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158Y1 -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158Y1
KR200293158Y1 KR2020020021791U KR20020021791U KR200293158Y1 KR 200293158 Y1 KR200293158 Y1 KR 200293158Y1 KR 2020020021791 U KR2020020021791 U KR 2020020021791U KR 20020021791 U KR20020021791 U KR 20020021791U KR 200293158 Y1 KR200293158 Y1 KR 200293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oad sign
fitting
band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백상
Original Assignee
윤백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백상 filed Critical 윤백상
Priority to KR2020020021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158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변에 입설된 지주의 상부에 표지판을 결합함에 있어서,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부재의 공용성과 견고한 결합력을 갖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는, 지주의 상부에 포설되는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브라켓의 일측에 일측이 끼워져 볼트로 체결되는 가로지지부재와 이 가로지지부재의 하부에 인입되는 경첩과 경첩의 하부에 연결되는 표지판으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양측단에 체결공(111)(111)을 갖는 끼움부(112)(112)가 각각 형성된 밴드(110)와; 일측에 끼움홈(121)이 형성되고 중앙에 결합홈(122)이 통공되며 상기 밴드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부가 끼움홈에 끼워지는 2개의 "L"자형상의 체결구(120)와; 상부에 돌기부(113a)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113)봉과; 그리고, 상기 2개의 체결구를 체결하는 체결볼트(123) 및 너트(1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표지판 결합구조{STRUCTURE FOR FIXING TRAFFIC SIGNBOARD}
본 고안은 도로표지판을 지주의 상부에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주의 직경에 관계없이 도로표지판을 지주에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도로표지판의 결합은 물론,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 설치되어 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도로명을 알리는 도로표지판을 설치하는 방법은, 지주를 입설하고 입설된 지주의 상부에 도로표지판이 결합된 브라켓을 협지고정하는 것과, 이미 설치된 지주, 예를들어 가로등이나 전신주 또는 신호등과 같은 지주의 상부에 별도의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도로표지판을 결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지주를 입설하여 도로표지판을 설치하는 방법은, 지주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협지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로표지판을 지지하는 가로지지부재가 끼워진 브라켓을 상기 지주의 협지홈에 끼워 설치함으로써, 지주의 직경에관계없이 도로표지판을 협지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설치된 지주에 별도의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도로표지판을 결합할 경우, 각각의 지주들이 직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지주에 따라 결속부재를 달리하여야 하고 부재들의 공용성이 저하됨으로써 비용이 증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도 1을 예로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의 외주면에 암수한쌍(2a)(2b)으로 이루어진 결속부재(2)에 의해 도로표지판(3)을 지지하는 가로지지부재(4)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암수한쌍으로 된 결속부재(2)의 결합방법은, 양측단에 결합부(2a')(2b')가 형성된 암수한쌍(2a)(2b)의 결속부재(2)를 지주(1)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포설하여 결합부(2a')(2b')들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한 후, 양측의 결합부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그러나, 상기 지주의 직경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갖는 암수한쌍의 결속부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결속부재간의 공용성이 저하되고 암수한쌍의 결속부재를 결합하는 방법이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진 결속부재의 양측단에 형성된 양측 결합부를 각각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더디어지고 작업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로지지부재(4)에 도로표지판(3)을 결합하기 위해 설치되는 경첩(5)이 일측은 도로표지판(3)의 상부에 볼트결합되고, 타측은 가로지지부재(4)의 하부에 별도로 구성된 지지편(4a)들에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이 불어 도로표지판이 흔들릴 경우 소음이 발생되고, 상기 지지편에 힌지결합된 경첩(5)이 빗물등에 의해 녹이슬어 부식될 경우, 녹물이 흘러 도로표지판의 외관에해를 끼칠 수 있으며, 더욱이 부식이 심할 경우엔 힌지결합된 경첩(5)이 가로지지부재(5)의 하부로부터 이탈되어 도로표지판이 떨어짐에 따라 보수작업에 따른 추가비용이 발생되고, 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엔, 도로명을 알리는 도로표지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암수한쌍으로 이루어진 결속부재를 결합하는 방법을 달리한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들이 안출되고 있다.
도 2는 종래 도로표지판 결합구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실용신안등록 제262261호인 안내판 지지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일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부(11)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플랜지부(12)에 의해 볼트결합된 암수한쌍의 주밴드(10)와, 상기 주밴드(10)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부(13)에 일측이 용착되는 고정횡관(20)과, 상기 고정횡관의 내부에 일측이 끼워져 볼트체결되고 하부에 걸이홈(31)이 형성된 삽입횡관(30)과, 상기 삽입횡관의 하부에 형성된 걸이홈(31)에 끼워지는 돌기(4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걸이부(42)를 갖으며 2개로 분할되어 볼트결합된 고정판(40)과, 상기 고정판(40)의 하부 걸이부(42)에 끼워지는 돌기(51)가 상부에 형성된 표지판(5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안내판 지지구조는,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진 주밴드(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힌지부(11)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 플랜지부에만 볼트체결될 뿐만 아니라, 표지판(50)이 고정횡관에 일측이 끼워져 볼트체결된 삽입횡관(30)의 하부에 끼움결합된 고정판(40)의 하부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종래의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비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표지판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주(이미 도로변에 설치된 지주)의 직경이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진 주밴드(10)의 내경보다 클 경우, 별도의 연결부재(60)를 상기 주밴드(10)의 힌지부(11)에 연결하여 도로표지판을 결합함으로써, 지주의 직경이 다를 경우 주밴드는 그대로 사용하고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면 되는 것으로, 주밴드의 공용성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암수 한쌍으로 된 주밴드가 일측이 힌지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자주 도로표지판이 지주로부터 떨어지는 문제점과 함께 추가적인 보수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로표지판이 결합되는 삽입횡관을 주밴드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인 고정횡관의 구비 등과 같이 불필요한 구성요소들이 많아 제작단가의 상승을 가져오고 고정횡관이 주밴드의 일측에 용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도로표지판 결합구조가 지닌 빗물에 의한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지주의 직경이 주밴드의 내경보다 클 경우에 사용되는 연결부재는 지주의 직경에 따라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되는 요인이 되고, 연결부재를 구성해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의 지연을 가져온다.
더욱이 삽입횡관의 하부에 상부가 끼움결합되어 도로표지판을 연결하는 수단인 고정판이 상기 삽입횡관의 하부에서 좌 또는 우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로표지판이 좌 또는 우로 이동되거나 심할 경우 아래로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이미 설치된 지주의 상부에 도로표지판을 결합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부재의 공용성과 견고한 결합력을 갖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용신안등록 제262261호인 안내판 지지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실용신안등록 제262261호인 안내판 지지구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절개도이다.
도 4는 실용신안등록 제262261호인 안내판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밴드 111 : 체결공
112 : 끼움부 113 : 체결봉
120 : 체결구 121 : 끼움홈
122 : 결합홈 123 : 체결볼트
124 : 너트 130 : 브라켓
131 : 구멍 140 : 가로지지부재
150 : 표지판 160 : 경첩
161 : 경첩 161 : 볼트체결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는,
지주의 상부에 포설되는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브라켓의 일측에 일측이 끼워져 볼트로 체결되는 가로지지부재와 이 가로지지부재의 하부에 인입되는 경첩과 경첩의 하부에 연결되는 표지판으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양측단에 체결공을 갖는 끼움부가 형성된 밴드와;
일측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결합홈이 통공되며 상기 밴드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부가 끼움홈에 끼워지는 2개의 "L"자형상의 체결구와;
상부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봉과; 그리고,
상기 2개의 체결구를 체결하는 체결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첩은,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의 일측이 연장되고 연장된 일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볼트체결홈이 더 통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구성된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는, 표지판이 하부에 연결되는 가로지지부재가 일측에 끼워진 브라켓을 지주에 결합하는 수단인 결속부재가 하나의 밴드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주의 직경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밴드를 작업현장에서 바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경첩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가로지지부재의 하부에 볼트결합함으로써 표지판의 견고한 결합력이 강화된다.
뿐만 아니라, 지주의 외주면에 브라켓을 결합하는 결속부재인 밴드의 결합이 체결구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체결구와 밴드를 결합하는 체결봉의 상부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억지끼움에 의해 체결봉이 끼움부의 체결공에 견고하게 끼움결합됨으로써 밴드와 체결구와의 이탈됨이 방지된다.
이하,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의해 표지판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밴드와 브라켓의 결합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30)을 지주(1)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결속부재인 밴드(110)는, 체결공(111)이 형성된 끼움부(112)가 양측단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밴드는 공장에서 양산에서 사용하거나 또는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띠 형상의 판을 현장에서 바로 양측단을 구부려 사용해도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밴드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체결구(120)는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구부러진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부러진 부분의 끝단에 상기 밴드(110)의 끼움부(112)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121)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결합홈(122)이 통공된다.
상기 밴드(110)를 이용하여 지주(1)의 외주면에 표지판(150)이 하부에 연결된 가로지지부재(140)의 일측이 끼움결합된 브라켓(130)을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밴드(110)를 지주(1)의 외주면에 포설하여 양측단에 형성된 끼움부(112)(112)가 서로 마주보도록 한 다음, 양측의 끼움부를 체결구(120)의 끼움홈(121)에 각각 끼우고 체결봉(113)을 상기 끼움부(112)(112)의 내측 체결공(111)(111)에 억지끼움하여 상기 밴드(110)의 끼움부(112)(112)가 체결구(120)(120)의 끼움홈(121)(121)에 견고하게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밴드(110)의 양측단에 끼워진 체결구들을 브라켓(130)에 형성된 구멍(131)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후, 체결구(120)들의 중앙에 관통된 결합홈(122)에 체결볼트(123)를 끼우고 너트(124)로 조여 상기 밴드(110)와 브라켓(130)을 지주(1)의 상부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는 지주의 직경이 클 경우엔, 현장에서 밴드를 이루는 스테인레스 띠를 지주의 둘레면을 포설할 수 있는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후, 양측단을 구부려 내측에 체결공을 갖는 끼움부를 형성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지주의 직경에 따라 결속부재를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결속부재의 공용성과 함께 시공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밴드(110)의 끼움부 내측에 형성된 체결공(111)에 끼움결합되는 체결봉(113)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돌기부(11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억지끼움에 의해 상기 돌기부(113a)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111)의 내측면과 밀접됨으로써 밴드와 체결구 및 브라켓이 지주의 상부 둘레면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결합되는 표지판(150)은, 브라켓(130)의 일측에 일측이 결합되는 가로지지부재(140)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첩(160)의 상부 가이드부(161)가 경첩의 상부로부터 일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161)의 연장된 일측에 볼트체결홈(162)이 더 통공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부재(140)의 하부에 경첩의 상부를 끼운 후, 볼트체결홈(162)에 고정볼트(163)를 끼워 상기 가로지지부재(140)의 하부에 결합함으로써, 경첩이 가로지지부재의 하부에서 좌 또는 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의하면, 표지판이 결합되는 브라켓을 지주의 상부 둘레면에 결합하는 결속부재인 밴드의 공용성에 의해 시공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뿐 아니라, 체결돌기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에 의해 밴드와 브라켓을 연결하는 체결구가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여 장기간 표지판을 설치하여도 표지판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경첩의 상부와 가로지지부재와의 결합이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력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표지판이 이동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Claims (2)

  1. 지주의 상부에 포설되는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브라켓의 일측에 일측이 끼워져 볼트로 체결되는 가로지지부재와 이 가로지지부재의 하부에 인입되는 경첩과 경첩의 하부에 연결되는 표지판으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양측단에 체결공(111)(111)을 갖는 끼움부(112)(112)가 각각 형성된 밴드(110)와;
    일측에 끼움홈(121)이 형성되고 중앙에 결합홈(122)이 통공되며 상기 밴드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부가 끼움홈에 끼워지는 2개의 "L"자형상의 체결구(120)와;
    상부에 돌기부(113a)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113)봉과; 그리고,
    상기 2개의 체결구를 체결하는 체결볼트(123) 및 너트(1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160)은,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61)의 일측이 연장되고 연장된 일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볼트체결홈(162)이 더 통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2020020021791U 2002-07-22 2002-07-22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200293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91U KR200293158Y1 (ko) 2002-07-22 2002-07-22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91U KR200293158Y1 (ko) 2002-07-22 2002-07-22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158Y1 true KR200293158Y1 (ko) 2002-10-25

Family

ID=7307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791U KR200293158Y1 (ko) 2002-07-22 2002-07-22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158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28Y1 (ko) 2009-07-23 2009-12-09 박노경 표지판 고정장치
KR200452334Y1 (ko) * 2009-03-16 2011-02-22 (주)클라루스코리아 가로등용 브라켓
KR200462407Y1 (ko) * 2010-03-30 2012-09-11 영광산업(주) 안내표지판용 가로바 고정장치
KR101181404B1 (ko) * 2010-03-30 2012-09-19 영광산업(주) 안내표지판 설치장치
KR101249827B1 (ko) * 2010-10-07 2013-04-02 주식회사 선진글맥 도로표지판 지지관의 보강지지장치
KR101622702B1 (ko) * 2015-09-25 2016-05-19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와이어가 불필요한 시설물 설치용 지주 구조물
KR200486908Y1 (ko) * 2016-05-23 2018-07-11 성명용 결합성이 향상된 간판 하부프레임
KR102000099B1 (ko) * 2018-09-03 2019-07-16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인발공법을 이용한 신호등 가로부재 연결지지장치
KR20200142718A (ko) * 2019-06-13 2020-12-23 (주) 군월드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주차 차단기
KR102309930B1 (ko) * 2020-09-21 2021-10-06 이종길 안내판 설치구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34Y1 (ko) * 2009-03-16 2011-02-22 (주)클라루스코리아 가로등용 브라켓
KR200446928Y1 (ko) 2009-07-23 2009-12-09 박노경 표지판 고정장치
KR200462407Y1 (ko) * 2010-03-30 2012-09-11 영광산업(주) 안내표지판용 가로바 고정장치
KR101181404B1 (ko) * 2010-03-30 2012-09-19 영광산업(주) 안내표지판 설치장치
KR101249827B1 (ko) * 2010-10-07 2013-04-02 주식회사 선진글맥 도로표지판 지지관의 보강지지장치
KR101622702B1 (ko) * 2015-09-25 2016-05-19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와이어가 불필요한 시설물 설치용 지주 구조물
KR200486908Y1 (ko) * 2016-05-23 2018-07-11 성명용 결합성이 향상된 간판 하부프레임
KR102000099B1 (ko) * 2018-09-03 2019-07-16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인발공법을 이용한 신호등 가로부재 연결지지장치
KR20200142718A (ko) * 2019-06-13 2020-12-23 (주) 군월드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주차 차단기
KR102324942B1 (ko) * 2019-06-13 2021-11-11 (주) 군월드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주차 차단기
KR102309930B1 (ko) * 2020-09-21 2021-10-06 이종길 안내판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199B2 (en) Structure for supporting sign board
KR200293158Y1 (ko)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101085031B1 (ko) 가로 시설물 설치대
KR100337694B1 (ko) 지주 연결장치
KR200387082Y1 (ko) 현수식 도로명판
KR100661431B1 (ko) 나사체결을 이용한 다단 조립식 가로등주
KR101343504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0450292B1 (ko) 표지판 지지구조
KR200453088Y1 (ko) 개량형 도로표지구
KR100973029B1 (ko) 알루미늄 합금 가로등 등주
KR100759836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KR200234545Y1 (ko)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US20060208149A1 (en) Post mounting devices
KR101267855B1 (ko)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KR20010069576A (ko) 교통신호등용 철주
KR100756014B1 (ko) 도로표지판의 유동방지구조
KR200164195Y1 (ko) 신호등및도로표지판설치용보의장착상태보강구조
KR200320571Y1 (ko)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100740901B1 (ko) 도로 교통 안내 시스템을 부착 및 지지하기 위한 게이트형상의 스탠딩 구조물
KR200479073Y1 (ko) 차량 신호등용 철주
KR200252273Y1 (ko) 안내판 설치용 행거
KR19980024942U (ko) 가로등지주 연결구조
KR200264410Y1 (ko) 표시판 부착용 횡봉의 체결장치
KR100795193B1 (ko) 신호등 철주 조립체
KR200184203Y1 (ko) 지주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