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805B1 -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 Google Patents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805B1
KR101895805B1 KR1020180027931A KR20180027931A KR101895805B1 KR 101895805 B1 KR101895805 B1 KR 101895805B1 KR 1020180027931 A KR1020180027931 A KR 1020180027931A KR 20180027931 A KR20180027931 A KR 20180027931A KR 101895805 B1 KR101895805 B1 KR 101895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trut
pipe
assembly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숙
Original Assignee
오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숙 filed Critical 오정숙
Priority to KR102018002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분할된 하부 지주, 상부 지주 및 아암 지주가 각각 조립 설치됨에 있어서, 각 지주의 연결부는 반구형 탄성 가압식 판스프링에 의해 지주 간 고정력이 배가되도록 하되, 상기 판스프링은 벌어진 양단부가 대응되는 삽입공(또는 절개홈)에 끼워진 후 진입방향 정면에 위치한 한 개의 볼트 조임만으로 전진하면서 강력한 체결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지주 간 삽입시 조립공차로 인해 양분된 빈 공간을 판스프링의 양단부가 쐐기식으로 끼워져(채워져) 중앙 볼트 조임 힘(앞에서 미는 힘)과 조립된 지주 간 서로 맞닿는 뒷쪽 면(후면 밀착) 고정 그리고 정면 볼트 조임 방향에 대한 좌,우 직교 방향(정,배,좌,우 - 4면)에 이르는 4방향 전부에서 고정력이 확보되어 지주의 연결부 간 흔들림이 전혀 없이 체결력이 크게 개선되도록 형성되며, 특히 하부 지주에 대하여 장착되는 상부 지주는 하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면이 회전유도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기만(또는 치우치거나 걸리기만) 해도 정위치를 찾아 자동 선회하면서 세팅 포인트를 정확히 맞춰 돌아가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 대비 사용시 탁월한 유지 관리성과 설치 작업성을 제공함은 물론 하부 지주에 형성된 점검구는 내부 절연필름과 절연고무가 코팅된 도어커버에 의해 우천시 내부로의 누수가 완벽하게 차단되어 사용 관리 중에 예기치 못하는 누전이 발생되더라도 전기적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며 이에 사후 유지관리가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Prefabricated street lamp pole with angle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분할된 하부 지주, 상부 지주 및 아암 지주가 각각 조립 설치됨에 있어서, 각 지주의 연결부는 반구형 탄성 가압식 판스프링에 의해 지주 간 고정력이 배가되도록 하되, 상기 판스프링은 벌어진 양단부가 대응되는 삽입공(또는 절개홈)에 끼워진 후 진입방향 정면에 위치한 한 개의 볼트 조임만으로 전진하면서 강력한 체결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지주 간 삽입시 조립공차로 인해 양분된 빈 공간을 판스프링의 양단부가 쐐기식으로 끼워져(채워져) 중앙 볼트 조임 힘(앞에서 미는 힘)과 조립된 지주 간 서로 맞닿는 뒷쪽 면(후면 밀착) 고정 그리고 정면 볼트 조임 방향에 대한 좌,우 직교 방향(정,배,좌,우 - 4면)에 이르는 4방향 전부에서 고정력이 확보되어 지주의 연결부 간 흔들림이 전혀 없이 체결력이 크게 개선되도록 형성되며, 특히 하부 지주에 대하여 장착되는 상부 지주는 하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면이 회전유도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기만(또는 치우치거나 걸리기만) 해도 정위치를 찾아 자동 선회하면서 세팅 포인트를 정확히 맞춰 돌아가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 대비 사용시 탁월한 유지 관리성과 설치 작업성을 제공함은 물론 하부 지주에 형성된 점검구는 내부 절연필름과 절연고무가 코팅된 도어커버에 의해 우천시 내부로의 누수가 완벽하게 차단되어 사용 관리 중에 예기치 못하는 누전이 발생되더라도 전기적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며 이에 사후 유지관리가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이나 보도블럭 및 노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로등(街路燈)은 통상 바닥으로부터 소정깊이로 매립되는 콘크리트기초와 시공된 앵커볼트(Anchor bolt)에 가로등 지주 하단의 받침구를 관통시켜 다수 개의 너트로 결합되고, 가로등 지주의 상단은 그 폭이 점점 가늘어지면서 도로 또는 인도 쪽으로 절곡되어진 연장지주가 다수개의 단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로등(7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지주(71)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72)에 의하여 폴대지주(71)가 지면(8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폴대지주(71)의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아암 지주(73)의 하부가 별도의 테이퍼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74)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아암 지주(73)의 상단에는 등기구(75)가 결합된 등기구 아암(76)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로등주는 아암 지주가 폴대지주에 삽입되기 위하여 조립시 내외경 공차가 2~4mm 가 있어야만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 공차는 아암 지주와 폴대지주의 조립 후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 충격 또는 바람 등에 의한 흔들림으로 인해 조립된 볼트가 풀리거나 느슨해져 상기 아암 지주가 폴대지주를 기준으로 기울거나 틀어짐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주는 최초 설치 시공시나 이후 주변 상황 변화에 따라 위치 가변(도로 확장이나 도로 개설공사시 가로등의 조사 방향 변화 등)이 필요할 경우 크레인 중장비를 통해 가로등 지주 자체를 들어올려 아암 지주 위치를 바꿔야 하는 등 현실적으로 작업 손실이 너무 커 그에 대한 대안이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1. 특허출원 제10-2010-0085899호(2010.09.02. 출원) 2. 특허출원 제10-2010-0086252호(2010.09.03. 출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분할된 하부 지주, 상부 지주 및 아암 지주가 각각 조립 설치됨에 있어서, 각 지주의 연결부는 반구형 탄성 가압식 판스프링에 의해 지주 간 고정력이 배가되도록 하되, 상기 판스프링은 벌어진 양단부가 대응되는 삽입공(또는 절개홈)에 끼워진 후 진입방향 정면에 위치한 한 개의 볼트 조임만으로 전진하면서 강력한 체결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지주 간 삽입시 조립공차로 인해 양분된 빈 공간을 판스프링의 양단부가 쐐기식으로 끼워져(채워져) 중앙 볼트 조임 힘(앞에서 미는 힘)과 조립된 지주 간 서로 맞닿는 뒷쪽 면(후면 밀착) 고정 그리고 정면 볼트 조임 방향에 대한 좌,우 직교 방향(정,배,좌,우 - 4면)에 이르는 4방향 전부에서 고정력이 확보되어 지주의 연결부 간 흔들림이 전혀 없이 체결력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지주에 대하여 장착되는 상부 지주는 하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면이 회전유도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기만(또는 치우치거나 걸리기만) 해도 정위치를 찾아 자동 선회하면서 세팅 포인트를 정확히 맞춰 돌아가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 대비 사용시 탁월한 유지 관리성과 설치 작업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지주에 형성된 점검구가 내부 절연필름과 절연고무가 코팅된 도어커버에 의해 우천시 내부로의 누수가 완벽하게 차단되어 사용 관리 중에 예기치 못하는 누전이 발생되더라도 전기적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며 이에 사후 유지관리가 편리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부 지주(100)와, 상부 지주(200) 및 아암 지주(300) 또는 상,하부 지주와 아암 지주가 각각 분할 조립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주(100)는 지주관(110)의 상단부에 조립관(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조립관(120)은 내부 일측에 일방향으로 편심 이동 설치된 걸림턱(130)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120)의 내주연에는 회전유도체(14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회전유도체(140)는 걸림턱(130)의 편심측 방향이면서 걸림턱(130)의 길이방향 정중앙 직교방향으로 위치되며 동시에 걸림턱(130)보다 설정 간격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120)은 지주관(110)으로부터 돌출된 상측 외주면에 덮개(121)를 갖는 삽입공(122)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공(122)은 회전유도체(140)와 대향되는 반대측에 위치되면서 회전유도체(1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22)에는 반구형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수납되면서 하부 지주의 중공관(210)이 조립관(120)의 내측에 삽입되면 중공관(210)과 조립관(120) 사이의 양분된 조립공차를 끼움식으로 채워지게 하되, 상기 판스프링(400)은 면상 중앙에 관통공(410)이 형성되어 조립관(120)에 형성된 고정너트(123)를 기준으로 가압볼트(420)가 나사 체결되면 조임 여부에 따라 중공관(210)을 유동 없이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주(200)는 중공관(210)의 길이방향 하단부에 기준점(P)으로부터 장착점(P4)까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면서 동시에 원호형 만곡면이 구비된 슬라이드 면(211)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기준점(P)과 장착점(P3) 중 중공관(210)의 측면 일측에는 직선구간(2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면(211)과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회전유도체(140)와 대응되도록 걸림홈(21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213)은 슬라이드 면(211)의 장착점(P4)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면서 절개된 경사면에 의해 삼각골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210)의 길이방향 상단부에는 아암 지주와 조립되도록 일부 돌출된 결합관(220)이 형성되며; 상기 아암 지주(300)는 연결관(310)의 길이방향 선상 일측에 등기구(321)가 결합된 등기구 아암(32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310)은 내측에 고정관(33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관(330)은 외주면 일측에 가이드판(331)을 갖는 절개홈(332)이 일측 기준선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332)에는 반구형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수납되면서 상부 지주의 결합관(220)이 고정관(330)의 내측에 삽입되면 결합관(22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탄성 가압하도록 하되, 상기 판스프링(400)은 면상 중앙에 관통공(410)이 형성되어 고정관(330)에 형성된 결합너트(333)를 기준으로 가압볼트(420)가 나사 체결되면 조임 여부에 따라 결합관(220)을 유동 없이 고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400)이 결합된 가이드판(331)과 절개홈(332) 및 결합너트(333)와 가압볼트(420)는 연결관의 노출홈(311)에 의해 외부에서 탈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노출홈(311)은 커버부재(500)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하부 지주(100)는 면상 일측에 내외부가 관통된 점검구(150)에 도어커버(160)가 개폐되도록 하되, 상기 점검구(150)는 내부에 폴리카보네이트(P.C) 소재의 절연필름(600)이 내장되어 누전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되, 점검구(150) 내에 기 구비된 복수의 고리볼트와 전기부착부(안정기, SMPS, 차단 스위치, 각종 전기배선)는 절연고무에 의해 미리 코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연필름(600)은 고리볼트와 전기부착부에 간섭이 없도록 대응홈(6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절연필름(600)은 일측에 절개부(620)가 형성되어 지주관(110) 내부에 삽입시 탄성에 의해 확장 및 복원되면서 지주관(11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어커버(160)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조립공(161)이 형성되도록 하되, 점검구(150)를 향한 도어커버(160)의 내주면에는 납작한 박판형 고무패킹(162)을 부착한 뒤 절연고무(163)를 최소 2회 이상 코팅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상부 지주(200)는 중공관(210)의 하단 슬라이드 면(211)과 걸림홈(213)의 사선형 경사각, 만곡면 및 경사면에 대하여 보강 구조를 이루도록 보강판(230)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보강판(230)은 원판 또는 반구 형태로서 원주면 일측에 중공관(210)의 내경과 일부 이격된 원호면(231)이 형성되어 걸림홈(213)을 향해 경유하는 회전유도체(140)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판(230)은 복수 또는 복수 이상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되, 배치된 복수 또는 복수 이상의 보강판(230) 사이에는 서로를 잇는 다수개의 보강패널(240)이 평단면 기준으로 방사형태를 이루면서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230)과 보강패널(240)이 결합된 일체의 보강골조는 중공관(210) 하단부를 통해 내입시 연결부 강화와 응력 집중부를 강화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하부 지주(100)는 지주관(110)의 개구된 상단부에 상광하협 형태의 깔대기형 또는 나팔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부 지주(200)의 중공관(210) 하단부가 확장된 직경의 개구부를 통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지주(100)와 상부 지주(200)가 서로 연결되는 단부에는 수밀부재(700)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수밀부재(700)는 링 밴드형 패킹(710)에 덮개형 커튼(720)이 일체로 성형되어 하부 지주에 링 밴드 패킹(710)이 삽입되면 상부 지주의 결합에 의해 덮개형 커튼(720)이 치마 형태로 하부 지주의 바깥으로 덮여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할된 하부 지주, 상부 지주 및 아암 지주가 각각 조립 설치됨에 있어서, 각 지주의 연결부는 반구형 탄성 가압식 판스프링에 의해 지주 간 고정력이 배가되도록 하되, 상기 판스프링은 벌어진 양단부가 대응되는 삽입공(또는 절개홈)에 끼워진 후 볼트의 조임만으로 전진하면서 볼트 전진 방향의 직각으로 양분되어 있는 공간(조립공차 2~4mm)을 탄성의 힘과 볼트 조임 힘으로 쐐기식으로 끼워지면서 채워지도록 하여 지주의 연결부 간 체결력 향상과 흔들림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지주에 대하여 장착되는 상부 지주는 하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면이 회전유도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기만(또는 치우치거나 걸리기만) 해도 정위치를 찾아 자동 선회하면서 세팅 포인트를 정확히 맞춰 돌아가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 대비 사용시 탁월한 유지 관리성과 설치 작업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지주에 형성된 점검구가 내부 절연필름과 절연고무가 코팅된 도어커버에 의해 우천시 내부로의 누수가 완벽하게 차단되어 사용 관리 중에 예기치 못한 지주 내부에서의 누전이 발생되더라도 전기적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며 이에 사후 유지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 조립된 상,하부 지주와 아암 지주 간의 연결부마다 형성된 자중 맞춤식 구조의 쐐기형 결합구조와 탄성 가압식 반구형 판스프링 그리고 회전유도체와 걸림홈의 조합 등에 의해 강풍이나 차량의 진동 등이 발생되더라도 지주의 풀림이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과 조립 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성, 작업성, 시공성,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되고, 설치 후 유지, 관리 비용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다른 형식의 가로등주는 볼트가 풀릴 시 항상 수리, 보수 비용이 필요함)
또한, 본 발명은 장축의 가로등주가 분리형으로 제작되면 바, 이는 운반, 제작, 적재, 호환성에 따른 부분품 제작이나 예상 재고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기존 방식은 주문 후 작업이 시작되어 공기에 대한 부담이 실제로 상당히 있음 - 이유는 많은 규격 디자인의 요구가 있어서 그러함)
이에, 본 발명은 조립식 지주체(상하부 폴, 아암 지주 폴)로 다단 형성되게 할 수 있어서 도장시설이 작아도 되고, 열처리로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고, 열처리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 효율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의 일 예시도,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와 회전유도체가 하부 지주와 상부 지주 측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 및 보강패널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와 회전유도체가 상부 지주와 아암 지주 측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필름과 절연고무가 코팅된 도어커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밀부재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결합부 주요부를 나타낸 측단면 확대도,
도 16은 종래의 가로등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 지주(100)와, 상부 지주(200) 및 아암 지주(300)가 각각 분할 조립되도록 하되, 기본적으로 각 지주의 연결부는 반구형 탄성 가압식 판스프링(400)에 의해 지주 간 고정력이 배가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하부 지주(100)는 지주관(110)의 상단부에 조립관(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립관(120)은 내부 일측에 일방향으로 편심 이동 설치된 걸림턱(130)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120)의 내주연에는 회전유도체(140)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회전유도체(140)는 걸림턱(130)의 편심측 방향이면서 걸림턱(130)의 길이방향 정중앙 직교방향으로 위치되며 동시에 걸림턱(130)보다 설정 간격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립관(120)은 지주관(110)으로부터 돌출된 상측 외주면에 덮개(121)를 갖는 삽입공(122)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상기 삽입공(122)은 회전유도체(140)와 대향되는 반대측에 위치되면서 회전유도체(1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122)에는 반구형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수납되면서 하부 지주의 중공관(210)이 조립관(120)의 내측에 삽입되면 중공관(2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판스프링(400)은 면상 중앙에 관통공(410)이 형성되어 조립관(120)에 형성된 고정너트(123)를 기준으로 가압볼트(420)가 나사 체결되면 조임 여부에 따라 중공관(210)을 유동 없이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하부 지주(100)는 면상 일측에 내외부가 관통된 점검구(150)에 도어커버(160)가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점검구(150)는 내부에 폴리카보네이트(P.C) 소재의 절연필름(600)이 내장되어 누전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되, 점검구(150) 내에 기 구비된 복수의 고리볼트와 전기부착부(안정기, SMPS, 차단 스위치, 각종 전기배선)는 절연고무에 의해 미리 코팅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절연필름(600)은 고리볼트와 전기부착부에 간섭이 없도록 대응홈(6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절연필름(600)은 일측에 절개부(620)가 형성되어 지주관(110) 내부에 삽입시 탄성에 의해 확장 및 복원되면서 지주관(11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커버(160)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조립공(161)이 형성되도록 하되, 점검구(150)를 향한 도어커버(160)의 내주면에는 납작한 박판형 고무패킹(162)을 부착한 뒤 절연고무(163)를 최소 2회 이상 코팅하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지주관(110)의 하단부에는 장공형 볼트 자리홈이 구비된 고정판이 형성되어 지면 또는 기초 블럭에 대하여 앙카볼트로 하여금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하부 지주(100)는 지주관(110)의 개구된 상단부에 상광하협 형태의 깔대기형 또는 나팔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부 지주(200)의 중공관(210) 하단부가 확장된 직경의 개구부를 통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지주(200)는 중공관(210)의 길이방향 하단부에 기준점(P)으로부터 장착점(P4)까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면서 동시에 원호형 만곡면이 구비된 슬라이드 면(211)이 형성된다.
참고로, 슬라이드 면(211) 중 기준점(P)이 회전유도체에 정확하게 닿으면 상부 지주가 돌아가지 않지만, 회전유도체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면이 아주 적은 각도만으로라도 옆으로 움직이면 P1 P2 → P3 지점을 따라 선회하면서 자중에 의해 신속한 회전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준점(P)과 장착점(P3) 중 중공관(210)의 측면 일측에는 직선구간(2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면(211)과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회전유도체(140)와 대응되도록 걸림홈(213)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걸림홈(213)은 슬라이드 면(211)의 장착점(P4)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면서 절개된 경사면에 의해 삼각골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210)의 길이방향 상단부에는 아암 지주와 조립되도록 일부 돌출된 결합관(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주(200)는 중공관(210)의 하단 슬라이드 면(211)과 걸림홈(213)의 사선형 경사각, 만곡면 및 경사면에 대하여 보강 구조를 이루도록 보강판(23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강판(230)은 원판 또는 반구 형태로서 원주면 일측에 중공관(210)의 내경과 일부 이격된 원호면(231)이 형성되어 걸림홈(213)을 향해 경유하는 회전유도체(140)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판(230)은 복수 또는 복수 이상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되, 배치된 복수 또는 복수 이상의 보강판(230) 사이에는 서로를 잇는 다수개의 보강패널(240)이 평단면 기준으로 방사형태를 이루면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보강판(230)과 보강패널(240)이 결합된 일체의 보강골조는 중공관(210) 하단부를 통해 내입시 연결부 강화와 응력 집중부를 강화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지주(100)와 상부 지주(200)가 서로 연결되는 단부에는 수밀부재(700)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수밀부재(700)는 링 밴드형 패킹(710)에 덮개형 커튼(720)이 일체로 성형되어 하부 지주에 링 밴드 패킹(710)이 삽입되면 상부 지주의 결합에 의해 덮개형 커튼(720)이 치마 형태로 하부 지주의 바깥으로 덮여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수밀부재는 빗물이 하부 지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누수 방지)하도록 하는 바, 이는 하부 지주 내부에 수납된 안정기 등과 같은 전기적 구성을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주는 부가적 실시예로서 하단부가 하부 지주의 개구된 상단부에 삽입되어 조립됨에 있어서시 작업자가 조립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 와 같은 방향지시 표시용 스티커가 부착되어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향지시 표시용 스티커는 상부 지주의 하단부가 하부 지주의 개구된 상단부로 끼워져 조립 깊이가 모두 삽입된 상태 바로 윗 부분(10mm 정도 내외)에 부착되어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아암 지주(300)는 연결관(310)의 길이방향 선상 일측에 등기구(321)가 결합된 등기구 아암(320)이 형성되고, 내측에 2중관 형태로 고정관(330)이 내장되고,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가로 방향으로 직사각형 노출홈(3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관(330)은 외주면 일측에 가이드판(331)을 갖는 절개홈(332)이 일측 기준선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절개홈(332)에는 반구형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수납되면서 상부 지주의 결합관(220)이 고정관(330)의 내측에 삽입되면 결합관(220)과 고정판(330) 사이의 양분된 조립공차를 끼움식으로 채워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400)은 면상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410)을 통하여 고정관(330)에 형성된 결합너트(333)를 기준으로 가압볼트(420)가 나사 체결되면 1개의 볼트 조임만으로 유동 없이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하부 지주와 상부 지주를 기준으로 설명함)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반구형 판스프링은 일종의 판스프링 형태로서 알파벳 'C'자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판스프링은 상부 지주의 외경보다 조금 작은 직경으로 제작되고 상,하부 지주의 조립이 완료(회전유도체를 통해 상부 지주가 선회하면서 하부 지주의 걸림턱에 상부 지주의 슬라이드 면이 끼워지고 하부 지주의 회전유도체에는 상부 지주의 걸림홈이 걸리도록 함)되면 상부 지주의 자중으로 직선을 이루며 고정되더라도 조립 공차로 인한 충격성 돌풍이나 기타 흔들림 발생시 이를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은 벌어진 양단부가 조립관의 삽입공으로 대응되면서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절개된 외측에는 일종의 가이드 또는 이탈방지 판넬 형태의 덮개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복수의 삽입공 사이인 조립관의 면상에는 고정너트가 용접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판스프링의 관통공을 경유한 가압볼트가 나사 체결되면서 판스프링를 조립관 내측으로 전진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덮개를 경유하면서 삽입공으로 진입한 판스프링의 양단부는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에 의해 오무려지려고 하는 상태로서, 고정너트를 기준으로 가압볼트가 조임되면 내부에 삽입된 상부 지주의 중공관을 조이면서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판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 탄성으로 인하여 조립, 설치 이후 차량 등의 진동에도 조임 볼트가 풀어지지 않음)
이에, 상기 삽입공(122)은 회전유도체(140)와 대향되는 반대측에 위치되면서 회전유도체(1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122)에는 반구형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수납되면서 하부 지주의 중공관(210)이 조립관(120)의 내측에 삽입되면 중공관(2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판스프링(400)은 면상 중앙에 관통공(410)이 형성되어 조립관(120)에 형성된 고정너트(123)를 기준으로 가압볼트(420)가 나사 체결되면 조임 여부에 따라 중공관(210)을 유동 없이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상,하부 지주는 장비를 이용하여 현장 조립시 3~4m/m의 조립 공차가 있어야 하는데 중공관(210)이 조립관(120)에 대하여 끼워질 때 수직방향 하부에서는 중공관의 슬라이드 면이 조립관의 걸림턱에 걸리면서 양쪽 지지 고정을 보장받게 된다.
이에, 조립관 일면으로 자중에 의해 끼이듯이 밀착 고정되는 중공관은 양쪽 지지부와 함께 3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중공관(210)이 조립관(120)에 대하여 끼워질 때 수직방향 상부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공차로 인해 중공관이 조립관의 일면을 향해 밀리면서 이격된 공차 간격에 대하여 빈 부분이 확실한 고정력을 갖도록 판스프링 형태의 판스프링가 결합되어 확실한 고정력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회전유도체와 걸림홈은 부가적으로 상부 지주가 하부 지주를 기준으로 회전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 지주가 조립관에 조립될 때 원하는 방향으로 암(등기구)의 방향을 정확히 유지하면서 조립하거나 조립 후 등기구(암)의 정확한 방향을 이루기 위해서는 상당한 애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상부 지주의 슬라이드 면과 조립관 내 회전유도체(봉 또는 핀)에 의해서 180°이상의 오차가 있더라도 조립하는 공정만으로도 자중에 의해 하부 지주와 일직선을 이루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회전을 하면서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립 구조는 정확한 방향성과 확실한 직선도를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이후 조립 공차에 의한 여러 방향의 흔들림을 완벽히 없애기 위하여 판스프링과 조임볼트 1개를 이용하여 최종 마무리가 됨)
정리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파이프(210)가 너트, 볼트 조임 방향과 반대로 되야하고, 판스프링(400)은 양쪽 귀(덮개:121)에 해당하는 중심선 양끝 정도에 끼이면서 고정되어 중심선을 기준으로 ①~④ 지점이 볼트(420) 한 개를 조이는 작업만으로 직각으로 4군데가 동시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내경파이프(120)과 상부파이프(210)는 ①번 지점에서 밀착고정되고, ②,④은 판스프링이 끼이면서 고정되며, ③지점은 볼트가 눌러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하부 지주의 점검구 내외부 절연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하부 지주 제작시 점검구의 도어커버 내측면(점검구를 향하는 면)에는 얇은 고무패킹을 부착한 후에 절연고무를 코팅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절연고무 코팅은 최소 2회 코팅하도록 형성되어 고무패킹이 구비된 도어커버가 점검구를 기준으로 개폐시 점검구와 발생되는 틈새를 차단하여 빗물유입을 방지하도록 형성되고, 특히 도어커버의 사용 중 발생되는 고무패킹 본드의 노후화 고무패킹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실제 도로시설물로 사용되는 제품 중 내부에 전기장치가 들어가는 공공시설물들에 의해 우천시 빈번한 누전사고로 인하여 상당한 인사사고가 발생(워낙 많은 수량을 20~30년 사용하다보니 관리소홀 노후로 인하여)되었기 때문에 그러하다.
이때, 상기 하부 지주 내부에는 PC(폴리카보네이트)소재의 절연필름이 내장되어 도어커버와 함께 절연성을 확보하도록 하되, 상기 점검구 내부에는 절연필름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고리볼트가 형성되고, 이에 금속(철판)재의 단자판이 부성되는 바, 이러한 부자재는 미리 절연고무로 외주연을 코팅하도록 해 놓고 이에 대응되는 절연필름은 해당 부자재에 맞게 구멍을 내어 결합시 간없 없게 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PC 절연필름만으로 누전을 방지하는 구조일 경우 여러 가지 볼트, 너트의 부착 부분과 단자대 부착부분이 점검구 내부에서 누전방지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데, 본 발명은 절연고무 코팅을 고리볼트와 금속제 얇은 단자에 미리 수행한 후 PC 절연필름을 점검구 내부에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안전기, SMPS, 차단 스위치, 전선 이음부 등이 있는 점검구 내부를 99.9% 이상 절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PC 절연 필름만 설치시에 노출 면적으로 볼 때 80~85% 정도만 방지됨)
부연하건데, 본 발명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주와 조립관의 고정 방식은 상부 지주의 자중에 의해 원형 걸림턱이 있는 부분에서 P점을 향하여 상부 지주가 밀착되고 원형 걸림턱에 의하여 P, Po, Po' 지점이 삼각형을 이루며 지지된다.
즉, 판스프링이 있는 부분에서는 볼트가 P1, 지점에서 P 지점으로 조여지면서 앞,뒤가 고정되고, 조립공차(3~4m/m)가 양분된 a와 a' 지점의 공간은 볼트가 판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그 빈공간에 끼이면서 채워지도록 하여 상부, 하부 지주 연결시 A점과 B점 2군데를 흔들림 없이 잡아주므로서 설치 이후 진동이나 바람에도 풀림이나 느슨함이 일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판스프링의 두께는 조립공차/2 ≤ 판스프링의 두께가 적당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하부 지주 110 ... 지주관
120 ... 조립관 121 ... 덮개
122 ... 삽입공 123 ... 고정너트
130 ... 걸림턱 140 ... 회전유도체
150 ... 점검구 160 ... 도어커버
161 ... 조립공 162 ... 고무패킹
200 ... 상부 지주 210 ... 중공관
211 ... 슬라이드 면 212 ... 직선구간
213 ... 걸림홈 220 ... 결합관
230 ... 보강판 231 ... 원호면
240 ... 보강패널
300 ... 아암 지주 310 ... 연결관
311 ... 노출홈 320 ... 등기구 아암
321 ... 등기구 330 ... 고정관
331 ... 가이드판 332 ... 절개홈
333 ... 결합너트
400 ... 판스프링 410 ... 관통공
420 ... 가압볼트
500 ... 커버부재
600 ... 절연필름 610 ... 대응홈
620 ... 절개부
700 ... 수밀부재 710 ... 링 밴드형 패킹
720 ... 덮개형 커튼

Claims (3)

  1. 하부 지주(100)와, 상부 지주(200) 및 아암 지주(300)가 각각 분할 조립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주(100)는 지주관(110)의 상단부에 조립관(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조립관(120)은 내부 일측에 일방향으로 편심 이동 설치된 걸림턱(130)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120)의 내주연에는 회전유도체(14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회전유도체(140)는 걸림턱(130)의 편심측 방향이면서 걸림턱(130)의 길이방향 정중앙 직교방향으로 위치되며 동시에 걸림턱(130)보다 설정 간격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120)은 지주관(110)으로부터 돌출된 상측 외주면에 덮개(121)를 갖는 삽입공(122)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공(122)은 회전유도체(140)와 대향되는 반대측에 위치되면서 회전유도체(1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22)에는 반구형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수납되면서 하부 지주의 중공관(210)이 조립관(120)의 내측에 삽입되면 중공관(210)과 조립관(120) 사이의 양분된 조립공차를 끼움식으로 채워지게 하되, 상기 판스프링(400)은 면상 중앙에 관통공(410)이 형성되어 조립관(120)에 형성된 고정너트(123)를 기준으로 가압볼트(420)가 나사 체결되면 조임 여부에 따라 중공관(210)을 유동 없이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주(200)는 중공관(210)의 길이방향 하단부에 기준점(P)으로부터 장착점(P4)까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면서 동시에 원호형 만곡면이 구비된 슬라이드 면(211)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기준점(P)과 장착점(P3) 중 중공관(210)의 측면 일측에는 직선구간(2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면(211)과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회전유도체(140)와 대응되도록 걸림홈(21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213)은 슬라이드 면(211)의 장착점(P4)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면서 절개된 경사면에 의해 삼각골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210)의 길이방향 상단부에는 아암 지주와 조립되도록 일부 돌출된 결합관(220)이 형성되며;
    상기 아암 지주(300)는 연결관(310)의 길이방향 선상 일측에 등기구(321)가 결합된 등기구 아암(32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310)은 내측에 고정관(33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관(330)은 외주면 일측에 가이드판(331)을 갖는 절개홈(332)이 일측 기준선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332)에는 반구형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수납되면서 상부 지주의 결합관(220)이 고정관(330)의 내측에 삽입되면 결합관(220)과 고정판(330) 사이의 양분된 조립공차를 끼움식으로 채워지게 하되, 상기 판스프링(400)은 면상 중앙에 관통공(410)이 형성되어 고정관(330)에 형성된 결합너트(333)를 기준으로 가압볼트(420)가 나사 체결되면 볼트 1개를 조임으로써 결합관(220)을 유동 없이 고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400)이 결합된 가이드판(331)과 절개홈(332) 및 결합너트(333)와 가압볼트(420)는 연결관의 노출홈(311)에 의해 외부에서 탈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노출홈(311)은 커버부재(500)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주(100)는 면상 일측에 내외부가 관통된 점검구(150)에 도어커버(160)가 개폐되도록 하되,
    상기 점검구(150)는 내부에 폴리카보네이트(P.C) 소재의 절연필름(600)이 내장되어 누전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되, 점검구(150) 내에 기 구비된 복수의 고리볼트와 전기부착부는 절연고무에 의해 미리 코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연필름(600)은 고리볼트와 전기부착부에 간섭이 없도록 대응홈(6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절연필름(600)은 일측에 절개부(620)가 형성되어 지주관(110) 내부에 삽입시 탄성에 의해 확장 및 복원되면서 지주관(11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어커버(160)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조립공(161)이 형성되도록 하되, 점검구(150)를 향한 도어커버(160)의 내주면에는 납작한 박판형 고무패킹(162)을 부착한 뒤 절연고무(163)를 최소 2회 이상 코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주(200)는 중공관(210)의 하단 슬라이드 면(211)과 걸림홈(213)의 사선형 경사각, 만곡면 및 경사면에 대하여 보강 구조를 이루도록 보강판(230)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보강판(230)은 복수 또는 복수 이상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되, 배치된 복수 또는 복수 이상의 보강판(230) 사이에는 서로를 잇는 다수개의 보강패널(240)이 평단면 기준으로 방사형태를 이루면서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230)과 보강패널(240)이 결합된 일체의 보강골조는 중공관(210) 하단부를 통해 내입시 연결부 강화와 응력 집중부를 강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20180027931A 2018-03-09 2018-03-09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1895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931A KR101895805B1 (ko) 2018-03-09 2018-03-09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931A KR101895805B1 (ko) 2018-03-09 2018-03-09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805B1 true KR101895805B1 (ko) 2018-09-07

Family

ID=6359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931A KR101895805B1 (ko) 2018-03-09 2018-03-09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8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981A (zh) * 2019-04-03 2019-07-30 厦门大学 一种全天候照明装置
CN112374766A (zh) * 2020-11-13 2021-02-19 重庆理工大学 一种用于小尺寸圆管内壁薄膜沉积的装置
KR102335467B1 (ko) * 2021-03-18 2021-12-07 케이원(주) 조립형 가로등 등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899A (ko) 2010-07-08 2010-07-29 손대원 무단 변속기
KR20100086252A (ko) 2009-01-22 2010-07-30 한국원자력연구원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KR20140013772A (ko) * 2012-07-27 2014-02-05 조성진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KR101562892B1 (ko) * 2015-06-04 2015-10-23 조성진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586987B1 (ko) * 2015-09-04 2016-01-20 (주)청산가로등주 자중에 의한 편심 이동식 조립구조와 풀림 방지용 고밀착 지지부재를 갖는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766685B1 (ko) * 2017-01-18 2017-08-09 (주)청산가로등주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252A (ko) 2009-01-22 2010-07-30 한국원자력연구원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KR20100085899A (ko) 2010-07-08 2010-07-29 손대원 무단 변속기
KR20140013772A (ko) * 2012-07-27 2014-02-05 조성진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KR101562892B1 (ko) * 2015-06-04 2015-10-23 조성진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586987B1 (ko) * 2015-09-04 2016-01-20 (주)청산가로등주 자중에 의한 편심 이동식 조립구조와 풀림 방지용 고밀착 지지부재를 갖는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766685B1 (ko) * 2017-01-18 2017-08-09 (주)청산가로등주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981A (zh) * 2019-04-03 2019-07-30 厦门大学 一种全天候照明装置
CN112374766A (zh) * 2020-11-13 2021-02-19 重庆理工大学 一种用于小尺寸圆管内壁薄膜沉积的装置
KR102335467B1 (ko) * 2021-03-18 2021-12-07 케이원(주) 조립형 가로등 등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805B1 (ko)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US20170093327A1 (en) Mounting assemblies for solar panel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BR112020007997A2 (pt) linha aérea de distribuição de energia
US10320325B1 (en) Mounting apparatus to secure solar panel rails to stone-coated metal tile roofs
US201101004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nding photovoltaic modules
KR101929218B1 (ko) 가로대의 처짐 방지구조와 신호등의 미세각도 정밀 조절구조 및 설치시공과 유지관리 작업성 그리고 절연 안전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종합폴
KR101807991B1 (ko) 가로등용 지주의 방습구조.
KR101869349B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101766685B1 (ko)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1929738B1 (ko) 가로대의 처짐 방지구조와 신호등의 방향 조절구조가 구비된 신호등주
KR102040430B1 (ko) 도로 신호등 및 도로표지판용 다단조립식 지주 및 이의 시공 방법
CN214468455U (zh) 一种可调节角度的自调平灯具支架
US8402717B1 (en) Wood hybrid light pole
KR20080025985A (ko) 조가선 설치형 전자기기용 함체
CN210580676U (zh) 一种用于电力塔架的驱鸟装置
CN108321746A (zh) 一种抱杆式分接箱用固定支架及与其配套的分接箱
CN219287113U (zh) 一种架空输电线支撑结构
CN211232793U (zh) 一种户外灯具的固定装置
KR20130039991A (ko) 케이블 고정장치
CN211176685U (zh) 一种工程照明灯临时固定架
CN205122309U (zh) 改进的带透明绝缘安全罩和一体化接地环的防雷绝缘子
KR101368025B1 (ko) 수뢰형 피뢰도선 지지금구
CN211257490U (zh) 一种轻便型幕墙安装结构
CN103185315B (zh) 一种筒灯安装结构及具有所述筒灯安装结构的灯具
KR102140017B1 (ko) 누전 안전성이 개선된 절연 점검구를 갖는 가로등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