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892B1 -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 Google Patents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892B1
KR101562892B1 KR1020150079096A KR20150079096A KR101562892B1 KR 101562892 B1 KR101562892 B1 KR 101562892B1 KR 1020150079096 A KR1020150079096 A KR 1020150079096A KR 20150079096 A KR20150079096 A KR 20150079096A KR 101562892 B1 KR101562892 B1 KR 101562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sleeve pipe
upper pole
prefabricated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조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진 filed Critical 조성진
Priority to KR102015007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01F9/0111
    • E01F9/0118
    • E01F9/019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높이에 따라 상,중 또는 상,중,하 단계별로 분할되어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종전 지주체의 주된 문제점인 결합 이음부 풀림(등기구, 신호등, 표지판 등의 회전 및 유동에 따른 추락 위험 등) 현상과 조립 일체성을 개선한 것으로, 본원의 상부 폴과 하부 폴은 슬라이딩 면과 쐐기식 밀착유도 지지체에 의해 자중 조립시 견고한 조립 일체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완전한 구속(결속) 구조로 인해 강한 바람이나 차량 등의 진동에 따른 체결구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조립식 지주의 구조 안전성과 견고한 결합성을 크게 개선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 실시예로서, 최상단 아암 지주 폴과 상부 폴의 조립시 핀 형태의 스토퍼가 기어치차 또는 물결 형태의 요철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체결구 풀림 현상에 따른 아암 지주 폴의 유동 회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되, 설치 현장 및 설계 변경과 같은 아암 지주 폴의 가변 상황이 발생하면 쉽고 편리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재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과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가로등주의 전체적인 틀어짐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제품 내구성과 품질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Prefabricated pole for street lamp, signal lamp, paint a road sign, tower pole}
본 발명은 높이에 따라 상,중 또는 상,중,하 단계별로 분할되어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종전 지주체의 주된 문제점인 결합 이음부 풀림(등기구, 신호등, 표지판 등의 회전 및 유동에 따른 추락 위험 등) 현상과 조립 일체성을 개선한 것으로, 이에 본원의 상부 폴과 하부 폴은 각각에 형성된 슬라이딩 면과 쐐기식 밀착유도 지지체(샤프트 축 타입 또는 플레이트 판 타입)에 의해 자중 조립시 견고한 조립 일체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완전한 구속(결속) 구조로 인해 강한 바람이나 차량 등의 진동에 따른 체결구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조립식 지주의 구조 안전성과 견고한 결합성을 크게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 실시예로서, 최상단 아암 지주 폴과 상부 폴의 조립시 핀 형태의 스토퍼가 기어치차 또는 물결 형태의 요철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체결구 풀림 현상에 따른 아암 지주 폴의 유동 회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되, 설치 현장 및 설계 변경과 같은 아암 지주 폴의 가변 상황이 발생하면 쉽고 편리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재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과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가로등주의 전체적인 틀어짐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제품 내구성과 품질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지면이나 보도블럭 및 노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로등(街路燈)은 통상 바닥으로부터 소정깊이로 매립되는 콘크리트기초와 시공된 앵커볼트(Anchor bolt)에 가로등 지주 하단의 받침구를 관통시켜 다수 개의 너트로 결합되고, 가로등 지주의 상단은 그 폭이 점점 가늘어지면서 도로 또는 인도 쪽으로 절곡되어진 연장지주가 다수개의 단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이러한 종래의 가로등(7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지주(71)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72)에 의하여 폴대지주(71)가 지면(8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폴대지주(71)의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아암 지주(73)의 하부가 별도의 테이퍼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74)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아암 지주(73)의 상단에는 등기구(75)가 결합된 등기구 아암(76)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로등주는 아암 지주가 폴대지주에 삽입되기 위하여 조립시 내외경 공차가 2~3mm 가 있어야만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 공차는 아암 지주와 폴대지주의 조립 후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 충격 또는 바람 등에 의한 흔들림으로 인해 조립된 볼트가 풀리거나 느슨해져 상기 아암 지주가 폴대지주를 기준으로 틀어짐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1. 특허출원 제10-2010-0085899호(2010.09.02. 출원) 2. 특허출원 제10-2010-0086252호(2010.09.03. 출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높이에 따라 상,중 또는 상,중,하 단계별로 분할되어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종전 지주체의 주된 문제점인 결합 이음부 풀림(등기구, 신호등, 표지판 등의 회전 및 유동에 따른 추락 위험 등) 현상과 조립 일체성을 개선한 것으로, 이에 본원의 상부 폴과 하부 폴은 각각에 형성된 슬라이딩 면과 쐐기식 밀착유도 지지체에 의해 자중 조립시 견고한 조립 일체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완전한 구속(결속) 구조로 인해 강한 바람이나 차량 등의 진동에 따른 체결구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조립식 지주의 구조 안전성과 견고한 결합성을 크게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 실시예로서, 최상단 아암 지주 폴과 상부 폴의 조립시 핀 형태의 스토퍼가 기어치차 또는 물결 형태의 요철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체결구 풀림 현상에 따른 아암 지주 폴의 유동 회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되, 설치 현장 및 설계 변경과 같은 아암 지주 폴의 가변 상황이 발생하면 쉽고 편리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재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과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이 개선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 길이를 갖는 중공관의 하단부에 반원 형태의 밑변 진입선(L1)을 기준으로 상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커팅된 슬라이딩 면(110)이 형성되는 상부 폴(100)과; 상기 슬라이딩 면(110)에 의해 상부 폴의 하단부가 하향 미끄러지면서 가이드관(210)의 내부 일측으로 면접하도록 쐐기식 밀착유도 지지체(220)가 형성되는 하부 폴(2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210)은 길이방향 선상 중 중단부와 하단부가 지주관(230)의 상단부에 결합된 지지판(240)과 내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판(250)에 각각 접합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밀착유도 지지체(220)는 환봉(221)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봉(221)은 가이드관 내에서 결합된 축선(C2)이 가이드관(210)의 중심(C1)으로부터 일정 간격(D) 편심 이동 결합되어 슬라이딩 면(110)의 기울기 상측부와 대응되면 상부 폴(100)의 일방향 쐐기식 조립을 유도하면서 회전을 방지하고 연결부 무 볼트 고정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슬라이딩 면(110)은 만곡된 호형(r)으로 형성되어 환봉(221)과의 슬라이딩 조립시 원활한 미끄러짐과 곡면 밀착도가 보강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원 형태의 밑변 진입선(L1)은 라운드(R) 처리되어 상부 폴의 하향 삽입시 밀착유도 지지체(220) 대하여 찍힘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조립식 지주는 상부 폴(100)의 상단부에 등기구, 신호등, 도로 표지판 중 어느 하나를 갖는 아암 지주 폴(300)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아암 지주 폴(300)은 하단부 일측에 중공의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31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폴(100)의 개구된 상단부에는 기어치차 또는 물결 형태의 요철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310)가 요부(121)에 끼워지면 아암 지주 폴(300)의 진동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이에 따라 상,중 또는 상,중,하 단계별로 분할되어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종전 지주체의 주된 문제점인 결합 이음부 풀림(등기구, 신호등, 표지판 등의 회전 및 유동에 따른 추락 위험 등) 현상과 조립 일체성을 개선한 것으로, 이에 본원의 상부 폴과 하부 폴은 각각에 형성된 슬라이딩 면과 쐐기식 밀착유도 지지체에 의해 자중 조립시 견고한 조립 일체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완전한 구속(결속) 구조로 인해 강한 바람이나 차량 등의 진동에 따른 체결구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조립식 지주의 구조 안전성과 견고한 결합성을 크게 개선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 실시예로서, 최상단 아암 지주 폴과 상부 폴의 조립시 핀 형태의 스토퍼가 기어치차 또는 물결 형태의 요철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체결구 풀림 현상에 따른 아암 지주 폴의 유동 회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되, 설치 현장 및 설계 변경과 같은 아암 지주 폴의 가변 상황이 발생하면 쉽고 편리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재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과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가로등주의 전체적인 틀어짐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제품 내구성과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주의 일 예시 측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폴과 하부 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 유도 지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에 장공의 앙카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폴과 아암 지지 폴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폴과 아암 지지 폴의 또 다른 결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종래의 가로등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상부 폴(100)과 하부 폴(200)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상부 폴 상단에 아암 지주 폴(300)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상부 폴(100)은 상하 길이를 갖는 중공관의 하단부에 반원 형태의 밑변 진입선(L1)을 기준으로 상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커팅된 슬라이딩 면(110)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슬라이딩 면(110)은 만곡된 호형(r)으로 형성되어 환봉(221)과의 슬라이딩 조립시 원활한 미끄러짐과 곡면 밀착도가 보강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원 형태의 밑변 진입선(L1)은 모서리부는 라운드(R) 처리되어 상부 폴의 하향 삽입시 밀착유도 지지체(220) 대하여 찍힘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면의 기울기 절개 각도는 하단 면을 기준으로 55~65°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활한 삽입을 조장하면서 걸침 고정에 따른 최적의 각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위 설정 각도(55~65°)는 실제 제작 후 테스트를 통해 확인된 사항으로 조립에 따른 작업성과 양 지주간 밀착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 구조적인 조립 안정성이 보장되는 실시예이다.
이에, 상기 상부 폴(100)은 상단부에 등기구, 신호등, 도로 표지판 중 어느 하나를 갖는 아암 지주 폴(300)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아암 지주 폴(300)은 하단부 일측에 중공의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31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폴(100)의 개구된 상단부에는 기어치차 또는 물결 형태의 요철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310)가 요부(121)에 끼워지면 아암 지주 폴(300)의 진동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는 상부 폴의 개구된 상단부에 형성시 별도의 슬리브 파이프에 마련한 후 상부 폴의 개구된 상단부에 조립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요철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부 폴의 개구된 상단부에 설정된 각도(5~30°간격)에 따라 다수 형성되어 등기구, 신호등, 도로 표지판 등과 같은 목적 시설구의 위치(고정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폴의 상단부에 아암 지주 폴의 하단부가 대응되어 결합되면 별도의 탭 나사와 체결볼트로 하여금 나사 조립되어 부차적인 고정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폴(100)은 하단부가 하부 폴(200)의 개구된 상단부에 삽입되어 조립시 작업자가 조립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 와 같은 방향지시 표시용 스티커가 부착되어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향지시 표시용 스티커는 상부 폴의 하단부가 하부 폴의 개구된 상단부로 끼워져 조립 깊이가 모두 삽입된 상태 바로 윗 부분(10mm 정도 내외)에 부착되어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아암 지주 폴(300)은 상부 폴(100)과 결합되는 연결단부 조립 방식을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위 기술한 스토퍼(310)와 요철부(120) 구성 외에 후술되는 상부 폴(100)과 하부 폴(200)의 연결단부 결합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상부 폴(100)의 상단부에는 아암 지주 폴(300)의 하단 부에 삽입 고정되는 슬리브 파이프(150)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슬리브 파이프(150)는 상부 폴(100)의 개구된 단부에 접합된 접합링(160)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1차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슬리브 파이프(150)가 상부 폴(100)의 상단부에 접합시 보다 견고한 고정 상태를 이루도록 보강하기 위해서 보조접합링(170)을 추가로 접합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접합링(170)은 상부 폴의 내주연으로 삽입된 슬리브 파이프(150)의 하단부와 접합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접합링(160)과 함께 슬리브 파이프에 대하여 위 아래 2점 지지식 견고한 고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바람이나 진동에 대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슬리브 파이프(150)는 개구된 상단부에 호형의 밑변 진입라인(L2)을 기준으로 설정된 경사각을 갖는 밀착 슬리이드 면(151)이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 슬라이드 면(151)은 만곡된 호형(r)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쐐기식 밀착구(330)와 슬라이딩 조립시 원활한 미끄러짐과 곡면 밀착도가 보강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호형의 밑변 진입라인(L2)은 모서리부이 라운드 처리되어 아암 지주 폴과의 삽입 조립시 쐐기식 밀착구(330)에 대하여 찍힘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 슬라이드 면(151)은 상하향 기울어진 각도가 55~65°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활한 삽입을 조장하면서 걸침 고정에 따른 최적의 각도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아암 지주 폴(300)은 개구된 하단부 내측에 쐐기식 밀착구(330)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쐐기식 밀착구(330)는 일 예시로서 환봉으로 형성되어 상부 폴(100)의 슬리브 파이프(150)가 삽입되면 슬라이드 면(151)을 따라 환봉의 축방향 선상이 미끄러지듯 맞닿으면서 슬리브 파이프(150)의 일측면을 아암 지주 폴(300)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바, 결국 아암 지주 폴과 상부 폴의 연결단부는 쐐기식 고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아암 지주 폴과 상부 폴의 슬리브 파이프가 조립되면 외측으로부터 밀착볼트를 체결하여 시각적 안전성과 조립 일체성을 배가시키도록 형성된다.
정리하면, 아암 지주 폴과 상부 폴의 결합시 조립부가 기어치차형(또는 물결 파도형) 홈에 대한 끼움 관계일 경우 회전방지와 방향조절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게 되고, 쐐기형 슬라이딩 구조일 경우에는 방향조절이 불가하나 회전방지 기능과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에, 상기 하부 폴(200)은 상기 슬라이딩 면(110)에 의해 상부 폴의 하단부가 하향 미끄러지면서 가이드관(210)의 내부 일측으로 면접하도록 쐐기식 밀착유도 지지체(2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210)은 길이방향 선상 중 중단부와 하단부가 지주관(230)의 상단부에 결합된 지지판(240)과 내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판(250)에 각각 접합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유도 지지체(220)는 환봉(221)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봉(221)은 가이드관 내에서 결합된 축선(C2)이 가이드관(210)의 중심(C1)으로부터 일정 간격(D) 편심 이동 결합되어 슬라이딩 면(110)의 기울기 상측부와 대응되면 상부 폴(100)의 일방향 쐐기식 조립을 유도하면서 회전을 방지하고 연결부 무 볼트 고정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250)은 가이드 관의 하단부에 배치됨에 있어서, 밀착유도 지지체가 환봉일 경우 해당 환봉의 저면 높이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낮은 무게 중심으로 하여금 밀착성과 지지력을 배가시키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밀착유도 지지체는 다른 실시예로서, 환봉(샤프트 축) 형태 외에 플레이트 판 형태의 경사판(222)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기울기 각도는 60°로 기울어져 환봉과 같이 쐐기형 조립을 유도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각도 설정은 조립시 경사면이 조금(적당히) 틀어져 있어도 자연스럽게 미끄러져서 조립되도록 형성된다.(상부 폴의 맞닿는 부분을 굴곡지게 해서 추가적으로 더 잘 미끄러지게 유도한다.)
이때, 밀착유도 지지체의 고정 높이(P)는 고정판(250)의 높이(P1)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부 폴이 가이드관에 삽입 후 쐐기 밀착식으로 고정을 이루게 되면 무게 중심이 한쪽 면으로 몰려 자중 압착력에 따른 큰 힘을 받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고정판을 밀착유도 지지체보다 더 낮게 설치해서 밀착성을 강화시키고, 고정판은 폴의 고정시 지지력을 더욱 배가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밀착유도 지지체가 고정된 높이(ℓ) 값이 높으면 높을수록 상부 폴의 지지력은 높아지게 되고, P점 보다 P1이 낮아져서 P1의 대응점 고정판이 처질수록 지지력은 상승하게 된다.
이때, T, T1 양단부를 180°와 동일 또는 크게 할 경우 이와 대응되는 t, t1 에 의해 상기 T, T1 양단부가 물리적으로 벌어지려고 하면서 양쪽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추가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하부 폴(200)의 지주관 저면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플렌지(260)가 결합되고, 상기 플렌지의 상면에는 보강리브 브라켓(270)이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플렌지의 면상에는 다수개의 앙카볼트 자리홈(261)이 형성되며, 상기 앙카볼트 자리홈은 원호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타공된 구간 만큼 각도 방향을 변형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210)은 고정판(250)과 조립시 암수 돌기(211) 및 돌기홈(251)이 형성되어 조립 체결성을 배가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211)가 돌기홈(251)에 끼워지면 조립된 상,하부 측에 용접을 하여 구속력(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위치 선정이 확실해지고, 원 둘레 테두리 용접 부분을 줄여도 구조적으로 안전성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가이드관으로 인입된 상부 폴의 하부측에는 별도의 고정볼트(B)로 하여금 조립하도록 형성되어 상,하부 폴이 쐐기형태로 서로 기대거나 버티면서 구조적으로 일체화하도록 보조적 고정 수단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되고, 특히 무볼트 조립구조가 갖는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여 시각적 안정성을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폴의 자중으로 인해 일측으로 미끄러져 하부 폴의 내주연 일측으로 밀착하도록 하는 바, 이는 볼트 너트의 힘을 이용하지 않아도 간단히 조립되고 기립과 직선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등기구, 신호등, 도로 표지판 등의 방향 전환시 아암 지주 폴을 해체할 필요없이 간단히 들어올려(10mm~15mm)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여러 각도로 전환이 가능)
또한, 본 발명은 현장 위치를 인지하고 그에 따른 등기구 등의 방향 설정에 따라 계획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제공된다.(설치 후에도 방향 전환이 가능함)
정리하면, 본 발명의 슬리브 파이프 가공시 레이져 절단기로 절단하는데 직선으로 절단하지 않고 물결무늬 또는 기어치차 형태로 절단 하여도 추가 비용이 크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성, 작업성, 시공성,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되고, 쐐기식 고정방식에 의해 설치 후 유지, 관리 비용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다른 형식의 가로등주는 볼트가 풀릴 시 항상 수리, 보수 비용이 필요함)
또한, 본 발명은 장축의 가로등주가 분리형으로 제작되면 바, 이는 결국 운반, 제작, 적재, 호환성에 따른 부분품 제작이나 예상 재고 제작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기존 방식은 주문 후 작업이 시작되어 공기에 대한 부담이 실제로 상당히 있음 - 이유는 많은 규격 디자인의 요구가 있어서 그러함)
즉, 기존의 장축 가로등주를 분체 도장하려면 도장시설(열처리로)이 커져 일정 온도(예컨데, 약 200℃ 이상을 10분간 유지하려면 상온에서 -> 200℃ 까지의 가열하는데 시간이 상당함 피료함)까지 온도 자체를 올리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예, 12m 로는 1시간 30분, 7m 로는 1시간/ 길이가 길면 열처리로의 공간 활용이 더욱 떨어짐)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식 지주체(상하부 폴, 아암 지주 폴)로 다단 형성되어 도장시설이 작아도 되고, 열처리로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고, 열처리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 효율이 월등하게 향상된다.
부연하건데,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에 관한 특장점(운반, 조립, 가공, 열처리 등)이 우수하고, 기존의 조립식 가로등주는 나사체결 방식(볼트조립 방식)에 의해 조립되어 현장 설치 후 유지, 관리가 문제될 수 있으나(1개 분리가 아닌 2개의 분리기 때문에 2배의 문제 발생 소지 가능) 본 발명은 기본 조립식 구조의 장점을 여전히 보유하면서 관리비는 0원이 되고, 안전, 비용절감, 에너지 절감(친환경적), 시공성 향상되고, 추가 자재 공정이 아주 미미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쐐기형 조립 구조로 인해 지자체(공공재이기 때문에)에서의 추가 관리 비용이 없어 설치 이후 전국으로 따지면 상당한 예산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립 방식 중 볼트를 1~2개를 설치하는 것은(아암 지주 폴, 상하부 폴 연결시) 폴을 전체적으로 이동시 일체로 들어 옮기기와 차량 충돌시 꺽여져 2차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함(2차 사고 예방 목적)으로 종전 대비 우수한 품질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상부 폴 110 ... 슬라이딩 면
200 ... 하부 폴 210 ... 가이드관
220 ... 밀착유도 지지체 230 ... 지주관
240 ... 지지판 250 ... 고정판
300 ... 아암 지주 폴 310 ... 스토퍼

Claims (5)

  1. 상하 길이를 갖는 중공관의 하단부에 반원 형태의 밑변 진입선(L1)을 기준으로 상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커팅된 슬라이딩 면(110)이 형성되는 상부 폴(100)과; 상기 슬라이딩 면(110)에 의해 상부 폴의 하단부가 하향 미끄러지면서 가이드관(210)의 내부 일측으로 면접하도록 쐐기식 밀착유도 지지체(220)가 형성되는 하부 폴(200)이;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관(210)은 길이방향 선상 중 중단부와 하단부가 지주관(230)의 상단부에 결합된 지지판(240)과 내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판(250)에 각각 접합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밀착유도 지지체(220)는 환봉(221)으로 형성되며, 상기 환봉(221)은 가이드관 내에서 결합된 축선(C2)이 가이드관(210)의 중심(C1)으로부터 일정 간격(D) 편심 이동 결합되어 슬라이딩 면(110)의 기울기 상측부와 대응되면 상부 폴(100)의 일방향 쐐기식 조립을 유도하면서 회전을 방지하고 연결부 무 볼트 고정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면(110)은 만곡된 호형(r)으로 형성되어 환봉(221)과의 슬라이딩 조립시 원활한 미끄러짐과 곡면 밀착도가 보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반원 형태의 밑변 진입선(L1)은 라운드(R) 처리되어 상부 폴의 하향 삽입시 밀착유도 지지체(220) 대하여 찍힘 현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폴(100)은 하단부가 하부 폴(200)의 개구된 상단부에 삽입되어 조립시 작업자가 조립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 와 같은 방향지시 표시용 스티커가 부착되어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폴(100)은 상단부에 아암 지주 폴(300)의 하단 부에 삽입 고정되는 슬리브 파이프(150)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슬리브 파이프(150)는 상부 폴(100)의 개구된 단부에 접합된 접합링(160)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1차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파이프(150)는 상부 폴(100)의 상단부에 접합시 보다 견고한 고정 상태를 이루도록 보조접합링(170)이 추가로 접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파이프(150)는 개구된 상단부에 호형의 밑변 진입라인(L2)을 기준으로 설정된 경사각을 갖는 밀착 슬리이드 면(151)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 슬라이드 면(151)은 만곡된 호형(r)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암 지주 폴(300)은 개구된 하단부 내측에 쐐기식 밀착구(330)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쐐기식 밀착구(330)는 환봉으로 형성되어 상부 폴(100)의 슬리브 파이프(150)가 삽입되면 슬라이드 면(151)을 따라 환봉의 축방향 선상이 미끄러지듯 맞닿으면서 슬리브 파이프(150)의 일측면을 아암 지주 폴(300)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도록 형성되어 아암 지주 폴과 상부 폴의 연결단부가 쐐기식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79096A 2015-06-04 2015-06-04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562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096A KR101562892B1 (ko) 2015-06-04 2015-06-04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096A KR101562892B1 (ko) 2015-06-04 2015-06-04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892B1 true KR101562892B1 (ko) 2015-10-23

Family

ID=5442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096A KR101562892B1 (ko) 2015-06-04 2015-06-04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8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110B1 (ko) * 2016-03-04 2016-06-07 황제구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
KR101895805B1 (ko) * 2018-03-09 2018-09-07 오정숙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20200001100U (ko) 2018-11-20 2020-05-28 김광일 조립이 용이한 지주 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528B1 (ko) * 2011-06-15 2011-09-21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가로등용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195382B1 (ko) 2012-07-27 2012-10-29 조성진 쐐기형 조립식 지주를 갖는 가로등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528B1 (ko) * 2011-06-15 2011-09-21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가로등용 암의 각도 조정장치
KR101195382B1 (ko) 2012-07-27 2012-10-29 조성진 쐐기형 조립식 지주를 갖는 가로등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110B1 (ko) * 2016-03-04 2016-06-07 황제구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
KR101895805B1 (ko) * 2018-03-09 2018-09-07 오정숙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20200001100U (ko) 2018-11-20 2020-05-28 김광일 조립이 용이한 지주 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41292B2 (en) Assembly structure and procedure for concrete towers used in wind turbines
KR102375171B1 (ko)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562892B1 (ko)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766685B1 (ko)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1798638B1 (ko)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KR101569865B1 (ko) 매립형 지주 고정장치
KR101568753B1 (ko) 자중에 의한 편심 이동식 조립구조와 풀림 방지용 고밀착 지지부재를 갖는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200376017Y1 (ko) 지주 고정용 베이스
KR101586987B1 (ko) 자중에 의한 편심 이동식 조립구조와 풀림 방지용 고밀착 지지부재를 갖는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931557B1 (ko)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각도 조절이 원활한 가로등주
KR200453088Y1 (ko) 개량형 도로표지구
KR200432863Y1 (ko)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101132192B1 (ko) 가로등용 태양전지 패널 고정유닛
KR101921559B1 (ko)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KR20110129002A (ko) 가로등의 지주 결합구조
KR101536344B1 (ko) 부착물 방지도료가 구비된 조립식 가로등 주
KR102138824B1 (ko) 내구성과 고정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가로등주
JP3210102U (ja) 支柱の風圧横回転及び沈下防止構造
KR101195382B1 (ko) 쐐기형 조립식 지주를 갖는 가로등주
CN214463106U (zh) 一种路灯基座
PL197929B1 (pl) Wbijana tuleja gruntowa na słupek płotu
CN216976725U (zh) 一种路灯安装用对正装置
CN218813847U (zh) 一种灯杆基础结构
KR200470917Y1 (ko)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CN214790806U (zh) 一种便于维修的景观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