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935B1 - 태양광 가로등 - Google Patents

태양광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935B1
KR102110935B1 KR1020190086541A KR20190086541A KR102110935B1 KR 102110935 B1 KR102110935 B1 KR 102110935B1 KR 1020190086541 A KR1020190086541 A KR 1020190086541A KR 20190086541 A KR20190086541 A KR 20190086541A KR 102110935 B1 KR102110935 B1 KR 10211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ase plate
air
street ligh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규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이병규
이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규, 이상우 filed Critical 이병규
Priority to KR102019008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한 결합통체를 플랜지 방식으로 볼팅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통체의 외주면에 필름 형태의 태양광전지모듈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결합통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부품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방열성을 향상시키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태양광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배치되며, 외주 일측면에 엘이디램프가 구비되고, 상단측 외주에 형성된 수납홈에 절첩 수납되는 깃발봉이 구비된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통체의 하부가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통체의 공간부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가 상,하로 천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체의 하부와 체결되도록 공기유입구보다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베이스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의 상부면 테두리 둘레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통체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제1안착홈부와, 상기 제1베이스판의 하부에 상기 지주부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부로 구성된 제1플랜지몸체와; 상기 제1플랜지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유입구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태양광전지모듈이 부착되며, 서로간의 근접 부위가 요철 결합되고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기층이 구비된 복수의 분할블록으로 구성된 결합통체와; 상기 결합통체의 공간부 내에 구비된 배터리와; 상기 결합통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체의 상부와 체결되도록 제2수용홈부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베이스판과, 상기 제2베이스판의 하부면 테두리 둘레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통체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제2안착홈부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의 상부에 상부몸체의 하부가 수용되고 공기유로가 형성된 제2수용홈부로 구성된 제2플랜지몸체와; 상기 제2플랜지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 일측에 붐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수용홈부 내부의 공기유로와 연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 메인램프가 구비된 등기구가 결합된 붐대; 및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몸체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하측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기구가 형성된 캡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태양광 가로등{SOLAR CELL STREET LIGHT}
본 발명은 태양광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한 결합통체를 플랜지 방식으로 볼팅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통체의 외주면에 필름 형태의 태양광전지모듈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결합통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부품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방열성을 향상시키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태양광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등에 설치되는 가로등은 매입된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야간 조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근래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 후 배터리에 충전시킨 후 충전된 전기를 이용해 야간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한 태양전지모듈을 이용한 가로등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로등에 설치된 태양전지모듈은 태양광으로부터 평면적으로 조사되어진 태양광 에너지를 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넓은 면적을 갖는 판넬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태양광을 이용한 가로등은 외부에 별도로 형성된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가로등의 상단에 수평면과 평행 또는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 구조로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태양광을 이용한 가로등은 별도의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므로 자가발전적 개념이 아니며, 상단에 수평면과 평행 또는 미리 설정된 각조로 형성된 경우 구조적으로 태양전지셀에 대한 개수의 제한이 심하여 원하는 전력을 획득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기존 태양광 가로등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2907호 "폴 타입 태양광 가로등 구조"(등록일자 : 2014.12.09)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 형성부, 지주부, 태양전지 모듈부, 배터리 보관부, 그리고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부 및 상기 배터리 보관부에 의한 전력 저장 기반으로 한 마이크로 태양광 발전소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운영되는 폴 타입 태양광 가로등으로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부는, 상기 지주부의 개구부를 통해 수직형으로 다수의 태양전지셀이 형성되며, 강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보호막을 형성하며, 상기 지주부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태양전지 모듈부와 결합 시 결합부위에 실리콘 실링(Silicone sealing) 처리하여 내외부 격리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주간 발전시 상기 폴 타입 태양광 가로등에 대한 계통선 전력 공급을 수행하여 첨두 부하(Peak Load)를 저감하는 것이지만, 배터리가 지주부의 내부에 보관됨에 따라 하절기 외부 온도가 상승하게 될 경우 쉽게 열화되어 배터리 제품의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다.
기존 태양광 가로등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8527호 "원통형 태양광 가로등"(등록일자 : 2014.10.2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를 갖으며 지면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지주 파이프와, 상기 지주 파이프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투명 원통형 파이프와, 상기 투명 원통형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압출홈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바와, 상기 이웃하는 고정바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병렬로 결합되어 태양광을 입사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다수개의 태양전지판과, 상기 투명 원통형 파이프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각 고정바의 압출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모듈과, 상기 지주 파이프와 투명 원통형 파이프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축전지모듈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 또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LED 등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기존 태양광 가로등에 관련된 선행기술들은 태양광전지모듈을 폴 지주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배터리의 설치 위치가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폴 지주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방열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배터리가 지주의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하절기에는 지주의 내부가 과열되어 배터리에 전달되는 온도가 65℃를 초과할 경우 배터리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태양광 가로등에 부피가 큰 태양광전지모듈을 장착할 경우, 바람 저항에 의해 부품이 파손 및 변형되므로, 부피의 제약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2907호 "폴 타입 태양광 가로등 구조"(등록일자 : 2014.12.0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8527호 "원통형 태양광 가로등"(등록일자 : 2014.10.24)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주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한 결합통체를 플랜지 방식으로 볼팅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통체의 외주면에 필름 형태의 태양광전지모듈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결합통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부품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방열성을 향상시키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태양광 가로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배치되며, 외주 일측면에 엘이디램프가 구비되고, 상단측 외주에 형성된 수납홈에 절첩 수납되는 깃발봉이 구비된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통체의 하부가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통체의 공간부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가 상,하로 천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체의 하부와 체결되도록 공기유입구보다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베이스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의 상부면 테두리 둘레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통체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제1안착홈부와, 상기 제1베이스판의 하부에 상기 지주부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부로 구성된 제1플랜지몸체와; 상기 제1플랜지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유입구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태양광전지모듈이 부착되며, 서로간의 근접 부위가 요철 결합되고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기층이 구비된 복수의 분할블록으로 구성된 결합통체와; 상기 결합통체의 공간부 내에 구비된 배터리와; 상기 결합통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체의 상부와 체결되도록 제2수용홈부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베이스판과, 상기 제2베이스판의 하부면 테두리 둘레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통체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제2안착홈부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의 상부에 상부몸체의 하부가 수용되고 공기유로가 형성된 제2수용홈부로 구성된 제2플랜지몸체와; 상기 제2플랜지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 일측에 붐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수용홈부 내부의 공기유로와 연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 메인램프가 구비된 등기구가 결합된 붐대; 및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몸체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하측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기구가 형성된 캡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플랜지몸체는 상기 제1수용홈부와 제1베이스판을 연결하는 제1보강리브가 더 형성된다.
상기 분할블록은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며 상기 제1,2체결공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결합되도록 제1,2결합공이 형성된 연결리브와, 근접된 분할블록이 서로 요철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부와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되도록 타측에 형성되는 결합홈부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2플랜지몸체는 상기 제2수용홈부와 제2베이스판을 연결하는 제2보강리브가 더 형성된다.
상기 엘이디램프는 관리자 휴대폰의 앱 조작시 상기 배터리 또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온동작되고, 상기 온동작시 파노라마 점등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 지주부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통체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 내에 배터리가 내장되며 외주면에 태양광전지모듈이 부착된 결합통체를 지주부의 상측에 결합된 제1플랜지몸체의 상측과 제2플랜지몸체의 하측 사이에 플랜지 결합방식으로 개재되도록 결합시킴에 따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절기 온도 상승시 외부 공기가 공기유입구를 통해 결합통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결합통체의 내부공기가 상승되어 캡부재의 하부 바닥면에 형성된 공기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므로, 공기 순환 및 방열성을 향상시켜 공간부 내에 배치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결합통체는 상호 조립이 가능한 복수의 분할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가공생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현장에서 용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배기구가 캡부재의 하부면에 하측으로 천공되어 있으므로, 외부 빗물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주부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통체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결합통체 내의 온도를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켜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제1플랜지몸체의 정단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플랜지몸체와 결합통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깃발봉의 일 실시 예 및 변형 실시 예.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제2플랜지몸체의 정단면도 및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 상부 몸체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캡부재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의 방열시 공기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은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배치되며, 외주 일측면에 엘이디램프(150)가 구비되고, 상단측 외주에 형성된 수납홈(120)에 절첩 수납되는 깃발봉(110)이 구비된 지주부(100)와; 상기 지주부(10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통체(300)의 하부가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통체(300)의 공간부(305)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212)가 상,하로 천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체(300)의 하부와 체결되도록 공기유입구(212)보다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체결공(215)이 형성된 제1베이스판(210)과, 상기 제1베이스판(210)의 상부면 테두리 둘레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통체(300)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제1안착홈부(220)와, 상기 제1베이스판(210)의 하부에 상기 지주부(100)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부(230)로 구성된 제1플랜지몸체(200)와;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의 상부에 안착되고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유입구(212)와 연통되는 공간부(305)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태양광전지모듈(350)이 부착되며, 서로간의 근접 부위가 요철 결합되고 내측면(311)과 외측면(313)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기층(320)이 구비된 복수의 분할블록(310)으로 구성된 결합통체(300)와; 상기 결합통체(300)의 공간부(305) 내에 구비된 배터리(400)와; 상기 결합통체(3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공간부(305)와 연통되는 통공(55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체(300)의 상부와 체결되도록 제2수용홈부(520)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2체결공(515)이 형성된 제2베이스판(510)과, 상기 제2베이스판(510)의 하부면 테두리 둘레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통체(300)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제2안착홈부(530) 및 상기 제2베이스판(510)의 상부에 상부몸체(600)의 하부가 수용되고 공기유로(505)가 형성된 제2수용홈부(520)로 구성된 제2플랜지몸체(500)와; 상기 제2플랜지몸체(5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 일측에 붐대(700)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6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수용홈부(520) 내부의 공기유로(505)와 연통된 중공부(605)가 형성된 상부몸체(600)와; 상기 상부몸체(60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 메인램프가 구비된 등기구(750)가 결합된 붐대(700); 및 상기 상부몸체(6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몸체(600)의 중공부(605)와 연통되는 내부공간(805)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상기 내부공간(805)의 공기를 하측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기구(810)가 형성된 캡부재(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주부(100)는 하부가 지면에 볼팅 결합방식으로 고정되고, 상부가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지주부(10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는 상기 지주부(100)의 상부와 상기 결합통체(300)의 하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지주부(100)의 외주에는 휴대폰의 앱 조작에 연동되어 온, 오프동작되며, 상기 온동작시 파노라마 점등 동작되는 엘이디램프(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엘이디램프(150)는 관리자의 휴대폰 앱 조작시 상기 배터리(400) 또는 상용전원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온동작되고, 파노라마 점등됨에 따라 축제나 야외 행사시 별도의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관상 미려함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주부(100)는 가공성 및 방열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통체(300)는 방열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결합통체(300) 내의 온도를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켜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과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는 제1베이스판(210)의 하부면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부(100)의 상부가 끼워지는 제1수용홈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210)의 상부면 테두리 둘레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통체(300)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제1안착홈부(22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베이스판(210)은 원판형 플레이트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212)가 상,하로 연통되도록 천공되고, 상기 결합통체(300)의 하부와 볼트로 체결되도록 공기유입구(212)보다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체결공(21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베이스판(210)은 배터리(400)의 위치가 상기 지주부(100)의 내부에 배치될 경우에는 상기 지주부(100)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배터리(400)에 대한 환기구조 및 침수에 대한 우려를 고려하여 상기 결합통체(300)의 상측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배터리(400)가 결합통체(300)의 공간부(305)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공(215)은 상기 제1수용홈부(2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공기유입구(212)는 하나 이상이지만, 복수개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는 상기 제1수용홈부(230)와 제1베이스판(210)을 연결하는 제1보강리브(240)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통체(300)는 하단부가 상기 제1안착홈부(220) 내에 수용되도록 안착되고, 상단부가 제2플랜지몸체(500)의 제2안착홈부(530) 내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통체(300)는 내부에 공기 유동이 가능하고 배터리(400)가 수용되도록 공간부(305)를 갖는 관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가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에 체결부재로 결합되며, 상부가 제2플랜지몸체(500)에 체결부재로 결합되고, 가공성을 위해 서로 간의 근접 부위가 요철 결합되는 복수의 분할블록(310)으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분할블록(310)은 내측면(311)과 외측면(313) 사이에 단열성을 갖도록 공기층(320)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311)과 외측면(313)을 연결하며 상기 제1,2체결공(215,515)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결합되도록 제1,2결합공이 형성된 연결리브(315)가 구비된다.
상기 분할블록(310)은 근접된 분할블록(310)과 요철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돌부(312)가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돌부(312)와 대응되는 결합홈부(314)가 형성된다.
상기 분할블록(310)은 원호형 블록 형태로 구성되며, 총 6개로 구성되어 서로간의 근접부위가 요철결합되도록 결합돌부(312)가 결합홈부(314) 내에 끼워지는 결합방식을 갖는다.
또한, 상기 분할블록(310)은 제1체결공(215)을 관통한 체결부재에 의해 하부가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와 결합되고, 제2체결공(515)을 관통한 체결부재에 의해 상부가 상기 제2플랜지몸체(500)와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분할블록(310)으로 구성된 결합통체(300)의 외주면에는 박막의 필름 형태로 구성된 태양광전지모듈(350)이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태양광전지모듈(350)이 결합통체(3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됨에 따라 지주부(100)의 상측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바람 저항을 줄여서 부피를 확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결합통체(300)는 상호 조립이 가능한 복수의 분할블록(310)으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결합통체(300)의 가공 생산성이 향상되고 현장에서 용접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지주부(100)의 외주에는 깃발을 매달 수 있는 깃발봉(110)이 마련되고, 평상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주부(100)의 외주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홈(120) 내에 깃발봉(110)이 수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깃발봉(110)은 일단부가 상기 수납홈(120)의 내부에 힌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깃발봉(110)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는 달리, 일단부가 지주부(100)의 외주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자유단이 되어 깃발을 매달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플랜지몸체(500)는 중앙에 상기 결합통체(300)의 공간부(305)와 연통되도록 통공(55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체(300)의 상부와 착탈가능하게 체결(결합)되도록 제2수용홈부(520)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2체결공(515)이 형성된 제2베이스판(510)과, 상기 제2베이스판(510)의 하부면 테두리 둘레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통체(300)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제2안착홈부(530), 및 상기 제2베이스판(510)의 상부에 상기 상부몸체(600)의 하부가 수용되고 공기유로(505)가 형성되는 제2수용홈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제2안착홈부(530)는 상기 제2베이스판(510)의 테두리 둘레에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플랜지몸체(500)는 상기 제2수용홈부(520)와 상기 제2베이스판(510)을 연결하는 제2보강리브(5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수용홈부(520)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통체(300)의 공간부(305) 내의 공기를 상측방향의 상부몸체(600)의 중공부(605)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공기유로(505)가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몸체(600)는 결합통체(300)의 상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 일측에 상기 붐대(700)가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부(61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600)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305)와 제2수용홈부(520) 내부의 공기유로(505)와 연통되는 중공부(6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붐대(700)는 일단부가 상기 끼움부(610) 내에 끼워진 상태로 체결부재로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메인램프가 구비된 등기구(750)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몸체(600)의 상측에는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캡부재(800)가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캡부재(800)는 상기 상부몸체(6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몸체(600)의 중공부(605) 내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805)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상기 내부공간(805)의 가열공기를 하측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기구(81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공기배기구(810)는 상기 공기유입구(212)만으로 공간부(305) 내의 환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캡부재(800)의 하부 바닥면에 형성시켜 상기 공간부(305) 내의 가열된 공기가 상승됨에 따라 외부로 배기시키는 공기 흐름 유로를 형성시키게 된다.
즉, 상기 캡부재(80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의 공기유입구(212)를 통해 결합통체(300)의 공간부(305) 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공간부(305) 내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승되면서 제2플랜지몸체(500)의 제2수용홈부(520)의 공기유로(505)와 상부몸체(600)의 중공부(605) 및 캡부재(800)의 내부공간(805)을 거쳐서 상기 공기배기구(8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유동성을 갖는 유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캡부재(800)는 공기배기구(810)가 하부 바닥면에 천공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빗물이 결합통체(300)의 공간부(305)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100)의 하부를 지면에 고정시키고, 지주부(100)의 상부가 제1플랜지몸체(200)의 제1수용홈부(230) 내에 끼워지도록 상기 지주부(100)의 상측에 제1플랜지몸체(200)를 안착시키고 체결부재로 지주부(100)와 제1플랜지몸체(200)를 결합시킨 후에,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의 제1안착홈부(220)에 결합통체(300)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한 후에 제1체결공(215)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결합통체(300)의 연결리브(315)에 형성된 제1결합공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통체(300)의 하부가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결합통체(300)의 상부가 제2플랜지몸체(500)의 제2수용홈부(520)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플랜지몸체(500)의 제2안착홈부(530)에 상부몸체(60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상부몸체(600)의 상부에는 캡부재(800)가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600)의 중공부(605)와 캡부재(800)의 내부공간(805)이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상부몸체(600)의 중공부(605)는 상기 제2플랜지몸체(500)의 내부와 상기 결합통체(300)의 공간부(305) 내부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하절기 외부 온도에 의해 결합통체(300)가 가열됨에 따라 외부공기가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에 형성된 공기유입구(212)를 통해 결합통체(300) 내부로 유입된 후에 공기가 제2플랜지몸체(500)와 상부몸체(600)를 거쳐 캡부재(800)의 내부공간(805) 내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캡부재(800)의 하부 바닥면에 형성된 공기배기구(81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과정에서 결합통체(300) 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방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결합통체(300)는 복수의 분할블록(310)이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와 상기 제2플랜지몸체(500)의 사이에 개재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의 분할블록(310)이 고정되도록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공간부(305)가 형성된 하나의 원통형 관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분할블록(310)은 일측단에 형성된 결합돌부(312)가 근접된 분할블록(31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홈부(314)에 상호 요철결합됨에 따라, 현장에서 용접작업없이 간편하게 결합시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분할블록(310)들간의 결합 지지력이 증대되고, 상기 공간부(305)의 기밀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태양광전지모듈(350)은 상기 각각의 분할블록(310)이 결합된 결합통체(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통체(300)의 외주 둘레에 상기 태양광전지모듈(350)을 부착시킨다.
상기 분할블록(310)은 외측면(313)과 내측면(311) 사이에 공기층(3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층(320)이 외부 온도가 공간부(305) 내에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305)가 형성되고 공간부(305) 내에 배터리(400)가 내장되며 외주면에 태양광전지모듈(350)이 부착된 결합통체(300)를 지주부(100)의 상측에 결합된 제1플랜지몸체(200)의 상측과 제2플랜지몸체(500)의 하측 사이에 플랜지 결합방식으로 개재되도록 결합시킴에 따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절기 온도 상승시 외부 공기가 공기유입구(212)를 통해 결합통체(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결합통체(300)의 내부공기가 상승되어 캡부재(800)의 하부 바닥면에 형성된 공기배기구(81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므로, 공기 순환 및 방열성을 향상시켜 공간부(305) 내에 배치된 배터리(4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배기구(810)가 캡부재(800)의 하부면에 하측으로 천공되어 있으므로, 외부 빗물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지주부 110 : 깃발봉
120 : 수납홈 150 : 엘이디램프
200 : 제1플랜지몸체 210 : 제1베이스판
212 : 공기유입구 215 : 제1체결공
220 : 제1안착홈부 230 : 제1수용홈부
240 : 제1보강리브 300 : 결합통체
305 : 공간부 310 : 분할블록
311 : 내측면 312 : 결합돌부
313 : 외측면 314 : 결합홈부
315 : 연결리브 320 : 공기층
350 : 태양광전지모듈 400 : 배터리
500 : 제2플랜지몸체 505 : 공기유로
510 : 제2베이스판 520 : 제2수용홈부
530 : 제2안착홈부 540 : 제2보강리브
600 : 상부몸체 605 : 중공부
610 : 끼움부 700 : 붐대
750 : 등기구 800 : 캡부재
805 : 내부공간 810 : 공기배기구

Claims (7)

  1.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배치되며, 외주 일측면에 엘이디램프(150)가 구비되고, 상단측 외주에 형성된 수납홈(120)에 절첩 수납되는 깃발봉(110)이 구비된 지주부(100)와;
    상기 지주부(10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통체(300)의 하부가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통체(300)의 공간부(305)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212)가 상,하로 천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체(300)의 하부와 체결되도록 공기유입구(212)보다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체결공(215)이 형성된 제1베이스판(210)과, 상기 제1베이스판(210)의 상부면 테두리 둘레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통체(300)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제1안착홈부(220)와, 상기 제1베이스판(210)의 하부에 상기 지주부(100)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부(230)로 구성된 제1플랜지몸체(200)와;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의 상부에 안착되고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유입구(212)와 연통되는 공간부(305)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태양광전지모듈(350)이 부착되며, 서로간의 근접 부위가 요철 결합되고 내측면(311)과 외측면(313)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기층(320)이 구비된 복수의 분할블록(310)으로 구성된 결합통체(300)와;
    상기 결합통체(300)의 공간부(305) 내에 구비된 배터리(400)와;
    상기 결합통체(3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공간부(305)와 연통되는 통공(55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체(300)의 상부와 체결되도록 제2수용홈부(520)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2체결공(515)이 형성된 제2베이스판(510)과, 상기 제2베이스판(510)의 하부면 테두리 둘레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통체(300)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제2안착홈부(530) 및 상기 제2베이스판(510)의 상부에 상부몸체(600)의 하부가 수용되고 공기유로(505)가 형성된 제2수용홈부(520)로 구성된 제2플랜지몸체(500)와;
    상기 제2플랜지몸체(5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 일측에 붐대(700)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6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수용홈부(520) 내부의 공기유로(505)와 연통된 중공부(605)가 형성된 상부몸체(600)와;
    상기 상부몸체(60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 메인램프가 구비된 등기구(750)가 결합된 붐대(700); 및
    상기 상부몸체(6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몸체(600)의 중공부(605)와 연통되는 내부공간(805)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상기 내부공간(805)의 공기를 하측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기구(810)가 형성된 캡부재(8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몸체(200)는 상기 제1수용홈부(230)와 제1베이스판(210)을 연결하는 제1보강리브(24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할블록(310)은 상기 내측면(311)과 외측면(313)을 연결하며 상기 제1,2체결공(215,515)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결합되도록 제1,2결합공이 형성된 연결리브(315)와, 근접된 분할블록(310)이 서로 요철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부(312)와 상기 결합돌부(312)와 대응되도록 타측에 형성되는 결합홈부(3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몸체(500)는 상기 제2수용홈부(520)와 제2베이스판(510)을 연결하는 제2보강리브(54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램프(150)는 관리자 휴대폰의 앱 조작시 상기 배터리(400) 또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온동작되고, 상기 온동작시 파노라마 점등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통체(300)의 태양광전지모듈(350)은 박막의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통체(300)의 외주면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100)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통체(300)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KR1020190086541A 2019-07-17 2019-07-17 태양광 가로등 KR10211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541A KR102110935B1 (ko) 2019-07-17 2019-07-17 태양광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541A KR102110935B1 (ko) 2019-07-17 2019-07-17 태양광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935B1 true KR102110935B1 (ko) 2020-05-14

Family

ID=7073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541A KR102110935B1 (ko) 2019-07-17 2019-07-17 태양광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9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89B1 (ko) * 2023-01-10 2023-05-11 주식회사 미아솔 외관성 및 구조강도가 우수한 태양광 가로등
KR102615953B1 (ko) 2023-05-12 2023-12-20 주식회사 트레시스 지주형 태양광 시스템 설비 장치
KR102633992B1 (ko) * 2023-09-22 2024-02-06 주식회사 트레시스 지주대용 태양광모듈 조립체
KR102633988B1 (ko) * 2023-08-16 2024-02-06 주식회사 트레시스 태양광모듈을 갖는 가로등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33B1 (ko) * 2007-03-26 2007-09-03 (주)에펠 조립식 가로등주
KR101061477B1 (ko) * 2011-04-15 2011-09-02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가로등 지주대
KR20130000199A (ko) * 2011-06-22 2013-01-02 이종훈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가로등
KR101458527B1 (ko) 2014-01-15 2014-11-04 (주)미라클산업 원통형 태양광 가로등
KR101472907B1 (ko) 2013-08-28 2014-12-24 주식회사 제이엠티 폴 타입 태양광 가로등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33B1 (ko) * 2007-03-26 2007-09-03 (주)에펠 조립식 가로등주
KR101061477B1 (ko) * 2011-04-15 2011-09-02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가로등 지주대
KR20130000199A (ko) * 2011-06-22 2013-01-02 이종훈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가로등
KR101472907B1 (ko) 2013-08-28 2014-12-24 주식회사 제이엠티 폴 타입 태양광 가로등 구조
KR101458527B1 (ko) 2014-01-15 2014-11-04 (주)미라클산업 원통형 태양광 가로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89B1 (ko) * 2023-01-10 2023-05-11 주식회사 미아솔 외관성 및 구조강도가 우수한 태양광 가로등
KR102615953B1 (ko) 2023-05-12 2023-12-20 주식회사 트레시스 지주형 태양광 시스템 설비 장치
KR102633988B1 (ko) * 2023-08-16 2024-02-06 주식회사 트레시스 태양광모듈을 갖는 가로등 조립체
KR102633992B1 (ko) * 2023-09-22 2024-02-06 주식회사 트레시스 지주대용 태양광모듈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935B1 (ko) 태양광 가로등
CN101943339B (zh) Led照明灯
KR102032440B1 (ko) 가로등 설치형 태양열전지판 거치대
CN201757308U (zh) Led照明灯
CN205560594U (zh) 一种一体化led太阳能路灯
CN104930448B (zh) 一种太阳能一体化路灯
KR102032444B1 (ko) 가로등 설치형 태양열전지판 거치체
KR101458527B1 (ko) 원통형 태양광 가로등
CN206386775U (zh) 一种组合式投光灯
CN214890891U (zh) 一种智慧园区用储电式智能灯杆
CN212510915U (zh) 一种可调节的智慧型太阳能路灯
CN210319802U (zh) 一种园林设计用便于散热的观赏性定制灯
CN210462805U (zh) 一种市政用节能型led路灯
CN109140362A (zh) 一种新型太阳能路灯
CN108730878B (zh) 新型路灯
CN220524047U (zh) 一种太阳能路灯
KR20240059055A (ko) 태양광 발전형 가로등
KR20220005863A (ko) 배터리 내장형 태양광 발전식 가로등
CN216976671U (zh) 一种基于太阳能电池板新型安装方式的城市路灯
CN214094254U (zh) 一种方便维护的led草坪灯
CN212961320U (zh) 一种含有长寿命驱动电源技术的太阳能景观灯
CN205504818U (zh) 一种新型太阳能园林景观灯
CN205137350U (zh) 可自由拼接的电源光源整合式led灯
KR20220005864A (ko) 배터리 내장형 태양광 발전식 가로등의 발광다이오드 모듈
CN214369860U (zh) 一种钣金太阳能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