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764B1 - 보강 등주 - Google Patents

보강 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764B1
KR102260764B1 KR1020190178831A KR20190178831A KR102260764B1 KR 102260764 B1 KR102260764 B1 KR 102260764B1 KR 1020190178831 A KR1020190178831 A KR 1020190178831A KR 20190178831 A KR20190178831 A KR 20190178831A KR 102260764 B1 KR102260764 B1 KR 102260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xed
hole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764B9 (ko
Inventor
강원
Original Assignee
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 filed Critical 강원
Priority to KR102019017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764B1/ko
Publication of KR10226076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76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력을 보강하고 내풍압력을 보강한 보강 등주에 관한 것으로, 하부가 지중 고정수단에 의해 지중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된 등주관과, 상기 등주관의 상부에 삽입 고정수단에 의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암대 고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 등주{Reinforced light post}
본 발명은 보강 등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진(耐震)력을 보강하고 내풍압(耐風壓)력을 보강한 보강 등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주는 옥외 조명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가로등의 기둥을 말하는 것으로 도로가나 공원 또는 놀이터 등에 야간에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가로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기초볼트(101)가 돌출된 콘크리트 기초블록(100)과, 하부에는 상기 기초볼트(101)들에 관통되어 너트(102)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판(201)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축관부(202)가 형성되는 등주(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종래의 가로등은 상기 축관부(202)의 외주면에 하부가 삽입되고 하부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300)가 관통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탭홀이 형성되며 측부에는 조명부(402)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암대(401)가 구비되는 관 형상의 암대 고정관(400)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가로등은 암대 고정관이 등주의 축관부에 삽입되고 고정볼트만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암대 고정관과 등주의 연결 부분이 풍압 및 지진에 약해, 태풍이 불거나 지진이 발생될 경우에는 암대가 뒤틀려 변형 손상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은 등기구가 구비된 암대 고정관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면서 등기구의 각도를 도로의 중앙에 맞게 조정해야 함으로써 암대 고정관의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은 등주 하부의 고정판이 다수의 기초볼트에 너트로만 고정되어 등주 고정판의 고정력이 약함으로써 태풍 등의 강한 바람이 불거나 지진의 발생시 고정판이 이탈되어 지주가 넘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은 등주 하부의 고정판이 다수의 기초볼트에 너트로만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고정판에 차량들의 진동이 전달되어 고정판이 미세하게 반복 유??됨으로써 너트가 풀림에 따라 지주가 경사지는 손상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등주의 중간은 수평판의 용접만으로 연결됨으로써 태풍 등의 강한 바람이 불거나 지진의 발생시 등주의 중간 연결부분에서 부러지거나 휘는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55259호 "블랙박스가 구비된 가로등"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풍이 불거나 지진이 발행될 경우에 풍압이나 지진의 진동으로 인하여 지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 등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등주"는 하부가 지중 고정수단에 의해 지중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된 등주관과; 상기 등주관의 상부에 삽입 고정수단에 의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암대 고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등주"의 상기 지중 고정수단은 지중에 매설되며 상면만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의 중앙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케이블 인입통로가 구비되는 수직홀이 형성되고, 수직홀의 내주연의 상부에는 확장홀이 형성되는 매설블록과; 상기 확장홀에 삽입되는 외부관을 포함하고, 외부관의 내주면의 하부 둘레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둘레 하판이 형성되고, 둘레 하판의 내측 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내부관이 형성되며, 상기 내,외부관의 사이에는 상기 등주관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이중 고정관과; 상기 외측관의 하부 둘레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삽입 고정되는 둘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등주"의 상기 삽입 고정수단은 둘레판의 외측에 다수의 수직 돌출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부 고정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고정관의 외측 둘레의 하부에는 하면의 외측 둘레가 상기 등주관의 상단 둘레에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는 둘레 돌출판이 형성되며, 둘레 돌출판의 하부에는 등주의 상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보강관이 형성되는 고정관부와; 상기 암대 고정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둘레판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관부 수직 돌출부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수직 함몰홈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측부에는 볼트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 삽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관의 외측 둘레의 하부에는 상면의 외측 둘레가 상기 암대 고정관의 하단 둘레에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는 둘레 돌출판이 형성되는 삽입관부와; 상기 암대 고정관의 측부에 상기 볼트 관통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고정관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탭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태풍이 불거나 지진이 발행될 경우에 풍압이나 지진의 진동으로 인하여 지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진력이 보강되고 내풍압력이 보강된 보강 등주를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주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중 고정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일부 절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정단면도이며,
도 2c는 관통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통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삽입 고정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c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c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c는 정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가로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주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지중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관통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삽입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등주(이하, "등주"라 한다.)는 태풍이 불거나 지진이 발행될 경우에 풍압이나 지진의 진동으로 인하여 지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하부가 지중 고정수단(2)에 의해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된 등주관(1)과, 등주관(1)의 상부에 삽입 고정수단(4a)에 의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측부나 상부에는 조명부(32)가 구비된 암대(31)가 설치되는 암대 고정관(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중 고정수단(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주관(1)의 하부를 지중에 견고하게 삽입 고정하는 것으로, 매설블록(21), 이중 고정관(22), 둘레판(23)을 포함한다.
상기 매설블록(21)은 지중에 매설되고 상면만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내부의 중앙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케이블 인입통로가 구비되는 수직홀(211)이 형성되고, 수직홀(211)의 내주연의 상부에는 확장홀(212)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매설블록(21)은 일반적으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이중 고정관(22)은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확장홀(212)에 삽입되고 확장홀(212)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되는 외부관(2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 고정관(22)은 외부관(221)의 내주면의 하부 둘레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둘레 하판(222)과, 둘레 하판(222)의 내측 단부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내부관(223)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내,외부관(223)(221)의 사이에는 상기 등주관(1)의 하부가 삽입되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 고정홈부(224)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관(223)의 하단에는 태풍이나 지진의 발생시 등주의 하부가 경사지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로 연장되어 외주면이 상기 수직홀(2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하부 연장관(223a)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둘레판(23)은 이중 고정관(22)과 매설블록(21)의 결합 고정력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중 고정관(22)을 구성하는 상기 외부관(221)의 하부 둘레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매설블록(21)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둘레판(23)은 상기 매설블록(21)의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이중 고정관(22)과 함께 매설블록(21)에 내부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인서트)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후 매설블록(21)의 내부에 삽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둘레판(23)은 이중 고정관(22)과 매설블록(21)의 결합 고정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둘레가 사각으로 구성되어 둘레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조립홀에는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절곡부가 형성된 기초볼트(232)의 나사부가 관통 구비되며, 각 기초볼트(232)의 나사부에는 상기 둘레판(23)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밀착되는 하,상부 두 개의 고정너트(N)가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기초볼트(232)들과 너트들은 상기 매설블록(21)의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기초볼트(232)들과 너트들은 매설블록(21)의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이중 고정관(22) 및 둘레판(23)과 함께 콘크리트 블록에 내부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인서트)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후 매설블록(21)의 내부에 삽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관(223)의 상부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등주관(1) 하부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상으로 돌출되는 내부 연장관(2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연장관(24)과 등주관(1)의 하부를 서로 연결되게 고정하여 태풍이나 지중의 발생시 등주관(1)이 상부로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연장관(24)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내부 연결홀(H1)이 더 형성되고, 상기 등주관(1) 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등주관(1)의 하부가 상기 삽입 고정홈부(2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연장관(24)의 일측이나 양측에 형성된 내부 연결홀(H1)과 상응되는 위치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외부 연결홀(H2)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연장관(24)의 내부에는 일측 또는 양측의 내,외부 연결홀(H2)(H2)에 이탈 가능하게 관통 고정되는 관통 고정수단(2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 고정수단(25)은 중앙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양측에는 오른나사홀이 왼나사홀이 형성되는 턴버클(251)과, 상기 오른나사홀과 왼나사홀에 모두 체결 고정되는 양측의 내,외부 연결홀(H1)(H2)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양측 두 개의 관통 고정부(2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2 참조).
또한 상기 관통 고정수단(25)은 부피가 작은 소형의 등주에 사용되는 것으로, 중앙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양측에는 오른나사홀과 왼나사홀이 형성되는 턴버클(251)과, 상기 오른나사홀에 체결 고정되어 일측에만 형성된 내,외부 연결홀(H2)에 관통 고정되는 일측 하나의 관통 고정부(252) 및 상기 왼나사홀에 체결되어 상기 내부 연장관(24)의 내면에 밀착되는 지지대(25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도3 참조).
상기 관통 고정부(252)는 내,외부 연결홀(H1)(H2)에 견고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턴버클(251)에 체결되는 오른나사축이나 왼나사축이 내측에 구비되고 외측에 개방홀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된 하우징(253)과, 상기 하부징의 내부의 외측에 상기 개방홀에 관통되게 내장되어 서로 일치하는 내,외부 연결홀(H1)(H2)에 관통되는 고정구(254)와, 상기 하우징(253)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고정구(254)를 외측 방향으로 눌러주는 스프링(257)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254)는 야간에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내측이 상기 스프링(257)에 밀착되는 수평축부(255)와, 상기 수평축부(255)의 외측에 형성되는 반구형부와, 상기 반구형부의 외면에 부착 고정되고 외면에는 야간에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야광물질이 도포된 캡(256)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58)는 관통 고정수단(25)을 상기 내부 연장관(24)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왼사나홀에 체결되는 왼나사축과, 상기 왼나사축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내부 연장관(24)의 내면에 밀작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중 고정수단(2)은 등주의 하부의 마감을 위하며 상기 등주관(1)의 외주면의 하부에 밀착 구비되어 상기 외부관(221)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링(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링(26)의 둘레에는 커버링(26)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세트스크류(262)가 관통 체결되는 탭홀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지중 고정수단(2)을 통해 등주관(1)의 하부를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 고정수단(2)을 통해 등주관(1)의 하부를 지중에 고정할 경우에는, 먼저 등주가 시공될 지중에 이중 고정관(22)이 내부에 구비된 매설블록(21)을 매설한다.
다음 상기 이중 고정관(22)의 상부에 연장 형성된 내부 연장관(24)의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된 내부 연결홀(H1)에 관통 고정수단(25)의 고정구(254)를 삽입시켜, 관통 고정수단(25)을 내부 연장관(24)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한다.
다음 상기 등주관(1)의 하부를 상기 매설블록(21)에 고정된 이중 고정관(22)에 형성된 삽입 고정홈부(224)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상기 등주관(1)의 하부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된 외부 연결홀(H2)에 상기 관통 고정수단(25)의 고정구(254)가 삽입 관통되어 연결되는 과정을 통해 등주관(1)의 하부 고정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등주는 등주관(1)의 하부를 이중 고정관(22)에 견고하게 삽입한 다음, 등주관(1)의 하부를 관통 고정수단(25)을 통해 이중 고정관(22)에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등주 하부와 지중의 고정부분의 내진력과 내풍압력을 충분히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등주는 지중의 고정부분의 내진력과 내풍압력을 충분히 보강함으로써, 태풍이 불거나 지진이 발생될 경우에 풍압이나 지진의 진동으로 인하여 지주가 하부가 휘어져 손상되거나 뽑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내진력 및 내풍압력이 보강된 등주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등주관(1)의 하부가 이둥 고정관(22)에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차량들이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 등주관(1)의 하부로 전달되더라도 등주관(1)의 하부가 이탈되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등주관(1)의 하부를 이중 고정관(22)에 삽입하는 과장만을 통해 등주관(1)을 간단히 설치하고, 이중 고정관(22)에서 등주관(1)을 단순히 상부로 빼는 과정만을 통해 간단이 해체할 수 있음 따라 설치와 해체가 쉬운 등주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삽입 고정수단(4a)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주관(1)의 상부에 연결되는 암대 고정관(3)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고정관부(41), 삽입관부(42), 탭홀(T)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관부(41)는 등주관(1)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등주관(1)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둘레판의 외측에 다수의 수직 돌출부(D)가 등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고정관(411)과, 상기 하부 고정관(411)의 외측 둘레의 하부에 하면의 외측 둘레가 상기 등주관(1)의 상단 둘레에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게 형성되는 둘레 돌출판(412)과, 상기 둘레 돌출판(412)의 하부에 등주관(1)의 상부 내부에 삽입되게 형성되는 삽입 보강관(413)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관부(42)는 암대 고정관(3)의 내부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암대 고정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암대 고정관(3)의 내부에 삽입되고 둘레판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관부(41)의 수직 돌출부(D)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수직 함몰홈(G)이 외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측부에는 볼트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 삽입관(421)과, 상기 상부 삽입관(421)의 외측 둘레의 하부에 상면의 외측 둘레가 상기 암대 고정관(3)의 하단 둘레에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게 형성되는 둘레 돌출판(422)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탭홀(T)은 상기 암대 고정관(3)의 측부에 상기 볼트 관통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탭홀(T)에는 상기 볼트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고정관(411)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볼트(B)가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B)는 내측 단부가 상기 고정관부(41)에 외면을 눌러주면서 고정됨에 따라, 삽입관부(42)가 구비된 암대 고정관(3)이 태풍이나 지진의 발생시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관부(42)의 하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판(422)의 상면 둘레에는 상기 암대 고정관(3)의 내면에 밀착되어 암대 고정관(3) 하부를 보강하는 보강관(43)이 일체로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강관(43)은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을 통해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삽입관부(42)의 주물 제조시 함께 성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관(43)의 측부에는 상기 볼트 관통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볼트(B)의 나사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볼트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삽입 고정수단(4a)을 통해 등주관(1)의 상부와 암대 고정관(3)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삽입 고정수단(4a)을 통해 등주관(1)의 상부와 암대 고정관(3)을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등주관(1)의 하부를 지중에 고정한다.
다음 고소작업차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암대 고정관(3)을 들고 암대 고정관(3)에 삽입 고정된 삽입관부(42)의 수직 함몰홈(G)들과 상기 등주관(1)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고정관부(41)의 수직 돌출부(D)들을 맞춘 상태에서, 암대 고정관(3)을 하강시켜 삽입관부(42)의 수직 함몰홈(G)들에 상기 고정관부(41)의 수직 돌출부(D)들 삽입시킨다.
다음 상기 암대 고정관(3)에 형성된 탭홀(T)과 상기 삽입관부(42)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에 고정볼트(B)를 체결 관통시켜, 고정볼트(B)를 통해 상기 고정관부(41)의 하부 고정관(411)을 암대 고정관(3)에 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등주관(1)의 상부와 암대 고정관(3)을 연결을 완료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암대 고정관(3)에 고정된 삽입관부(42)를 상기 고정관부(41)에 삽입할 경우에는 수직 함몰홈(G)들과 수직 돌출부(D)의 삽입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은 암대의 설치 각도를 자유로이 변경하여 암대 고정관(3)의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시공성이 우수한 등주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등주는 상기 암대 고정관(3)에 고정된 삽입관부(42)에 형성된 수직 함몰홈(G)들에 상기 고정관부(41)에 형성된 수직 돌출부(D)들을 견고하게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등주관(1)의 상부와 암대 고정관(3)의 연결부분의 내진력 또는 내풍압력을 충분히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등주관(1)의 상부와 암대 고정관(3)의 연결부분의 내진력 및 내풍압력을 충분히 보강함으로써, 태풍이 불거나 지진이 발생될 경우에 풍압이나 지진의 진동으로 인하여 암대 고정관(3)이 뒤틀려 손상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삽입 고정수단(4a)의 하부 고정관(411)과 상부 삽입관(421)을 통해 등주관(1)과 암대 고정관(3)을 분리 가능하게 함에 따라, 등주관(1)과 암대 고정관(3) 중 하나만 손상될 경우에는 손상된 관만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등주는 도 1 및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주관(1)이 상,하 두 개로 분리되어 두 개가 등주관(1)이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4b)에 의해 서로 연결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등주관(1)은 분리된 두 개의 등주관(1)의 직경이 같거나, 또는 분리된 두 개 등주관(1) 중 하부에 위치된 등주관(1)의 직경보다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의 직경이 더 작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4b)은 두 개로 분리된 등주관(1)의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고정관부(41), 삽입관부(42), 탭홀(T)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관부(41)는 하부에 위치되는 등주관(1)의 상부에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둘레판의 외측에 다수의 수직 돌출부(D)가 등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고정관(411)과, 상기 하부 고정관(411)의 외측 둘레의 하부에 하면의 외측 둘레가 분리되어 하부에 위치된 등주관(1)의 상단 둘레에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게 형성되는 둘레 돌출판(421)과, 상기 둘레 돌출판(422)의 하부에 위치된 등주관(1)의 상부 내부에 삽입되게 형성되는 삽입 보강관(413)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관부(42)는 상부에 위치되는 등주관(1)의 내부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하부에 위치된 등주관(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에 위치되는 등주관(1)의 내부 하부에 삽입되고 둘레판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관부(41) 수직 돌출부(D)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수직 함몰홈(G)이 외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측부에는 볼트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 삽입관(421)과, 상기 상부 삽입관(421)의 외측 둘레의 하부에 상면의 외측 둘레가 분리되어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의 하단 둘레에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게 형성되는 둘레 돌출판(422)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탭홀(T)은 상부에 위치되는 등주관(1)의 하부 측부에 상기 볼트 관통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탭홀(T)에는 상기 볼트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고정관(411)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볼트(B)가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B)는 내측 단부가 상기 고정관부(41)의 하부 고정관(411)의 외면을 눌러주면서 고정됨에 따라, 삽입관부(42)가 구비된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이 태풍이나 지진의 발생시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등주관 삽입 연결수단(4b)을 통해 분리된 두 개의 등주관(1)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등주관 삽입 연결수단(4b)을 통해, 분리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등주관(1)의 상부와 상부에 위치되는 등주관(1)을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하부에 위치되는 등주관(1)의 하부를 지중에 고정한다.
다음 고소작업차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을 들고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에 삽입 고정된 삽입관부(42)의 수직 함몰홈(G)들과 하부에 위치된 등주간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고정관부(41)의 수직 돌출부(D)들을 맞춘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을 하강시켜 삽입관부(42)의 수직 함몰홈(G)들에 상기 고정관부(41)의 수직 돌출부(D)들 삽입시킨다.
다음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의 하부에 형성된 탭홀(T)과 상기 삽입관부(42)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에 고정볼트(B)를 체결 관통시켜, 고정볼트(B)를 통해 상기 고정관부(41)의 하부 고정관(411)을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의 하부 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두 개의 하,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의 연결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등주는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에 고정된 삽입관부(42)에 형성된 수직 함몰홈(G)들에 상기 고정관부(41)에 형성된 수직 돌출부(D)들을 견고하게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두 개 등주관(1)의 연결부분의 내진력 및 내풍압력을 충분히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두 개 등주관(1)의 연결부분의 내진력 및 내풍압력을 충분히 보강함으로써, 태풍이 불거나 지진이 발생될 경우에 풍압이나 지진의 진동으로 인하여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이 뒤틀려 손상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4b)의 하부 고정관(411)과 상부 삽입관(421)을 통해 하,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을 분리 가능하게 함에 따라, 하,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 중 하나만 손상될 경우에는 손상된 관만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4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두 개의 등주관(1)의 직경이 같은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4b)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4a)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4b)은 상기 삽입관부(42)의 하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판(422)의 상면 둘레에는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의 하부 내면에 밀착되어,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1)의 하부를 보강하는 보강관(43)이 일체로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강관(43)은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을 통해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삽입관부(42)의 주물 제조시 함께 성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관(43)의 측부에는 상기 볼트 관통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볼트(B)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중 고정수단(2), 삽입 고정수단(4a), 및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4b)을 통해 등주의 내진력 및 내풍압력을 보강함으로써, 태풍이 불거나 지진이 발행될 경우에 풍압이나 지진의 진동으로 인하여 등주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등주관
2 : 지중 고정수단
21 : 매설블록
22 : 이중 고정관
23 : 둘레판
24 : 내부 연장관
25 : 관통 고정수단
26 : 커버링
3 : 암대 고정관
4a : 삽입 고정수단
4b :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
41 : 고정관부
42 : 삽입관부
43 : 보강관
G : 수직 함몰홈
D : 수직 돌출부
T : 탭홀
B : 고정볼트

Claims (16)

  1. 하부가 지중 고정수단에 의해 지중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된 등주관과, 상기 등주관의 상부에 삽입 고정수단에 의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암대 고정관을 포함하고,
    상기 지중 고정수단은 지중에 매설되며 상면만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의 중앙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케이블 인입통로가 구비되는 수직홀이 형성되고 수직홀의 내주연의 상부에는 확장홀이 형성되는 매설블록과, 상기 확장홀에 삽입되는 외부관을 포함하고 외부관의 내주면의 하부 둘레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둘레 하판이 형성되고 둘레 하판의 내측 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내부관이 형성되며 상기 내,외부관의 사이에는 상기 등주관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이중 고정관과, 상기 외부관의 하부 둘레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콘크리트 블록에 삽입 고정되는 둘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외주면이 상기 수직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하부 연장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판은 둘레가 사각으로 구성되어 둘레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조립홀에는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절곡부가 형성된 기초볼트의 나사부가 관통 구비되며,
    각 기초볼트의 나사부에는 상기 둘레판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밀착되는 하,상부의 두 개의 고정너트가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상부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지상으로 돌출되는 내부 연장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연장관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내부 연결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등주관 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등주관의 하부가 상기 삽입 고정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연장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내부 연결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외부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연장관의 내부에는 일측 또는 양측의 내,외부 연결홀에 이탈 가능하게 관통 고정되는 관통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고정수단은 중앙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양측에는 오른나사홀과 왼나사홀이 형성되는 턴버클과, 상기 오른나사홀과 왼나사홀에 모두 체결 고정되고 양측의 내,외부 연결홀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양측 두 개의 관통 고정부나, 또는 상기 오른나사홀에 체결 고정되어 일측에만 형성된 내,외부 연결홀에 관통 고정되는 일측 하나의 관통 고정부 및 상기 왼나사홀에 체결되어 상기 내부 연장관의 내면에 밀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고정부는 오른나사축이나 왼나사축이 내측에 구비되고 외측에 개방홀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외측에 상기 개방홀에 관통되게 내장되어 서로 일치하는 내,외부 연결홀에 관통되는 고정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고정구를 외측 방향으로 눌러주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내측이 스프링에 밀착되는 수평축부과,
    상기 수평축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반구형부와,
    상기 반구형부의 외면에 부착 고정되고 외면에는 야광물질이 도포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턴버클의 왼사나홀에 체결되는 왼나사축과, 상기 왼나사축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내부 연장관의 내면에 밀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1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 고정수단은 상기 등주관의 외주면의 하부에 밀착 구비되어 상기 외부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링의 둘레에는 다수의 세트스크류가 관통 체결되는 탭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고정수단은 둘레판의 외측에 다수의 수직 돌출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부 고정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고정관의 외측 둘레의 하부에는 하면의 외측 둘레가 상기 등주관의 상단 둘레에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는 둘레 돌출판이 형성되며 둘레 돌출판의 하부에는 등주의 상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보강관이 형성되는 고정관부와, 상기 암대 고정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둘레판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관부의 수직 돌출부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수직 함몰홈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측부에는 볼트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 삽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삽입관의 외측 둘레의 하부에는 상면의 외측 둘레가 상기 암대 고정관의 하단 둘레에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는 둘레 돌출판이 형성되는 삽입관부와, 상기 암대 고정관의 측부에 상기 볼트 관통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고정관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탭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부의 하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판의 상면 둘레에는 상기 암대 고정관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관이 일체로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관의 측부에는 상기 볼트 관통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볼트 관통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주관은 상,하 두 개로 분리되어 두 개가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 되고,
    상기 등주관은 분리된 두 개의 등주관의 직경이 같거나, 또는 분리된 두 개 등주관 중 하부에 위치된 등주관의 직경보다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의 직경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등주관 삽입 고정수단은 둘레판의 외측에 다수의 수직 돌출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부 고정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고정관의 외측 둘레의 하부에는 하면의 외측 둘레가 하부에 위치되는 등주관의 상단 둘레에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는 둘레 돌출판이 형성되며 둘레 돌출판의 하부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등주관의 상부에 삽입되는 삽입 보강관이 더 구비되는 고정관부와,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둘레판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관부의 수직 돌출부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수직 함몰홈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측부에는 볼트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 삽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삽입관의 외측 둘체의 하부에는 상면의 외측 둘레가 상부에 위지된 등주관의 하단 둘레에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는 둘레 돌출판이 형성되는 삽입관부와,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의 하부 측부에 상기 볼트 관통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고정관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탭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등주관은 분리된 두 개의 등주관의 직경이 같고,
    상기 삽입관부의 하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판의 상면 둘레에는 상부에 위치된 등주관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관이 일체로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관의 측부에는 상기 볼트 관통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볼트 관통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등주.
KR1020190178831A 2019-12-31 2019-12-31 보강 등주 KR102260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31A KR102260764B1 (ko) 2019-12-31 2019-12-31 보강 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31A KR102260764B1 (ko) 2019-12-31 2019-12-31 보강 등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764B1 true KR102260764B1 (ko) 2021-06-07
KR102260764B9 KR102260764B9 (ko) 2022-10-11

Family

ID=7637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831A KR102260764B1 (ko) 2019-12-31 2019-12-31 보강 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8314A (zh) * 2021-06-23 2021-09-07 滁州学院 一种水泥电线杆生产强度测试设备及测试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078B1 (ko) * 2008-10-21 2009-07-09 주식회사 대한티엘씨 옥외 조명시설용 등주의 결합구조
KR20110090235A (ko) * 2010-02-03 2011-08-10 김칠현 립이 없는 신호등 기초
KR101066528B1 (ko) * 2011-06-15 2011-09-21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가로등용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112030B1 (ko) * 2010-03-12 2012-02-29 박순임 가로등 및 그 설치방법
KR101152150B1 (ko) * 2011-12-16 2012-06-15 (주) 닛시트로닉스 가로등지주
KR101323902B1 (ko) * 2013-05-06 2013-10-30 홍석기 회전저항 강성구조의 옥외용 등주
KR101460790B1 (ko) * 2014-02-21 2014-11-14 주식회사 이티스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655259B1 (ko) 2015-11-13 2016-09-08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블랙박스가 구비된 가로등
KR101882989B1 (ko) * 2016-10-31 2018-07-27 주식회사 그린이앤씨 회전방지형 가로등
KR101997099B1 (ko) * 2017-12-14 2019-10-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진동을 이용한 승하강식 자가발전 가로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078B1 (ko) * 2008-10-21 2009-07-09 주식회사 대한티엘씨 옥외 조명시설용 등주의 결합구조
KR20110090235A (ko) * 2010-02-03 2011-08-10 김칠현 립이 없는 신호등 기초
KR101112030B1 (ko) * 2010-03-12 2012-02-29 박순임 가로등 및 그 설치방법
KR101066528B1 (ko) * 2011-06-15 2011-09-21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가로등용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152150B1 (ko) * 2011-12-16 2012-06-15 (주) 닛시트로닉스 가로등지주
KR101323902B1 (ko) * 2013-05-06 2013-10-30 홍석기 회전저항 강성구조의 옥외용 등주
KR101460790B1 (ko) * 2014-02-21 2014-11-14 주식회사 이티스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655259B1 (ko) 2015-11-13 2016-09-08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블랙박스가 구비된 가로등
KR101882989B1 (ko) * 2016-10-31 2018-07-27 주식회사 그린이앤씨 회전방지형 가로등
KR101997099B1 (ko) * 2017-12-14 2019-10-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진동을 이용한 승하강식 자가발전 가로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8314A (zh) * 2021-06-23 2021-09-07 滁州学院 一种水泥电线杆生产强度测试设备及测试方法
CN113358314B (zh) * 2021-06-23 2022-07-01 滁州学院 一种水泥电线杆生产强度测试设备及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764B9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6738A (en) Universal fixture mount and method of assembly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0684255B1 (ko) 가로등의 베이스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0880719B1 (ko) 기둥과 기둥을 지지하는 기초의 구조
US5819487A (en) Prestressed concrete poles with internal bolting and leveling structures
KR100907078B1 (ko) 옥외 조명시설용 등주의 결합구조
KR101408770B1 (ko) 가로등 또는 통합폴 설치용 조립식 지주 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260764B1 (ko) 보강 등주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US10801174B2 (en) Collar and anchor kits
KR101161814B1 (ko) 가로등 기초
KR200433150Y1 (ko) 가로등용 지주의 고정대
KR100955424B1 (ko) 앵커 지주
EP1733097A1 (en) A multi-function pole
KR101594785B1 (ko) 삽입식 교통시설물 철주 고정구조물
KR100905889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KR200463353Y1 (ko) Cctv 지주 및 가로등주의 하부 고정 장치
KR101021935B1 (ko) 환경친화적 가로등 전주 및 그 제조방법
US8402717B1 (en) Wood hybrid light pole
KR20100101799A (ko)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CN210050706U (zh) 灯杆基础结构及路灯
CN209816699U (zh) 红绿灯基础
KR20210000630U (ko) 가로등 지주 고정장치
KR101842397B1 (ko) 지주용 고정수단
KR101921559B1 (ko)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