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110B1 -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 - Google Patents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110B1
KR101624110B1 KR1020160026550A KR20160026550A KR101624110B1 KR 101624110 B1 KR101624110 B1 KR 101624110B1 KR 1020160026550 A KR1020160026550 A KR 1020160026550A KR 20160026550 A KR20160026550 A KR 20160026550A KR 101624110 B1 KR101624110 B1 KR 101624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upper housing
rot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제구
손유강
Original Assignee
황제구
손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제구, 손유강 filed Critical 황제구
Priority to KR102016002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상부에 신호등, 교통표지판, 이정표 등을 배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횡보의 높이보다 차고가 높은 대형 차량이 통과할 수 있으며, 도로시설물의 교체, 유지, 보수 시 도로 통제가 필요하지 않도록, 기존에 설치된 일반 지주대를 사용하여 횡보가 연결된 회전지주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설치기간의 단축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회전 어셈블리의 작동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ROTATION TYPE PILLAR}
본 발명은 도로 상부에 신호등, 교통표지판, 이정표 등을 배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횡보의 높이보다 차고가 높은 대형 차량이 통과할 수 있으며, 도로시설물의 교체, 유지, 보수 시 도로 통제가 필요하지 않도록, 기존에 설치된 일반 지주대를 사용하여 횡보가 연결된 회전지주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설치기간의 단축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회전 어셈블리의 작동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운전자나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위하여, 신호등, 교통표지판, 이정표 등 다양한 종류의 시설물이 설치된다.
도로시설물은 도로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보와, 종보의 상측단에서 도로를 가로지르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횡보로 이루어진 지주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로시설물은 시야 확보 및 다른 시설물과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도로 상공에 횡보가 소정 높이에 형성되어 있어, 해당 도로는 도로시설물의 높이에 따라 통행 가능한 차량의 차고 제한을 받게 된다.
다만, 도로시설물에 의한 차고 제한에도 불구하고, 특수한 경우 차고가 도로시설물의 높이보다 높은 대형 차량의 주행이 필요한 바, 이러한 경우 심야에 관계부처의 허가를 받고 도로를 통제하여 대형 차량이 도로시설물을 피해 통과하도록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며, 도로 사정에 따라 대형 차량이 도로시설물을 피할 수 없어 최단거리가 아닌 복잡한 우회도로를 택하여 차량이 운행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도로시설물은 장기간 사용 시, 고장에 의한 부품의 교체, 유지, 보수 등의 관리가 필요한 바, 관리 작업을 위해선, 차량의 통행을 일시적으로 제한하고 고가 장비를 이용하여 도로 상공에서 직접 시설물의 작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대형 차량의 통과나 도로시설물의 관리 작업 등을 위해 차량 통제를 실시하면, 도로 통제에 따라 교통 체증을 야기하고, 차선을 막기 위한 사전 통제 작업을 위한 시간 소요 및 인원 배치 등이 선행되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통 체증 등이 비교적으로 덜 발생하는 심야 시간에 도로를 통제하더라도, 해당 도로를 주행하는 소수 차량 운행에 불편함을 유발하기 때문에, 필요 시 관계부처의 허가에 따라 지주대의 횡보를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형 지주대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에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 개시되고 있는데, 공개된 종래의 회전형 지주대의 경우, 횡보의 회전을 위해 새로운 회전형 지주대를 제작한 후, 기존에 설치된 고정형 지주대를 회전형 지주대로 교체, 설치해야 하는 바, 상기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회전형 지주대의 새로운 제작 및 교체에 필요한 기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들기 때문에 현실성이 떨어져 상업화되지 못한 기술에 속하며, 대부분의 기술이 모터나 전기설비와 같은 동력제공수단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제작 및 시공이 복잡해지고 어려우며 비용 역시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회전형 지주대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031048호 (2011.04.18.) "회전식 방향표지 지주", 등록특허 제10-1493758호(2015.02.10.) "도로교통 표시시설물 회전식 지지장치"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의 설치를 위해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고정형 지주대를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회전형 지주대의 제작 및 교체에 필요한 공기의 단축 및 비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별도의 동력제공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무거운 하중을 갖는 지주대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쉽고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다른 도로시설물이나 가로수 등 도로 여건에 맞게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지주대를 회전시킬 수 있어, 회전형 지주대의 오작동에 의한 시설물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형 지주대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강풍이나 허가되지 않은 다른 사람 등에 의해 회전형 지주대가 임의로 회전시킬 수 없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는,
도로변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지주와, 횡보가 연결된 회전지주로 구성된 종보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지주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바디;
상기 회전지주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회전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회전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디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회전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바디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구동수단의 샤프트 상단을 지지하는 샤프트용 상부 슬리브,
상기 고정바디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구동수단의 샤프트 하단을 지지하는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의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하우징에 내장된 베어링부재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내압용 지지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에서,
상기 회전 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여 축설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치합되어 구동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된 구동수단,
상기 회전바디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내압용 지지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구동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베어링부재,
상기 샤프트와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베어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에서,
상기 회전 어셈블리는,
상단이 상기 상부 하우징 외측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 하우징 외측면에 결합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하부 하우징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이 회전할 때, 상기 잠금부재가 접촉하여 상부 하우징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는,
기존에 설치된 지주대의 종보를 소정 높이에서 절단하여 받침지주와 회전지주로 활용하고, 받침지주와 회전지주 사이에 회전 어셈블리를 설치함으로써, 제작 및 시공에 필요한 공기 단축과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회전 어셈블리로써, 고정바디와 회전바디 내측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샤프트의 상, 하단을 지지하는 샤프트용 상, 하부 슬리브와, 구동수단의 하우징과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수단 내부의 베어링부재가 적절한 압력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내압용 지지파이프를 도입함으로써, 지주대를 보다 안전하고 쉽게 수작업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는, 받침지주, 회전지주와는 별개로, 고정바디와 회전바디, 샤프트를 포함하는 구동수단, 샤프트용 상, 하부 슬리브, 상, 하부 하우징, 제1, 제2 베어링부재로 이루어진 회전 어셈블리를 도입하여, 구조적으로 무거운 하중의 회전형 지주대가 보다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형 지주대의 회전 시 작동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는, 잠금부재를 도입하여 강풍이나 허가 받지 않은 다른 사람 등에 의해 회전형 지주대가 임의로 회전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형 지주대 작동 시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잠금부재가 접촉하는 스토퍼를 도입하여, 도로 여건 등을 감안한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회전형 지주대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설물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의 사시도 및 요부 샘플 사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의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도 2를 1차 분리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의 요부 횡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는, 도로변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지주(3)와, 횡보(1)가 연결된 회전지주(4)로 구성된 종보(2)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크게 고정바디(10), 회전바디(20), 그리고 구동수단(30)과 상, 하부 하우징(40)(50)과 샤프트용 상, 하부 슬리브(60)(70)와 제1, 제2 베어링부재(80)(90)와, 내압용 지지파이프(100)와 잠금부재(110) 및 스토퍼(120)로 구성된 회전 어셈블리(R)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지주(3)와, 상기 회전지주(4)는 각각 기존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지주대의 종보(2)를 활용하는 것으로, 종보(2)를 소정 높이에서 절단한 상태에서 도로변에 고정된 종보(2)가 받침지주(3)가 되고, 분리된 종보(2)가 회전지주(4)가 되며, 받침지주(3)와 회전지주(4) 사이에 고정바디(10)와 회전바디(20) 및 회전 어셈블리(R)를 설치하여 회전형 지주대가 완성된다.
회전형 지주대용 종보(2)의 추가 제작, 회전형 지주대 설치에 따른 공기 증가 및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상기와 같이 기존에 설치된 종보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받침지주(3)와 회전지주(4)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기존에 설치된 지주대 대신 회전형 지주대를 교체,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도로 건설에 따라 지주대를 처음으로 설치하는 경우).
상기 고정바디(10)와, 상기 회전바디(20)는 각각 파이프형 부재로써, 상기 고정바디(10)는 상기 받침지주(3)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회전바디(20)는 상기 회전지주(4) 내측에 끼워져 결합된다.
각 바디(10)(20)와 각 지주(3)(4)의 결합은, 시공 단계에서 바디와 지주에 결합공(3a, 4a, 11, 21)을 천공한 후, 결합공(3a, 4a, 11, 21)에 삽입되는 볼트부재(12)(22)를, 각 바디(10)(20)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된 샤프트용 상, 하부 슬리브(60)(70)의 결합공(60a)(70a)에 결합하여 조립된다.
물론, 각 바디(10)(20)와 각 지주(3)(4)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공(3a, 4a, 11, 21)을 천공하여, 볼트부재(12)(22)를 조립함으로써, 바디와 지주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샤프트용 상, 하부 슬리브(60)(70)와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각 바디(10)(20)의 결합공은, 내주면에 볼트부재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마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어셈블리(R)는, 상기 고정바디(10)와 상기 회전바디(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디(2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30)은, 각 바디(10)(20)의 내측에서 지주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축설되는 샤프트(31)를 포함하는 것으로, 샤프트(31)가 관통하여 축설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치합되어 구동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31)는, 상기 고정바디(10)와 상기 회전바디(20) 내측에 종보(2)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각 바디(10)(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구동부로써, 웜 휠(32)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바디(20)에 전달하여 회전 시 무거운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력에 의해 각 바디(10)(20)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31)는 상, 하단이 각각, 회전바디(20)와 고정바디(10)에서 최소한 길이방향 백분율 표시 높이의 50% 위치를 넘어가는 위치에 배열될 수 있게, 소정 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샤프트(31)의 상단은, 상기 회전바디(20) 내측에 결합된 샤프트용 상부 슬리브(60)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샤프트(31)의 하단은, 상기 고정바디(10) 내측에 결합된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구동부와, 상기 작동부는, 링 기어와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진 하이포이드 기어 장치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기어 및/또는 축으로 연결된 구동기어 장치가 활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구동부로써 외주면에 톱니부(32a)가 마련된 웜 휠(32)과, 작동부로써 상기 웜 휠(3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톱니부(32a)와 치합되도록 외주면에 상기 톱니부(32a)에 대응하는 나선부(33a)가 마련된 회전축(33)으로 이루어진 웜 기어 장치를 활용하여, 무거운 하중의 지주대 회전 시 작동 안전성을 높이고, 작업자가 적은 힘만으로 지주대의 회전을 수작업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웜 휠(32)은 중앙에 샤프트(31)가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3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상, 하부 하우징(40)(50)에 의해 고정바디(10)와 회전바디(2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33)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33)은 하부 하우징(50)의 일측 외부면에 구비된 받침대에, 상기 웜 휠(32)의 축방향과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축 하우징(34)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일측 끝단부에는 축 하우징(34) 외부로 노출되어 손잡이가 마련된 회전공구(미도시)가 끼워지는 다각 구조로 이루어진 체결부(33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3)의 체결부(33b)에, 회전공구를 체결하여 회전시키면, 나선부(33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웜 휠(32)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 - 고정바디(10) - 받침지주(3)]가 고정된 상태에서, 웜 휠(32)과 함께 [샤프트(31) - 샤프트용 상부 슬리브(60) - 회전바디(20) - 회전지주(4)]가 동반하여 회전함으로써, 횡보(1)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축 하우징(34)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33)의 회전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4, 제5 베어링부재(35)(36)가 구비되는데, 제4 베어링부재(35)는 회전축(33)의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하는 니들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제5 베어링부재(36)는 회전축(33)의 길이방향(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하는 테이퍼롤러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참고로 니들베어링은, 부재의 회전 시 회전 외측 방향(원심력 작용 방향)으로 가해지는 단일 방향의 압력 내지 마찰력을 해소하는 것으로, 내측면이 평탄 또는 오목한 형태의 접촉면으로 형성된 내, 외륜 사이에 원통형의 롤러가 직립하도록 구비되며, 경우에 따라 볼베어링으로 대체 가능하고,
테이퍼롤러베어링은, 원통형 부재의 회전 시 회전 외측 방향(원심력 작용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 내지 마찰력과,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 내지 마찰력과 같이, 서로 직교되는 두 개의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가해지는 압력 내지 마찰력을 해소하는 것으로, 내측면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접촉면을 구비한 내, 외륜 사이에 다수개의 롤러가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된다.
이밖에 축 하우징(34)에는, 회전축(33)을 고정시키는 록킹너트, 테이퍼롤러베어링의 윤활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 등이 더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상, 하부 하우징(40)(50)은 각각 원주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렌지(41)(51)가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40)의 플렌지(41)에 회전바디(20)와 회전지주(4)가 받쳐지고, 하부 하우징(50)의 플렌지(51)는 고정바디(10)와 받침지주(3)에 받쳐져, 회전 어셈블리(R)가 [고정바디(10) - 받침지주(3)]와, [회전바디(20) - 회전지주(4)] 사이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40)은, 회전바디(20)와 웜 휠(32)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31)와의 사이에 고정링이 끼워져 샤프트(31)와 연결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웜 휠(32)과 볼트 결합되어, 샤프트(31), 웜 휠(32), 상부 하우징(40)이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50)은, 고정바디(10)와 웜 휠(32)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에 받쳐지는 내압용 지지파이프(100)에 의해 지지되며, 플렌지(51)와 받침지주(3) 사이가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웜 휠(32)의 회전 시 샤프트(31)의 동반 회전을 지지한다.
또한 회전 어셈블리(R)의 회전 작동 시, 상기 웜 휠(32) 및 상기 샤프트(31)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마찰력 내지 하중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웜 휠(32)과 상기 하부 하우징(50) 사이에는 제1 베어링부재(80)가 개재되며,
상기 샤프트(31)와 상기 하부 하우징(50) 사이에는 제2 베어링부재(90)가 개재된다.
상기 제1 베어링부재(80)는, 상기 웜 휠(32)의 하면과 상기 하부 하우징(50)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하측 수직방향으로 하부 하우징(50)에 가해지는 압력 내지 하중을 해소하는 것으로 니들볼베어링이 사용된다.
상기 제2 베어링부재(90)는, 상기 샤프트(31)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 하우징(5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외측 수평방향으로 하부 하우징(50)에 가해지는 압력 내지 마찰력을 해소함과 동시에, 하측 수직방향으로 하부 하우징(50)에 가해지는 압력 내지 하중을 해소하는 것으로, 테이퍼롤러베어링이 사용된다.
특히 상기 제2 베어링부재(90)를 테이퍼롤러베어링으로 구성한 이유는, 샤프트(31)와 하부 하우징(50) 사이의 지지 구조에 의할 때, 하부 하우징(50)에는, 회전형 지주대의 하중에 의한 압력과, 샤프트(31) 회전 시 발생하는 압력 내지 마찰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되므로, 이렇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 내지 마찰력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부 하우징(40)의 회전 구조로 인해, 상기 제1 베어링부재(80)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웜 휠(32)과 상기 하부 하우징(50) 사이에는, 상기 제1 베어링부재(8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방진캡(81)이 구비되어 제1 베어링부재(8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진캡(81)은, 하부 하우징(50)의 상면에 돌설된 일체형 또는 탈착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용 상, 하부 슬리브(60)(70)는 샤프트(31)의 상, 하단이 각각 결합되어 웜 휠(32)의 회전력을 회전바디(20)에 전달함과 동시에, 고정바디(10)를 통해 샤프트(31)의 회전 작동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용 상부 슬리브(60)는 샤프트(31)의 상단이 끼워져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샤프트용 상부 슬리브(60)가 회전바디(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볼트부재(22)를 통해 회전지주(4)와 회전바디(20)와 함께 결합하여 동반 회전한다.
상기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는 샤프트(31)의 하단이 관통하도록 끼워지며, 하부 슬리브(70) 하측으로 노출된 샤프트(31)의 하단에 결합되는 록킹 너트(71)에 의해 조여진 상태에서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가 고정바디(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볼트부재(12)를 통해 받침지주(3)와 고정바디(10)와 함께 결합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와 샤프트(31)의 하단 사이에는 제3 베어링부재(72)가 개재되어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샤프트(31)의 회전을 지지한다.
상기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의 제3 베어링부재(72) 역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 내지 마찰력의 해소가 가능하도록 테이퍼롤러베어링이 사용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50)과, 상기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 사이에는, 하부 하우징(50)을 상측으로 지지하는 내압용 지지파이프(100)가 개재된다.
상기 내압용 지지파이프(100)는, 상기 샤프트(31)에 외측에 끼워져 하단이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에 받쳐진 상태에서, 상단이 하부 하우징(5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하부 하우징(50)과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의 안전한 고정과, 하부 하우징(50)에 구비되는 제1, 제2 베어링부재(80)(90) 및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에 구비되는 제3 베어링부재(72)에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웜 휠(32) 및 샤프트(31)의 원활한 회전과 각 부재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하부 하우징(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바디(10)와 받침지주(3)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샤프트(31)의 회전으로 인해 하부 하우징(50)의 하면을 지지하는 구조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하중 및 압력이 플렌지(51) 내측에 집중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파손 위험이 클 뿐만 아니라, 하중 및 압력에 의해 하부 하우징(50)이 변형되어 제1, 제2 베어링부재(80)(90)의 각 내, 외륜 사이가 벌어지게 되면 베어링으로써의 지지 기능이 상실될 수 있으므로,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에 받쳐지는 내압용 지지파이프(100)를 통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슬리브(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록킹 너트(71)에 의해 샤프트(31)의 하단에 조여져 고정되는 것으로,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를 고정바디(10) 내측에 삽입하기 전, 샤프트(31)와의 결합을 위해 록킹 너트(71)를 너무 강하게 조이면, 제3 베어링부재(72)의 내, 외륜 사이가 좁아져 베어링으로써의 압력 내지 마찰력 해소 기능이 상실되고,
반대로 록킹 너트(71)의 조임이 약하면, 제3 베어링부재(72)의 내, 외륜 사이가 벌어져, 베어링으로써의 지지 기능이 상실되므로,
록킹 너트(71)에 의해 조여지는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가 상부의 내압용 지지파이프(1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록킹 너트(71)에 의해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에서 내압용 지지파이프(100)를 이용해, 하부 하우징(50) 및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가 지지된 상태에서 록킹 너트(71)를 조이면, 록킹 너트(71)의 조임력에 의해 하부 하우징(50) 및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제1 내지 제3 베어링부재(80)(90)(72), 특히 제1, 제2 베어링부재(80)(90)가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내압용 지지파이프(110)로 인해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의 결합 위치가 제한되므로,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를 고정바디(10) 내측에 삽입하였을 때, 볼트부재(12)의 조립이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내압용 지지파이프(100)에 의해 지주대의 하중이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로 전달되는데, 볼트부재(12)가 받침지주(3) 및 고정바디(10)를 관통하여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의 결합공(70a)에 결합되므로, 록킹 너트(71)의 조임력과, 볼트부재(12)의 지지력이 지주대의 하중을 상쇄시켜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압용 지지파이프(100)를 이용한 하부 하우징(50)과,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 사이의 하중 해소 및 베어링부재를 가압 지지하는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받침지주(3)와 고정바디(10) 및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의 유기적인 결합 구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회전 어셈블리(R)의 회전 작동이 보다 안전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지주대의 회전이 필요하지 않을 때 강풍 등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40), 즉 웜 휠(32), 샤프트(31), 샤프트용 상부 슬리브(6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부재(110)와, 상부 하우징(40)이 회전할 때 상부 하우징(4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20)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재(110)는, 상단이 상기 상부 하우징(40)의 플렌지(41) 외측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 하우징(50)의 플렌지(51)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잠금부재(110)와 각 하우징(40)(50)의 결합은 볼트부재(111)(112)를 통해 이루어져, 필요 시 잠금부재(110)와 각 하우징(40)(50)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부재(110)가, 상, 하부 하우징(40)(50)에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부 하우징(40)이 고정 설치된 하부 하우징(50)에 의해 구속되어, 상부 하우징(40)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주대의 회전 작동이 필요한 경우, 관계부처의 허가 하에, 잠금부재(110)와 상부 하우징(40)을 결합시키는 볼트부재(111), 또는 잠금부재(110)와 하부 하우징(50)을 결합시키는 볼트부재(112)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부 하우징(40)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부재(110)는, 상, 하부 하우징(40)(50)의 일측 어느 한 곳에 하나만이 결합되는 형태여도 무방하나, 상부 하우징(40)의 보다 안정적인 잠금 및 후술하는 스토퍼(120)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도록,
상기 상, 하부 하우징(40)(50)은 각 플렌지(41)(51)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나사공(미지칭)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들 중 두 곳 이상에, 두 개 이상의 잠금부재(110)를 볼트 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잠금부재(110)를 각 하우징(40)(50)에서 완전하게 분리하여 상부 하우징(40)의 회전을 도모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해서 상부 하우징(40)이 기설정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부 하우징(40)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전하여 다른 시설물과의 충돌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잠금부재(110)와, 상, 하부 하우징(40)(50) 중 어느 한 하우징과의 결합만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40)의 회전 작동이 실시되도록 하고, 상부 하우징(40)의 회전 경로 상에 상기 잠금부재(110)가 접촉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120)를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러한 기능의 스토퍼(120)는, 상기 상부 하우징(40)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50)의 각 플렌지(41)(51) 외측으로 돌출되어 잠금부재(110)가 접촉됨으로써 상부 하우징(4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형태이면 족하나,
회전형 지주대가 설치되는 도로 여건에 맞게 스토퍼(1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나사공들 중 어느 한 곳에 결합되는 볼트부재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보(1)의 회전이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각도가 90ㅀ로 제한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2개의 잠금부재(110)와 2개의 스토퍼(120)를 이용한 상부 하우징(40)의 잠금과 상부 하우징(40)의 회전을 설명하면,
먼저 횡보(1)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상부 하우징(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1, 제2 스토퍼(120A)(120B)가 하부 하우징(50)에 결합되어 구비(도 4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부 하우징(50)을 생략하였음.)되며, 제1 잠금부재(110)는 정위치 방향의 제1 스토퍼(120A)에 접촉하도록 상, 하부 하우징(40)(50)에 결합되고, 제2 잠금부재(110)는 제1 잠금부재(110)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90ㅀ 각도로 이격 배치되는 위치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제2 잠금부재(110A)(110B)가 상, 하부 하우징(40)(50)을 모두 결합되어 있으므로, 강풍 등에 의해 상부 하우징(40)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고, 특히 제1, 제2 잠금부재(110A)(110B)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상, 하부 하우징(40)(50)을 지지하는 형태가 되어 잠금부재(110)의 휘어짐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횡보(1)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 제1, 제2 잠금부재(110A)(110B)와 하부 하우징(50)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회전 어셈블리(R)를 작동시키면, 먼저 제1 스토퍼(120A)에 의해 제1 잠금부재(110A)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하우징(4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가 없어 횡보(1)의 회전이 기설정된 시계반대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제한을 받고,
상부 하우징(4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 잠금부재(110B)가 회전 이동(도면에서 상대적으로 흐릿하게 도시하였음)하여, 제2 스토퍼(120B)에 접촉됨에 따라, 횡보(1)의 회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과 반대로, 도 1과 같이, 스토퍼(도 1에서는 스토퍼(120)가 생략되었음.)를 상부 하우징(40)에 구비하고, 잠금부재(110)가 하부 하우징(50)에만 결합되어, 상부 하우징(40)이 회전할 경우, 잠금부재(110)가 하부 하우징(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40)과 함께 스토퍼가 회전하여, 상기와 같은 회전 방향 및 회전각도 제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부재(110)와 스토퍼(120)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40)의 잠금 및 회전방향과 회전각도 제한이 가능하며,
이러한 잠금부재(110)와 스토퍼(120)의 사용 개수나 결합 위치 등은, 도로 여건 등 여러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다양하게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3개의 잠금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하나의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부 하우징(40)의 양방향 회전 시, 양 외측 잠금부재가 각각 스토퍼의 양측면에 접촉하는 형태도 가능함.).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횡보 2 : 종보 3 : 받침지주
4 : 회전지주 R : 회전 어셈블리 10 : 고정바디
20 : 회전바디 3a, 4a, 11, 12, 60a, 70a : 결합공
12, 22, 111, 112 : 볼트부재 30 : 구동수단
31 : 샤프트 32 : 웜 휠 32a : 톱니부
33 : 회전축 33a : 나선부 33b : 체결부
34 : 축 하우징 35, 36, 72, 80, 90 : 베어링부재
40 : 상부 하우징 50 : 하부 하우징 41, 51 : 플렌지
60 : 상부 슬리브 70 : 하부 슬리브 71 : 록킹 너트
81 : 방진캡
100 : 내압용 지지파이프 110, 110A, 110B : 잠금부재
120, 120A, 120B : 스토퍼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도로변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지주(3)와, 횡보(1)가 연결된 회전지주(4)로 구성된 종보(2)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지주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바디(10);
    상기 회전지주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회전바디(20); 및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회전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디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0)을 구비한 회전 어셈블리(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고정바디(10)의 내측 및 상기 회전바디(20)의 내측에서 상기 지주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축설되는 샤프트(31)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31)가 관통하여 축설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치합되어 구동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 어셈블리(R)는,
    상기 회전바디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40),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결합되고, 내압용 지지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하우징(50),
    상기 회전바디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구동수단의 샤프트 상단을 지지하는 샤프트용 상부 슬리브(60),
    상기 고정바디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구동수단의 샤프트 하단을 지지하는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
    상기 구동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5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베어링부재(80)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베어링부재(90)와, 상기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에 구비되는 제3 베어링부재(7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50)과 상기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50)에 내장된 제2 베어링부재(90)와 상기 샤프트용 하부 슬리브(70)에 구비된 제3 베어링부재(72)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내압용 지지파이프(100)를 포함하며,

    상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4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 하우징(5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잠금부재(110)를 더 포함함으로써, 볼트부재(111)(112)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110)가 상기 상하부 하우징(40)(50)에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부 하우징(40)이 하부 하우징(50)에 의해 구속되어 상부 하우징(4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잠금부재(110)와 상기 상부 하우징(40)을 결합시키는 볼트부재(111) 또는 잠금부재(110)와 하부 하우징(50)을 결합시키는 볼트부재(112)의 결합이 해제된 때에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40)의 회전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40)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50)은,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상, 하부 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과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이 회전할 때, 상기 잠금부재가 접촉하여 상부 하우징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
KR1020160026550A 2016-03-04 2016-03-04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 KR101624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550A KR101624110B1 (ko) 2016-03-04 2016-03-04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550A KR101624110B1 (ko) 2016-03-04 2016-03-04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110B1 true KR101624110B1 (ko) 2016-06-07

Family

ID=5619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550A KR101624110B1 (ko) 2016-03-04 2016-03-04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149B1 (ko) * 2020-08-03 2021-01-27 지앤에스종합건설 주식회사 선회교의 선회충격방지 및 선회고정 장치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594A (ko) * 2003-01-24 2004-07-30 경상남도 창원시 회전식 신호대
KR20120121254A (ko) * 2011-04-26 2012-11-05 영 국 육 회전식 지주대
KR101493758B1 (ko) * 2013-01-31 2015-02-17 (주)삼진개발 도로교통 표시시설물 회전식 지지장치
KR101562892B1 (ko) * 2015-06-04 2015-10-23 조성진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594A (ko) * 2003-01-24 2004-07-30 경상남도 창원시 회전식 신호대
KR20120121254A (ko) * 2011-04-26 2012-11-05 영 국 육 회전식 지주대
KR101493758B1 (ko) * 2013-01-31 2015-02-17 (주)삼진개발 도로교통 표시시설물 회전식 지지장치
KR101562892B1 (ko) * 2015-06-04 2015-10-23 조성진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149B1 (ko) * 2020-08-03 2021-01-27 지앤에스종합건설 주식회사 선회교의 선회충격방지 및 선회고정 장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746B2 (en) Lifting pole apparatus for traffic control
US7523912B1 (en) Pivot base assembly for traffic pole
KR101493758B1 (ko) 도로교통 표시시설물 회전식 지지장치
KR100960334B1 (ko) 회전식 도로용 지주
KR100867115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BRPI0706891A2 (pt) dispositivo de segurança para uma roda de veìculo e calota
KR101624110B1 (ko)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지주대
KR101271763B1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폴 어셈블리
JP2008116889A (ja) 上下降装置付看板支柱
DE10328651B4 (de) Antriebseinheit mit einem Drehschemel, einem Fahrmotor und einem Lenkmotor
CN100509446C (zh) 门式结构的尤其用于低底盘汽车的轴总成
CN207131391U (zh) 一种可柔性偏转的回转编码器安装支架
JP2009002052A (ja) 道路交通案内標識用支柱
US4708160A (en) Post assembly for buried valve having an above ground actuator
KR20170062291A (ko) 도로교통 안내용 회전식 지주
CN217892845U (zh) 吸能器及跑车防护装置
CN103225317A (zh) 一种安全防盗窨井盖
KR20090030357A (ko) 도로변에 설치된 지주대용 회전장치
CN215947854U (zh) 一种应急机械化桥桥跨的滑道导向机构
CN204163010U (zh) 一种桥隧手动封闭门
MX2014010909A (es) Mecanismo de cojinetes de emergencia.
US9694842B2 (en) Steering device
CN209056228U (zh) 一种应用于施工现场的警示牌
CN207537933U (zh) 一种临时交通护栏
CN111705696A (zh) 一种便于更换的公路智能标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