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799A -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 Google Patents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799A
KR20100101799A KR1020090020173A KR20090020173A KR20100101799A KR 20100101799 A KR20100101799 A KR 20100101799A KR 1020090020173 A KR1020090020173 A KR 1020090020173A KR 20090020173 A KR20090020173 A KR 20090020173A KR 20100101799 A KR20100101799 A KR 20100101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upper support
support
block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971B1 (ko
Inventor
이창구
Original Assignee
(주)흥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흥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흥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2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97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에 관한 것으로,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고 중심에 요홈(21)이 형성된 상 지지부(20a); 상기 상 지지부(20a)와 연결되고 일정의 직경을 가지며 상 지지부(20a)의 요홈(21)과 인출공(22)이 형성되고 인출공(22)의 단부에 복수의 통공(23)이 관통 형성된 중심부(20b); 상기 중심부(20b) 아래에 연결되고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하 지지부(20c), 및 상기 상 지지부(20a), 중심부(20b) 및 하 지지부(20c) 내에 삽입되어 복수의 결합부재(32)로 고정 결합된 골조(30)를 포함하고, 상기 상 지지부(20a), 중심부(20b) 및 하 지지부(20c)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상기 상 지지부(20a)에 강관 지주(10)의 플랜지(11)가 결합된다. 본 발명은 강관 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기초 블록을 거푸집을 이용하여 미리 제조한 후에 지중에 설치하기 때문에 현장 시공의 간편화와 단순화, 그리고 설치시간의 단축 및 설치비용의 절감 등의 효과와 더불어 기초 블록의 구조에 의한 강관 지주의 견고한 설치를 도모한 것이다.
강관, 지주, 블록, 선로, 신호등, 골조

Description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Elementary Block for Supporting of Steel Pipe}
본 발명은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등이나 감시카메라 등이 설치되거나 각종 선로가 가설되는 강관 지주를 지지하는 기초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신호등이나 감시카메라 또는 전기선로나 통신선로 등을 공중에서 지지하거나 가설하기 위하여 강관이 주로 사용된다. 강관은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설치되는 장치나 선로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강관 지주는 금속 재질의 강관을 지면으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하여 기초 블록을 설치한다.
종래에 강관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 블록은 도 1에서, 일정 깊이의 구덩이를 판 후에 상부에 보강판(4) 및 고정플레이트(3)가 결합된 지주관(2)을 설치하고,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관(2)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복수의 형강(5)을 지주관(2)에 고정 설치하며, 고정플레이트(3)의 아래로 복수의 앵커볼트(6)를 장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주관(2)에는 복수의 통공(7)이 형성되어 전선(8)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통공(7)에는 전선(8)이 지중에 매설된 연결관(9)으로 가설되도록 한다. 지중에 지주관(2)이 설치되면 지주관(2) 주변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1)를 타설한 후에 양생함으로서, 지주관(2)의 설치가 완료된다. 지주관(2)을 설치할 때에 지면 위로 콘크리트(1)가 노출되도록 하고, 콘크리트를 관통하여 앵커볼트(6)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고정플레이트(3)에는 강관 지주(10)의 하부에 보강판(12)이 형성된 플랜지(11)를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앵커볼트(6)가 돌출 구성되므로, 앵커볼트(6)에 강관 지주(10)를 너트(12) 등으로 나사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강관 지주의 설치 및 지지를 위하여 지주관을 지중에 매설시킬 때에 가로방향으로 복수의 형강을 설치하고, 고정플레이트에 복수의 앵커볼트를 설치하며,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을 위한 거푸집의 결합 등 지주관의 설치를 위한 작업이 번거롭고 설치 시간이 길어져 설치비용이 상승하고, 이로 인한 강관 지주의 설치 안정도가 다소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골조와 콘크리트를 일체로 양생한 기초 블록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치한 후에 강관 지주와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고 중심에 요홈이 형성된 상 지지부; 상기 상 지지부와 연결되고 일정의 직경을 가지며 상 지지부의 요홈과 인출공이 형성되고 인출공의 단부에 복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중심부; 상기 중심부 아래에 연결되고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하 지지부, 및 상기 상 지지부, 중심부 및 하 지지부 내에 삽입되어 복수의 결합부재로 고정 결합된 골조를 포함하고, 상기 상 지지부, 중심부 및 하 지지부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상기 상 지지부에 강관 지주의 플랜지가 결합되는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여, 강관 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기초 블록을 거푸집을 이용하여 미리 제조한 후에 지중에 설치하기 때문에 현장 시공의 간편화와 단순화, 그리고 설치시간의 단축 및 설치비용의 절감 등의 효과와 더불어 기초 블록의 구조에 의한 강관 지주의 견고한 설치를 도모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은 강관 지주의 설치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이용하여 미리 제조한 후에 지중에 설치되는 것이다. 거푸집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블록의 형상을 제조하기 위한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거푸집에 대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기초 블록(20)은 전체적으로 장구와 유사한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중심으로부터 양측의 직경이 크고 중심의 직경은 작은 것이다. 기초 블록(20)은 상 지지부(20a)와 하 지지부(20c), 그리고 상 지지부(20a)와 하 지지부(20c)가 연결된 중심부(20b)로 나누어진다. 기초 블록(20)은 평단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된다.
상 지지부(20a)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고 중심에 요홈(21)이 형성된 것이다. 상 지지부(20a)는 지면에 돌출되어 강관 지주(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중심부(20b)는 상 지지부(20a)와 연결되는 일정의 직경을 가진 것이다. 중심부(20b)의 내측에는 상 지지부(20a)의 요홈(21)과 연통된 인출공(22)이 형성되고, 인출공(22)의 하단에 복수의 통공(2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인출공(22)과 연결된 통공(23)은 아래로 경사져 있는데, 이는 강관 지주(10)로부터 삽입된 전선(8)이 요홈(21)과 인출공(22)을 지나 통공(23)을 통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강관 지주(10)에서 인출공(22)을 통해 내려진 전선(8)이 통공(23)으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인출공(22)의 단부로부터 통공(23)이 아래로 경사진 것이다. 요홈(21)의 내경은 강관 지주(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된다. 중심 부(20b)는 상 지지부(20a)와 하 지지부(20c)를 연결하면서 일정 길이를 갖는다.
하 지지부(20c)는 중심부(20b) 아래에 연결되고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이다. 하 지지부(20c)의 외경은 상 지지부(20a)의 외경보다 동일 내지는 큰 직경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의 기초 블록(20)은 콘크리트(24)로 일정 모양 및 형상이 제조된다. 기초 블록(20)의 내측에는 골조(30)가 삽입되어 있다. 골조(30)는 금속재질의 철골 구조로 복수로 삽입된다. 골조(30)는 기초 블록(20)의 형상과 유사한 모양으로 내장된다. 골조(30)는 상 지지부(20a)와 하 지지부(20c)의 중심 부위에 위치되고, 중심부(20b)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복수의 골조(30)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골조(30)를 지지하기 위한 철사나 끈 등의 결합부재(32)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기초 블록(20)은 거푸집에서 제조되기 전에 거푸집 내에 골조(30)가 위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다. 상 지지부(20a) 위로 골조(30)의 일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골조(30)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31)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초 블록(20)은 상 지지부(20a), 중심부(20b) 및 하 지지부(20c)는 콘크리트 구조물이고, 상 지지부(20a)에 강관 지주(10)의 플랜지(11)가 체결부(31)와 너트(13)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은 도 4의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에 강관 지주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면, 강관 지주(10)가 설치되는 곳에 구덩이를 파고, 구덩이에 기초 블록(20)을 위치시킨다. 이 때 기초 블록(20)의 상 지지부(20a)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기초 블록(20)의 위치가 설정되면 강관 지주(1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된 각종의 전선(8)이 요홈(21)과 인출공(22)을 지나 통공(23)으로 인출된다. 통공(23)에는 전선(8)이 가설되기 위한 연결관(9)이 결합된다. 통공(23)은 연결관(9)이 연결되는 방향이나 분기되는 방향에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초 블록(20)의 골조(30) 내측에는 강관 지주로의 낙뢰를 대비하여 접지선(33)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기초 블록(20)이 구덩이에 위치되고, 각종 전선을 연결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기초 블록(20)의 외주는 흙이나 고정부재 등으로 채워져 고정될 것이다.
기초 블록(20)이 지중에 설치되면 기초 블록(20)의 상 지지부(20a)로 돌출된 골조(30)의 체결부(31)는 강관 지주(10)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11)의 통공에 각각 삽입된다. 플랜지(11)의 통공 위로 돌출된 체결부(31)에는 너트(13)를 결합하여 강관 지주(10)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기초 블록(20)은 신호등이나 가로등, 방범이나 보안설비 또는 전기선로나 통신선로 등을 지지 및 설치할 수 있는 강관 지주(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 및 구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은 내측에 복수의 골조를 삽입하여 거푸집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일정한 모양 및 형상의 기초 골조를 형성하여 현장에서 강관 지주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강관 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과 강관 지주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에 강관 지주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4)

  1.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고 중심에 요홈(21)이 형성된 상 지지부(20a);
    상기 상 지지부(20a)와 연결되고 일정의 직경을 가지며 상 지지부(20a)의 요홈(21)과 인출공(22)이 형성되고 인출공(22)의 단부에 복수의 통공(23)이 관통 형성된 중심부(20b);
    상기 중심부(20b) 아래에 연결되고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하 지지부(20c), 및
    상기 상 지지부(20a), 중심부(20b) 및 하 지지부(20c) 내에 삽입되어 복수의 결합부재(32)로 고정 결합된 골조(30)를 포함하고,
    상기 상 지지부(20a), 중심부(20b) 및 하 지지부(20c)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상기 상 지지부(20a)에 강관 지주(10)의 플랜지(1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22)과 연결된 통공(23)은 아래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지지부(20a) 위로 돌출된 골조(30)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3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KR1020090020173A 2009-03-10 2009-03-10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KR10107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173A KR101077971B1 (ko) 2009-03-10 2009-03-10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173A KR101077971B1 (ko) 2009-03-10 2009-03-10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799A true KR20100101799A (ko) 2010-09-20
KR101077971B1 KR101077971B1 (ko) 2011-10-28

Family

ID=4300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173A KR101077971B1 (ko) 2009-03-10 2009-03-10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9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5199A (zh) * 2014-05-19 2014-07-30 庄筱凤 基于以太网通讯的智能信息化钢支撑远程实时监控系统
CN103967314A (zh) * 2014-05-14 2014-08-06 国家电网公司 一种10kv-110kv应急抢修杆
KR102228697B1 (ko) * 2020-12-09 2021-03-15 이종선 신호등 지주용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19B1 (ko) 2006-08-24 2006-11-24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전주 지지 구조물
KR100795084B1 (ko) 2007-07-13 2008-01-17 김형태 주주용 베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7314A (zh) * 2014-05-14 2014-08-06 国家电网公司 一种10kv-110kv应急抢修杆
CN103967314B (zh) * 2014-05-14 2016-07-06 国家电网公司 一种10kv-110kv应急抢修杆
CN103955199A (zh) * 2014-05-19 2014-07-30 庄筱凤 基于以太网通讯的智能信息化钢支撑远程实时监控系统
CN103955199B (zh) * 2014-05-19 2016-06-15 庄筱凤 基于以太网通讯的智能信息化钢支撑远程实时监控系统
KR102228697B1 (ko) * 2020-12-09 2021-03-15 이종선 신호등 지주용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971B1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0873266B1 (ko)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101408770B1 (ko) 가로등 또는 통합폴 설치용 조립식 지주 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0955788B1 (ko) 강관파일 두부보강 구조
JP2012067524A (ja) 免震基礎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KR101077971B1 (ko)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KR100945561B1 (ko) 타워형 시설물의 폴 설치방법 및 이를 위한 설치장치
KR101066388B1 (ko) 조립이 쉽고 수직 설치가 정확한 가로등주 매립형 설치구조틀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707170B1 (ko) 지주 연결 구조물
KR200443819Y1 (ko) 시설물 지주의 설치구조
CN106451271B (zh) 一种电缆过道桥架结构及其安装方法
KR100905889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KR20110135496A (ko)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KR200420012Y1 (ko) 가로등 기초콘크리트용 거푸집
KR101663374B1 (ko) 가로등기초 구조물
CN206283215U (zh) 一种电缆过道桥架结构
KR20190061195A (ko) 주택용 필로티구조의 주차장 기둥 보강공법
KR101354455B1 (ko)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
KR100760220B1 (ko) 가로등 기초콘크리트용 거푸집
KR20110017141A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0908220B1 (ko) 가로등주 고정 장치
WO2011059240A2 (ko) 기둥 정착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212957567U (zh) 一种装配式围墙脚手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