke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김대준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김대영
(주)보광이엔텍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영, (주)보광이엔텍, 김윤호 filed Critical 김대영
Priority to KR102014012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3889A/ko
Publication of KR20160033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주와, 하부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지주와, 상부지주에 결합되며, 단부에 램프유닛이 설치되는 지지암과, 상부지주 또는 하부지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지주 및 상부지주의 결합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실링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은 하부지주와 상부지주의 결합부분에 설치된 실링유닛에 의해 하부지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어 안정기 등 전기기기가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행인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로등{Road lamp}
본 발명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지주 내에 설치된 안정기의 누전 발생을 방지하는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 및 인도의 양측을 따라 세워지는 가로등은 지면에 세워지고, 상호 결합된 복수의 등주의 상부에 램프가 장착된 구조이다.
주로 램프로 사용되는 형광등이나 수은등과 같은 방전등은 아크방전에 의한 발광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전등은 아크방전을 일으킬 때 램프의 전압을 그대로 인가하게 되면 부하특성에 의해 전류가 계속 증가하므로 전류를 안정시키기 위한 안정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안정기는 등주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로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등주의 최하부로부터 약 30~40cm 높이에 걸어 고정한 안정기는 인입선 및 인출선을 연결하고, 다시 안정기로부터 램프로 선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분들을 고무 또는 비닐 재질의 절연재로 테이핑 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기 때문에 완전한 방수처리가 되지 못하는 것이다.
안정기는 등주의 내부에 있기는 하지만 등주 자체가 빗물 차단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둥 속으로 떨어지는 빗물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우천시 가로등에 설치된 안정기가 누전되는 실정이다. 더구나 우수로 인해 누전된 상태에서 가로등 근처를 지나는 행인이 감전되는 안전상의 더 큰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80186호 : 가로등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천 시에 지주의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아 누전을 방지하고, 행인을 보호할 수 있는 가로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은 지지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에 결합되며, 단부에 램프유닛이 설치되는 지지암과, 상기 상부지주 또는 하부지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주 및 상부지주의 결합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실링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지주는 상방이 개방된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유닛은 상기 하부지주의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지주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시 상기 하부지주의 상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스커트부재가 마련된 실링체와, 상기 실링체를 상기 하부지주 및 상부지주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스커트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하부지주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지주, 상부지주 및 본체에 관통되게 삽입되며, 양단면에 각각 체결홀이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이 상기 하부지주, 상부지주 및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들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볼트를 구비한다.
상기 실링유닛은 상기 상부지주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지주의 하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오링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지주의 내주면 사이에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커트부재 하측의 상기 본체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2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지주는 상방이 개방된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유닛은 상기 하부지주의 삽입구에 삽입되되, 외주면이 상기 하부지주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지주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주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은 내주면이 상기 상부지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지주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실링체와, 상기 실링체를 상기 하부지주 및 상부지주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실링체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지주의 외주면 사이에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지주의 하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3오링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은 상기 지지암과 상부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지주에 대해 상기 지지암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상부지주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지지암이 고정된 회전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해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동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각도고정부는 상기 회전브라켓에,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동중심선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제1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동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구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호형의 가상선을 따라 연장된 제2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브라켓을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제1결합볼트를 구비한다.
상기 각도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구에 이격된 위치의 상기 고정브라켓에 보조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동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구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상기 회전브라켓에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구 및 결합구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제2결합볼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고정구는 상기 제1결합볼트가 상기 제1고정구에 결합시 상기 지지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동중심을 지나고, 상기 상부지주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이상, 소정의 제1각도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구 및 결합구는 상기 제2결합볼트가 결합시 상기 수평선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초과, 상기 제1각도 미만인 제2각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은 하부지주와 상부지주의 결합부분에 설치된 실링유닛에 의해 하부지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어 안정기 등 전기기기가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행인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로등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로등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가로등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가로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로등(100)은 하부지주(200)와, 상기 하부지주(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지주(300)와, 상기 상부지주(300)에 결합되며, 단부에 램프유닛(401)이 설치되는 지지암(400)과, 상기 하부지주(200) 또는 상부지주(300)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주(200) 및 상부지주(300)의 결합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실링유닛(500)을 구비한다. 상기 램프유닛(401)은 지지암(400)의 단부에 설치된 발광램프를 포함하는데, 램프유닛(401)은 일반적인 가로등(100)의 램프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지주(200)는 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에는 앵커볼트가 삽입될 체결공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의 하부에는 콘크리트 기초물의 상부의 지지면이 위치한다. 콘크리트 기초물에는 다수의 앵커볼트가 설치되어 등주의 플랜지와 체결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콘크리트 기초물의 중앙에는 파이프가 내설되며, 파이프를 통해 하부지주(200) 외부에서 등주 내부로 인입되어 안정기, 램프 등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설치된다.
하부지주(200)는 내부에 안정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미도시)이 마련되며, 상부지주(300)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구(20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202)는 설치공간에 연통되며, 상부가 개방되되, 하부지주(20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주(200)는 도시된 원형 외에도 육각형, 팔각형 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하부지주(200)는 후술되는 실링유닛(500)의 고정부재(520)가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측 외주면에 복수의 제1관통구(2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관통구(201)들은 하부지주(2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위치의 하부지주(200)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지주(30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주(300)는 하단부가 상기 하부지주(200)의 삽입구(202)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202)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지주(300)는 하측 외주면에 상기 실링유닛(500)의 고정부재(520)가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관통구(3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관통구(301)들은 상부지주(3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위치의 상부지주(300)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암(400)은 일단이 상부지주(30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부지주(300)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지지암(400)의 타단부에는 램프유닛(401)이 설치되어 있다.
실링유닛(500)은 상부지주(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지주(200)의 삽입구(202)에 삽입되는 실링체(510)와, 상기 실링체(510)를 상부지주(300) 및 하부지주(2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20)와, 상부지주(300) 및 실링체(510)에 각각 설치되는 제1오링(530) 및 제2오링(540)을 구비한다.
실링체(510)는 상기 하부지주(200)의 삽입구(202)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지주(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마련된 본체(511)와, 상기 본체(51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511)가 상기 삽입구(202)에 삽입시 상기 하부지주(200)의 상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스커트부재(512)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511)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중공은 내주면이 상부지주(30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지주(3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511)는 상부 내주면에 제1오링(5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삽입홈(5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홈(513)은 본체(51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본체(511)의 하부 외주면에는 후술되는 고정부재(520)의 고정관(521)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3관통구(5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관통구(514)들은 본체(51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본체(511)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511)는 제3관통구(514)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외주면에 제2오링(5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삽입홈(5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삽입홈(515)은 본체(51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커트부재(512)는 본체(511)의 상부 외주면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스커트부재(512)는 상기 본체(511)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우수는 스커트부재(512)의 테이퍼진 외측면을 따라 하부지주(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된다.
또한, 스커트부재(512)는 하면에 하부지주(200)의 상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516)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516)은 하부지주(200)의 상단부에 대응되게 환형으로 연장되며, 스커트부재(512)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하부지주(200)의 상단부가 스커트부재(512)의 인입홈(516)으로 인입되므로 우수가 하부지주(200)의 삽입구(202)를 통해 설치공간으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부재(520)는 하부지주(200)의 제1관통구(201), 상부지주(300)의 제2관통구(301) 및 본체(511)의 제3관통구(514)에 삽입되며, 양단면에 각각 체결홀(523)이 형성된 고정관(521)과, 고정관(521)의 체결홀(523)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볼트(522)를 구비한다.
고정관(521)은 소정길이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체결홀(523)의 내주면에는 각각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볼트(522)는 제1관통구(201), 제2관통구(301) 및 제3관통구(514)에 고정관(521)이 삽입되며, 체결홀(523)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관(521)이 하부지주(200), 상부지주(300) 및 본체(5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오링(530)은 상부지주(3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부지주(3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관통홀이 중앙에 마련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오링(53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되며, 상부지주(300)가 본체(511)에 결합시 제1삽입홈(513)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제2오링(540)은 본체(511)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본체(511)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관통홀이 중앙에 마련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오링(54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되며, 본체(511)의 제2삽입홈(515)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오링(530) 및 제2오링(540)에 의해 상부지주(300)의 외주면과 본체(511)의 내주면 사이 및 본체(511)의 외주면과 하부지주(200)의 내주면 사이에 수밀이 유지되므로 우수가 하부지주(200) 및 상부지주(30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100)은 하부지주(200)와 상부지주(3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된 실링유닛(500)에 의해 하부지주(200)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어 안정기 등 전기기기가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행인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링유닛(6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지주(200)의 삽입구(202)에 삽입되며, 상부지주(300)에 결합되는 복수의 실링체(610)와, 상기 실링체(610)를 상기 하부지주(200) 및 상부지주(30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520)와, 상기 실링체(610)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지주(300)의 외주면 사이에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지주(300)의 하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3오링(630)을 구비한다.
실링체(610)는 외주면이 상기 하부지주(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지주(2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주(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은 내주면이 상기 상부지주(30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지주(3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링체(610)의 내주면에는 제3오링(6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3삽입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링체(610)는 고정부재(520)의 고정관(521)이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측 외주면에 복수의 제3관통구(5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관통구(514)들은 실링체(6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위치의 실링체(610)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실링체(610)들은 상부지주(300)의 하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520)는 하부지주(200), 상부지주(300) 및 실링체(610)의 제4관통구가 관통되게 삽입되며, 양단면에 각각 체결홀(523)이 형성된 고정관(521)과, 고정관(521)의 체결홀(523)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볼트(522)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관(521) 및 고정볼트(522)는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의 고정관(521) 및 고정볼트(52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오링(630)은 상부지주(3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부지주(3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관통홀이 중앙에 마련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오링(63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되며, 실링체(610)의 제3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실링체(610)는 복수개가 상부지주(300)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우수를 다단으로 차단하므로 실링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7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로등(700)은 상기 지지암(400)과 상부지주(3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지주(300)에 대해 상기 지지암(4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710)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각도조절유닛(710)은 상기 상부지주(3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720)과, 상기 고정브라켓(720)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지지암(400)이 고정된 회전브라켓(730)과, 상기 고정브라켓(720)에 대해 상기 회전브라켓(730)의 회동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740)를 구비한다. 이때, 상부지주(300)는 상방이 개방된 개방구(7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5관통구(70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브라켓(720)은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상부지주(300)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고정브라켓(720)은 메인플레이트(721)와, 상기 메인플레이트(721)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부지주(300)의 개방구(70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관(722)과, 상기 메인플레이트(721)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723)와, 상기 지지플레이트(723)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724)를 구비한다.
메인플레이트(72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삽입관(722)이 개방구(701)에 삽입시 상부지주(30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삽입관(722)은 메인플레이트(721)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며, 개방구(70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삽입관(722)은 제5관통구(702)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6관통구(72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지지플레이트(723)는 복수개가 메인플레이트(721)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72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메인플레이트(721)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724)는 지지플레이트(723)의 일측에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724)는 양단부가 각각 지지플레이트(723)들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지지플레이트(723)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한다.
고정유닛은 제5관통구(702) 및 제6관통구(725)에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볼트(71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삽입볼트(711)는 삽입관(722)의 제6관통구(725)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회전브라켓(73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723)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723)에 회전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브라켓(730)의 일측에는 지지암(400)이 고정된다. 이때, 지지암(400)은 길이방향 중심선이 회전브라켓(730)의 회동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회전브라켓(73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고정부(740)는 상기 회전브라켓(730)에, 상기 회전브라켓(730)의 회동중심선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제1고정구(74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720)은 상기 회전브라켓(730)의 회동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구(741)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호형의 가상선을 따라 연장된 제2고정구(7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구(742)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구(741)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브라켓(730)을 상기 고정브라켓(720)에 고정시키는 제1결합볼트(743)를 구비한다.
상기 제1고정구(741)는 복수개가 회전브라켓(730)의 회동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고정구(741)들은 지지암(4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고정구(741)는 제1결합볼트(743)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구(742)는 복수개가 회전브라켓(730)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2고정구(742)는 상기 제1결합볼트(743)가 상기 제1고정구(741)에 결합시 상기 지지암(4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회전브라켓(730)의 회동중심을 지나고, 상기 상부지주(300)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이상, 소정의 제1각도인 15°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2고정구(742)는 회전브라켓(730)의 회동중심을 중심으로 중심각이 15°이고, 상기 회동중심으로부터 제1고정구(741)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지름을 갖는 부채꼴의 원호에 대응되게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볼트(743)는 복수개가 각각 상기 제2고정구(742)를 관통하여 제1고정구(741)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볼트(743)는 상기 제1고정구(741)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와, 나사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2고정구(742)의 폭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를 구비한다.
한편, 각도고정부(740)는 상기 제2고정구(742)에 이격된 위치의 상기 고정브라켓(720)에 제1 및 제2보조구(744,747)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브라켓(730)의 회동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보조구(744,747)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상기 회전브라켓(730)에 제1 및 제2결합구(745,748)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구 및 결합구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제2결합볼트(746)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보조구(744) 및 제1결합구(745)는 상기 제2결합볼트(746)가 결합시 상기 수평선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초과, 상기 제1각도 미만의 제2각도인 5°가 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암(4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회전브라켓(730)의 회동중심을 지나고, 상기 상부지주(300)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5°가 될 때, 제1보조구(744) 및 제1결합구(745)는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보조구 및 제2결합구(748)는 상기 제2결합볼트(746)가 결합시 상기 수평선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초과, 상기 제1각도 미만인 10°가 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보조구(744) 및 제1결합구(745)에 제2결합볼트(746)가 삽입되면, 상기 지지암(4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회전브라켓(730)의 회동중심을 지나고, 상기 상부지주(300)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10°가 될 때, 제2보조구(747) 및 제2결합구(748)는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에는 상기 수직선과 수평선이 0°를 이루는 가로등(700)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상기 수직선과 수평선 15°를 이루는 가로등(7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작업자는 제2고정구(742)의 양단부에 제1고정구(741)가 위치하도록 회전브라켓(730)을 회전시킨 다음, 제1결합볼트(743)를 제1고정구(741)에 체결하여 수직선과 수평선이 0°또는 15°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는 상기 수직선과 수평선이 5°를 이루는 가로등(700)을 도시한 도면인데, 작업자는 제1보조구(744)와 제1결합구(745)과 상호 연통되도록 회전브라켓(730)을 회전시킨 다음, 제1보조구(744) 및 제1결합구(745)에 제2결합볼트(746)를 삽입하고, 다음으로 제1결합볼트(743)를 제1고정구(741)에 체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과 수평선이 5°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상기 수직선과 수평선이 10°를 이루는 가로등(700)을 도시한 도면인데, 작업자는 제2보조구(747)와 제2결합구(748)과 상호 연통되도록 회전브라켓(730)을 회전시킨 다음, 제2보조구(747) 및 제2결합구(748)에 제2결합볼트(746)를 삽입하고, 다음으로 제1결합볼트(743)를 제1고정구(741)에 체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과 수평선이 10°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유닛(710)에 의해 관리자는 용이하게 지지암(40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어 램프유닛(40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가로등
200: 하부지주
300: 상부지주
400: 지지암
500: 실링유닛
510: 실링체
511: 본체
512: 스커트부재
520: 고정부재
530: 제1오링
540: 제2오링

Claims (10)

  1. 지지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에 결합되며, 단부에 램프유닛이 설치되는 지지암과;
    상기 상부지주 또는 하부지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주 및 상부지주의 결합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실링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는 상방이 개방된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유닛은
    상기 하부지주의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지주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시 상기 하부지주의 상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스커트부재가 마련된 실링체와,
    상기 실링체를 상기 하부지주 및 상부지주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하부지주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지주, 상부지주 및 본체에 관통되게 삽입되며, 양단면에 각각 체결홀이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이 상기 하부지주, 상부지주 및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들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유닛은
    상기 상부지주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지주의 하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오링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지주의 내주면 사이에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커트부재 하측의 상기 본체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2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는 상방이 개방된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유닛은
    상기 하부지주의 삽입구에 삽입되되, 외주면이 상기 하부지주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지주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주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은 내주면이 상기 상부지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지주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실링체와,
    상기 실링체를 상기 하부지주 및 상부지주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실링체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지주의 외주면 사이에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지주의 하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3오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과 상부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지주에 대해 상기 지지암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상부지주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지지암이 고정된 회전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해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동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고정부는
    상기 회전브라켓에,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동중심선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제1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동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구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호형의 가상선을 따라 연장된 제2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브라켓을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제1결합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구에 이격된 위치의 상기 고정브라켓에 보조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동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구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상기 회전브라켓에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구 및 결합구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제2결합볼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고정구는 상기 제1결합볼트가 상기 제1고정구에 결합시 상기 지지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동중심을 지나고, 상기 상부지주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이상, 소정의 제1각도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구 및 결합구는 상기 제2결합볼트가 결합시 상기 수평선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초과, 상기 제1각도 미만인 제2각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KR1020140124650A 2014-09-18 2014-09-18 가로등 KR20160033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50A KR20160033889A (ko) 2014-09-18 2014-09-18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50A KR20160033889A (ko) 2014-09-18 2014-09-18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889A true KR20160033889A (ko) 2016-03-29

Family

ID=5566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650A KR20160033889A (ko) 2014-09-18 2014-09-18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38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568B1 (ko) * 2018-10-13 2020-04-1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절첩식 조명등기구 폴
KR20200041506A (ko) * 2018-10-12 2020-04-2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절첩식 조명등기구 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506A (ko) * 2018-10-12 2020-04-2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절첩식 조명등기구 폴
KR102101568B1 (ko) * 2018-10-13 2020-04-1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절첩식 조명등기구 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1236137B1 (ko) 가로등지주의 각도조절장치
KR101929218B1 (ko) 가로대의 처짐 방지구조와 신호등의 미세각도 정밀 조절구조 및 설치시공과 유지관리 작업성 그리고 절연 안전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종합폴
KR100963933B1 (ko) 가로등용 각도조절장치
KR101807991B1 (ko) 가로등용 지주의 방습구조.
KR100977723B1 (ko) 각도 조절형 가로등
KR101112030B1 (ko) 가로등 및 그 설치방법
KR100907078B1 (ko) 옥외 조명시설용 등주의 결합구조
KR20160033889A (ko) 가로등
KR100985715B1 (ko) 각도조절용 가로등
KR20170125648A (ko) 착탈이 용이한 가로등 지주
KR100754900B1 (ko) 가로등
KR102040251B1 (ko)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절장치
KR100637394B1 (ko) 보안등 조립체
KR20120125071A (ko) 가로등 암대의 연결구조
KR200391984Y1 (ko) 가로등주의 방습 및 방진용 고무 밑판
KR101350834B1 (ko) 점검구에 대한 보강구조를 갖는 가로등용 지주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101448838B1 (ko) 내부 체결식 가로등 등주
KR101315835B1 (ko) 조립식 가로등 주
KR100720650B1 (ko) 가로등용 안정기 커버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200450792Y1 (ko) 3단 분리형 조립식 지주
CN210088655U (zh) 一种智能景观园林路灯
KR101051031B1 (ko) 상부관 연결형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