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455B1 -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4455B1 KR101354455B1 KR1020130023772A KR20130023772A KR101354455B1 KR 101354455 B1 KR101354455 B1 KR 101354455B1 KR 1020130023772 A KR1020130023772 A KR 1020130023772A KR 20130023772 A KR20130023772 A KR 20130023772A KR 101354455 B1 KR101354455 B1 KR 1013544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lange
- steel
- delete delete
- iron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0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PGOOBECODWQEAB-UHFFFAOYSA-N Clothianidin Chemical compound [O-][N+](=O)\N=C(/NC)NCC1=CN=C(Cl)S1 PGOOBECODWQEA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Abstract
철주와 기초의 연결부분을 지상에서 보이지 않도록 매설하여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철주를 지상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주를 지지하는 기초가 지중에 매설되어 보행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보행자 통행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시공이 쉽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종, 횡하중 지지력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철주가 지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주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철주와 기초의 연결부분을 지상에서 보이지 않도록 매설하여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철주를 지상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人道)에 설치되는 철주는 도로 안내 표지판, 신호등 및 가로등 등을 도로 또는 인도에 설치할 때 이용된다. 즉, 상기의 도로 안내 표지판, 신호등 및 가로등 등은 인도의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철주에서 연장되는 암(arm)에 설치되고, 철주는 지중에 매설된 기초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도로 안내 표지판, 신호등 및 가로등 등이 설치된 암(arm)을 일측에 연장시킨 철주는 상기 암(arm)이 연장된 측면으로 횡 하중을 받기 때문에 상기 철주와 기초가 연결되는 부분은 특히 상기 횡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연결,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철주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에서, 철주(10)는 그 하부가 지면에 설치되는데, 지면에는 통상의 중량체(G)가 지면 속에 타설되고, 중량체(G)에 앵커볼트(B)가 매설되어 앵커볼트(B)에 의해 철주(10)가 연결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볼트(B)와 철주(10)가 결합되기 위해 철주(10)의 하부에는 판 형상의 철주베이스(20)가 용접 결합되고, 철주베이스(20)에는 앵커볼트(B)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공(21)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철주(10)는 중량체(G), 앵커볼트(B) 및 철주베이스(20)에 의해 수직하중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만 철주(10)의 횡 하중에 대한 지지가 어렵게 되므로, 이러한 횡 하중에 대한 지지력 확보를 위해 철주(10)와 철주베이스(20) 사이에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횡하중보강판(30)이 상기 철주(10) 및 철주베이스(20)와 수직으로 용접 체결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철주와 중량체의 결합구조는 설치완료 후 철주와 중량체를 결합하기 위한 앵커볼트 및 너트, 철주베이스 및 횡하중보강판 등이 모두 지상으로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조잡해 보일 뿐 아니라 주변의 미관을 해치고, 지상으로 노출된 보강판 등에 의해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철주와 중량체의 결합구조는 중량체를 매설한 후, 매설된 중량체에 철주가 고정되어 결합됨으로 철주에 결합된 암(arm)의 각도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로 굴곡진 도로 등에서는 운전자와 암(arm)에 장착된 도로 안내 표지판 또는 신호등이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지 못하여 운전자가 도로 안내 표지판 또는 신호등을 용이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 또한 발견되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주와 기초의 연결부분을 지상에서 보이지 않도록 매설하여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기초와 연결되는 철주를 회전시켜 철주의 결합된 암(arm)의 각도를 도로의 상황에 맞게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철주의 지지구조 등록실용신안 20-0449157호에서 개시한 바 있다.
도 2는 상기 등록실용신안에서 개시하고 있는 철주의 지지구조의 단면도이다. 상기의 지지구조는 지중에 매립되고 철주(1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초(110)와, 기초(110) 사이에 삽입된 철주(1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110)와 고정수단(1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립된다.
하지만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은 철주가 깊이 매설되지 못하고 내부에서 안정되게 체결되지 못하여 종, 횡하중에 대하여 지지력 확보가 불안정한 면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지지몸통의 내부에 하단부가 굴곡진 철주고정통을 설치하여 철주 내부로 상기 철주고정통을 삽입하여 체결하고 상기 지지몸통에 삽입된 철주의 사이에 옆면이 경사진 고정플랜지를 나삽 체결하여 종, 횡하중에 대하여 지지력 확보가 용이한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지지통 및 환형의 지지플랜지로 이루어진 지지몸통과, 상기 지지몸탱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철주고정통, 상기 지지몸통과 철주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플랜지 및 체결플랜지로 구성되는 플랜지부, 상기 지지몸통에 설치되는 철골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통의 지지플랜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원통형 지지파이프가 다수 설치된다.
상기 철주고정통은 측면 아래쪽으로 테이퍼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플랜지와 체결플랜지에는 같은 간격과 크기의 고정플랜지나사홈 및 체결플랜지나사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플랜지는 반환형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플랜지는 상면이 하면에 비해 더 넓어지도록 측면이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플랜지 위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플랜지에 설치된 지지파이프와 개수 및 간격이 동일하게 디스크홈이 형성된 고정디스크를 더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골지지대는 환형의 철골플랜지와 상기 다수의 지지파이프와 동일한 간격과 개수로 맞춰진 다수의 철골끼움핀과 상기 철골끼움핀에 끼워지는 철골구조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상기의 고정플랜지 및 체결플랜지, 고정디스크를 대체하는 제2고정플랜지를 더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플랜지는 환형의 플랜지바디와 상기 플랜지바디 하면에 부착되는 경사진 원통형의 고정판 및 상기 플랜지바디에 상기 다수의 지지파이프와 동일한 개수로 맞춰 형성되는 다수의 플랜지홈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홈은 늘어난 원형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주를 지지하는 기초가 지중에 매설되어 보행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보행자 통행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시공이 쉽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종, 횡하중 지지력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철주가 지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철주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등록실용신안에서 개시하고 있는 철주의 지지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가 결합된 형태의 단면도.
도 5는 고정플랜지의 또 다른 형태인 제2고정플랜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제2고정플랜지을 이용하여 설치한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등록실용신안에서 개시하고 있는 철주의 지지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가 결합된 형태의 단면도.
도 5는 고정플랜지의 또 다른 형태인 제2고정플랜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제2고정플랜지을 이용하여 설치한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주(A) 하단에 원통형의 지지몸통(20)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몸통(20)은 하단이 막힌 원통형의 지지통(20a)과 상기 지지통(20a)의 상단 측면에 고정 체결되는 환형의 지지플랜지(20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환형의 지지플랜지(20b)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지지파이프(20c)가 설치되는데, 상기 다수의 지지파이프(20c)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지지몸통(20)의 내부에는 원통형으로 하단부가 경사가 진 철주고정통(21)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상기 지지몸통(2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철주고정통(21)이 체결된 형태의 지지몸통(20)은 이중으로 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지지몸통(20)의 하면에는 전선 등을 이동시키는 배선홀(24)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철주(A)는 상기 지지몸통(20)과 철주고정통(21)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철주고정통(21)이 상기 철주(A)의 안으로 삽입되는 형태이고, 상기 철주(A)는 상기 지지몸통(20)의 안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된 철주(A)와 지지몸통(20) 사이에는 환형으로 반으로 나뉘어진 고정플랜지(22) 및 체결플랜지(23)가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플랜지(22)는 상단면에 비해 하단면이 더 좁은 형태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통(20)과 철주(A) 사이에 걸쳐서 끼어지도록 하며 또한 상기 고정플랜지(22)와 체결플랜지(23)에는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같은 수의 고정플랜지나사홈(22a) 및 체결플랜지나사홈(23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랜지나사홈(22a) 및 체결플랜지나사홈(23)에 체결나사(26)가 나삽되어 상기 고정플랜지(23)을 고정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체결플랜지(23)는 용접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통(20a) 내부에 고정 체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몸통의 상단에는 납작한 환형의 고정디스크(25)가 상기 지지몸통(20)의 지지플랜지(20b) 상단에 위치하는데 이때 상기 환형의 고정디스크(25)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디스크홈(25a)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다수의 디스크홈(25a)은 상기 지지몸통(20)에 설치된 지지파이프(20c)와 동일한 간격과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파이프(20c) 내부의 구멍과 상기 디스크홈(25a)의 크기가 맞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디스크(25) 위로 철골지지대(30)가 위치하는데 상기 철골지지대(30)는 환형의 철골플랜지(30a)와 상기 다수의 디스크홈(25a) 및 지지파이프(20c)와 동일한 간격과 개수로 맞춰진 다수의 철골끼움핀(30b)과 상기 철골끼움핀(30b)에 끼워지는 철골구조(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철골지지대(30) 위로 베이스커버(40)가 덮어져 본 발명의 매설식 지지구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가 결합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하기에서는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과 같이 형성된 철주가 지지되는 상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지지몸통(20)과 체결플랜지(23), 고정디스크(25), 철골지지대(30)를 결합시키는데 이때 상기 철골지지대(30)의 철골끼움핀(30b)에는 상기 지지몸통(20)을 지탱시켜 줄 철골구조(30c)를 결합 체결시킨다.
상기 지지몸통(20)과 체결플랜지(23), 고정디스크(25), 철골구조(30c)를 결합한 철골지지대(30)를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몸통(20)의 지지통(20a) 내부에 고정 체결된 철주고정통(21) 위로 상기 철주(A)를 끼워서 체결한다. 이때 상기 체결플랜지(23), 고정디스크(25), 철골지지대(30)가 결합된 지지몸통(20)은 고정 매설된 상태에서 상기 철주(A)를 끼워서 체결하게 된다.
상기 철주(A)를 끼워서 체결하면, 상기 철주고정통(21)의 하단 측면에 경사가 있어서 상기 철주(A)가 상기 철주고정통(21)의 경사가 진 하단 측면과 밀착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철주(A)와 철주고정통(21)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상기 철주(A)가 고정되게 된다.
상기 철주(A)가 상기 철주고정통(21)에 끼워진 후, 상기 반으로 나뉜 환형의 고정플랜지(22)를 상기 철주(A)와 상기 지지플랜지(20b)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고정플랜지(22)는 측면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플랜지(22)의 상면은 상기 철주(A)와 상기 지지플랜지(20b) 사이에 형성된 틈보다 더 넓기 때문에 상기 고정플랜지(22)는 상기 틈에 완전히 들어가지 못하고 중간에 걸쳐진 채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 고정플랜지(22)를 끼울 때, 상기 고정플랜지(22)의 각각의 고정플랜지나사홈(22a)이 상기 체결플랜지(23)내에 상기 고정플랜지나사홈(22a)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각각의 체결플랜지나사홈(23a)과 맞춰지도록 끼운 후 상기 체결나사(26)를 각각의 고정플랜지나사홈(22a) 및 거기에 맞춘 체결플랜지나사홈(23a)에 나삽하여 상기 고정플랜지(22)가 안정적으로 상기 철주(A)와 상기 지지플랜지(20b) 사이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플랜지(22)를 상기 철주(A)와 지지플랜지(20b) 사이에 끼워서 체결함으로써 상기 철주(A)에 횡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경사진 고정플랜지(22)가 상기 철주(A)를 지지해 줌으로써 상기 철주(A)를 안정적으로 고정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플랜지(22)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베이스커버(40)를 상기 철골지지대(30) 위로 덮은 후 상기 베이스커버(40) 상단까지 매설하여 매설식 지지구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는 상기 지지몸통(20)에 결합된 철골지지대(30)로 인하여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통(20a) 및 고정플랜지(22)로 인하여 횡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필요할 경우 상기 철주(A)를 회전시켜 도로의 상황에 맞춰서 상기 철주(A) 상단에 연결된 암(도시되지 않음)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고정플랜지의 또 다른 형태인 제2고정플랜지(5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제2고정플랜지(50)는 환형의 고정플랜지바디(50a)와 상기 고정플랜지바디(50a) 하면에 부착되는 경사진 원통형의 고정판(50b) 및 상기 고정플랜지바디(50a)에 상기 다수의 지지파이프(20c)와 동일한 개수로 맞춰 형성되는 다수의 플랜지홈(50c)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플랜지홈(50c)은 상기 제2고정플랜지(50)와 용접 체결된 철주(A)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늘어난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플랜지(50)는 상기 철주(A)의 밑 부분에 끼운 후 용접 체결하여 지지몸통(20)에 끼워서 설치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제2고정플랜지(50)을 이용하여 설치한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의 단면도이다. 제2고정플랜지(50)를 사용한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에서, 상기의 고정플랜지(22) 및 체결플랜지(23), 고정디스크(25)는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철주고정통(21)이 고정 체결된 상태의 지지몸통(20) 위로 상기 제2고정플랜지(50)가 고정 체결된 철주(A)를 상기 지지몸통(20) 내부로 끼워 넣는다. 그리고 철골구조(30c)가 결합된 철골지지대(30)를 끼운 후 베이스커버(40)를 덮어 매설식 지지구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나머지 제2고정플랜지(50)를 이용한 매설식 지지구조의 구조형태와 효과는 상기 도 3의 매설식 지지구조와 동일하다.
10 : 매설식 지지구조. 20 : 지지몸통. 20a : 지지통. 20b : 지지플랜지.
20c : 지지파이프. 21 : 철주고정통. 22 : 고정플랜지.
22a : 고정플랜지나사홈. 23 : 체결플랜지. 23a : 체결플랜지나사홈.
24 : 배선홈. 25 : 고정디스크. 25a : 디스크홈. 30 : 철골지지대.
30a : 플랜지바디. 30b : 고정판. 30c : 철골구조. 40 : 베이스커버.
50 : 제2고정플랜지. 50a : 고정플랜지바디. 50b : 고정판. 50c : 플랜지홈.
20c : 지지파이프. 21 : 철주고정통. 22 : 고정플랜지.
22a : 고정플랜지나사홈. 23 : 체결플랜지. 23a : 체결플랜지나사홈.
24 : 배선홈. 25 : 고정디스크. 25a : 디스크홈. 30 : 철골지지대.
30a : 플랜지바디. 30b : 고정판. 30c : 철골구조. 40 : 베이스커버.
50 : 제2고정플랜지. 50a : 고정플랜지바디. 50b : 고정판. 50c : 플랜지홈.
Claims (11)
-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로써,
원통형의 지지통 및 환형의 지지플랜지로 이루어진 지지몸통;
상기 지지몸통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철주고정통;
상기 지지몸통과 철주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플랜지 및 체결플랜지로 구성되는 플랜지부;
상기 지지몸통에 설치되는 철골지지대;
상기 철골지지대 위에 덮어지는 베이스커버;
로 구성되는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로서, 상기 지지통의 지지플랜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원통형 지지파이프가 다수 설치되고, 상기 철주고정통은 측면 아래쪽으로 테이퍼지게 되며, 상기 고정플랜지와 체결플랜지에는 같은 간격과 크기의 고정플랜지나사홈 및 체결플랜지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는 반환형이며, 상기 고정플랜지는 상면이 하면에 비해 더 넓어지도록 측면이 경사지고, 상기 지지플랜지 위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플랜지에 설치된 지지파이프와 개수 및 간격이 동일하게 디스크홈이 형성된 고정디스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골지지대는 환형의 철골플랜지와 상기 다수의 지지파이프와 동일한 간격과 개수로 맞춰진 다수의 철골끼움핀과 상기 철골끼움핀에 끼워지는 철골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772A KR101354455B1 (ko) | 2013-03-06 | 2013-03-06 |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772A KR101354455B1 (ko) | 2013-03-06 | 2013-03-06 |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4455B1 true KR101354455B1 (ko) | 2014-01-24 |
Family
ID=5014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3772A KR101354455B1 (ko) | 2013-03-06 | 2013-03-06 |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445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3605B1 (ko) * | 2018-10-12 | 2020-01-07 | (주)광명라이팅 | 심재를 이용한 이중 보강형 및 감전방지 절연판을 이용한 안전형 가로등 지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28692A (ja) * | 1996-02-20 | 1997-09-02 | Kubota Corp | 鋼管柱の継手装置 |
JP2008031711A (ja) * | 2006-07-28 | 2008-02-14 |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 金属管柱の基部構造 |
KR100905889B1 (ko) * | 2008-04-18 | 2009-07-03 | 박지운 |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
KR100907863B1 (ko) * | 2008-12-18 | 2009-07-14 | (주)일산금속 | 가로등 지주 기초 |
-
2013
- 2013-03-06 KR KR1020130023772A patent/KR1013544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28692A (ja) * | 1996-02-20 | 1997-09-02 | Kubota Corp | 鋼管柱の継手装置 |
JP2008031711A (ja) * | 2006-07-28 | 2008-02-14 |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 金属管柱の基部構造 |
KR100905889B1 (ko) * | 2008-04-18 | 2009-07-03 | 박지운 |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
KR100907863B1 (ko) * | 2008-12-18 | 2009-07-14 | (주)일산금속 | 가로등 지주 기초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3605B1 (ko) * | 2018-10-12 | 2020-01-07 | (주)광명라이팅 | 심재를 이용한 이중 보강형 및 감전방지 절연판을 이용한 안전형 가로등 지주 |
KR102053607B1 (ko) * | 2018-10-12 | 2020-01-22 | (주)광명라이팅 | 서지(surge) 보호기능을 갖는 전기안전 가로등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1553B1 (ko) |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 |
US20100205875A1 (en) | Pole assembly and mounting thereof | |
KR101230498B1 (ko) | 신호등 장치 | |
KR100991886B1 (ko) | 기둥 정착구조 | |
KR101354455B1 (ko) |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 | |
KR101066388B1 (ko) | 조립이 쉽고 수직 설치가 정확한 가로등주 매립형 설치구조틀 및 이의 설치 방법 | |
KR20100120727A (ko) | 보강 지주조립체 | |
KR20090038115A (ko) |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 |
KR200433150Y1 (ko) | 가로등용 지주의 고정대 | |
KR200418034Y1 (ko) | 방음벽 지주받침대 | |
KR20120062425A (ko) | 지주 고정용 매립식 멀티 블록 | |
KR101338390B1 (ko) | 지주고정 장치 | |
KR101077971B1 (ko) |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 |
KR100523556B1 (ko) | 전광판 지지구조물 | |
JP5976060B2 (ja) | 支柱根元の犬猫放尿防止用構造物 | |
KR101474736B1 (ko) | 가로등의 기둥 고정장치 | |
KR20100000441U (ko) | 지중 매입형 가로용 기둥 | |
KR101148172B1 (ko) |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 |
KR20210000630U (ko) | 가로등 지주 고정장치 | |
KR20100042446A (ko) |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41150B1 (ko) | 무앵커 가로등 기초 | |
KR101311259B1 (ko) | 기초환경블록을 이용한 지주의 설치장치 | |
CN218813847U (zh) | 一种灯杆基础结构 | |
KR101441117B1 (ko) | 가로등 등의 지주 매설용 시멘트 블록 | |
KR200449157Y1 (ko) | 철주의 지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